KR102155806B1 -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 Google Patents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806B1
KR102155806B1 KR1020200061920A KR20200061920A KR102155806B1 KR 102155806 B1 KR102155806 B1 KR 102155806B1 KR 1020200061920 A KR1020200061920 A KR 1020200061920A KR 20200061920 A KR20200061920 A KR 20200061920A KR 102155806 B1 KR102155806 B1 KR 10215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door
backboard
mov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원
Original Assignee
(주)다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기술단 filed Critical (주)다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6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은 일면이 개방된 함체; 상기 함체의 일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기 개방시 상기 함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 상기 개방시 상기 도어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방경로를 형성하는 도어가이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 설비를 지지하는 이동식 백보드; 상기 이동식 백보드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시 상기 이동식 백보드를 상기 함체의 개방면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링크; 및 상기 함체의 내측 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하여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향해 견인된 상기 이동식 백보드가 상기 함체의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도어가 함체 외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함체의 설치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도어의 분실 또는 파손의 소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에 이동식 백보드를 설치하여, 통신장비들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과, 각종 케이블이 위치하는 케이블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복잡한 케이블 배선으로 인한 설치 오류를 줄이고 미관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IN-HOUSE COMMUNICATION TERMINAL FOR BUILDING DIGITAL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용 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에 관한 것이다.
세대단자함이란 세대 내에 인입되는 통신선로, 방송공동 수신 설비 또는 홈 네트워크 설비 등의 배선을 효율적으로 분배/접속하기 위해 이용자의 주거전용 면적에 포함되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분배함을 말한다.
이러한 세대단자함은 불필요한 접촉에 따른 작동 불량이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예를 들어, 신발장, 세탁실, 베란다 등 상대적으로 후미진 곳에 설치해왔다.
최근 스마트홈 서비스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구내통신설비의 고도화와 맞물려 세대단자함의 기능이 확장되고 그 중요성도 매우 커짐에 따라, 세대단자함은 주변의 구조물이나 설비 등에 의해 운영과 관리에 지장을 주지 않고 침수 및 결로 발생의 우려가 없는 노출된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는 지침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세대단자함은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대단자함의 뚜껑을 열 공간조차 확보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대단자함의 뚜껑을 착탈식으로 구성한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뚜껑을 분실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대단자함 내부가 깊어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6645호(2007.04.13.공고, 명칭: 건출물 통합단자함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오픈시 도어가 함체 내부의 소정 공간으로 인입됨으로써, 함체 외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함체의 설치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도어의 분실 또는 파손의 소지를 줄이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에 이동식 백보드를 설치하여, 통신장비들을 수용하는 장비 공간과, 각종 케이블이 위치하는 케이블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복잡한 케이블 배선으로 인한 설치 오류를 줄이고 미관을 향상시키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오픈 시 함체 내의 이동식 백보드를 개방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일면이 개방된 함체; 상기 함체의 일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기 개방시 상기 함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 상기 개방시 상기 도어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방경로를 형성하는 도어가이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 설비를 지지하는 이동식 백보드; 상기 이동식 백보드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시 상기 이동식 백보드를 상기 함체의 개방면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링크; 및 상기 함체의 내측 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하여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향해 견인된 상기 이동식 백보드가 상기 함체의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가이드는 상기 함체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면을 따라 연장된 상기 함체의 내측 상하부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링크는 상기 이동식 백보드 및 상기 도어를 연결하되, 롤러핀에 의해 연결부위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상기 함체의 개방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부터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식 백보드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식 백보드의 견인을 가이드하는 백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백보드 가이드 외부를 감싸는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은 오픈시 도어가 함체 내부의 소정 공간으로 인입됨으로써, 함체 외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함체의 설치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도어의 분실 또는 파손의 소지를 줄이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에 이동식 백보드를 설치하여, 통신장비들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과, 각종 케이블이 위치하는 케이블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복잡한 케이블 배선으로 인한 설치 오류를 줄이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오픈 시 함체 내의 이동식 백보드를 전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의 개방면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의 개방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100)은 일면(A)이 개방된 함체(110), 함체(110)의 일면(A)(이하, ‘개방면’이라 칭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1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에 대한 분해사시도로서, 도 2는 도 1의 개방면(A)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개방면(A)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100)은 함체(110) 내부에 도어가이드(130)와, 이동식 백보드(140)와, 견인링크(150)와, 탄성체(160)와, 백보드 가이드(170)를 포함한다.
