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09B1 -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09B1
KR102258609B1 KR1020200023095A KR20200023095A KR102258609B1 KR 102258609 B1 KR102258609 B1 KR 102258609B1 KR 1020200023095 A KR1020200023095 A KR 1020200023095A KR 20200023095 A KR20200023095 A KR 20200023095A KR 102258609 B1 KR102258609 B1 KR 10225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unit
mat
us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균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스튜디오에이
김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스튜디오에이, 김형균 filed Critical (주)디자인스튜디오에이
Priority to KR102020002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집과 같은 실내에서 측정항목별로 설정된 매트를 무선연결하여 전문 트레이너 없이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성장발달을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에 따라 센서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측정항목정보가 저장된 RFID태그부(109)가 구비된 다수개의 매트(100)와, 상기 매트(1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작신호를 전송한 매트(100)에서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체력에 대응되는 운동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관리서버(200)와,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매트(100)로 전송하도록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상기 측정항목정보와 사용자정보가 포함된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기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1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매트(100)와 연결되며, 바닥면과 밀착되기 위한 제1외피부(101)와, 상기 제1외피부(101)에 적층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제1쿠션부(102)와, 상기 제1쿠션부(102)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부(110)가 배치되기 위한 센서회로부(103)와, 상기 센서회로부(103)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회로부(103)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제2쿠션부(104)와, 상기 제2쿠션부(104)에 적층된 제2외피부(10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WIRELESS CONNECTION TYPE PHYSICAL STRENGTH MEASURING SYSTEM AND PHYSICAL STRENGTH MEASUR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집과 같은 실내에서 측정항목별로 설정된 매트를 무선연결하여 전문 트레이너 없이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성장발달을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체력은 활기찬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종합적인 능력이며, 특히 유아기의 체력발달은 신체성장의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체력은 크게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체력인 건강관련체력과 운동신경 발달에 도움을 주는 기능관련체력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히 만 3세 내지 만 5세 시기는 두뇌가 현저히 발달되는 시기이므로 지능발달의 결정적인 시기이며, 신체활동이 지능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즉, 유아기의 신체발달은 지적인 능력을 빠르게 향상시키며 신체 발달이 느려지면 지적 발달도 느려지게 된다.
유아기의 체력은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관리하여야 하며, 근지구력, 근력, 평형성,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 등의 측정항목에 따라 각각 측정해야 한다.
이에, 유아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73761호(등록일자: 2014년 03월 06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발로 디딜 수 있는 디딤면을 형성한 측정부와, 디딤면을 딛고 상기 측정부 위에 올라 섰을 때 발바닥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하중 분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을 통해 획득된 신호를 기초로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신체 정보 결과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정부를 통해 검출수단으로 전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밸런싱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체 밸런싱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되, 상기 측정부는 여러 개로 분리 구획된 측정영역을 형성한 구성의 측정패널과 설치 대상면과 접촉하는 베이스 사이로 쿠션체가 충전되어 쿠션층을 형성한 구성을 갖고, 상기 검출수단은 각각의 측정영역에 속하는 측정패널 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해당 측정영역의 측정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하중을 검출하는 센서부재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아의 체력측정항목마다 장비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각 장비가 차지하는 부피에 의해 상기 각 장비를 배치해야 하는 넓은 실내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유아가 체력을 측정할 때마다 동작을 행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 일반 가정집이 아닌 체육관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또한, 유아의 체력을 측정할 때에도 장치의 사용 및 체력진단을 위한 전문적인 트레이너가 필수로 요구된다.
