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208B1 -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208B1
KR102257208B1 KR1020210046903A KR20210046903A KR102257208B1 KR 102257208 B1 KR102257208 B1 KR 102257208B1 KR 1020210046903 A KR1020210046903 A KR 1020210046903A KR 20210046903 A KR20210046903 A KR 20210046903A KR 102257208 B1 KR102257208 B1 KR 102257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tube
hub
leakag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욱
주진환
Original Assignee
주재욱
주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욱, 주진환 filed Critical 주재욱
Priority to KR102021004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208B1/ko
Priority to PCT/KR2021/007238 priority patent/WO20222203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39/0693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including means for seal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2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used with a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전의 형성을 방지하고 환자의 신체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혈액의 역류에 따른 바이러스 또는 기타 질병의 감염으로부터 시술자 및 시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관통되는 니들 유니트의 니들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니들에 의해 관통된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카테터 튜브; 상기 카테터 튜브를 지지하는 카테터 허브; 상기 카테터 튜브의 통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로부터 상기 니들이 분리될 시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상기 카테터 허브로 혈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프트 실봉; 및 상기 소프트 실봉의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소프트 실봉을 상기 카테터 허브 및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차례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테터 허브의 후단 개구부를 덮어 상기 카테터 튜브에 혈액의 혈전 형성 및 누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캡;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INTRAVENOUS TUBE CATHETER TO PREVENT CLOT FORMATION AND LEACKAGE IN A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 튜브내에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정맥혈관에 삽입된 카테터의 젤코내에서의 혈전 형성방지와 혈액의 누수를 방지하여 시술자 또는 시행자에게 바이러스 또는 기타 질병의 감염으로부터 시술자 및 시행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72시간 동안 키핑(keeping)하여 정맥라인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카테터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산업에서 주사기는 기본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절차로서 2014년 WHO의 조사에 따르면, 빈곤국 및 중소국 등의 저소득자를 중심으로 일반 주사기를 의료기관 등에서 재사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반 주사기의 재사용에 따른 HIV의 감염 33,800 명, B형 간염 바이러스 170만명, C형 간염 바이러스 315,000 명이 감염되는 등 환자의 치명적인 질병이 확산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더군다나, 혈액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감염 시 치사율이 50~90%에 이르는 등 감염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혈액에 의한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어 있는 시술자 및 시행자의 경우, 주사기의 니들(Needle)에 찔려 유병율이 높으며, 혈액에 의한 감염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정맥용 튜브 카테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연질의 니들(710, 일명 '젤코(zelco)'라고도 칭한다)을 구비하는 카테터(700)와 경질의 스테인리스 니들(810, 이하 일명 의료용 천공침인 스타일렛(stylet)을 결합하여 환자의 정맥에 천공한 후, 2) 스타일렛을 카테로부터 분리시키고, 3) 비이식형 혈관 접속용 루어 캡(made luer injection cap(일명, '헤파린 캡'이라고도 칭한다)를 장착하는 순서로 시술한다.
종래의 정맥용 카테터에 수액을 제거하고 난 후 바로 헤파린 캡을 장착한 후에 약 3cc정도의 생리식염수 또는 헤파린을 주입하는 것은 카테터의 허브와 젤코에 부위에 혈액이 정체되어서 혈액의 혈전현상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통상 사용되고 있다.
다른 한편, 카테터의 젤코는 혈관속에 젤코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의 젤코내에서 혈액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어 내용물이 흘러나가거나 혈액이 다시 역류되어 젤코에서 혈전이 형성하여 실패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때, 수액처방이 있든 없든 간에 어떤 형태로든 이미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젤코에서 카테터 허브에 이르기까지 환자의 혈액이 카테터로 불가피하게 역류 또는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시술자 또는 시행자가 한손의 손가락으로는 환자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터의 젤코부위를 누른상태에서 다른 한손의 손가락을 동원하여 의료용 천공침인 스파일렛을 분리하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수액처방이 있든 없든간에 헤파린 캡을 장착할 경우도 시술자가 한손의 손가락으로 카테터의 젤코부위를 누름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는 헤파린 캡을 여러번 회전시켜 카테터 허브에 장착시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카테터(700)로부터 Pre-lubricated needle with attached luer(800)를 분리할 경우 카테터(700)를 통해 환자의 혈액이 누설됨으로써,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의 시행자가 누설된 혈액에 접촉되어 감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종래의 주사기의 카테터 등의 경우, 카테터의 젤코가 환자의 정맥 안으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젤코부위에 혈액 및 혈전이 있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810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환자에 카테터를 삽입하거나, 다수의 주사액을 주입할 경우 카테터로부터 혈액의 역류 및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혈전의 형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바이러스 또는 기타 질병의 감염으로부터 시술자 및 시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과제로 한다.
