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601B1 -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601B1
KR102256601B1 KR1020170147190A KR20170147190A KR102256601B1 KR 102256601 B1 KR102256601 B1 KR 102256601B1 KR 1020170147190 A KR1020170147190 A KR 1020170147190A KR 20170147190 A KR20170147190 A KR 20170147190A KR 102256601 B1 KR102256601 B1 KR 10225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power
module
power signal
unit
b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477A (en
Inventor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4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601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PCT/KR2018/013488 priority patent/WO2019093769A1/en
Priority to EP18876478.1A priority patent/EP3637532B1/en
Priority to PL18876478.1T priority patent/PL3637532T3/en
Priority to CN201880027107.1A priority patent/CN110574217B/en
Priority to HUE18876478A priority patent/HUE064869T2/en
Priority to ES18876478T priority patent/ES2971343T3/en
Priority to JP2019556609A priority patent/JP6881707B2/en
Publication of KR2019005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77A/en
Priority to US16/654,827 priority patent/US112058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6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외부 전원 신호와는 다른 경로로 소스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 모듈; 및 상기 펄스 생성 모듈로 상기 소스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펄스 생성 모듈로부터 상기 펄스 신호를 공급받으면, 상기 펄스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작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waking up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ignal.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waking up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power module, and receives the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and is diffe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ignal. a pulse generating module receiving source power through a path, and generating a pul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source power passes when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and a power output module that provides the source power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and outputs operating power for driving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pulse signal when receiving the pulse signal from the pulse generating module.

Description

BMS 웨이크업 장치, 이를 포함하는 BMS 및 배터리팩{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BMS 웨이크업 장치, 이를 포함하는 BMS 및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MS wake-up device, a BMS including the same, and a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waking up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ignal.

근래에 들어서,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aptops, video cameras, and mobile phones has rapidly increased, and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and satellites have been developed in earnest,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have been develope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및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so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free,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a very low self-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it is receiving much attention.

배터리 팩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는데, 전기 구동 차량 또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과 같이 큰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배터리 팩의 용량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이차 전지, 즉 배터리 셀 자체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 경우 용량 증대 효과가 크지 않고, 이차 전지의 크기 확장에 물리적 제한이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팩이 널리 이용된다.Battery packs are used in a variety of fields, often requiring large capacities, such as electric powered vehicles or smart grid systems.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there may be a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that is, the battery cell itself, but in this cas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apacity is not large and there is a physical limitation in the size expan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fore, in general,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is widely used.

이러한 배터리 팩은 배터리 모듈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BMS는 배터리 모듈의 온도, 전압 및 전류 등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팩의 밸런싱 동작, 냉각 동작, 충전 동작 또는 방전 동작 등을 제어한다.Such a battery pack often include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managing the battery module. Furthermore, the BMS monitors the temperature, voltage and current of the battery module, and controls the balancing operation, cooling operation, charging operation, or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based on the monitored state of the battery module.

특히 상당 수의 배터리 팩, 이를테면 12V 리튬 배터리 팩에 구비된 BMS는, 해당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BMS의 소비 전류로 인해 그 값이 작더라도 배터리 팩의 과방전 내지 만방전 상태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배터리 모듈의 충전 에너지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도 BMS가 계속해서 작동하는 경우, BMS의 소비 전류로 인해 배터리 팩의 충전 에너지는 더욱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배터리 팩의 충전 에너지가 낮아져 더 이상 배터리 팩으로부터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BMS included in a significant number of battery packs, for example, a 12V lithium battery pack,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modul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battery pack.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an over-discharge or full-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pack may occur even if the value is small due to the consumption current of the BMS. For example, if the BMS continues to operate even when the charging energy of the battery module is insufficient, the charging energy of the battery pack may be lowered due to current consumption of the BMS. And, in this case, since the charging energy of the battery pack is low, power may no longer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pack to the loa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BMS가 항상 켜져 있지 않고 그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만 켜져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BMS의 동작이 필요할 때, 이를테면 방전된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는 경우, BMS를 다시 웨이크업 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BMS is not turned on all the time but is turned on only when the operation is necessary.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of the BMS is required, for example, when charging a discharged battery module, a technology capable of waking up the BMS again is required.

하지만, 종래 BMS 웨이크업 기술이 구현된 회로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어하기가 어렵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불량률도 높아질 수 있었다.However, the circuit in which the conventional BMS wake-up technology is implemented is difficult to control due to its complex structure, and the defect rate may increase due to this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BMS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는 BMS 웨이크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MS wakeup device capable of waking up a BMS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외부 전원 신호와는 다른 경로로 소스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 모듈; 및 상기 펄스 생성 모듈로 상기 소스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펄스 생성 모듈로부터 상기 펄스 신호를 공급받으면, 상기 펄스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작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waking up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power module,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a pulse generating module receiving a signal, receiving source power through a path diffe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ignal, and generating a pul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source power passes when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and a power output module that provides the source power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and outputs operating power for driving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pulse signal when receiving the pulse signal from the pulse generating module.