이에, 부모들이 유아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체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모두 구비된 체육관 등과 같은 시설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과 같은 실내공간에도 유아의 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적은 부피를 차지하면서 전문 트레이너 없이 유아의 체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반 가정집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어 전문 트레이너 없이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별로 매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이 추가될 경우 그에 대안 매트를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그에 대응되는 운동을 처방할 수 있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은,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에 따라 센서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측정항목정보가 저장된 RFID태그부(109)가 구비된 다수개의 매트(100)와, 상기 매트(1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작신호를 전송한 매트(100)에서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체력에 대응되는 운동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관리서버(200)와,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매트(100)로 전송하도록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상기 측정항목정보와 사용자정보가 포함된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기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1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매트(100)와 무선연결되며, 바닥면과 밀착되기 위한 제1외피부(101)와, 상기 제1외피부(101)에 적층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제1쿠션부(102)와, 상기 제1쿠션부(102)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부(110)가 배치되기 위한 센서회로부(103)와, 상기 센서회로부(103)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회로부(103)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제2쿠션부(104)와, 상기 제2쿠션부(104)에 적층된 제2외피부(10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트(100)는, 타 매트(100)의 측정항목과 식별가능하도록 미리 측정항목정보가 저장된 RFID태그부(109)와, 상기 측정항목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110)와,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매트통신부(111)와, 상기 매트통신부(111)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시작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매트제어부(112)와, 상기 매트제어부(112)에 의해 작동된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센서값을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체력측정부(113)와, 상기 센서부(110) 내지 상기 매트제어부(1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매트충전부(1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01)와, 상기 서버통신부(201)를 통해 상기 사용자기기(30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 중 사용자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여 사용자를 검증하기 위한 사용자검증부(202)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 중 측정항목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RFID태그부(109)가 부착된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작신호전송부(203)와, 상기 시작신호전송부(203)를 통해 시작신호를 전송한 매트(100)로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조건 중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에 해당되는 측정조건을 추출하여 전송하기 위한 측정조건전송부(204)와, 상기 매트(100)로부터 상기 측정조건에 따라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기 위한 측정데이터저장부(205)와, 상기 측정데이터저장부(205)에서 상기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종료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종료신호전송부(206)와,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평가기준치 중 상기 측정데이터에 해당되는 측정항목의 평가기준치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체력진단부(207)와, 상기 진단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운동데이터 중에서 상기 진단데이터에 대응되는 운동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운동처방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기기(300)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통신부(301)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력측정방식을 안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302)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302)에서 사용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303)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302)를 통해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상기 측정항목과 상기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RFID태그인식부(304)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시작신호를 수신받아 미리 측정항목별로 저장된 측정방식 중에서 상기 인식데이터에 대응되는 측정방식을 추출하기 위한 측정안내부(305)와, 상기 측정안내부(305)에서 추출된 측정방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6)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종료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측정방식을 중단하기 위한 안내중단부(30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에 따라 센서부(110)를 구비한 각 매트(100)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기기(300)에 의해 상기 RFID태그부(109)의 측정항목정보가 포함된 인식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RFID태그인식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인식데이터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매트(100)를 통해 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는 시작신호전송단계와,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은 사용자기기(300)가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방식 중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측정방식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측정방식안내단계와,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은 매트(100)가 상기 사용자기기(300)의 측정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체력측정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상기 측정데이터를 누적저장하는 측정데이터저장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상기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경우에 상기 매트(100)의 체력측정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는 종료신호전송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평가기준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데이터에 대한 체력수준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체력진단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미리 체력수준별로 저장된 운동데이터 중 상기 진단데이터에 대응되는 운동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는 운동처방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가정집과 같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전문 트레이너 없이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육관 등의 시설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여 효율적으로 유아, 청소년 등인 사용자의 성장발달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별로 매트를 조립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 후에도 매트를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이 추가될 경우에는 그에 대안 매트를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측정항목마다 장치를 새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그에 대응되는 운동을 처방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체력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매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매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매트의 구성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성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사용자기기의 구성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매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매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매트의 구성블럭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성블럭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사용자기기의 구성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체력측정방법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에 