또한, 카테터의 젤코 전단부위에서 원천적으로 혈액의 유입방지 및 혈전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역류방지부를 통해 환자의 혈액이 역류 또는 누수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하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카테터에 역류방지 캡을 장착할 경우 시술자가 급하지 않게 양손으로 헤파린 캡을 90도 내지 180도 회전시켜 장착하게 하여 시술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는, 피부에 관통되는 의료용 천공침의 스파일렛 유니트의 니들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니들에 의해 관통된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카테터 튜브; 상기 카테터 튜브를 지지하는 카테터 허브; 상기 카테터 튜브의 통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로부터 상기 니들이 분리될 시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상기 카테터 허브로 혈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프트 실봉; 및 상기 소프트 실봉의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소프트 실봉을 상기 카테터 허브 및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차례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테터 허브의 후단 개구부를 덮는 역류 방지 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류 방지 캡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캡 바디; 상기 캡 바디의 후단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주면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테터 허브의 후단을 체결하는 허브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터 허브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허브 바디; 상기 허브 바디의 후단 외측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카테터 플렌지; 및 상기 카테터 플렌지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허브 체결부에 체결되는 카테터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허브 체결부는, 상기 카테터 돌기부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는 전후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 바디의 전단 내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캡 바디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홈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까지의 상기 카테터 돌기부 삽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프트 실봉은, 상기 커버의 전면에 몰딩(Molding)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프트 실봉은, 상기 커버의 전면에 착탈(着脫)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프트 실봉의 지름은,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경과 동일 또는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는, 탄성을 갖는 연질(軟質, Soft-Melting)의 고무(Rubber)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카테터 튜브로부터 상기 니들이 분리될 시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상기 카테터 허브로 유입되는 혈액이 상기 카테터 허브의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부; 및 자성을 형성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역류 방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카테터 허브에 설치되며, 상기 역류 방지부를 개폐하여 혈액이 상기 역류 방지부를 통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성 밸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류 방지부는,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튜브 바디; 및 상기 튜브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사다리 형상의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튜브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 밸브부는, 자성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 헤드와 대향하면서 상기 카테터 허브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1 자성체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튜브 헤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자성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카테터 허브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자성체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자성체의 대향면과 반대 극성의 자성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으로 형성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 밸브부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상기 튜브 헤드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상기 튜브 헤드의 내측 통로를 닫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극복하고 상기 튜브 헤드의 내측 통로를 통해 커넥터가 삽입되어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튜브 헤드를 개방되어서 인체에 치료액을 주입할 수 있고, 인체에 치료액을 주입한 다음에 카테터로 혈액이 누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테터 튜브내로 소프트 실봉을 삽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성체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 허브의 일측에 안착되는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 보다 작은 지름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 헤드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2 마그넷; 및 혈액 속의 포함된 수분에 의해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을 감싸고 설치되는 제1 접착 드레이프(Adhesive Drap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마그넷은, 지름의 2/3가 상기 튜브 헤드와 대향하고, 지름의 나머지 1/3이 상기 튜브 헤드의 전단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튜브 