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223B1 - 주차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223B1
KR102258223B1 KR1020180154424A KR20180154424A KR102258223B1 KR 102258223 B1 KR102258223 B1 KR 102258223B1 KR 1020180154424 A KR1020180154424 A KR 1020180154424A KR 20180154424 A KR20180154424 A KR 20180154424A KR 102258223 B1 KR102258223 B1 KR 10225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rking lot
collection device
lighting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492A (ko
Inventor
박경환
조한일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2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하는 구조물에 부착된 비상벨; 상기 비상벨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신호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벨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감지하고, 상기 자극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전력에 기반하여 동작하고, 상기 자극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상기 자극에 대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로 송신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장 관리 시스템{SYSTERM FOR MANAGING PARKING LOTS}
본 실시예는 주차장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 건물의 주차장은 지하에 부설된다. 지하에 주차장을 만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지상의 대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함일 것이다. 예를 들어, 지상에 공원이나 다용도 문화센터를 건립함으로써, 건물 입주민은 이전보다 쾌적한 환경과 다양한 복지를 누릴 수 있다. 그 밖에 1인1차량 시대에 따라 늘어나는 차량을 감당하기 위함이기도 할 것이다. 지하 주차장을 여러 층으로 설계함으로써, 주차장의 용적률을 높이고 수용가능한 차량의 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지하 주차장은 단점도 있다. 지하에 주자창을 설치하는 것은 일련의 부대시설과 장치들을 요구한다. 조명이 필요하다. 어두운 실내를 밝혀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공기순환기도 필요하다. 지하는 밀폐된 곳이라 공기가 탁해져서 지속적으로 순환과 정화를 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승강기도 연장되어야 한다. 영상촬영장치도 필요하다. 외부에 노출 되지 않은 곳이라 관리자가 지하 상황을 살펴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런 부대시설과 장치들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도 구축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보다 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지하 주차장에서는 입주민들이 안전사고나 범죄에 쉽게 노출된다는 것이다. 지하에는 불빛이 풍부하지 않아서 식별이 어렵고 인적이 드물기 때문이다. 식별이 어려워서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더불어 인적도 드물기 때문에 범죄가 자주 발생한다.
안전사고와 범죄와 같은 비상상황을 대비하여, 지하 주차장에는 비상벨이 설치된다. 비상벨은 사람의 접근이 쉬워야하므로 주로 기둥에 설치된다.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은 기둥에 매립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기둥에 전선을 매립하는 방식의 배선은 시공이 어렵다. 그 보수도 어렵다. 한 번 매립된 콘크리트를 다시 파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비상벨이 기둥외에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더라도 사람의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한다. 비상벨이외 다른 부대장치들이 기둥에 배선된 전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시공과 공간 활용 측면에서 어려움을 수반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둥에 매립된 전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주차장 관련 설비를 배설하고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기둥에 배선된 전선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지 않도록 주차장 설비를 배치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하는 기둥에 부착된 비상벨; 상기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되되,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에 결합되고, 상기 비상벨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신호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벨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감지하고, 상기 자극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전력에 기반하여 동작하고, 상기 자극에 대한 비상벨 상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신호 수집 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비상벨 상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로 송신하되, 상기 배관에는 조명 및 스피커가 더 결합되고, 상기 배관은 전원 공급선 및 통신선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수집 장치, 상기 조명 및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신호 수집 장치는 상기 통신선을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비상벨 상태 신호, 상기 조명의 상태 신호인 조명 상태 신호 및 상기 스피커의 상태 신호인 스피커 상태 신호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조명 상태 신호에 따른 상기 조명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 신호 및 상기 스피커 상태 신호에 따른 상기 스피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스피커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조명은 상기 통신선을 통해 상기 신호 수집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신선을 통해 상기 신호 수집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스피커 상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스피커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스피커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기둥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 및 상기 통신선이 미시공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비상벨은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수집 장치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일 수 있다.
삭제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승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주차한 지점에서 상기 승강기까지의 경로에 설치된 조명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기 위한 승강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승강기에 송신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승강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주차한 이후에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수집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 설비가 기둥에 매립된 전선을 통하지 않고 동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려운 배선의 시공을 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배선 시공이 용이하고 그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 관련 장치들에 대한 신호가 하나의 장치에 의하여 중개됨으로써, 장치의 수를 줄이고 중앙 집중 방식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장의 관리가 용이하고 그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 관련 장치가 사용자 편의에 초점을 맞추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익이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이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벨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비상벨과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비상벨, 사용자 단말 및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승강기가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 위치가 사용자에게 안내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이 주차장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자(10a)가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을 통해 주차장(2)을 원격 제어하는 것과 주차장(2)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상황들이 도시되어 있다.
