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520A -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520A
KR20190051520A KR1020170147288A KR20170147288A KR20190051520A KR 20190051520 A KR20190051520 A KR 20190051520A KR 1020170147288 A KR1020170147288 A KR 1020170147288A KR 20170147288 A KR20170147288 A KR 20170147288A KR 20190051520 A KR20190051520 A KR 2019005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formation
exerciser
movement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948B1 (ko
Inventor
구자현
Original Assignee
구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현 filed Critical 구자현
Priority to KR102017014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가 보유한 운동자 장치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유압을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고,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운동 감지 정보를 전송하며, 운동 분석 장치가 해당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여 운동자 장치로 분석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운동자의 운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exercise ability analysis, and hydraulic exercise equipment device and exercise analysis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올바르게 운동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방안과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맞게 운동이 수행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한 신체는 삶의 질과도 직결되며, 스트레스 해소나 외형을 가꾸기 위한 용도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근력 운동은 근육의 양을 늘려 기초 대사량을 증가시키고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며, 비만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근력 운동의 운동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운동자의 신체 능력에 맞는 운동 방법으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한데, 운동을 하는 사람이 자기의 운동 방법이 적합한 것인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0650호 (2014년 02월 19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자에게 알맞은 운동 무게를 설정하고 운동자의 운동 상태를 감지하여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맞게 운동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은,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가 보유한 운동자 장치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유압을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고,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운동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부터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며 상기 운동자 장치로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운동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운동 감지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식별 정보,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 유압을 이용해 가해진 무게 정보 및 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상기 운동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가 어떠한 운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에 가해진 운동 무게와 상기 운동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는,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운동 파트가 이동하는 구간을 감지하고, 상기 운동 파트가 이동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멈추거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유압을 이용해 무게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운동자들을 운동 능력에 따라 그룹핑하여 등급을 구분하고,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등급을 판단한 후, 판단된 등급에 대응하는 운동자들의 운동 능력에 대한 통계 정보 및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과의 비교 정보를 포함한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운동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응하는 운동 무게와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근육 발달 정도에 따른 밸런스 정보 및 발달이 필요한 근육에 대한 운동 방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상기 운동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정보를 상기 운동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아바타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따른 근육의 발달 정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이 변화함에 비례하여 상기 아바타 정보에 포함된 근육의 발달 정도를 변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를 구비한 운동 기구부, 유압을 이용해 상기 운동 기구부에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는 무게 설정부, 상기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무게 설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운동 기구부에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고, 상기 센서부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의 감기 결과에 따른 운동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분석 장치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분석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방법은,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가 보유한 운동자 장치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유압을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는 단계,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운동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운동 분석 장치가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부터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분석 장치가 저장된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며 상기 운동자 장치로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에 따르면,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맞게 운동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정보 및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동자의 운동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운동 도중 운동자의 운동 능력의 한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유압을 이용해 무게를 줄여 부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운동 능력이 비슷한 다른 운동자들의 운동 능력에 대한 통계 정보나 비교 정보를 제공하여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운동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정보를 이용해 운동 능력에 따른 근육의 발달 정도를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자신의 운동 능력을 파악하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의 표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분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운동이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방안과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의 표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운동 관리 시스템(1000)은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 운동 분석 장치(200), 운동자 장치(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유압을 이용해 무게를 가하여 운동 무게를 설정할 수 있는 운동 기구 장치이다.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운동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무게 설정 정보에 따라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한다.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1)를 포함하며, 유압을 이용해 운동 파트(1)를 비롯한 운동 기구에 무게를 가하기 위한 유압펌프나 유압모터 등을 포함한다.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 파트(1)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통신망(400)을 통해 운동 분석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이용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나, 운동자 장치(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다.
운동 분석 장치(200)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를 이용해 운동하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운동 분석 장치(200)는 운동자가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를 이용해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로부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수집해 저장하고,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여 통신망(400)을 통해 운동자 장치(300)로 분석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운동 분석 장치(200)는 통신망(400)을 이용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운동자 장치(300)는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가 보유한 장치로서,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를 이용해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운동 무게를 설정하여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로 해당 무게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운동 분석 장치(200)로부터 운동 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운동자 장치(300)는 통신망(400)을 통해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운동자 장치(300)는 통신망(400)을 이용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나,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다.