따라 센서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측정항목정보가 저장된 RFID태그부(109)가 구비된 다수개의 매트(100)와, 상기 매트(1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작신호를 전송한 매트(100)에서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체력에 대응되는 운동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관리서버(200)와,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매트(100)로 전송하도록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생성된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기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100)는, 사용자가 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100)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밀착되기 위한 제1외피부(101)와, 상기 제1외피부(101)에 적층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제1쿠션부(102)와, 상기 제1쿠션부(102)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부(110)가 배치되기 위한 센서회로부(103)와, 상기 센서회로부(103)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회로부(103)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제2쿠션부(104)와, 상기 제2쿠션부(104)에 적층된 제2외피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트(100)의 센서회로부(103)를 중심으로 제1쿠션부(102) 및 제2쿠션부(104)가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동작을 행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센서회로부(103)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트(100)는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되며, 서로 인접한 매트(100)를 연결시켜 사용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매트(100)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로 구성되어 상기 매트(100)의 가장자리에 서로 대응되는 돌출날개부(106)와 날개홈부(107)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대응되는 돌출날개부(106)와 날개홈부(107)를 맞춤에 의해 퍼즐과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트(100)에 돌출날개부(106)와 날개홈부(107)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측정항목의 매트(100)끼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체력측정이 끝난 후에는 다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날개부(106)와 날개홈부(107)에 의해 무선충전 등을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매트(100)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매트(100) 사이에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접이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100) 사이에 형성된 접이부(108)에 의해 상기 매트(100)를 사용한 후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보관 시 최소한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10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매트(100)의 측정항목과 식별가능하도록 미리 측정항목정보가 저장된 RFID태그부(109)와, 상기 측정항목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110)와,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매트통신부(111)와, 상기 매트통신부(111)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시작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매트제어부(112)와, 상기 매트제어부(112)에 의해 작동된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센서값을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체력측정부(113)와, 상기 센서부(110) 내지 상기 매트제어부(1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매트충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태그부(109)는, 상기 매트(100)에서 측정할 수 있는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항목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매트(100)의 제2외피부(105)에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RFID태그부(109)로 인해 매트(100) 간의 측정항목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매트(100)에서 측정하는 측정항목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매트(100)의 측정항목이 순발력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제자리 높이 뛰기를 감지하기 위해 2개의 압력센서와 1개의 거리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매트(100)의 측정항목이 유연성일 경우에는 주어진 동작을 행하는 사용자의 손과 발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매트(100) 내를 6개로 구획한 후 각 구획마다 1개의 압력센서와 손과 발모양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100)의 측정항목이 민첩성일 경우에는 지정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발로 밟아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매트(100) 내에 1번부터 6번까지 번호가 마킹된 6개의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매트(100)의 측정항목이 근지구력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쿼트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2개의 압력센서와 1개의 거리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100)의 측정항목이 근력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무릎꿇고 팔굽혀펴기를 하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4개의 압력센서와 1개의 거리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매트(100)의 측정항목이 평형성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눈감고 외발서기하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2개의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통신부(111)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매트통신부(111)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시작신호를 수신받는다.
상기 매트제어부(112)는,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시작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매트제어부(112)를 통해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았을 때 상기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고, 추후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종료신호를 수신받았을 때 상기 센서부(11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무분별하게 측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력측정부(113)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시작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센서값을 카운트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체력측정부(113)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시작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기 카운트되어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초기화하여야 된다. 상기 체력측정부(113)를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을 때마다 초기화시킴으로써 현재 측정데이터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체력측정부(113)는 상기 매트(100)가 순발력을 측정할 경우에 상기 매트(100)에 구성된 압력센서에서 사용자의 발이 떨어져 압력값이 0이 되는 시간을 측정하면서 거리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매트(100)에서 위로 뛰었을 때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력측정부(113)는 상기 매트(100)가 유연성을 측정할 경우에 상기 매트(100)의 LED가 발광한 구획에 위치된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하고, 상기 매트(100)가 민첩성을 측정할 경우에 2개의 압력센서를 동시에 발로 밟아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진 압력값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체력측정부(113)는 상기 매트(100)가 근지구력을 측정할 경우에 상기 매트(100)의 압력센서에 위치된 두 발의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을 측정하고,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매트(1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체력측정부(113)는 상기 매트(100)가 근력을 측정할 경우에 상기 매트(100)의 각 압력센서에 위치된 손과 무릎의 압력값을 측정하면서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매트(100)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매트(100)가 평형성을 측정할 경우에 상기 매트(100)의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기립한 발의 압력값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고, 두발로 가해지는 압력값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에, 상기 체력측정부(113)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상기 매트(100)에서 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측정데이터는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체력측정부(113)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해 매트통신부(111)를 이용한다.