관리자(10a)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을 통해 건물(B)에 부속된 주차장(2)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10a)는 건물(B)의 제어실(10)에서 주차장(2)과 관련된 장치들을 통제 및 관리할 수 있다. 제어실(10)은 관리자(10a)가 한 곳에서 주차장(2) 관련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소이다. 제어실(10)은 건물(B) 내부 또는 주차장(2) 안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20a)는 주차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사용자(20a)는 만공차등(260a, 260b)으로부터 주차 공간 유무를 알아내고, 사용자 차량(20b)을 주차하고, 스피커(250)로부터 음성 정보를 듣고, 응급상황에서는 비상벨(2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주차장(2)은 건물(B)의 지하에 설치될 수 있다. 주차장(2)은 천장(21), 기둥(22), 벽면(23)으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천장(21)은 배관(24)과 연결될 수 있다. 배관(24)은 지지대(25)를 통해 천장(21)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25)는 천장(21)에 배관(24)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배관(24)에 연결된 장치들도 고정할 수 있다.
배관(24)은 주차장 관련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과 주차장 관련 장치들과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24)은 레이스 웨이(race way)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과 통신 케이블이 분리시켜 배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24)은 조명(240), 만공차등(260a, 260b)과 같은 주차장 관련 장치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령, 배관(24)은 몰드바가 사용되어 조명(240)이 배관(24)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몰드바 형태의 배관(24)은 조명(240)과 스피커(250)를 내부에 일체로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둥(22)은 천장(21)을 지지할 수 있다. 기둥(22)에는 주차장 관련 장치가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벽면(23)에도 주차장 관련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관련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관(24)이 벽면(23)까지 이어질 수 있다. 벽면(23)에 설치된 장치들은 상기 배관(24) 내부의 전선으로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주차장(2) 내부에는 주차장(2) 관련 장치들이 동작할 수 있다. 주차장(2) 관련 장치들은 신호 수집 장치(210), 비상벨(230), 조명(240), 스피커(250), 만공차등(260a, 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제어실(10)의 서버(220)와 신호를 중개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다른 주차장(2) 관련 장치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서버(2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주차장(2) 관련 장치들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신호 중개를 하므로 통신 기능을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는 신호 수집 장치(210)가 될 수 있다.
비상벨(230)은 사람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여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벨(230)이 사람의 눈높이 정도의 높이로 기둥(22)에 설치되고, 사용자(20a)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비상벨(230)을 응급상황에서 누를 수 있다. 비상벨(230)은 경보음을 주차장(2)으로 내보내거나 응급상황 발생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신호 수집 장치(210)로 송신할 수 있다.
조명(240)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24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포함된 배관(24)에 설치되어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주차장(2) 내부를 밝혀줄 수 있다.
스피커(250)는 음향이 가능한 널리 퍼지고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25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포함된 배관(24) 에 설치되고, 사용자(20a)는 스피커(250)로부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스피커(250)는 조명(240)과 함께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만공차등(260a, 260b)는 주차 공간의 유무를 나타낼 수 있다. 만공차등(260a, 260b)은 주차 공간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만공차등(260a, 260b)은 배관(24)에 위치하여 사용자(20a)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만공차등(260a)이 적색불을 점등한 경우, 사용자(20a)는 멀리서 주차 공간이 없음을 인지하고 다른 주차 공간을 찾을 수 있다. 만공차등(260a)이 녹색불을 점등한 경우, 사용자(20a)는 멀리서 주차 공간이 비어있음을 인지하고 당해 주차 공간으로 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신호 수집 장치(210), 주차장 관련 장치(230, 240, 250, 260, 270) 및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관련 장치(230, 240, 250, 260, 270)는 주차장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제반 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관련 장치(230, 240, 250, 260, 270)는 비상벨(230), 조명(240), 스피커(250), 만공차등(260a, 260b) 및 승강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주차장 관련 장치의 예시로서, 비상벨(230), 조명(240), 스피커(250), 만공차등(260a, 260b) 및 승강기(270)를 위주로 설명한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주차장 관련 장치(230, 240, 250, 260, 270)와 관리자(10a)의 서버(220) 사이를 중개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상기 주차장 관련 장치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신호는 관리자(10a)에게 주차장 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20)가 상기 상태 신호를 수신하면, 관리자(10a)는 상기 상태 신호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주차장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주차장 관련 장치(230, 240, 250, 260, 27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주차장 관련 장치(230, 240, 250, 260, 270)의 특정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신호는 스피커(250)의 음량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조절하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상기 수신된 상태 신호를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복수의 주차장 관련 장치들로부터 복수의 상태 신호들을 수신하면, 어느 장치로부터 오는 신호인지 식별하고 각각의 상태 신호들을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수집 장치(210)는 조명(240)과 비상벨(230)로부터 복수의 상태 신호들을 수신하면, 어느 상태 신호가 조명(240)으로부터 비롯하는지와 비상벨(230)로부터 비롯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서버(22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해당하는 주차장 관련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면, 어느 장치로 향하는 신호인지 식별하고 각각의 제어 신호들을 해당하는 주차장 관련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수집 장치(210)는 비상벨(230)과 조명(240)에 대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어느 제어 신호가 비상벨(230)에 대한 것이고 어느 제어 신호가 조명(240)에 대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서버(220)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네트워크를 위해, 동축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수집 장치(210)는 주차장 관련 장치들(230, 240, 250, 260, 27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전송의 양과 속도의 측면에서 유리한 유선 네트워크가 바람직하다.