통신망(400)은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 운동 분석 장치(200) 및 운동자 장치(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통신망(400)은 현재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이 완료되어서 상용화될 각종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이들의 결합망과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운동자 장치(300)는 운동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따라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를 이용해 운동하기 위한 운동 무게를 설정하고, 무게 설정 정보를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운동자 장치(300)는 운동 분석 장치(200)로부터 운동자의 운동 이력을 기반으로 제안된 운동 방법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운동자가 이를 참조하여 운동 무게를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운동자 장치(300)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유압을 이용해 운동자가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 부분에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한다.
그리고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센서를 이용해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1)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른 운동 감지 정보를 운동 분석 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가 벤치 프레스 운동 기구인 경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반복 이동하는 운동 파트(1)인 바벨의 위치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감지하여 운동자의 운동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가 운동 분석 장치(200)로 전송하는 운동 감지 정보는 운동자의 식별 정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의 식별 정보, 유압을 이용해 가해진 무게 정보 및 운동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운동자의 운동을 수행하는 도중 운동 한계에 부딪혀 부상이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운동자의 운동에 따라 운동 파트(1)가 이동하는 구간을 감지하고, 운동 파트(1)가 이동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멈추거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유압을 이용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운동 분석 장치(200)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로부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하여 운동자의 운동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운동 분석 장치(200)는 저장된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한 후 운동자 장치(300)로 분석 정보를 전송하여 운동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이때 운동 분석 장치(200)는 운동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가 어떠한 운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에 가해진 운동 무게와 운동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를 확인하여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한다.
이 경우 운동 분석 장치(200)는 임의의 운동자들을 운동 능력에 따라 그룹핑하여 등급을 구분하고, 판단 대상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해당 운동자의 등급을 판단한 후, 판단된 등급에 대응하는 운동자들의 운동 능력에 대한 통계 정보 및 판단 대상 운동자의 운동 능력과의 비교 정보를 포함한 분석 정보를 운동자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운동자는 자신과 비슷한 신체 능력을 가진자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운동 의욕을 고취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분석 장치(200)가 운동자 장치(300)로 전송하는 분석 정보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응하는 운동 무게와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동 분석 장치(200)가 운동자 장치(300)로 전송하는 분석 정보는, 운동자의 근육 발달 정도에 따른 밸런스 정보 및 발달이 필요한 근육에 대한 운동 방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동자는 이러한 정보를 참조해 운동자 장치(300)를 이용해 운동 무게를 설정할 수 있고,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를 이용한 운동에 활용할 수 있다.
더하여 운동 분석 장치(200)가 운동자 장치(300)로 전송하는 분석 정보는, 운동자의 식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자 장치(300)는 자신의 운동 능력에 알맞은 식단을 구성하여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
한편 운동 분석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정보를 운동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아바타 정보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따른 근육의 발달 정도가 표시되어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 분석 장치(200)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이 변화함에 비례하여 아바타 정보에 포함된 근육의 발달 정도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가 벤치 프레스 머신인 경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대흉근(2)이 발달할 수 있고, 운동 분석 장치(200)는 대흉근(2)이 커지도록 변화된 모습의 아바타 정보를 운동자 장치(300)로 제공하여 운동자가 운동 효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는 통신부(110), 운동 기구부(120), 무게 설정부(130), 센서부(140) 및 운동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운동 기구부(120)는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하도록 무게를 가하여 물리적으로 동작하는 기계 부분으로서,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를 구비한다.
무게 설정부(130)는 유압을 이용해 운동 기부(130)에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유체의 순환을 이용해 압력을 가하기 위한 유압펌프나 유압모터 등을 포함한다.
센서부(140)는 운동 기구부(120)에 포함된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운동 기구(120)가 벤치 프레스 운동을 위한 바벨의 운동 파트를 구비한 경우, 센서부(14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 수행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반복 운동하는 바벨의 위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외선 센서는 바벨이 거치되는 수직 거치대에 복수로 위치하고, 바벨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대응하는 위치의 적외선 센서에서 바벨을 감지한 결과를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 수행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운동 기구부(120), 무게 설정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하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연산 유닛, 메모리, 프로그램 저장소 등을 포함한다.
운동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운동자 장치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무게 설정부(130)를 이용하여 운동 기구부(120)에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한다.
그리고 운동 제어부(150)는 센서부(140)를 이용해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이동되는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센서부(140)의 감기 결과에 따른 운동 감지 정보를 운동 분석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운동 제어부(150)가 운동 분석 장치로 전송하는 운동 감지 정보는 예를 들어, 운동자의 식별 정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의 식별 정보, 유압을 이용해 가해진 무게 정보 및 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운동 제어부(150)는, 센서부(140)를 이용해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 파트가 이동하는 구간을 감지하되, 해당 운동 파트가 이동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멈추거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무게 설정부(130)를 제어하여 유압을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자의 부상 위험을 줄이고 한계 능력까지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100)로부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운동 분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분석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운동 분석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분석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저장부(220)는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저장한 저장소로서 정보 저장을 위한 각종 메모리를 포함한다.