헤드의 내측 통로를 닫는 경우에 서로 밀착되어 상기 튜브 헤드의 전단 입구를 닫은 후, 각각의 제1 마그넷의 상기 튜브 헤드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지름의 1/3에 의해 각각의 전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터 허브는, 상기 제1 자성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허브 바디의 일측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안착홀; 상기 제2 자성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허브 바디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안착홀; 상기 허브 바디의 외측면을 감싸고 설치되는 제2 접착 드레이프(Adhesive Drape); 및 상기 자성 벨브부로부터 형성되는 자장(Magnetic Field)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 접착 드레이프의 외측면을 감싸고 설치되는 마그넷 쉴딩 호일(Magnet Shielding foi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허브 체결부는 고무팩킹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바디는 경질 또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소프트 실봉은
전단에 소프트 실봉 돌출부가 형성되게, 상기 역류 방지 캡은 카테터 체결 돌기부에 삽입하여 정역회전시켜 착탈되게, 각도 90도 내지 180도로 정역회전시켜 착탈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프트 실봉은 젤코인 카테터 튜브와 동일한 재질 또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젤코내에 혈액의 역류 또는 누수, 혈전의 형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환자의 신체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72시간 동안 정맥라인의 유지(키핑)가 가능하여 각종 바이러스 및 질병으로부터 시술자, 환자, 수혜자 등 모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건강을 증진할 수 있고, 주사놓는 횟수를 줄임으로서 환자고통의 감소와 더불어, 카테터로부터의 혈액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혈액의 누수 등에 따른 감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일반 상용의 카테터와 동일 규격으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 교육에 따른 어려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맥 주사에 시술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산업, 병원등과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여 시술자 및 시행자의 업무 스트레스의 감소 및 업무 현장에서의 인력 감축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수액을 주입할 경우나 역 류방지 캡을 장착할 경우 양손 모두 급하지 않게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카테터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역류 방지 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3의 카테터 허브와 역류 방지 캡 간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3의 카테터 허브와 자성 밸브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크게 확대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3의 자성 밸브부에 의한 역류 방지부의 개폐를 보여주는 크게 확대한 도면이다.
도 7는 도 3의 역류 방지부를 보여주는 크게 확대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수액처방이 있든 없든 간에 정맥용 카테터를 신체에 삽입할 경우 정맥혈관에 삽입된 카테터의 젤코내로 혈액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서 혈전형성 및 누수를 방지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카테터를 사용할 경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술자가 또는 시행자가 환자에게 수액처방없이 항생제나 기타 약물을 몇시간 간격으로 하루에 수차례 정맥주사를 해야하는 경우, 오늘 처방된 수액을 다 맞고 내일 다시 반복해서 맞아야 하는 경우나, 수액이 처방이 있는 상태에서 수액을 제거하고 환자가 불가피하게 외출할 경우에 본 발명의 카테터는 3일간의 정맥라인 유지가 가능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10)는, 젤코인 카테터 튜브(100), 카테터 허브(200), 소프트 실봉(310) 및 역류 방지 캡(400, '구조가 변형된 헤파린 캡'이라고도 한다)을 포함한다.
카테터 튜브(100, 일명 '젤코'라고도 한다)는, 연질(軟質, Soft-Melting)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카테터 튜브 내경의 내측 공간(110), 즉 젤코내경의 내측공간(110)을 통해 피부에 관통되는 ISO 규격의 니들 유니트(800)의 스타일렛인 니들(810)(도 1 참조)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니들(810)에 의해 관통된 피부에 삽입되어 환자의 정맥으로 투입되는 치료액 등을 정맥으로 유도하며, 카테터 허브(200)에 의해 지지된다.
카테터 허브(200)는, 카테터 튜브(100)를 지지하며, ISO 규격의 커넥터(7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역시 ISO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카테터 허브(200)는, 허브 바디(210), 카테터 플렌지(220) 및 카테터 체결 돌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바디(210)는, ISO 규격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에 카테터 플렌지(220)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카테터 플렌지(220)는, 허브 바디(210)의 후단 외측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넥터(910)가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어서 저지됨으로 인해 실링되며, 외주면을 따라 카테터 체결 돌기부(230)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카테터 체결 돌기부(230)는, 카테터 플렌지(22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허브 체결부(430)에 형성되는 돌기 삽입구(432)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홈(431)에 체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카테터 체결 돌기부(230)는, 돌기 삽입구(432)를 통하여 체결홈(431)에 안착된 뒤, 체결홈(431)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카테터 허브(200)와 역류 방지 캡(400)이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역류방지 캡(400)은 혈액의 누수방지 및 실링하기 위해 고무팩킹링(도면부호 미표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무팩킹링으로 인해 카테터 허브(200)와 역류방지 캡(400)을 연결조립하면 혈액의 누수방지 또는 실링할 수 있다.
