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601B1 -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601B1
KR102464601B1 KR1020220009741A KR20220009741A KR102464601B1 KR 102464601 B1 KR102464601 B1 KR 102464601B1 KR 1020220009741 A KR1020220009741 A KR 1020220009741A KR 20220009741 A KR20220009741 A KR 20220009741A KR 102464601 B1 KR102464601 B1 KR 10246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tp
slide plate
spring
casing wall
guid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00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장방형의 개방구(21)가 형성되는 전면커버(20); 개방구(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루프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2); 가이드리브(22)의 외측면과 거리를 두고 전면커버(20)의 후면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케이싱벽(24); 케이싱벽(24)의 후방을 덮는 후면커버(25); 케이싱벽(24)의 안쪽에서 가이드리브(22)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판(30); 슬라이드판(30)의 전면에 형성되고, 개방구(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랜선(42) 끝에 설치된 UTP플러그(41)와 접속되는 UTP소켓(40); 슬라이드판(30)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스프링보스(31); 스프링보스(31)에 결합되고, 후면커버(25)에 지지되어 슬라이드판(30)을 가이드리브(22)를 향해 밀어내는 후면지지스프링(50); 후면지지스프링(50)의 후단에 설치되고, 후면커버(25)의 내측 앞면에서 미끄러지는 윤활패드(51); 슬라이드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판스프링홀더(60); 판스프링홀더(60)에 설치되고, 케이싱벽(24)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각각 지지되는 판스프링(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for UTP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설치된 UTP소켓과 UTP플러그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UTP 케이블, 광케이블, 전화 통신용 케이블, TV 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동축케이블, CCTV용 카메라 영상신호 수신과 케메라 위치제어를 위한 양방향 통신선, 내부 방송용 케이블, 화재감지용 시리얼 케이블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케이블들이 배선되어 있다.
특히 UTP 케이블은 인터넷 접속에 이용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UTP소켓에 UTP플러그를 접속함으로써 유선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UTP소켓은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고, UTP소켓에 UTP플러그를 결합했을 때 UTP소켓이 벽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통신케이블의 굴곡이 심하고, 돌출된 UTP플러그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UTP소켓과 UTP플러그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58427호(공고일 2011.08.24.) 국내 공개특허 제10-2019-0021561호(공개일 2019.03.06.) 국내 공개특허 제10-2019-0063935호(공개일 2019.06.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UTP소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UTP소켓과 UTP플러그를 보호할 수 있는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는, 중앙에 장방형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전면커버; 개방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루프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 가이드리브의 외측면과 거리를 두고 전면커버의 후면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케이싱벽; 케이싱벽의 후방을 덮는 후면커버; 케이싱벽의 안쪽에서 가이드리브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판; 슬라이드판의 전면에 형성되고,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랜선 끝에 설치된 UTP플러그와 접속되는 UTP소켓; 슬라이드판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스프링보스; 스프링보스에 결합되고, 후면커버에 지지되어 슬라이드판을 가이드리브를 향해 밀어내는 후면지지스프링; 후면지지스프링의 후단에 설치되고, 후면커버의 내측 앞면에서 미끄러지는 윤활패드; 슬라이드판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판스프링홀더; 판스프링홀더에 설치되고, 케이싱벽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각각 지지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전면커버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리브를 관통해서 개방구로 이어지는 랜선포켓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되고, 양단에는 케이싱벽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접촉되는 호형벤딩부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홀더는, 판스프링이 끼워지는 일정한 폭의 홈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슬라이드판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두 쌍의 끼움리브; 판스프링에 형성되는 걸림구멍; 끼움리브의 사이에 위치되고, 슬라이드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 탄성걸림편으로부터 걸림구멍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 걸림돌기의 단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사안내면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슬라이드판(30)과 후면커버(25) 사이에 위치된 후면지지스프링(50)에 의해 UTP소켓(40)의 정면에서 후방을 향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UTP소켓(40)과 UTP플러그(41)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UTP소켓(40)이 개방구(21)의 안쪽으로 진입될 때 랜선(42)이 랜선포켓(23)에 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랜선(42)의 과도한 꺾임을 방지해서 랜선(42)과 UTP플러그(41)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UTP소켓(40)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슬라이드판(30)이 가이드리브(22)와 후면커버(25) 사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UTP소켓(40)의 상하좌우면과 개방구(21)의 내측면 간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좌우 방향에 위치된 판스프링(70)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UTP소켓(40)과 UTP플러그(41)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슬라이드판(30)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때 후면지지스프링(50)의 후단부에 설치된 윤활패드(51)가 후면커버(25)의 내측 정면에서 미끄러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판(30)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판스프링(70)의 끝부분에 형성된 호형벤딩부(71)가 케이싱벽(24)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선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70)이 탄성변형될 때 호형벤딩부(71)에 의해 움직임이 부드럽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TP소켓으로부터 UTP플러그를 분리해서 보인 저면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면 투명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를 반대편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판, 판스프링, 후면지지스프링, 윤활패드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UTP소켓에 충격이 가해질 때 슬라이드판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후면지지스프링이 압축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슬라이드판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판스프링의 양단이 벌어진 것을 보인 배면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홀더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보인 확대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앙에 장방형의 개방구(21)가 형성되는 전면커버(20); 개방구(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루프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2); 가이드리브(22)의 외측면과 거리를 두고 전면커버(20)의 후면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케이싱벽(24); 케이싱벽(24)의 후방을 덮는 후면커버(25)를 포함한다.