분석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및 저장부(220)를 포함하는 운동 분석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연산 유닛, 메모리, 프로그램 저장소 등을 포함한다.
분석 제어부(230)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부터 통신부(210)를 통해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220)에 해당 운동 감지 정보를 저장하여 수집한다.
그리고 분석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한 후 통신부(210)를 통해 운동자 장치로 분석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분석 제어부(230)가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운동 감지 정보가, 운동자의 식별 정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 유압을 이용해 가해진 무게 정보, 운동 횟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경우, 분석 제어부(230)는 운동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해당 운동자가 어떠한 운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에 가해진 운동 무게와 운동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를 확인하여 해당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 제어부(230)는 임의의 운동자들을 운동 능력에 따라 그룹핑하여 등급을 구분하고, 판단 대상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해당 운동자의 등급을 판단한 후, 판단된 등급에 대응하는 운동자들의 운동 능력에 대한 통계 정보와 해당 운동자의 운동 능력과의 비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제어부(230)는 이러한 등급별 통계 정보과 운동자의 비교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운동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제어부(230)가 운동자 장치로 전송하는 분석 정보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응하는 운동 무게와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운동자의 근육 발달 정도에 따른 밸런스 정보 및 발달이 필요한 근육에 대한 운동 방법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운동자에 알맞은 식단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분석 제어부(230)는 운동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정보를 운동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아바타 정보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따른 근육의 발달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분석 제어부(230)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이 변화함에 비례하여 아바타 정보에 포함된 근육의 발달 정도를 변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운동자가 운동 수행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운동자의 운동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동자 장치가 운동자로부터 운동 무게에 대한 설정을 받아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 무게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S1).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는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가 보유한 운동자 장치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유압을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한다(S2).
그리고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는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운동 감지 정보를 운동 분석 장치로 전송한다(S3).
단계(S3)에서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전송하는 운동 감지 정보는 예를 들어, 운동자의 식별 정보,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 유압을 이용해 가해진 무게 정보 및 운동 횟수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단계(S3)에서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는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 파트가 이동하는 구간을 감지하되, 해당 운동 파트가 이동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멈추거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유압을 이용해 무게를 줄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운동 분석 장치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부터 운동자에 대응하는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
이후 운동 분석 장치는 저장된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고 운동자 장치로 분석 정보를 전송한다(S5).
단계(S5)에서 운동 분석 장치는 운동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가 어떠한 운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에 가해진 운동 무게와 운동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를 확인하여 해당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한다.
이때 단계(S5)의 운동 분석 장치는 임의의 운동자들을 운동 능력에 따라 그룹핑하여 등급을 구분하고, 판단 대상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해당 운동자의 등급을 판단한 후, 판단된 등급에 대응하는 운동자들의 운동 능력에 대한 통계 정보 및 운동자의 운동 능력과의 비교 정보를 포함한 분석 정보를 운동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5)에서 운동 분석 장치가 운동자 장치로 전송하는 분석 정보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응하는 운동 무게와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 운동자의 근육 발달 정도에 따른 밸런스 정보 및 발달이 필요한 근육에 대한 운동 방법 정보, 운동자에 알맞은 식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계(S5)의 운동 분석 장치는 운동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정보를 운동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아바타 정보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따른 근육의 발달 정도가 표시되며, 운동 분석 장치는 운동자의 운동 능력이 변화함에 비례하여 아바타 정보에 포함된 근육의 발달 정도를 변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운동자 운동 효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운동 파트 100: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110: 통신부 120: 운동 기구부
130: 무게 설정부 140: 센서부
150: 운동 제어부 200: 운동 분석 장치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분석 제어부 300: 운동자 장치
400: 통신망 1000: 운동 관리 시스템

Claims (13)

  1.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가 보유한 운동자 장치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유압을 이용해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고,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운동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부터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며 상기 운동자 장치로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운동 분석 장치;
    를 포함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감지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식별 정보,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 유압을 이용해 가해진 무게 정보 및 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상기 운동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운동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가 어떠한 운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에 가해진 운동 무게와 상기 운동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는,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운동 파트가 이동하는 구간을 감지하고, 상기 운동 파트가 이동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멈추거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유압을 이용해 무게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운동자들을 운동 능력에 따라 그룹핑하여 등급을 구분하고,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등급을 판단한 후, 판단된 등급에 대응하는 운동자들의 운동 능력에 대한 통계 정보 및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과의 비교 정보를 포함한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운동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대응하는 운동 무게와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근육 발달 정도에 따른 밸런스 정보 및 발달이 필요한 근육에 대한 운동 방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상기 운동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정보를 상기 운동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아바타 정보는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에 따른 근육의 발달 정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분석 장치는,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이 변화함에 비례하여 상기 아바타 정보에 포함된 근육의 발달 정도를 변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11.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를 구비한 운동 기구부;
    유압을 이용해 상기 운동 기구부에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는 무게 설정부;
    상기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무게 설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운동 기구부에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고, 상기 센서부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의 감기 결과에 따른 운동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운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12.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운동자의 운동 감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분석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분석 장치.