주차장(2)에서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려면, 통신선과 전선이 필요하므로 배선이 가능하고 용이한 곳에 주차장 관련 장치들(230, 240, 250, 260, 270)이 설치되어야 한다. 주차장(2)의 천장(21)은 배선이 가능하고 용이하지만, 기둥(22)은 가능하지만 용이하지 않다. 시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만일 기둥(22)에 배선을 한다면, 시공의 어려움으로 인해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고 보수의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비상벨(230), 조명(240), 스피커(250)나 만공차등(260a, 260b)을 천장(21)에 설치하는 경우, 조명(240), 스피커(250)나 만공차등(260a, 260b)은 적절할 수 있지만, 비상벨(230)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조명(240), 스피커(250)나 만공차등(260a, 260b)은 천장(21)에 위치해야 본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비상벨(230)은 사람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상벨(230)과 같이 사람의 접근이 용이해야 하는 장치는 기둥(22)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상벨(230)이 기둥(22)에 설치되는 경우, 비상벨(23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수집 장치(210)와 신호를 교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과 통신선이 기둥(22) 내부를 관통해야 해서 시공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비벨(230)이외에, 시공이 어려운 곳에 위치하여야 할 주차장 관련 장치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중개 기능을 하는 허브와 같은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나, 주차장 관련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관련 장치들은 CCTV를 포함하고, 상기 CCTV가 신호 수집 장치(210)일 수 있다. 상기 CCTV는 영상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비상벨(230), 조명(240), 스피커(250), 만공차등(260a, 260b) 및 승강기(270)에 대한 신호도 함께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버(220)는 신호 수집 장치(210)를 통해 주차장 관련 장치들(230, 240, 250, 260, 270)를 제어하는 신호(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 수집 장치(210)로부터 주차장 관련 장치들(230, 240, 250, 260, 270)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벨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벨(2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비상벨(230)은 센싱부(231), 전력변환부(232), 신호변환부(233), 통신부(234) 및 표시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31)는 외부로부터 자극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자극은 주차장(2)에서 발생하는 소리, 압력, 진동, 냄새, 빛 및 전자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20a)가 일정 세기 이상의 음성을 발화한 경우, 센싱부(231)는 상기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20a)가 비상벨(230)을 누르고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발생한 경우, 센싱부(231)는 상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력변환부(232)는 센싱부(231)로부터 감지된 자극을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력변환부(232)는 자극으로부터 전기 에너지 즉, 전압이나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파가 센싱부(231)에 입사한 경우, 전력변환부(232)는 전자파의 진동수에 해당하는 일정 크기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압력이 센싱부(231)에서 감지된 경우, 전력변환부(232)는 상기 압력으로부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변환부(232)는 전기 에너지 즉, 전압이나 전류를 비상벨(230)의 각 구성으로 공급할 수 있다. 비상벨(230)은 센싱부(231)에서 감지된 자극으로부터 전원을 생성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변환부(232)는 감지된 압력으로부터 전압 전원을 생성하여, 신호변환부(233), 통신부(234) 및 표시부(235)로 공급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233)는 센싱부(231)가 감지한 자극으로부터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신호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신호변환부(233)는 상기 상태 신호를 통신부(234)로 송신하고, 통신부(234)는 신호 수집 장치(21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34)는 신호변환부(233)로부터 상기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수집 장치(21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34)는 신호 수집 장치(21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표시부(235)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34)는 신호 수집 장치(21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235)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35)는 통신부(234)로부터 경고음을 발생하라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부(235)는 신호변환부(233)가 생성한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233)는 표시부(235)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이 자극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압력이 일정 크기 이상일 때 표시부(235)가 경고음을 발생시키라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벨(230)은 감지된 자극을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무전원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벨(230)이 압전소자를 포함하면,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 또한 비상벨(230)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2) 기둥(22) 내부에 전원 공급선과 통신선을 위한 배선 시공이 필요하지 않다. 