전면커버(20), 가이드리브(22) 및 케이싱벽(24)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모두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후면커버(25)와 케이싱벽(24)의 결합은 도7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커버(25)의 전방측 단부와 케이싱벽(24)의 후방측 단부를 따라 형성된 반턱부(24j)(25j)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초음파 융착, 접착 등에 의해 후면커버(25)와 케이싱벽(24)의 결합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8)에 설치된 매립관(29)으로부터 인출된 통신케이블(27)을 UTP소켓(40)으로 배선하기 위해 후면커버(25)에 배선구멍(25h)를 형성하고, 전면커버(20)에 형성된 체결장공(20h)을 은폐하기 위한 테두리(26)를 전면커버(20)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벽(24)의 안쪽에서 가이드리브(22)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판(30); 슬라이드판(30)의 전면에 형성되고, 개방구(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랜선(42) 끝에 설치된 UTP플러그(41)와 접속되는 UTP소켓(40)을 포함한다.
슬라이드판(30)은 플라스틱을 이용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소켓(40)에 작용되는 충격이 슬라이드판(30)을 통해 하기의 후면지지스프링(50)으로 전달되고, 이 과정에서 슬라이드판(30)은 가이드리브(22)로부터 떨어진다.
UTP소켓(40)과 슬라이드판(30)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소켓(40)의 하부에 형성된 소켓구멍(부호생략)으로 UTP플러그(41)를 삽입해서 접속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판(30)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스프링보스(31); 스프링보스(31)에 결합되고, 후면커버(25)에 지지되어 슬라이드판(30)을 가이드리브(22)를 향해 밀어내는 후면지지스프링(50); 후면지지스프링(50)의 후단에 설치되고, 후면커버(25)의 내측 앞면에서 미끄러지는 윤활패드(51)를 포함한다.
스프링보스(31)는 후면지지스프링(50)의 전방측 단부 중심으로 압입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스프링보스(31)의 외경을 후면지지스프링(50)의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후면지지스프링(50)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스프링 강선을 이용 나선형으로 감아서 성형한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윤활패드(51)은 마찰계수가 낮은 테프론 수지를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고, 윤활패드(51)의 중심에는 후면지지스프링(50)의 후단 중심으로 압입되는 압입부(52)를 윤활패드(51)와 함께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판스프링홀더(60); 판스프링홀더(60)에 설치되고, 케이싱벽(24)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각각 지지되는 판스프링(70)을 포함한다.
판스프링(70)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밴드형 스프링 강판을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9,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양단에는 케이싱벽(24)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접촉되는 호형벤딩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커버(20)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리브(22)를 관통해서 개방구(21)로 이어지는 랜선포켓(23)을 포함한다.
랜선포켓(23)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전면커버(20)와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랜선포켓(23)의 후면, 좌우측면, 저면은 폐쇄되고 랜선포켓(23)의 상부는 개방되어 개방구(21)로 이어진다.