  13.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자가 보유한 운동자 장치로부터 운동을 위한 무게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유압을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을 위한 무게를 가하는 단계;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가 상기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동 파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운동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운동 분석 장치가 상기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로부터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분석 장치가 저장된 상기 운동 감지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운동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며 상기 운동자 장치로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방법.
KR1020170147288A 2017-11-07 2017-11-07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KR10200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88A KR102008948B1 (ko) 2017-11-07 2017-11-07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88A KR102008948B1 (ko) 2017-11-07 2017-11-07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20A true KR20190051520A (ko) 2019-05-15
KR102008948B1 KR102008948B1 (ko) 2019-08-08

Family

ID=6657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288A KR102008948B1 (ko) 2017-11-07 2017-11-07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84B1 (ko) * 2022-05-24 2022-10-31 주식회사 야나두 메타버스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351B1 (ko) * 2002-07-11 2003-08-02 (주)가시오페아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장치
KR20070023863A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사용자 움직임 인식을 통한 캐릭터 몸매 관리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807788B1 (ko) * 2007-10-04 2008-02-27 주식회사 유웰아이엔씨 근력 운동장치
KR100986940B1 (ko) * 2010-02-09 2010-10-12 (주)대양이티엔씨 게임 아바타와 연동하는 헬스 아바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2438B1 (ko) * 2008-05-29 2011-09-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게추를 보조하는 헬스기구
KR20140020650A (ko) 2012-08-10 2014-02-19 허재영 유압식 벤치프레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351B1 (ko) * 2002-07-11 2003-08-02 (주)가시오페아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장치
KR20070023863A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사용자 움직임 인식을 통한 캐릭터 몸매 관리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807788B1 (ko) * 2007-10-04 2008-02-27 주식회사 유웰아이엔씨 근력 운동장치
KR101062438B1 (ko) * 2008-05-29 2011-09-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게추를 보조하는 헬스기구
KR100986940B1 (ko) * 2010-02-09 2010-10-12 (주)대양이티엔씨 게임 아바타와 연동하는 헬스 아바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0650A (ko) 2012-08-10 2014-02-19 허재영 유압식 벤치프레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84B1 (ko) * 2022-05-24 2022-10-31 주식회사 야나두 메타버스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948B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3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exercise training and coaching
US97504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raining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of strength training
US8876664B2 (en) Weight-lifting exercise machine
EP2113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interval training
KR102003801B1 (ko) 스마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112771A1 (en) Wearable sensor system with gesture recognition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US20190143174A1 (en) Motion training guide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 and method thereof
WO2016157217A2 (en) Technological device to assist user in workouts and healthy living
CN105797306A (zh) 重量训练机
KR20170077361A (ko)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
Akpa et al. A smart glove to track fitness exercises by reading hand palm
KR20150032949A (ko) 웨이트 스택 머신 운동기의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Radhakrishnan et al. ERICA: enabling real-time mistake detection & corrective feedback for free-weights exercises
KR20160026258A (ko)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191197A1 (en) Smart glove
KR10164534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Akpa et al. Gift: glove for indoor fitness tracking system
KR20190051520A (ko) 운동 능력 분석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유압식 운동 기구 장치 및 운동 분석 장치
TWM581492U (zh) 智慧型重訓系統
US9162108B1 (en) Automatic monitoring and coaching of strength exercise
KR20160136954A (ko) 사용자 맞춤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KR101985392B1 (ko) 운동 자세의 평가에 기반한 운동 관리 시스템, 그 운동 감지 장치 및 운동 관리 장치
KR102145672B1 (ko) 스마트 바벨 시스템 제어방법
KR102280036B1 (ko) 센서를 이용한 덤벨의 균형 알림방법
KR101570984B1 (ko) 온라인 운동치료정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