소프트 실봉(310)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거나 또는 카테터 튜브(젤코)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며, 카테터 튜브(100, 젤코)의 젤코 내경의 내측공간(110)통로를 통해 삽입되어 카테터 허브(200)로의 혈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예서, 소프트 실봉(310)은, 커버(420)의 전면에 몰딩(Molding)하여 고정되되, 커버(420)의 전면에 착탈(着脫) 가능하도록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 실봉(310)은 젤코의 전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소프트 실봉 돌출부(320)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테터 튜브(젤코)내에 혈액이 역류 또는 누수가 되지 않아 원천적으로 젤코내에서의 혈전 발생을 방지하게 되고, 혈관을 찌르지 않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 실봉(310)의 지름은, 카테터 튜브(100)의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카테터 튜브(100)인 젤코 내측공간인 내경(110)과 동일 또는 보다 크게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역류 방지 캡(400)은, 소프트 실봉(310)의 일단이 설치되며, 소프트 실봉(310)을 카테터 허브(200) 및 카테터 튜브(100)를 통해 차례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카테터 허브(200)의 후단 개구부를 덮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캡(400)은, 캡 바디(410), 커버(420), 허브 체결부(430), 고무팩킹링(도면부호 미표시됨)을 포함할 수 있고, 역류방지 캡(400)의 재질은 연질 또는 경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역류방지 캡은 카테터 플랜지(220)에 삽입하여 각도 90도 내지 180도로 정역회전하여 장착되어 실링되게 구성되고, 상기 역류방지 캡(400)은, 상기 역류방지 캡 안에 고무패킹링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 바디(410)는, 재질로 연질 또는 경질재료로 구성하고, 카테터 허브(200)의 후단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카테터 허브(200)의 후단에 체결되어 카테터 허브(200)를 밀폐시킨다.
커버(420)는, 연질재질로 구성하고, 캡 바디(410)의 후단 개구부를 덮게 설치되며, 전단에 소프트실봉(310)이 설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420)의 다양한 치료액의 주입을 주사기로 반복 시행할 수 있다.
허브 체결부(430)는, 캡 바디(410)의 내주면의 전단에 설치되어 카테터 허브(200)의 후단을 체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허브 체결부(430)는, 체결홈(43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삽입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431)은, 카테터 돌기부(230)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는 전후 폭으로 형성되며, 체결홈(431)에 고무팩킹링이 삽입되어 구성되고, 캡 바디(410)의 전단 내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해 카테터 허브와 역류방지 캡의 결합으로 혈액이 실링됨과 동시에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돌기 삽입구(432)는, 캡 바디(410)의 전면으로부터 체결홈(431)까지 연장 형성되어 체결홈(431)까지의 카테터 돌기부 삽입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10)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카테터 튜브(100)와 카테터 허브(200)에 경질의 스테인리스 니들(810, 스타일렛)을 구비하는 Pre-lubricated needle with attached luer(8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환자의 정맥 혈관에 삽입시키며, 2) 스타일렛을 카테터 튜브을 제거, 즉 젤코에서 분리제거한후 3) 소프트 실봉(310)과 역류 방지 캡(400)이 결합된 구조체를 카테터 튜브(100)와 카테터 허브(200)에 삽입되어 착탈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10)는, 카테터 허브(200)로 연질재질로 된 커버(420)에 헤파린 또는 셀라인의 주입할 수도 있고, 체결되어 있는 카테터가 72시간 동안 키핑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젤코내의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100), 카테터 허브(200), 소프트 실봉(310), 역류 방지 캡(400), 경질재질로 된 어덥터(530)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부(500) 및 자성 밸브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테터 튜브(100), 카테터 허브(200), 소프트 실봉(310) 및 역류 방지 캡(40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여기서 경질재질로 된 어덥터(530)는 ISO 규격의 커넥터(910)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혈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 및 실링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허브(200a)는, 허브 바디(210), 카테터 플렌지(220), 카테터 체결 돌기부(230), 제1 안착홀(240), 제2 안착홀(250), 제2 접착 드레이프(Adhesive Drape)(260) 및 마그넷 쉴딩 포일(Magnet Shielding foil)(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허브 바디(210), 카테터 플렌지(220) 및 카테터 체결 돌기부(2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착홀(240)은, 제2 안착홀(250)와 대향하면서 제1 자성체(6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허브 바디(210)의 일측을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안착홀(250)은, 제1 안착홀(240)과 대향하면서 제2 자성체(6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허브 바디(210)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접착 드레이프(260)(Adhesive Drape)는, 허브 바디(210)의 외측면을 감싸고 설치된다.