랜선포켓(23)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소켓(40)이 충격을 받아 UTP소켓(40)과 UTP플러그(41)가 개방구(21) 안쪽으로 진입될 때 UTP플러그(41)를 따라 움직이는 랜선(42)을 수용함으로써 UTP플러그(41)와 랜선(4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홀더(60)는 판스프링(70)이 끼워지는 일정한 폭의 홈(62)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슬라이드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두 쌍의 끼움리브(61); 판스프링(70)에 형성되는 걸림구멍(72)을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7의 확대도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리브(61)에 형성된 홈(62)의 폭은 판스프링(70)의 두께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홀더(60)는, 끼움리브(61)의 사이에 위치되고, 슬라이드판(30)의 후면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63); 탄성걸림편(63)으로부터 걸림구멍(72)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64); 걸림돌기(64)의 단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사안내면(65)을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7의 확대도, 도9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70)을 홈(62)에 끼울 때 걸림돌기(64)에 형성된 경사안내면(65)에 의해 탄성걸림편(63)이 판스프링(7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면서 판스프링(70)의 홈(62) 진입을 돕게 된다.
이후 걸림돌기(64)가 판스프링(70)에 형성된 걸림구멍(72)을 만나는 순간 탄성걸림편(63)이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걸림돌기(64)가 걸림구멍(72)으로 삽입되고, 판스프링(70)은 걸림돌기(6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소켓(40)의 정면에 충격이 가해지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소켓(40)이 개방구(21) 안쪽으로 진입되면서 슬라이드판(30)이 후진되고, 후면지지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충격이 흡수된다.
이 과정에서 UTP소켓(40)에 결합되어 있는 UTP플러그(41)의 랜선(42)이 전면커버(20)에 형성되어 있는 랜선포켓(23)으로 진입되면서 보호된다.
이후 UTP소켓(40)으로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후면지지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판(30)이 다시 가이드리브(22)에 밀착되고, UTP소켓(40)은 원래의 상태로 돌출되며, 랜선(42)은 랜선포켓(23)으로부터 인출된다.
한편,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소켓(40)의 좌우측면 또는 상하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UTP소켓(40)과 함께 슬라이드판(30)이 충격이 가해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판스프링(7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이때 판스프링(70)의 양단에 형성된 호형벤딩부(71)가 케이싱벽(24)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선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판스프링(70)의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 슬라이드판(30)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때 후면지지스프링(5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윤활패드(51)가 후면커버(25)의 내측 정면에서 미끄러지면서 부드러운 움직임을 제공하게 된다.
또, 가이드리브(22)의 후단부 끝부분에 슬라이드판(30)이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판(30)과 가이드리브(22)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스틱슬립이 방지된다.
이후 UTP소켓(40)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에서 작용되던 외력이 제거되면, 판스프링(7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하좌우 4군데의 판스프링(70)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슬라이드판(30)과 UTP소켓(40)이 정지된다.
20 : 전면커버 20h : 체결장공
21 : 개방구 22 : 가이드리브
23 : 랜선포켓 24 : 케이싱벽
24j,25j : 반턱부 25 : 후면커버
25h : 배선구멍 26 : 테두리
27 : 통신케이블 28 : 벽체
29 : 매립관 30 : 슬라이드판
31 : 스프링보스 40 : UTP소켓
41 : UTP플러그 42 : 랜선
50 : 후면지지스프링 51 : 윤활패드
52 : 압입부 60 : 판스프링홀더
61 : 끼움리브 62 : 홈
63 : 탄성걸림편 64 : 걸림돌기
65 : 경사안내면 70 : 판스프링
71 : 호형벤딩부 72 : 걸림구멍

Claims (4)

  1. 중앙에 장방형의 개방구(21)가 형성되는 전면커버(20);
    상기 개방구(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루프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22);
    상기 가이드리브(22)의 외측면과 거리를 두고 상기 전면커버(20)의 후면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케이싱벽(24);
    상기 케이싱벽(24)의 후방을 덮는 후면커버(25);
    상기 케이싱벽(24)의 안쪽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2)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판(30);
    상기 슬라이드판(3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랜선(42) 끝에 설치된 UTP플러그(41)와 접속되는 UTP소켓(40);
    상기 슬라이드판(30)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스프링보스(31);
    상기 스프링보스(31)에 결합되고, 상기 후면커버(25)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판(30)을 상기 가이드리브(22)를 향해 밀어내는 후면지지스프링(50);
    상기 후면지지스프링(5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후면커버(25)의 내측 앞면에서 미끄러지는 윤활패드(51);
    상기 슬라이드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판스프링홀더(60);
    상기 판스프링홀더(60)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벽(24)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각각 지지되는 판스프링(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20)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22)를 관통해서 상기 개방구(21)로 이어지는 랜선포켓(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70)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되고, 양단에는 상기 케이싱벽(24)의 내측 상하좌우면에 접촉되는 호형벤딩부(7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홀더(60)는,