또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와 상기 소스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가 서로 접하는 접점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전원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스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at a contact point where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to which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and the path to which the source power is supplie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ath through which the source power is supplied bas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A switch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크기가 미리 결정된 기준 전압값 이상인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키고, 상기 스위칭부에 크기가 기준 전압값 미만인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having a magnitud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passes the source power, and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having a magnitude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the source power supply It can be configured not to pass through.

또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의 시간을 조절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e genera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controller position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to adjust a tim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위칭부에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의 시간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reduce the tim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전원 신호에 의하여 충전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와 접지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ler may include a capacitor position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and charged by the external power signal, and a resistor positioned on a path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and ground.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소스 전원이 상기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 time for the source power to pass through the switching unit.

또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 모듈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점과 접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의 상기 제1 접점과 연결된 상기 외부 전원 모듈 이외의 외부 장치를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between a first contact and a ground located between the external power module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and is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external power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또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스위칭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과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과전류 보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ulse genera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overcurrent protec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to prevent overcurrent from being supplied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and the switching unit.

또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부 사이의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점과 접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과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과전압 보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int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between the switching control unit and the switching unit and the ground, and further includes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that prevents an overvoltage from being supplied to the switching uni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BMS는,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어 제어가 쉽고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for waking up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 circuit can be simplified, so that control is easy and a failure rat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 회로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킬 수 있는 BMS 웨이크업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MS wake-up device capable of waking up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stably through the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장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외부 장치를 방전시키는 구성을 통해 회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BMS 웨이크업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MS wake-up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circuit may be obtained by discharging the external device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external device.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ariety of other effects, these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seen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의 개략적 구성과 이러한 BMS 웨이크업 장치가 적용된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가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여러 구성요소와 연결된 구성을 보다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 전원 출력 모듈 및 시스템 제어 모듈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의 세부 구성을 보다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신호 및 스위칭부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 전원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신호, 펄스 신호 및 작동 전원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limited to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to which the BMS wake-up device is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configuration in which a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a battery pack and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3 to 5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a pulse generating module, a power output module, and a system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ulse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7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voltage changes over time of an external power signal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module and power applied to a gate terminal of 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voltage changes over time of an external power signal, a pulse signal, and an operating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펄스 생성 모듈' 및 '스위칭부' 등과 같이 '모듈' 및 '부'와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구성 단위 간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구성 단위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하나의 소자나 장치에 의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module' and 'unit', such as 'pulse generating module' and 'switching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present logical structural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ust b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present physically separable or physically separable components, and that each constituent un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hysically implemented by a single element or device. Do.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의 개략적 구성과 이러한 BMS 웨이크업 장치가 적용된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가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여러 구성요소와 연결된 구성을 보다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to which the BMS wake-up device is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configuration in which a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a battery pack and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P)에는 배터리 모듈(10)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도면에는 하나의 배터리 모듈(10)만 도시되어 있으나, 배터리 팩(P)에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각 배터리 모듈(10)은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P)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출력 및/또는 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1 and 2 , one or more battery modules 10 may be included in a battery pack P to which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particular, although only one battery module 10 i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P. And in this case, each battery modul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or in parallel. Accordingly, the battery pack (P), the output and/or capacity may be increased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module (10).

여기서, 각 배터리 모듈(10)에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각 배터리 모듈(10)에는 복수의 이차 전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배터리 모듈(10)에 구비된 복수의 이차 전지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의 출력 및/또는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12V의 출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Here, each battery module 10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ary batteries. In particular, each battery module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provided in each battery module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utput and / or the capacity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an output of 12V.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P)은, 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가 채용되는 배터리 팩(P)은 차량용 배터리 팩(P)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배터리 팩(P)에 의해 운행을 위한 구동 전원이 공급되거나 오디오나 에어컨 등의 전장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전원이 공급되는 자동차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P to which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mounted in a vehicle. That is, the battery pack P to which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may be a vehicle battery pack P. Here, the vehicle may be a vehicle to which driving power for driving is supplied by the battery pack P or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audio or air conditioner is suppli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가 적용되는 자동차는, 배터리 팩(P)으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자동차, 이를테면 EV 등으로 표시되는 전기 자동차나 HEV, PHEV 등으로 표시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Conventional 자동차일 수 있다.In particular, a vehicle to which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vehicle to which driv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pack P, 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represented by EV, or a hybrid vehicle represented by HEV, PHEV, etc. Alternatively, it may be a conventional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P)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부(30) 및 BMS 웨이크업 장치(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pack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ay unit 30 and a BMS wake-up device B as shown in FIGS. 1 and 2 .