상기 매트충전부(114)는, 외부에 구비된 전력송신부(미도시)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센서부(110) 내지 상기 매트제어부(112)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상기 매트충전부(114)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음으로 인해 전선 등이 더 구비되지 않아 전선에 의해 설치공간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게 된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01)와, 상기 서버통신부(201)를 통해 상기 사용자기기(30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 중 사용자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여 사용자를 검증하기 위한 사용자검증부(202)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 중 측정항목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RFID태그부(109)가 부착된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작신호전송부(203)와, 상기 시작신호전송부(203)를 통해 시작신호를 전송한 매트(100)로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조건 중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에 해당되는 측정조건을 추출하여 전송하기 위한 측정조건전송부(204)와, 상기 매트(100)로부터 상기 측정조건에 따라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기 위한 측정데이터저장부(205)와, 와, 상기 측정데이터저장부(205)에서 상기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종료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종료신호전송부(206)와,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평가기준치 중 상기 측정데이터에 해당되는 측정항목의 평가기준치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체력진단부(207)와, 상기 진단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운동데이터 중에서 상기 진단데이터에 대응되는 운동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운동처방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통신부(201)는, 상기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해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검증부(202)는, 상기 사용자기기(300)로부터 인식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인식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여 검증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검증부(202)에는 상기 매트(100)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검증부(202)에 미리 사용자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인식데이터에서 추출된 사용자정보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검증할 수 있으며, 추후 사용자의 체력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매트(100)의 무분별하게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작신호전송부(203)는,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RFID태그부(109)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RFID태그부(109)가 부착된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시작신호전송부(203)에는 측정항목별로 RFID태그부(109)가 부착된 매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시작신호전송부(203)에서 상기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100)의 체력측정부(113)를 초기화시킬 수 있고, 추후 기재될 상기 사용자기기(300)를 통해 상기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방식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조건전송부(204)는,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조건 중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에 해당되는 측정조건을 추출하여 상기 매트(100)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조건은 사용자가 동작을 실시할 때 필요한 신호이며, 반응신호, 번호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순발력을 측정할 경우에 사용자가 제자리 높이뛰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시간간격을 랜덤으로 하여 반응신호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유연성을 측정할 경우에 손모양의 LED와 발모양의 LED를 발광시키도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민첩성을 측정할 경우에 반응시간을 지정하여 랜덤으로 2개의 번호로 짝을 이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측정데이터저장부(205)는, 상기 측정조건을 수신받아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한 매트(100)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해당 사용자정보에 누적하여 저장한다.
상기 측정데이터저장부(205)에 상기 측정데이터를 날짜별로 누적하여 저장함으로 인해 추후 사용자별로 자신의 체력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료신호전송부(206)는, 상기 측정데이터저장부(205)에 상기 측정데이터가 저장될 경우에 상기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종료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종료신호전송부(206)에서 종료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측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체력진단부(207)는, 상기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체력진단부(207)에는 측정항목별 평가기준치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평가기준치는 측정항목별로 평가의 기준을 세워 수준이나 범위 또는 점수로 표시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체력진단부(207)에서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평가기준치 중 상기 측정데이터에 해당되는 측정항목의 평가기준치를 추출하여 상기 측정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운동처방부(208)는, 미리 체력수준별로 운동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미리 저장된 운동데이터 중에서 상기 진단데이터와 대응되는 운동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운동데이터는 운동 동영상이 될 수도 있지만, 운동 동영상을 링크하는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기기(300)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통신부(301)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력측정방식을 안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302)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302)에서 사용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303)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302)를 통해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상기 측정항목과 상기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RFID태그인식부(304)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시작신호를 수신받아 미리 측정항목별로 저장된 측정방식 중에서 상기 인식데이터에 대응되는 측정방식을 추출하기 위한 측정안내부(305)와, 상기 측정안내부(305)에서 추출된 측정방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6)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종료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측정방식을 중단하기 위한 안내중단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통신부(301)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부(302)는, 상기 사용자통신부(301)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여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사용자의 체력측정을 위한 측정방식을 안내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303)는,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키, 몸무게,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타 사용자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번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FID태그인식부(304)는,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상기 RFID태그부(109)에 저장된 측정항목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측정항목과 상기 사용자정보를 포함하여 인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안내부(305)는, 미리 측정항목별로 사용자의 체력측정을 위한 동작이 저장된 측정방식이 저장되고,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시작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방식 중에서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에 대응되는 측정방식을 추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6)는, 상기 측정안내부(305)에서 추출된 측정방식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체력측정을 위한 동작을 육안으로 보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6)는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운동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안내중단부(307)는,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종료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측정방식을 중단하여 사용자에게 체력측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의 체력측정방법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 근지구력, 근력, 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10)가 각각 구성된 다수개의 매트(10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기기(300)에서 상기 RFID태그부(109)의 측정항목정보와 사용자정보가 포함된 인식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0).