마그넷 쉴딩 포일(Magnet Shielding foil)(270)는, MRI 등의 촬영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의료장비에 대해 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 또는 소멸시키기 위해 제2 접착 드레이프(260)의 외측면을 감싸고 설치된다.
이때, 마그넷 쉴드 포일(Magnet Shielding foil)(270)는, 제2 접착 드레이프(260)의 외측면을 1 겹 또는 2 겹으로 감쌀 수 있다.
역류 방지부(500)는, 젤코인 카테터 튜브(100)로부터 커넥터(910) 또는 소프트 실봉(310)이 분리될 시 카테터 튜브(100)를 통해 카테터 허브(200)로 유입되는 혈액이 카테터 허브(200)로 역류되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테터 허브(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자성 밸브부(600)에 의해 전단에 형성되는 입구가 개폐된다. 여기서 역류방지부(50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러버로 구성되며, 어덥터(530)를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덥터(530)의 일단은 탄성을 가진 러버의 역류방지부(500) 내경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테이퍼(한 실시예로 6도의 각도)를 형성하게 구성되고, 어덥터의 타단은 상기 역류방지부(500)의 외경과 동일하게 어덥터 플랜지부(도면부호 미표시됨)를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덥터(530)는 카테터 허브(200)안으로 억지끼워맞춤으로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덥터(320)가 카테터 허브(200)로부터 인위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자성 밸브부(600)는, 자성을 형성하는 물질(예를 들어, 영구 자석 등)로 형성되어 역류 방지부(500)와 대향하면서 카테터 허브(200)에 설치되며, 역류 방지부(500)를 개폐하여 혈액이 역류 방지부(500)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성 밸브부(600)는, 제1 자성체(610) 및 제2 자성체(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610)는, 제2 자성체(620)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자성을 형성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튜브 헤드(520)(도 6 참조)와 대향하면서 카테터 허브(200)의 일측, 즉 제1 안착홀(240)에 안착 설치된다.
제2 자성체(620)는, 제1 자성체(610)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튜브 헤드(520)를 사이에 두고 제1 자성체(610)와 대향하면서 카테터 허브(200)의 다른 일측, 즉 제2 안착홀(250)에 안착 설치되되, 제1 자성체(610)와 대향하는 면이 제1 자성체(610)의 대향면과 반대 극성의 자성을 형성하는 물질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20)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카테터 튜브(100)와 카테터 허브(200)에 경질의 스타일렛인 니들(810)을 구비하는 Pre-lubricated needle with attached luer(8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환자의 정맥 혈관에 삽입시키며, 2) Pre-lubricated needle with attached luer만(500)을 분리시키며, 3) 이때, 자성 밸브부(600)에 의해 역류 방지부(500)가 작동되어 혈액이 카테터 허브(20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되며, 4) ISO 규격의 커넥터(910)와 러버(Rubber) 커넥터(920)가 결합된 구조체를 역류 방지부(500)의 끝단까지 삽입하며, 5) 커넥터(910)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맥으로 치료액을 주입시키며, 6) 치료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커넥터(910)와 러버(Rubber) 커넥터(920)가 결합된 구조체를 카테터 허브(200)로부터 분리시키면, 7) 다시 자성 벨브부(600)에 의해 역류 방지부(500)가 작동되어 혈액이 카테터 허브(20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되며, 8) 여기에 소프트 실봉(310)과 연결된 역류방지캡(400)을 카테터 플랜지(220) 및 카테터 체결 돌기부(230)와 착탈하여 혈액의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하고, 9) 그 다음으로 다른 ISO 규격의 커넥터(910)와 러버(Rubber) 커넥터(920)가 결합된 구조체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맥으로 다른 치료액을 주입할 수 있고, 10) 다시 위 8)항을 반복 착탈하여 혈액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도 2에서 상술한 역류방지부(500)와 자성밸브부(600)는 체크 벨브(Check Valve)의 기능을 하여 이중으로 혈액의 누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의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10)는, 혈전의 형성을 방지하고 환자의 신체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72시간 동안 유지(키핑)가 가능하여 각종 바이러스 및 질병으로부터 시술자, 환자, 수혜자 등 모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건강을 증진할 수 있고, 주사 횟수 감소에 따른 고통이 감소, 카테터로부터의 혈액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혈액의 누유 등에 따른 감염을 방지, 기존 일반 상용의 카테터와 동일 규격으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 교육에 따른 어려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맥 주사에 시술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키고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여 시술자 및 시행자의 업무 스트레스의 감소 및 업무 현장에서의 인력 감축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은 도 3의 카테터 허브와 자성 밸브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제1 자성체(610)는, 제1 마그넷(611) 및 제2 마그넷(6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자성체(620)는, 후술하는 제1 자성체(610)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제1 자성체(610)의 제1 마그넷(611) 및 제2 마그넷(612)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마그넷(61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카테터 허브(200)의 일측, 즉 제1 안착홀(240)에 안착 설치되고, 일면에 제2 마그넷(612)이 설치된다.