상기 릴레이부(30)는, 배터리 모듈(10)과 배터리 팩(P)의 양극 팩 단자(Pack+) 사이의 전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전류 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구성에서, 릴레이부(30)는, 일단이 배터리 모듈(10)의 양극 모듈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터리 팩(P)의 양극 팩 단자(Pack+)에 연결되는 대전류 경로(L1) 상에 위치하여, 대전류 경로(L1)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P)의 팩 단자(Pack+, Pack-)는 차량 부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부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모터, 에어컨 등 일 수 있다.The relay unit 30 may be positioned on a current path between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positive pack terminal Pack+ of the battery pack P to open and close the current path. In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 the relay unit 30 has a high current path ( one end connected to the positive modul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ositive pack terminal (Pack+) of the battery pack P) ( L1),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large current path (L1). Here, the pack terminals Pack+ and Pack- of the battery pack P may be connected to a vehicle load, and the vehicle load may b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motor, an air conditioner, or the like.

상기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배터리 모듈(10)에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배터리 모듈(10)의 양단에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BMS wake-up device B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0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module 10 .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 the BMS wake-up device B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ttery module 10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module 10 .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즉, BMS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BMS의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노멀 모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는, 이처럼 BMS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해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wake up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hat is, when the BMS is in the sleep mode state, the BMS wak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lease the sleep mode of the BMS and convert it to the normal mode state. In particular,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in order to wake up the BMS in this way.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는 외부 전원 모듈(4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 모듈(40)은 배터리 팩(P)의 팩 단자(Pack+, Pack-)를 통해 배터리 팩(P)으로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BMS 웨이크업 장치(B)는 이러한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 모듈(40)은 다양한 전압, 이를 테면 12V 전압의 전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For exampl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may supply an external power signal to the battery pack P through the pack terminals Pack+ and Pack- of the battery pack P. have. In this case, the BMS wake-up device B may receive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Here,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source of various voltages, for example, a 12V voltage.

이처럼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기 위해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대전류 경로(L1)상의 양극 경로와 음극 경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릴레이부(30)와 배터리 팩(P)의 양극 팩 단자(Pack+) 사이의 한 지점 및 배터리 모듈(10)의 음극 모듈 단자와 배터리 팩(P)의 음극 팩 단자(Pack-) 사이의 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팩(P)의 팩 단자(Pack+, Pack-)에 외부 전원 모듈(40)이 접속되면,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BMS 웨이크업 장치(B)로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As such, in order to receive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the BMS wake-up device B may be connected to a positive path and a negative path on the high current path L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BMS wake-up device (B), a point between the relay unit 30 and the positive pack terminal (Pack+) of the battery pack (P) and the battery module ( 10) may be connected to a point between the negative module terminal and the negative pack terminal (Pack-) of the battery pack (P).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is connected to the pack terminals Pack+ and Pack- of the battery pack P, an external power signal may be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to the BMS wake-up device B.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생성 모듈(100) 및 전원 출력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lse generating module 100 and a power output module 200 .

상기 펄스 생성 모듈(100)은,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펄스 생성 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류 경로(L1)상의 양극 경로와 음극 경로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펄스 생성 모듈(100)과 양극 경로 및 음극 경로 사이의 연결 관계는 전술한 BMS 웨이크업 장치(B)와 외부 전원 모듈(40)의 연결 관계에서 이미 설명하였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receive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That is,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path and the cathode path on the large current path L1 as described above, and receive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Here,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and the positive path and the negative path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BMS wake-up device B and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펄스 생성 모듈(100)은, 소스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특히, 펄스 생성 모듈(100)은 외부 전원 신호와는 다른 경로로 소스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펄스 생성 모듈(100)에 공급되는 소스 전원은, 외부 전원 모듈(40)과는 다른 에너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일 수 있다. 이를테면, 소스 전원은, BMS 내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일 수 있다.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receive source power. In particular,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receive source power through a pa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Here, the source power supplied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be power supplied from an energy sour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For example, the source power may be power supplied from inside the BMS.

펄스 생성 모듈(100)은,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펄스 생성 모듈(100)은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펄스 생성 모듈(100)은, 펄스 생성 모듈(100)을 통과한 소스 전원을 기초로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펄스 생성 모듈(100)은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면, 공급된 외부 전원 신호를 기초로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generate a pulse signal. Here,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generate a pul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source power passes. That is,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generate a pulse signal based on the source pow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In particular,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ource power passes or not based on the supplied external power signal.