    상기 판스프링(70)이 끼워지는 일정한 폭의 홈(62)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상기 슬라이드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두 쌍의 끼움리브(61);
    상기 판스프링(70)에 형성되는 걸림구멍(72);
    상기 끼움리브(61)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판(30)의 후면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63);
    상기 탄성걸림편(63)으로부터 상기 걸림구멍(72)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64);
    상기 걸림돌기(64)의 단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사안내면(6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KR1020220009741A 2022-01-24 2022-01-24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KR102464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741A KR102464601B1 (ko) 2022-01-24 2022-01-24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741A KR102464601B1 (ko) 2022-01-24 2022-01-24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601B1 true KR102464601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741A KR102464601B1 (ko) 2022-01-24 2022-01-24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60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082Y1 (ko) * 2005-01-13 2005-04-11 정진호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443287Y1 (ko) * 2008-09-26 2009-02-06 (주)일신전기감리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스위치박스의 전선단말고정장치
KR101058427B1 (ko) 2009-07-06 2011-08-24 현대건설주식회사 벽부매립형 액세스포인트
KR101100807B1 (ko) * 2011-11-22 2011-12-2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내 배전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190021561A (ko) 2017-08-23 2019-03-06 박문수 광섬유국선의 접속장치
KR20190063935A (ko) 2017-11-30 2019-06-10 박문수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장치
KR102115019B1 (ko) * 2020-04-20 2020-05-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서랍식 세대단자함
CN211019108U (zh) * 2019-12-18 2020-07-14 杭州燕青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头防脱落配线架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258658B1 (ko) * 2021-02-10 2021-05-31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CN215070662U (zh) * 2021-04-09 2021-12-07 康特讯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耐插拔的抗振连接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082Y1 (ko) * 2005-01-13 2005-04-11 정진호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443287Y1 (ko) * 2008-09-26 2009-02-06 (주)일신전기감리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스위치박스의 전선단말고정장치
KR101058427B1 (ko) 2009-07-06 2011-08-24 현대건설주식회사 벽부매립형 액세스포인트
KR101100807B1 (ko) * 2011-11-22 2011-12-2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내 배전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190021561A (ko) 2017-08-23 2019-03-06 박문수 광섬유국선의 접속장치
KR20190063935A (ko) 2017-11-30 2019-06-10 박문수 국선과 구내선의 접속장치
CN211019108U (zh) * 2019-12-18 2020-07-14 杭州燕青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头防脱落配线架
KR102115019B1 (ko) * 2020-04-20 2020-05-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서랍식 세대단자함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258658B1 (ko) * 2021-02-10 2021-05-31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CN215070662U (zh) * 2021-04-09 2021-12-07 康特讯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耐插拔的抗振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1887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wall outlet thereof
US7559700B2 (en) Shading member-equipped optical connector plug
CN108508540B (zh) 光纤适配器
US7086878B2 (en)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US7837395B2 (en) Optical fiber adapter with shutter member
EP1574886B1 (en) Receptacle with shutter for optical connector
US8851763B2 (en) Optical fiber adapter with shutter member
CN1719294B (zh) 光传输装置和电子设备
US20140242855A1 (en) Dust-proof cover structure for network connector
JPH0813879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利用した電子機器
JP6008472B2 (ja) シャッター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5056626A (ja) シャッタ付きコネクタ
US20130099644A1 (en) Housing for optical elements
KR102464601B1 (ko)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US9933584B2 (en) Duplex fiber optic connector plug with angles actuated latching
TWI231387B (en) Optical connector
KR100566511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JP5345085B2 (ja) キャップ構造
CN112530728B (zh) 一种壳体组件、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的组装方法
CN212160153U (zh) Mpo连接器
KR100780146B1 (ko)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KR20210150061A (ko) Usb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205809357U (zh) 一种sc光纤适配器
CN216563753U (zh) 保护门组件和插座
KR200356307Y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