이때, 상기 관리서버(200)에서는 상기 인식데이터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인식데이터 중 사용자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인지 판단하여 검증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매트(100)를 통해 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한다(S20).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은 사용자기기(300)에서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방식 중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측정방식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S30).
또한, 상기 관리서버(200)에서는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에 해당되는 측정조건을 추출하여 상기 매트(100)로 전송한다.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은 매트(100)에서 상기 사용자기기(300)의 측정방식과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전송한 측정조건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40).
상기 매트(100)가 순발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시간간격을 랜덤으로 하여 반응신호를 5회 주면, 상기 매트(100)에 두 발을 올린 상태의 사용자가 상기 반응신호에 따라 제자리 높이 뛰기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매트(100)의 압력센서에서 사용자의 발이 떨어져 압력값이 0이 될 때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에서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반응신호를 준 시간을 제외하여 순간반응 동작시간을 산출하고, 5회 동안 산출된 시간의 평균값으로 측정한다. 또한, 상기 매트(100)의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위로 뛰었을 때 거리를 측정는 것을 5회 반복하여 평균값으로 측정한다. 이에, 사용자의 위로 높이 뛰기의 높이와 순간 반응 동작여부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매트(100)가 유연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6개의 구획 중 2개의 구획에 손모양의 LED를 발광시키고, 2개의 구획에 발모양의 LED를 발광시키도록 반응신호를 3초 간격으로 3회 주면, 상기 매트(100)의 발광된 손모양과 발모양을 사용자의 손과 발을 이용하여 2초간 압력을 가하여 압력센서에서 가해진 압력값을 측정한다. 이에, 사용자가 주어진 동작에 대해 신체 관절의 복합 운동량과 가동범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매트(100)가 민첩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일정시간 동안 랜덤하게 2개의 번호로 짝을 이룬 정보를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면, 사용자가 상기 2개의 번호에 해당되는 압력센서를 1초 이내에 동시에 발로 밟게 되면서 가해진 압력값을 측정한다. 이에, 사용자가 지정된 정보에 맞춰 신체를 빨리 움직여 방향을 전환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100)가 지구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압력센서 위치에 양 발을 올려 스쿼트 자세를 취하고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스쿼트 자세 유무는 상기 매트(100)의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엉덩이 위치를 측정하여 지정 높이를 유지하는지 판단한다. 이에, 사용자가 스쿼트 자세를 얼마나 유지하는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100)가 근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시간제한을 하여 상기 제한시간동안 사용자가 압력센서 위치에 양 손과 양 무릎을 올린 후 팔굽혀펴기를 수행하는 갯수를 측정한다. 상기 팔굽혀펴기의 카운트 판단은 사용자의 머리 위치와 상기 매트(100)의 거리센서 사이 측정된 높이가 20cm 이상 50cm 미만으로 왕복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측정한다. 이에, 사용자의 팔굽혀펴기를 몇회 수행하였는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100)가 평형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상기 매트(100)의 압력센서에 사용자가 양 발을 올린상태에서 상기 시작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눈을 감고 외발서기를 하여 기립한 발에 가해지는 압력값의 변화를 측정하며,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부터 양 발로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트(100)에서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50).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정보에 따라 측정데이터를 누적저장한다(S60).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측정데이터가 저장될 경우에 사용자의 체력측정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매트(100)의 체력측정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한다(S70).
상기 관리서버(200)의 체력진단부(207)를 통해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의 평가기준치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체력수준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한다(S80).