상기 전원 출력 모듈(200)은, 펄스 생성 모듈로 소스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원 출력 모듈(200)은, 펄스 생성 모듈(100)과 연결되어, 펄스 생성 모듈(100)로 소스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테면, 소스 전원은 5V 전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소스 전원의 특정 크기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provide source power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That is,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to transmit source power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For example, the source power may be a 5V power supp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ize of such a source power source.

전원 출력 모듈(200)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작동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원 출력 모듈(200)은, 펄스 생성 모듈(100)로부터 펄스 신호를 공급받으면, 공급된 펄스 신호를 기초로 작동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output operating power for driving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That is, when receiving a pulse signal from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output operating power based on the supplied pulse signal.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출력 모듈(200)은, R1 경로를 통해 펄스 생성 모듈(100)로 소스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출력 모듈(200)은, 펄스 생성 모듈(100)로 소스 전원을 제공한 R1 경로와는 다른 경로인 R2 경로를 통해 펄스 생성 모듈(100)로부터 펄스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출력 모듈(200)은, 소스 전원을 제공한 R1 경로 및 펄스 신호를 공급받은 R2 경로와는 또 다른 경로인 R3 경로를 통해 작동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transmit the source power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through the R1 path. Also,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receive a pulse signal from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through an R2 path that is different from the R1 path through which the source power is provided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Here,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output the operating power through an R3 path that is another path from the R1 path providing the source power and the R2 path receiving the pulse signa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BMS 웨이크업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어 제어가 쉽고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MS wake-u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figuration for waking up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circuits can be simplified, thereby making it easy to control and reduce the failure rat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may further include a system control module (300).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전원 출력 모듈(200)과 연결되어, 전원 출력 모듈(200)로부터 작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이처럼 전원 출력 모듈(200)로부터 작동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output module 200 to receive operating power from the power output module 200 . 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receive operating power from the power output module 200 in this way to drive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Meanwhile,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압 측정부(50) 및 제2 전압 측정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and a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as shown in FIG. 2 .

상기 제1 전압 측정부(50)는,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시스템 제어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1 전압 측정부(50)는, 배터리 모듈(10)의 양단과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이 복수인 경우, 제1 전압 측정부(5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0) 각각의 양단과 연결되어 각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전압 측정부(50)는,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시스템 제어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may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and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 In particular, the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ttery module 10 to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 , the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 to measure the voltage of each battery module 10 . For example, the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may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

상기 제2 전압 측정부(70)는,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시스템 제어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압 측정부(70)는, 릴레이부(30)와 배터리 팩(P)의 양극 팩 단자(Pack+) 사이의 한 지점 및 펄스 생성 모듈(100)을 연결하는 경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압 측정부(70)는, 배터리 모듈(10)의 음극 모듈 단자와 배터리 팩(P)의 음극 팩 단자(Pack-) 사이의 한 지점 및 펄스 생성 모듈(100)을 연결하는 경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2 전압 측정부(70)는,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펄스 생성 모듈(100)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The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may measure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and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 the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is a point between the relay unit 30 and the positive pack terminal Pack+ of the battery pack P and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t may be connected to a path connecting (100). In addition, the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a path connecting a point and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between the negative modul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negative pack terminal (Pack-) of the battery pack (P) can be connected with In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may measure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펄스 생성 모듈(100), 전원 출력 모듈(200) 및 시스템 제어 모듈(300)의 기능적 구성 및 구성요소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3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the power output module 200 , and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MS wake-up device B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 전원 출력 모듈 및 시스템 제어 모듈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to 5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functional configurations of a pulse generating module, a power output module, and a system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펄스 생성 모듈(100)은, 외부 전원 입력부(110), 소스 전원 입력부(130) 및 펄스 신호 출력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include an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 a source power input unit 130 , and a pulse signal output unit 150 .

상기 외부 전원 입력부(110)는, 외부 전원 모듈(40)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펄스 생성 모듈(100)은, 외부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외부 전원 모듈(40)에서 출력되는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 입력부(110)는, 배터리 팩(P)의 팩 단자(Pack+, Pack-)에 연결되어, 상기 팩 단자(Pack+, Pack-)에 외부 전원 모듈(40)이 연결되면,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테면, 외부 전원 신호는 12V의 전원일 수 있다.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to receive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That is,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receive an external power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through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pack terminals (Pack+, Pack-) of the battery pack P, and is connected to the pack terminals (Pack+, Pack-). When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is connected, an external power signal may be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For example, the external power signal may be a power of 12V.

상기 소스 전원 입력부(130)는, 전원 출력 모듈(200)과 연결되어 전원 출력 모듈(200)로부터 소스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전원 입력부(130)는 펄스 생성 모듈(100)상에서 외부 전원 입력부(110)와는 별도의 위치에 구현될 수 있다. 즉, 펄스 생성 모듈(100)은, 상기 외부 전원 신호와는 다른 경로로 소스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테면, 소스 전원은 5V의 전원일 수 있다.The source power inpu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output module 200 to receive source power from the power output module 200 . Here, the source pow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t a location separate from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on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That is,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receive source power through a pa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For example, the source power may be a power of 5V.