이때, 제1 안착홀(240)의 지름은, 제1 마그넷(61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마그넷(611)의 지름과 동일 또는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넷(611)은, 지름 4mm, 그리고 두께 0.5mm의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그넷(612)은, 제1 마그넷(611) 보다 작은 지름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튜브 헤드(520)와 대향하는 제1 마그넷(611)의 일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마그넷(612)은, 제1 마그넷(611)보다 작은 지름인 지름 3mm, 그리고 두께 0.5mm의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넷(611) 및 제2 마그넷(612)은,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넷(611)은, 지름의 2/3가 튜브 헤드(520)와 대향하고, 지름의 나머지 1/3이 튜브 헤드(520)의 전단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성체(610)와 제2 자성체(620)는, 튜브 헤드(520)의 내측 통로를 닫는 경우에 있어서 서로 밀착되어 튜브 헤드(520)의 전단 입구를 닫은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마그넷(611)의 튜브 헤드(520)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지름의 1/3에 의해 각각의 전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도 6의 (b)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자성체(610)는, 제1 접착 드레이프(613)(Adhesive Drap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 드레이프(613)(Adhesive Drape)는, 혈액 속의 포함된 수분에 의해 제1 마그넷(611) 및 제2 마그넷(612)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안착홀(2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마그넷(611) 및 제2 마그넷(612)을 감싸고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성 밸브부(600)는, 제1 자성체(610)와 제2 자성체(620)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제1 자성체(610)와 제2 자성체(620)가 튜브 헤드(520)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튜브 헤드(520)의 내측 통로를 닫고(도 6의 (b)), 제1 자성체(610)와 제2 자성체(620)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극복하고 튜브 헤드(520)의 내측 통로를 통해 커넥터(910)가 삽입되어 제1 자성체(610)와 제2 자성체(6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튜브 헤드(520)를 개방할 수 있다(도 6의 (a)).
이와 반대로, 튜브 헤드(520)의 내측 통로를 통해 커넥터(910)를 빼어 내어서 제거하면 자성 밸브부가 작동하여 튜브 헤드가 밀폐되고, 그 이후 소프트 실봉이 연결된 역류방지캡을 젤코인 카테터 튜브 끝까지 삽입하면 카테터 튜브에서 원천적으로 혈액의 누수가 방지됨과 동시에 자성밸브부에서 또 한번 더 혈액이 차단되므로 혈액이 이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7는 도 5의 역류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역류 방지부(500)는, 튜브 바디(510), 어덥터(530) 및 튜브 헤드(520)를 포함한다.