상기 생성된 진단데이터는 상기 운동처방부(208)로 전송되어 미리 저장된 운동데이터 중에서 상기 진단데이터에 대응되는 운동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한다(S90).
상기와 같이 체력측정되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은, 일반 가정집과 같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전문 트레이너 없이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육관 등의 시설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여 효율적으로 유아, 청소년 등인 사용자의 성장발달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별로 구성된 매트(100)를 연결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 후에도 매트를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그에 대응되는 운동을 처방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체력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매트 101: 제1외피부
102: 제1쿠션부 103: 센서회로부
104: 제2쿠션부 105: 제2외피부
106: 돌출날개부 107: 날개홈부
108: 접이부 109: RFID태그부
110: 센서부 111: 매트통신부
112: 매트제어부 113: 체력측정부
114: 매트충전부 200: 관리서버
201: 서버통신부 202: 사용자검증부
203: 시작신호전송부 204: 측정조건전송부
205: 측정데이터저장부 206: 종료신호전송부
207: 체력진단부 208: 운동처방부
300: 사용자기기 301: 사용자통신부
302: 어플리케이션부 303: 사용자입력부
304: RFID태그인식부 305: 측정안내부
306: 디스플레이부 307: 안내중단부

Claims (5)

  1.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에 따라 센서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측정항목정보가 저장된 RFID태그부(109)가 구비된 다수개의 매트(100)와, 상기 매트(1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작신호를 전송한 매트(100)에서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체력에 대응되는 운동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관리서버(200)와,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시작신호를 상기 매트(100)로 전송하도록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상기 측정항목정보와 사용자정보가 포함된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기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1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매트(100)와 무선연결되며, 바닥면과 밀착되기 위한 제1외피부(101)와, 상기 제1외피부(101)에 적층되어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제1쿠션부(102)와, 상기 제1쿠션부(102)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부(110)가 배치되기 위한 센서회로부(103)와, 상기 센서회로부(103)에 적층되어 상기 센서회로부(103)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제2쿠션부(104)와, 상기 제2쿠션부(104)에 적층된 제2외피부(105)를 포함하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100)는, 타 매트(100)의 측정항목과 식별가능하도록 미리 측정항목정보가 저장된 RFID태그부(109)와, 상기 측정항목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110)와,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매트통신부(111)와, 상기 매트통신부(111)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시작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매트제어부(112)와, 상기 매트제어부(112)에 의해 작동된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센서값을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체력측정부(113)와, 상기 센서부(110) 내지 상기 매트제어부(1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매트충전부(114)를 포함하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01)와, 상기 서버통신부(201)를 통해 상기 사용자기기(30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 중 사용자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하여 사용자를 검증하기 위한 사용자검증부(202)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 중 측정항목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RFID태그부(109)가 부착된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작신호전송부(203)와, 상기 시작신호전송부(203)를 통해 시작신호를 전송한 매트(100)로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조건 중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에 해당되는 측정조건을 추출하여 전송하기 위한 측정조건전송부(204)와, 상기 매트(100)로부터 상기 측정조건에 따라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기 위한 측정데이터저장부(205)와, 상기 측정데이터저장부(205)에서 상기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매트(100)와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종료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종료신호전송부(206)와,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평가기준치 중 상기 측정데이터에 해당되는 측정항목의 평가기준치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체력진단부(207)와, 상기 진단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운동데이터 중에서 상기 진단데이터에 대응되는 운동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운동처방부(208)를 포함하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기기(300)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통신부(301)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력측정방식을 안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302)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302)에서 사용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303)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302)를 통해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여 상기 측정항목과 상기 사용자정보를 포함한 인식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RFID태그인식부(304)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시작신호를 수신받아 미리 측정항목별로 저장된 측정방식 중에서 상기 인식데이터에 대응되는 측정방식을 추출하기 위한 측정안내부(305)와, 상기 측정안내부(305)에서 추출된 측정방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6)와,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종료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측정방식을 중단하기 위한 안내중단부(307)를 포함하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5.