도어가이드(130)는 상기 개방면(A)이 개방될 때, 도어(120)가 함체(110) 내부에 수용되도록 도어(120)의 개방 경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도어가이드(130)는 상기 함체의 일면(즉, 개방면(A)) 및 상기 일면(즉, 개방면(A))과 수직으로 만나는 면을 따라 연장된 상기 함체의 내측 상하부 모서리에 설치되고, 도어(120)의 이동방향으로 도어(12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120)에는 가이드 홈(13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제1 롤러핀들(121)이 구비된다. 개방면(A)이 개방되어 도어(120)가 함체(110) 내부에 수용된 경우,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롤러핀들(121)이 도어가이드(130)에 구비된 가이드 홈(131)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식 백보드(140)는 함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 설비를 지지한다. 또한, 이동식 백보드(140)는 개방면(A)의 반대측면(즉, 함체(110)의 내측면)(110a)에 상기 통신 설비들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케이블 배선이 전면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식 백보드(140)는 함체(110) 내부 공간을 두 영역으로 구분하되, 통신장비를 수용하는 장비영역(B)과, 상기 케이블들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영역(C)으로 구분함으로써, 함체(110) 내부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견인링크(150)는 이동식 백보드(140)와 도어(120)에 연결되어 개방면(A)이 개방될 때, 이동식 백보드(140)를 개방면(A) 방향으로 견인한다. 이를 위해, 견인링크(150)는 이동식 백보드(140) 및 도어(120)를 연결하되, 제1 롤러핀(121) 및 제2 롤러핀(151)에 의해 연결부위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제1 롤러핀(121)은 견인링크(150)와 도어(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 롤러핀(151)은 견인링크(150)와 이동식 백보드(1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탄성체(160)는 함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하여 함체(110)의 개방면(A)을 향해 견인된 이동식 백보드(140)가 함체(110)의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탄성체(160)는, 개방면(A)의 폐쇄시, 이동식 백보드(140)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 내측으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힘을 발휘한다.
이를 위해, 탄성체(160)는 도 2 및 도 3의 예에서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개방면(A)이 개방되었을 때 도 3의 예에서와 같이 팽창되어 함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하고, 개방면(A)이 폐쇄되었을 때 도 2의 예에서와 같이 수축된다.
백보드 가이드(170)는 함체의 개방면(A)과 대향하는 타면(110a)으로부터 개방면(A)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식백보드(140)를 관통하여 이동식 백보드(140)의 견인을 가이드한다. 즉, 백보드 가이드(170)는, 전면부로 견인되거나 함체(110) 내측으로 복귀하는, 이동식 백보드(140)의 이동경로를 안정되게 가이드한다.
한편, 탄성체(160)는 백보드 가이드(170) 외부를 감싸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의 단면도들로서, 도 4는 상기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의 개방면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의 개방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방면(A)이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12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견인링크(150)가 회전하면서 이동식 백보드(140)를 개방면(A)을 향해 견인한다. 이 때, 도어에 부착된 제1 롤러핀(121)은 도어가이드(13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을 따라 이동하고, 견인링크(150)는 견인링크(150)와 도어(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롤러핀(121) 및 견인링크(150)와 이동식 백보드(1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롤러핀(15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현된 탄성체(16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축한 상태에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방면(A)을 향해 팽창하되, 백보드 가이드(170)를 감싸는 상태로 팽창한다.