기둥(22) 내부에 배선을 할 때보다, 주차장 시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비상벨과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에서 비상벨(230)과 신호 수집 장치(210)의 네트워크인 제1 네트워크(401) 및 신호 수집 장치(210)와 서버(220)의 네트워크인 제2 네트워크(402)의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401)에서, 비상벨(230)은 신호 수집 장치(21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기둥(22) 내부에 별도의 배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네트워크(402)에서, 신호 수집 장치(210)는 서버(220)와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수집 장치(210)가 조명(240), 스피커(250), 만공차등(260a, 260b)으로부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취급하더라도 서버(2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의 질과 양이 보장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의 전송 용량과 속도가 이를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비상벨,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에서 비상벨(230)과 신호 수집 장치(210)의 네트워크인 제1 네트워크(401), 신호 수집 장치(210)와 서버(220)의 네트워크인 제2 네트워크(402) 및 사용자 단말기(20c)와 신호 수집 장치(210)의 네트워크인 제3 네트워크(403)의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제3 네트워크(403)에서, 사용자 단말기(20c)는 신호 수집 장치(21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c)은 신호 수집 장치(210)와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c)는 비상벨(230)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비상콜 및 비상통화 버튼을 추가하면, 사용자(20a)는 사용자 단말기(20c)를 통해 응급상황을 관리자(10a)에게 알릴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승강기가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에서는 주차 지점에서 승강기까지 경로(610)가 표시되도록 일련의 조명들(240a, 240b, 240c, 240d)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공간에 열이 감지된 경우, 서버(220)는 열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20)는 상기 주차 공간에 인접한 일련의 조명들(240a, 240b, 240c, 240d)이 켜지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일련의 조명들(240a, 240b, 240c, 240d)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혹은 서버(22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신호 수집 장치(210)를 통해 일련의 조명들(240a, 240b, 240c, 240d)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20a)는 일련의 조명들(240a, 240b, 240c, 240d)의 불빛으로 형성된 승강기 경로(610)를 따라서 승강기(270)까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20a)는 승강기 경로(610)만 따라감으로써, 승강기(270)를 바로 찾을 수 있다.
또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에서는 주차한 후 승강기(270) 버튼이 눌러지도록 승강기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공간에 열이 감지된 경우, 서버(220)는 열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20)는 바로 또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승강기(270) 버튼이 켜지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승강기(27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혹은 서버(22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신호 수집 장치(210)를 통해 승강기(27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20a)는 승강기(270)가 주차장(2)으로 내려오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탑승함으로써, 건물(B)로 들어가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270) 제어는 사용자 편익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 위치가 사용자에게 안내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진입하는 사용자(20a)에게 주차 위치를 원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차단기(72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차량(20c)이 주차장으로 진입하기 위해서 차단기(720)를 통과할 때,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차단기(720)의 카메라(721)를 통해 사용자 차량(20b)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입주 차량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번호판 인식(LPR, license plate recognition) 알고리즘 또는 RFID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차단바(722)를 개방하고 사용자 차량(20c)을 통과시킬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지하로 내려오는 사용자 차량(20c)에게 주차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20c)로 주차 위치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위치 정보는 사용자(20b)가 가장 선호하거나 현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주차 위치에 관한 것일 수 있고, 사용자(20b)에 의하여 미리 지정되거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도면과 같이,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20b)가 인식할 수 있도록 주차장 지면에 경로(7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관리 시스템(200)은 경로(710)에 해당하는 조명(240a, 240b, 240c)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상벨(230)은 제1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802). 비상벨(230)은 상기 제1 상태 신호를 신호 수집 장치(210)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S804).
조명(240)은 제2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806). 조명(240)은 상기 제2 상태 신호를 신호 수집 장치(210)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S808).