튜브 바디(510)는, 카테터 허브(200)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카테터 허브(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전단에 튜브 헤드(5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어덥터(530)는 튜브바디(510)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튜브 헤드(520)는, 튜브 바디(510)의 전단으로부터 사다리 형상의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바디(510)의 내경은, 튜브 헤드(520)의 외경 또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치료액 주입을 위한 커넥터(91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바디(510)의 내경은, 내측으로 삽입되는 커넥터(910)가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삽입되는 커넥터(9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바디(510) 및 튜브 헤드(520)는, 연질(軟質, Soft-Melting)의 탄성을 갖는 고무(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혈액의 혈전 형성 및 혈액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00: 카테터 튜브 200: 카테터 허브
210: 허브 바디 220: 카테터 플렌지
230: 카테터 돌기부 240: 1 안착홀
250: 제2 안착홀 260: 제2 접착 드레이프
270: 마그넷 쉴드 310: 소프트 실봉
400: 역류 방지 캡 410: 캡 바디
420: 커버 430: 허브 체결부
500: 역류 방지부 510: 튜브 바디
520: 튜브 헤드 600: 자성 밸브부
610: 제1 자성체 611: 제1 마그넷
612: 제2 마그넷 613: 제1 접착 드레이프
620: 제2 자성체 700: 니들 유니트

Claims (23)

  1. 피부에 관통되는 니들 유니트의 니들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니들에 의해 관통된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카테터 튜브; 상기 카테터 튜브를 지지하는 카테터 허브;
    상기 카테터 허브는 연질(軟質, Soft-Melting)의 탄성을 갖는 고무(Rubber)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카테터 튜브로부터 상기 니들이 분리될 시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상기 카테터 허브로 유입되는 혈액이 상기 카테터 허브의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질의 어덥터가 포함되어 상기 카테터 허브안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부, 및 자성을 형성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역류 방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카테터 허브에 설치되며 상기 역류 방지부를 개폐하여 혈액이 상기 역류 방지부를 통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성 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류 방지부는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 허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튜브 바디, 및 상기 튜브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사다리 형상으로 된 튜브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 밸브부는 자성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 헤드와 대향하면서 상기 카테터 허브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1 자성체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튜브 헤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자성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카테터 허브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자성체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자성체의 대향면과 반대 극성의 자성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으로 형성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통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로부터 상기 니들이 분리될 시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상기 카테터 허브로 혈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프트 실봉; 및
    상기 소프트 실봉의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소프트 실봉을 상기 카테터 허브 및 상기 카테터 튜브를 통해 차례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테터 허브의 후단 개구부에 착탈되는 역류 방지 캡;을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캡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캡 바디;
    상기 캡 바디의 후단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주면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테터 허브의 후단을 체결하는 허브 체결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허브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허브 바디;
    상기 허브 바디의 후단 외측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카테터 플렌지; 및
    상기 카테터 플렌지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허브 체결부에 체결되는 카테터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체결부는,상기 카테터 체결 돌기부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는 전후 폭으로 형성되며, 캡 바디의 전단 내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캡 바디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홈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까지의 상기 카테터 돌기부 삽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삽입구;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실봉은, 커버의 전면에 몰딩(Molding)하여 고정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실봉은, 상기 커버의 전면에 착탈(着脫)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실봉의 지름은, 카테터 튜브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밸브부는,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상기 튜브 헤드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상기 튜브 헤드의 내측 통로를 닫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극복하고 상기 튜브 헤드의 내측 통로를 통해 커넥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튜브 헤드를 개방되고, 커넥터를 제거후 소프트 실봉을 카테터 튜브로 삽입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는,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 허브의 일측에 안착되는 제1 마그넷;상기 제1 마그넷 보다 작은 지름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 헤드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2 마그넷; 및혈액 속의 포함된 수분에 의해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을 감싸고 설치되는 제1 접착 드레이프(Adhesive Drape);를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은,