이로 인해, 이동식 백보드(140)와 함체의 내부면(110a)(즉, 이동식 백보드(140) 후면) 사이에 형성된 케이블 영역(C)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고, 이동식 백보드(140)의 전면에 위치한 장비영역(B)은 좁아지게 된다. 하지만, 개방면(A)이 개방됨으로써, 장비영역(B) 또한 넓어지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장비 또는 케이블 작업이 모두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본 발명의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100)은 도어 잠금장치(미도시) 및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동작을 인증된 작업자로 한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은 작업자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을 내장하고,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도어 개방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장치를 인증한 후,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100) 내부에 수용된 통신 장비 또는 배선의 변경으로 인한 통신망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은 작업자의 인증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작업자 단말장치의 고유번호 또는 제어모듈과 공유 하는 암호 키 등)를 미리 저장하고, 작업자의 단말장치는 도어 개방 요청 신호에 상기 작업자의 인증정보를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Claims (4)

  1.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된 함체;
    상기 함체의 일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기 개방시 상기 함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
    상기 개방시 상기 도어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방경로를 형성하는 도어가이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 설비를 지지하는 이동식 백보드;
    상기 이동식 백보드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시 상기 이동식 백보드를 상기 함체의 개방면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링크; 및
    상기 함체의 내측 방향으로 탄발력을 작용하여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향해 견인된 상기 이동식 백보드가 상기 함체의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가이드는
    상기 함체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면을 따라 연장된 상기 함체의 내측 상하부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링크는
    상기 이동식 백보드 및 상기 도어를 연결하되, 롤러핀에 의해 연결부위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개방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부터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식 백보드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식 백보드의 견인을 가이드하는 백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백보드 가이드 외부를 감싸는 스프링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KR1020200061920A 2020-05-22 2020-05-22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KR10215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20A KR102155806B1 (ko) 2020-05-22 2020-05-22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20A KR102155806B1 (ko) 2020-05-22 2020-05-22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806B1 true KR102155806B1 (ko) 2020-09-14

Family

ID=7247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920A KR102155806B1 (ko) 2020-05-22 2020-05-22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8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0930310B1 (ko) * 2007-11-19 2009-12-08 (주)디포그 사이드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된 통신기기 랙
KR101091125B1 (ko) * 2011-06-17 2011-12-09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복합형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JP2019004563A (ja) * 2017-06-13 2019-01-10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KR102052023B1 (ko) * 2019-05-22 2019-12-0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0930310B1 (ko) * 2007-11-19 2009-12-08 (주)디포그 사이드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된 통신기기 랙
KR101091125B1 (ko) * 2011-06-17 2011-12-09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복합형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JP2019004563A (ja) * 2017-06-13 2019-01-10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KR102052023B1 (ko) * 2019-05-22 2019-12-0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405B1 (ko) 공동주택 통신선 보호박스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CA2588040C (en) Secure cable system
KR100706645B1 (ko)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075821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US6768055B1 (en) Cable entry box
KR1021562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US9020321B2 (en) Wall outlet having enclosed service connection
KR102155806B1 (ko)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US20060233355A1 (en) Fiber to the home demarcation enclosure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JP4917505B2 (ja) 光ローゼット
US20050211455A1 (en) Signal connection device poke-thru assembly
JP2021535992A (ja) 留め具受け構造を備えた取付け装置
KR100677655B1 (ko)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선박스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2207742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시스템
US20110116239A1 (en) Locking Mechanisms for Retaining Two Swinging Panels and Apparatus and Enclosures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wo Swinging Panels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US20030054680A1 (en) Assemly for an outlet
KR100749723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양방향 통합 전선 보호덕트
KR101249731B1 (ko) 가구 문이 슬라이딩 되는 중에도 디스플레이를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납 가구
KR200261552Y1 (ko)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
WO2001061815A1 (en) Assembly for an outlet
KR102510181B1 (ko) 방화문용 하부힌지 구조체
CN220797226U (zh) 一种智能信息化管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