상기 펄스 신호 출력부(150)는, 전원 출력 모듈(200)과 연결되어, 전원 출력 모듈(200)로 펄스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즉, 펄스 생성 모듈(100)은,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펄스 신호를 펄스 신호 출력부(150)를 통해 전원 출력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펄스 신호는 5V의 신호일 수 있다.The pulse signal output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output module 200 to supply a pulse signal to the power output module 200 . That is,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may generate a pulse signal and transmit the generated pulse signal to the power output module 200 through the pulse signal output unit 150 . For example, the pulse signal may be a signal of 5V.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출력 모듈(200)은, 컨버터(210), 제1 레귤레이터(230), 펄스 신호 입력부(250) 및 제2 레귤레이터(270)를 구비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2 and 4 ,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include a converter 210 , a first regulator 230 , a pulse signal input unit 250 , and a second regulator 270 .

상기 컨버터(210)는, 배터리 모듈(10)의 양단과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컨버터(210)는 배터리 모듈(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전원 출력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출력 모듈(200)은 배터리 모듈(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기초로 소스 전원 및/또는 작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출력 모듈(200)은, 배터리 모듈(10)로부터 공급받은 12V 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5V 전원인 소스 전원 및 작동 전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The converter 21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ttery module 10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module 10 . That is, the converter 210 may transmi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to the power output module 200 . Here,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generate source power and/or operating power based on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 For example, the power output module 200 may convert the voltage of the 12V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to generate the 5V power source power and the operating power, respectively.

상기 제1 레귤레이터(230)는, 펄스 생성 모듈(100)로 소스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레귤레이터(230)는, 펄스 생성 모듈(100)의 소스 전원 입력부(130)와 연결되어, 소스 전원 입력부(130)로 소스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귤레이터(230)는 배터리 모듈(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기초로 소스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regulator 230 may supply source power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That is, the first regulato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power input unit 130 of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to transmit source power to the source power input unit 130 . For example, the first regulator 230 may output the source power ba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

상기 펄스 신호 입력부(250)는, 펄스 생성 모듈(100)로부터 펄스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펄스 신호 입력부(250)는, 펄스 생성 모듈(100)의 펄스 신호 출력부(150)와 연결되어, 펄스 신호 출력부(150)로부터 펄스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pulse signal input unit 250 may receive a pulse signal from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 That is, the pulse signal input unit 250 may be connected to the pulse signal output unit 150 of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to receive a pulse signal from the pulse signal output unit 150 .

상기 제2 레귤레이터(27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작동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레귤레이터(270)는, 시스템 제어 모듈(300)에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 모듈(300)로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2 레귤레이터(270)에서 출력되는 작동 전원은 5V 전원일 수 있다.The second regulator 270 may output operating power for driving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That is, the second regulator 270 may be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 For example, the operating power output from the second regulator 270 may be 5V power.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제1 전압 수신부(310), 제2 전압 수신부(370), 릴레이 제어부(330) 및 작동 전원 입력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5 ,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include a first voltage receiving unit 310 , a second voltage receiving unit 370 , a relay control unit 330 , and an operation power input unit 350 . can

상기 제1 전압 수신부(310)는, 제1 전압 측정부(50)에서 측정한 배터리 모듈(1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전압 수신부(310)는, 제1 전압 측정부(50)와 연결되어, 제1 전압 측정부(50)로부터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voltage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battery module 10 measured by the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 That is, the first voltage receiving uni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from the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50 .

상기 제2 전압 수신부(370)는, 제2 전압 측정부(70)에서 측정한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제2 전압 수신부(370)는, 제2 전압 측정부(70)와 연결되어, 제2 전압 측정부(7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voltage receiving unit 370 may receive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measured by the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 That is, the second voltage receiving unit 37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70 .

상기 릴레이 제어부(330)는, 릴레이부(3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릴레이 제어부(330)는, 제1 전압 수신부(310) 또는 제2 전압 수신부(37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릴레이부(30)에 턴오프 또는 턴온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relay control unit 330 may control an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relay unit 30 . That is, the relay controller 330 may transmit a turn-off or turn-on signal to the relay unit 30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voltage receiver 310 or the second voltage receiver 370 .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을 기초로 릴레이부(3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이 기준 전압값 이하로 방전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릴레이부(30)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값은 배터리 팩(P)의 과방전을 보호를 위한 배터리 모듈(10)의 최소 전압값을 의미하며 사용자에 따라 최소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전압값은 시스템 제어 모듈(3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전압값이 10V인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배터리 모듈(10)의 양단 전압이 10V 이하인 경우, 릴레이부(30)를 턴오프 시켜 대전류 경로(L1)를 차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and control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relay unit 30 based on the measured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is discharged below the reference voltage value,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turn off the relay unit 30 . Here, the reference voltage value means a minimum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module 10 for protecting the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pack P, and the minimum voltage value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 This reference voltage value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s 10V,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turns off the relay unit 30 when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battery module 10 is 10V or less to block the large current path L1. have.