신호 수집 장치(210)는 상기 제1 상태 신호 및 제2 상태 신호를 관리자(10a)의 서버(220)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S810). 서버(220)는 상기 제1 상태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상태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비상벨(230)을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조명(240)을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S812). 서버(220)는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신호 수집 장치(210)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S814).
신호 수집 장치(210)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비상벨(230)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S816). 비상벨(230)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신호 수집 장치(210)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조명(240)으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S818). 조명(240)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하는 기둥에 부착된 비상벨;
    상기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되되,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에 결합되고, 상기 비상벨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신호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벨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감지하고, 상기 자극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전력에 기반하여 동작하고, 상기 자극에 대한 비상벨 상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신호 수집 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비상벨 상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로 송신하되,
    상기 배관에는 조명 및 스피커가 더 결합되고, 상기 배관은 전원 공급선 및 통신선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수집 장치, 상기 조명 및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신호 수집 장치는 상기 통신선을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비상벨 상태 신호, 상기 조명의 상태 신호인 조명 상태 신호 및 상기 스피커의 상태 신호인 스피커 상태 신호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조명 상태 신호에 따른 상기 조명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 신호 및 상기 스피커 상태 신호에 따른 상기 스피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스피커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조명은 상기 통신선을 통해 상기 신호 수집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신선을 통해 상기 신호 수집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스피커 상태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스피커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스피커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기둥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 및 상기 통신선이 미시공되고,
    상기 비상벨은, 별도의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지 않는 외부 무전원 방식으로 동작하고,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벨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력에 기반하여 동작하며,
    상기 신호 수집 장치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인
    주차장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승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주차한 지점에서 상기 승강기까지의 경로에 설치된 조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승강기를 제어하기 위한 승강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승강기에 송신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승강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주차한 이후에 작동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수집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0180154424A 2018-12-04 2018-12-04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25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424A KR102258223B1 (ko) 2018-12-04 2018-12-04 주차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424A KR102258223B1 (ko) 2018-12-04 2018-12-04 주차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492A KR20200067492A (ko) 2020-06-12
KR102258223B1 true KR102258223B1 (ko) 2021-05-28

Family

ID=7108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424A KR102258223B1 (ko) 2018-12-04 2018-12-04 주차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548B1 (ko) * 2020-06-23 2021-07-13 주식회사 휴엠 메쉬방식의 블루투스 비상벨 시스템
KR102259889B1 (ko) 2021-01-05 2021-06-02 (주)이레씨즈 무선 비상벨의 실시간 동작 및 고장상태 점검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83B1 (ko) * 2011-11-11 2012-05-16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KR101528815B1 (ko) * 2014-12-12 2015-06-19 (주)지준시스템 격벽 몰드바를 이용한 방범 조명장치와 그를 이용하고 셉테드를 적용한 주차장 통합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00B1 (ko) * 2016-04-24 2018-02-20 (주)참슬테크 주차장의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83B1 (ko) * 2011-11-11 2012-05-16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KR101528815B1 (ko) * 2014-12-12 2015-06-19 (주)지준시스템 격벽 몰드바를 이용한 방범 조명장치와 그를 이용하고 셉테드를 적용한 주차장 통합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남양주 부영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무선비상벨 설치 (2017.09.07), https://blog.naver.com/bluecalll/2210916773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492A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557B1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970631B2 (ja) 自動照明制御システム
US9237634B2 (en) Light gu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37415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958257B (zh) 一种楼梯照明装置控制系统和方法
CN108257362B (zh) 基于gis的交互式电子治安警察警备方法、系统及装置
KR102258223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CN110081399B (zh) 一种智慧路灯系统及智慧路灯
KR20180057802A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42787B1 (ko) 화재와 조명 상태 모니터링 및 조명제어통합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KR100643564B1 (ko)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
KR100994796B1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1165364B1 (ko)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시설물의 무선제어 시스템
EP2615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llumination in a building
KR102276548B1 (ko) 메쉬방식의 블루투스 비상벨 시스템
KR101830500B1 (ko) 주차장의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KR20220050619A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1074470B1 (ko) 가로등용 옥외 비상 호출부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KR101154424B1 (ko) 음성 안내 시스템 및 음성 안내 방법
JP5433317B2 (ja) 負荷制御システム
KR20210074424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CN205247190U (zh) 一种智能楼宇控制系统
KR20170030788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KR20170121016A (ko)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101345417B1 (ko) 캠핑장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