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항목에 따라 센서부(110)를 구비한 각 매트(100)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매트(100)의 RFID태그부(109)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기기(300)에 의해 상기 RFID태그부(109)의 측정항목정보가 포함된 인식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RFID태그인식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인식데이터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매트(100)를 통해 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받은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시작신호를 전송하는 시작신호전송단계와,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은 사용자기기(300)가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측정방식 중 상기 인식데이터의 측정항목정보에 대응되는 측정방식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측정방식안내단계와,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받은 매트(100)가 상기 사용자기기(300)의 측정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체력측정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상기 측정데이터를 누적저장하는 측정데이터저장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상기 측정데이터를 저장한 경우에 상기 매트(100)의 체력측정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매트(100) 및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는 종료신호전송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미리 저장된 측정항목별 평가기준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데이터에 대한 체력수준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진단데이터를 생성하는 체력진단단계와,
    상기 관리서버(200)가 미리 체력수준별로 저장된 운동데이터 중 상기 진단데이터에 대응되는 운동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300)로 전송하는 운동처방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KR1020200023095A 2020-02-25 2020-02-25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KR10225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95A KR102258609B1 (ko) 2020-02-25 2020-02-25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95A KR102258609B1 (ko) 2020-02-25 2020-02-25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609B1 true KR102258609B1 (ko) 2021-06-01

Family

ID=7637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095A KR102258609B1 (ko) 2020-02-25 2020-02-25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0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934A (ko) * 2011-08-24 2013-03-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JP2013511319A (ja) * 2009-11-20 2013-04-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ィットネステストシステム
KR101373761B1 (ko) * 2012-04-30 2014-03-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KR20170043846A (ko) * 2015-10-14 2017-04-24 권오영 신체 균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75691B1 (ko) * 2016-10-06 2017-09-06 조병우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CN107537139A (zh) * 2016-06-24 2018-01-05 蓝天方舟健康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人体柔韧性健康管理系统
KR20190043915A (ko) * 2017-10-19 2019-04-29 노영희 스퀘어 스텝핑 운동 매트,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0502698A (ja) * 2016-10-11 2020-01-23 アンファン テリブル デザイン アーベー 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1319A (ja) * 2009-11-20 2013-04-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ィットネステストシステム
KR20130021934A (ko) * 2011-08-24 2013-03-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KR101373761B1 (ko) * 2012-04-30 2014-03-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KR20170043846A (ko) * 2015-10-14 2017-04-24 권오영 신체 균형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7537139A (zh) * 2016-06-24 2018-01-05 蓝天方舟健康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人体柔韧性健康管理系统
KR101775691B1 (ko) * 2016-10-06 2017-09-06 조병우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JP2020502698A (ja) * 2016-10-11 2020-01-23 アンファン テリブル デザイン アーベー 監視システム
KR20190043915A (ko) * 2017-10-19 2019-04-29 노영희 스퀘어 스텝핑 운동 매트,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6870A1 (en) Integrated portable device and method implementing an accelerometer for detecting asymmetries in a movement of a user
JP5321002B2 (ja) 体動バランス検出装置、体動バランス検出プログラム、体動バランス検出方法
US103913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ining of athletes
US9868026B2 (en) Functional postural training machine
US11052286B2 (en) Smart performance footwear and system
KR101209076B1 (ko) 운동가이드장치 및 운동가이드방법
KR101834077B1 (ko)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US20090233714A1 (en) Three Dimensional Infrared Movement Sensing Matrix
KR101952692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
US9782116B2 (en) Stability-assessing system
KR101509082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체력검사 시스템
KR101432129B1 (ko)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용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3065B1 (ko) 신체 훈련 시스템 및 그와 함께 사용시 유용한 방법들
KR20150032949A (ko) 웨이트 스택 머신 운동기의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KR10164534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258609B1 (ko)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CN114585294A (zh) 游乐体验系统
KR102136168B1 (ko) 놀이체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체발달상태 획득방법
KR102280036B1 (ko) 센서를 이용한 덤벨의 균형 알림방법
KR102145672B1 (ko) 스마트 바벨 시스템 제어방법
KR101565474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231899B1 (ko) 다이나믹 밸런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10085253A (ko) 스마트 개인훈련 운동시스템 및 개인훈련 운동방법
JP6270115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KR101583211B1 (ko) 양 발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양 발 사용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