또한,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배터리 모듈(10)을 충전시키기 위해 릴레이부(30)를 턴온 시킬 수 있다. 즉, BMS 웨이크업 장치(B)는, 배터리 모듈(10)의 충전이 가능한 경우, 릴레이부(30)를 턴온 시켜 배터리 모듈(10)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BMS 웨이크업 장치(B)는, BMS 웨이크업 장치(B)에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면, 공급된 외부 전원 신호를 기초로 배터리 모듈(10)의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 하도록 한다.Also, the BMS wake-up device B may turn on the relay unit 30 to charge the battery module 10 . That is, when the battery module 10 can be charged, the BMS wake-up device B may turn on the relay unit 30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module 10 . Here,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to the BMS wake-up device B, the BMS wake-up device B may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module 10 can be charged based on the supplied external power signa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상기 작동 전원 입력부(350)는, 전원 출력 모듈(200)로부터 작동 전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작동 전원 입력부(350)는, 제2 레귤레이터(270)와 연결되어, 제2 레귤레이터(270)로부터 작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operating power input unit 350 may receive operating power from the power output module 200 . That is, the operating power input unit 3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gulator 270 to receive operating power from the second regulator 270 .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B)가 차량용 배터리 팩에 구비된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차량의 ECU와 통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ECU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ECU와 통신이 연결되어, ECU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작동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be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when the BMS wake-up devic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vehicle battery pack,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ECU of the vehicle. Through this,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send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ECU. Here,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operate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with the ECU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ECU.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제어 모듈(300)의 동작 형태는, 슬립 모드(Sleep mode) 및 노멀 모드(Normal mode)의 두 가지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립 모드는 시스템 제어 모듈(300)이 작동하지 않는 모드이고, 노멀 모드는 시스템 제어 모듈(300)이 작동하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슬립 모드에서 ECU와 통신이 두절되어 작동하지 않고, 노멀 모드에서 ECU와 통신이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ng mode of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two modes, a sleep mode and a normal mode. Here, the sleep mode may be defined as a mode in which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does not operate, and the normal mode may be defined as a mode in which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operates. In other words,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not operate because communication with the ECU is cut off in the sleep mode, and may operate while communication with the ECU is connected in the normal mode.

즉,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슬립 모드에서 BMS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BMS는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 모듈(10)의 전원을 소비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모듈(10)이 과방전 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릴레이부(30)를 턴오프 시켜 대전류 경로(L1)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전류 경로(L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던 차량의 전장품은 동작이 정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CU도 릴레이부(30)의 턴 오프에 의해 동작이 정지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 모듈(300)과 ECU 사이의 통신이 두절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제어 모듈(300)의 동작 형태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That is,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not operate the BMS in the sleep mode. Accordingly, the BMS may not consume power of the battery module 10 in the sleep mode. For example, when the battery module 10 is overdischarged,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turn off the relay unit 30 to block the large current path L1 .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of the vehicle that wa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large current path L1 may be stopped. For example, the ECU may also be stopped by turning off the relay unit 30 . Accordingly, communication between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and the ECU may be interrupted. In this case, the operating mode of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be switched to a sleep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외부 전원이 소정 범위 이내일 때, 배터리 모듈(10)을 충전하기 위해 릴레이부(30)를 턴온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외부 전원이 10.5V 내지 14.8V인 경우 릴레이부(30)를 턴온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300)의 동작 형태는 노멀 모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외부 전원이 이러한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릴레이부(30)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외부 전원이 10.5V 이하이거나 14.8V 이상인 경우, 릴레이부(30)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300)의 동작 형태는 슬립 모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turn on the relay unit 30 to charge the battery module 10 when the external powe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turn on the relay unit 30 when the external power is 10.5V to 14.8V. In this case, the operating form of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normal mode. Also,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maintain the relay unit 30 in a turned-off state when the external power is out of this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maintain the relay unit 30 in a turned-off state when the external power is 10.5V or less or 14.8V or more. In this case, the operating mode of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be switched back to the sleep mode.