    지름의 2/3가 상기 튜브 헤드와 대향하고, 지름의 나머지 1/3이 상기 튜브 헤드의 전단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상기 튜브 헤드의 내측 통로를 닫는 경우에 서로 밀착되어 상기 튜브 헤드의 전단 입구를 닫은 후, 제1 마그넷의 상기 튜브 헤드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지름의 1/3에 의해 각각의 전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회동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카테터 허브는,상기 제1 자성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허브 바디의 일측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안착홀;상기 제2 자성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허브 바디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안착홀; 허브 바디의 외측면을 감싸고 설치되는 제2 접착 드레이프(Adhesive Drape); 및 자성 밸브부로부터 형성되는 자장(Magnetic Field)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 접착 드레이프의 외측면을 감싸고 설치되는 마그넷 쉴딩 포일(Magnet Shielding foil);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6. 제1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카테터 튜브에 소프트 실봉이 삽입되어 있고, 카테터 플랜지에 상기 소프트 실봉이 장착된 역류방지캡이 체결되어 있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체결부는,
    고무팩킹링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는,
    경질 또는 연질의 재질로 된,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연질의 재질로 된,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실봉은,
    전단에 소프트 실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캡은,
    카테터 체결 돌기부에 삽입하여 정역회전시켜 착탈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캡은,
    각도 90도 내지 180도로 정역회전시켜 착탈하는,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실봉은,젤코인 카테터 튜브와 동일한 재질 또는 연질의 재질로 된, 카테터 튜브내의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KR1020210046903A 2021-04-12 2021-04-12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KR10225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903A KR102257208B1 (ko) 2021-04-12 2021-04-12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PCT/KR2021/007238 WO2022220332A1 (ko) 2021-04-12 2021-06-10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903A KR102257208B1 (ko) 2021-04-12 2021-04-12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208B1 true KR102257208B1 (ko) 2021-05-27

Family

ID=7613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903A KR102257208B1 (ko) 2021-04-12 2021-04-12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7208B1 (ko)
WO (1) WO20222203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332A1 (ko) * 2021-04-12 2022-10-20 주재욱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270A (ja) * 1993-09-28 1995-06-13 Critikon Inc カテーテル導入アセンブリとその改良方法
JP2006043392A (ja) * 2004-08-05 2006-02-16 Tatsuya Nakatsuka 血栓閉塞防止システムならびに血栓閉塞防止具
KR20130059439A (ko) * 2006-11-03 2013-06-05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카테터 조립체 및 그 구성요소들
KR102178102B1 (ko) 2018-10-04 2020-11-12 김준혁 카테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341Y1 (ko) * 2003-04-30 2003-07-22 경기의료공업(주) 혈액 역류 방지용 아이브이 카테터
KR102257208B1 (ko) * 2021-04-12 2021-05-27 주재욱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270A (ja) * 1993-09-28 1995-06-13 Critikon Inc カテーテル導入アセンブリとその改良方法
JP2006043392A (ja) * 2004-08-05 2006-02-16 Tatsuya Nakatsuka 血栓閉塞防止システムならびに血栓閉塞防止具
KR20130059439A (ko) * 2006-11-03 2013-06-05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카테터 조립체 및 그 구성요소들
KR102178102B1 (ko) 2018-10-04 2020-11-12 김준혁 카테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332A1 (ko) * 2021-04-12 2022-10-20 주재욱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332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996B2 (en) Catheter flushing fluid lock system and method
JP5211052B2 (ja) カテーテルアッセンブリーのための一体型セプタムおよび注射針用チップシールド
US6228060B1 (en) Blood seal having a spring-biased septum
US7691088B2 (en) Vascular access device
EP2982404A1 (en) Stab-prevention indwelling needle
JPH10108911A (ja) 医療装置用自己回復シール
KR20090127872A (ko) 인젝션 게이트웨이
JP2009195720A (ja) 混注ポート
JP2007513690A (ja) 逆流防止ストッパを有するフラッシュ注射器
US20070250011A1 (en) Winged venous catheter
KR102257208B1 (ko) 카테터 튜브내에 혈전 형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정맥용 튜브 카테터
CN103071203A (zh) 防针刺静脉留置针
JP2010000377A (ja) 逆流防止機能を有する洗浄用注射器
US20190321261A1 (en) Syringe Adapter with Aspiration Assembly
KR102257215B1 (ko) 허브내에 혈액역류방지 장치가 설치된 정맥용 튜브 카테터
US11406811B2 (en) Needleless IV injection port
KR20130139807A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CN201286927Y (zh) 一种静脉留置针密封隔离塞
CN107684644A (zh) 预冲式冲管注射器输注泵组合包
Bitmead et al. A safe procedure: best practice for intravenous peripheral cannulation
KR20200018036A (ko) 의료용 수액세트
KR200320341Y1 (ko) 혈액 역류 방지용 아이브이 카테터
KR20210049621A (ko) 혈액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정맥주사용 카테터
CN216908814U (zh) 一种耐高压型防针刺留置针
CN217548697U (zh) 一种安全型留置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