시스템 제어 모듈(300)에 의해 릴레이부(30)를 제어할 경우 외부 전원 모듈(40)의 외부 전원의 전압 범위와 더불어 배터리 모듈(10)의 상태에 따라서도 릴레이부(30)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외부 전원이 10.5V 내지 14.8V 인 경우 릴레이부(30)를 턴온 시켜야 하나, 배터리 모듈(10)의 상태에 따라 릴레이부(30)를 턴온 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테면,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배터리 모듈(1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릴레이부(30)를 턴온 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10)의 상태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미리 시스템 제어 모듈(300)에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relay unit 30 is controlled by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 the relay unit 3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module 10 as well as the voltage range of the external power of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have. For example,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should turn on the relay unit 30 when the external power is 10.5V to 14.8V, but may not turn on the relay unit 30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battery module 10 . can For example,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may not turn on the relay unit 30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module 10 . Here, the state of the battery module 10 may be defined differently for each user and stored in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in advan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의 세부 구성을 보다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ulse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또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100)은 스위칭부(179)를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3 and 6 ,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179 .

상기 스위칭부(179)는,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와 소스 전원이 공급되는 소스 전원 경로(L3)가 서로 접하는 접점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179 may be located at a contact point where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to which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and the source power path L3 to which the source power is supplied contact each other.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79)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및 소스 전원 경로(L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는 일단이 외부 전원 입력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칭부(179)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소스 전원 경로(L3)는 일단이 소스 전원 입력부(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칭부(17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에는 외부 전원 신호가 흐르고, 소스 전원 경로(L3)에는 소스 전원이 흐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 the switching unit 179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and a source power path L3 . Here,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79 . In addition, the source power path L3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ource power input unit 1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79 . In such a configuration, an external power signal may flow through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 and a source power may flow through the source power path L3 .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부(17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FET(F)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와 소스 전원 경로(L3)가 접하는 접점에 위치하여,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에 관련된 스위칭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FET(F)는, 소스 전원 경로(L3)에 흐르는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에 관련된 스위칭 역할을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witching unit 17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as shown in FIG. 6 . The FET (F) is located at a contact point where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and the source power path L3 come into contact, and may serve as a switch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the source power passes or not. That is, the FET (F) may play a switching role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source power flowing through the source power path L3 passes.

상기 FET(F)는,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다. FET(F)는, 게이트 단자(G), 드레인 단자(D) 및 소스 단자(S)를 구비한 FET(Field Effect Transistor)소자로서, 게이트 단자(G)와 소스 단자(S)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따른 채널 형성 여부에 의해 온 되거나 오프 될 수 있다. 채널 형성 여부는 스위칭 제어부(175)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FET(F)는, 게이트 단자(G) 및 소스 단자(S) 사이에 인가된 전압이 문턱 전압(Th) 이상인 경우에 온 될 수 있다. 일 예로, FET(F)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일 수 있다. 문턱 전압(Th)는 FET(F)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12V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The FET (F) may be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The FET (F) is a FET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having a gate terminal (G), a drain terminal (D) and a source terminal (S), and is applied between the gate terminal (G) and the source terminal (S). It can be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channel is formed according to the voltage. Whether to form a channel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 Here, the FET (F) may be turned on when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gate terminal (G) and the source terminal (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Th). As an example, the FET(F) may be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The threshold voltage (Th) may vary depending on the FET (F), and is assumed to be 12V.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단자(G)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와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D)는 소스 전원 경로(L3)에 연결되며, 소스 단자(S)는 제3 접점(N3)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접지(PG)는 BMS 웨이크업 장치(B)의 접지로서 차체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 the gate terminal G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the drain terminal D is connected to the source power source path L3, and the source terminal ( S)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contact N3. For example, the ground PG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s the ground of the BMS wake-up device B.

바람직하게는, 스위칭부(179)는, 스위칭부(179)에 크기가 미리 결정된 기준 전압값 이상인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에서, FET(F)는, 게이트 단자(G)에 문턱 전압(Th) 이상인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온 되어, 드레인 단자(D)로부터 소스 단자(S)의 방향으로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switching unit 179 may transmit the source power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having a magnitud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179 .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FET (F) is turned on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Th)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the drain terminal (D) to the source terminal (S). You can pass the source power in any direction.

또한, 스위칭부(179)는 스위칭부(179)에 크기가 기준 전압값 미만인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에서, FET(F)는, 게이트 단자(G)에 문턱 전압(Th) 미만인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오프 되어, 드레인 단자(D)로부터 소스 단자(S)의 방향으로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키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79 may not pass the source power when an external power having a magnitude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179 .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FET (F) is turned off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less than the threshold voltage (Th)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so that the source terminal (S) from the drain terminal (D) is turned off. direction may not pass the source power.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10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제어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control unit 175 as shown in FIGS. 3 and 6 .

상기 스위칭 제어부(175)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제어부(175)는, 외부 전원 입력부(110)와 스위칭부(179) 사이에 위치하여, 스위칭부(179)로 전달되는 외부 전원 신호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제어부(175)는 FET(F)의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 신호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may be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is located between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and the switching unit 179 , You can adjust the time. That is,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may adjust the tim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FET(F).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제어부(175)는, 스위칭부(179)에 전달되는 외부 전원 신호가 설계된 시간에 맞추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스위칭 제어부(175)는, 외부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된 후 설계된 시간 동안, FET(F)의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 신호가 설계된 시간만큼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제어부(175)는, 외부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12V의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된 후 설계된 시간 이를 테면, 120ms의 시간 동안, FET(F)의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 신호가 120ms 시간만큼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xternal power signal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179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designed time. In particular,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external power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FET (F) for a designed time for a designed time after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can For example,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FET (F) for a designed time period, such as 120 ms, after the external power signal of 12V is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An external power signal can be transmitted as long as 120ms.

이를 위해, 스위칭 제어부(175)는 커패시터(C) 및 저항(R3)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C)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에 위치하여 외부 전원 신호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저항(R3)은, 커패시터(C)와 스위칭부(179) 사이의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에 위치하는 한 점인 제4 접점(N4)과 접지(PG)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저항(R3)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저항(R3)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may include a capacitor C and a resistor R3.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 the capacitor C may be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and be charged by the external power signal. In addition, the resistor R3 is on the path connecting the fourth contact N4 and the ground PG, which is a point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between the capacitor C and the switching unit 179 . can be locat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resistors R3 may be provided. Furthermore, the plurality of resistors R3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상기 커패시터(C)는,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외부 전원 신호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C)는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는 순간 게이트 단자(G)에 외부 전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V의 전압을 갖는 외부 전원 신호가 외부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커패시터(C)에 인가되면, 커패시터(C)는 12V의 외부 전원 신호를 게이트 단자(G)에 전달하고, 외부 전원 신호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The capacitor C may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ignal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Here, the capacitor C may transmit an external power signal to the gate terminal G when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having a voltage of 12V is applied to the capacitor C through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the capacitor C transmits an external power signal of 12V to the gate terminal G, and It can be charged by a power signal.

또한, 상기 커패시터(C)는, 외부 전원 신호에 의하여 충전이 된 이후에, 게이트 단자(G)에 전달되는 외부 전원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ET(F)의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 신호는 12V에서 0V로 서서히 내려갈 수 있다. 이는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인가된 외부 전원 신호가 커패시터(C)를 충전시키고 충전이 완료되면 더 이상 게이트 단자(G)로 외부 전원 신호가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게이트 단자(G)는 저항(R3)을 통해 접지(PG)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충전되어 있는 커패시터(C)는 접지(PG)를 통해 방전 되고 게이트 단자(G)의 전압이 12V에서 0V로 내려갈 수 있다.Also, the capacitor C may block the external power signal transmitted to the gate terminal G after being charged by the external power signal. For example, the external power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FET F may gradually decrease from 12V to 0V. This is because the external power signal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charges the capacitor C, and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external power signal can no longer be transmitted to the gate terminal G. Here, the gate terminal G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PG through the resistor R3.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is not applied, the charged capacitor C is discharged through the ground PG, and the voltage of the gate terminal G may drop from 12V to 0V.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제어부(175)는, 소스 전원이 스위칭부(179)를 통과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위칭 제어부(175)는, 커패시터(C)의 용량 및 저항(R3)의 크기 값에 따라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커패시터(C)의 용량 크기가 클수록 소스 전원이 스위칭부(179)를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ime for the source power to pass through the switching unit 179 . That is, the switching controller 175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ime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C and the magnitude of the resistor R3 . For example, as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C increases, a time for the source power to pass through the switching unit 179 may increase.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10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171 as shown in FIGS. 3 and 6 .

상기 방전부(171)는, 외부 전원 모듈(40) 및 스위칭 제어부(17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점(N1)과 접지(PG)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부(171)는, 외부 전원 입력부(110)와 스위칭 제어부(175) 사이의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에 위치하는 제1 접점(N1)과 접지(PG)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71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N1 located between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and the ground P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discharge unit 171 has a first contact point N1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between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 It may be located on a path connecting the ground and the ground PG.

방전부(171)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의 제1 접점(N1)과 연결된 외부 전원 모듈(40) 이외의 외부 장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즉, 방전부(171)는, 외부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제1 접점(N1)과 연결된 외부 장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외부 장치는 차량의 전장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전부(171)는, 외부 전원 모듈(40)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기 전에 커패시터(C)가 충전되지 않도록,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전원 입력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방전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71 may discharge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N1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 That is, the discharge unit 171 may discharge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N1 through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n electrical component of a vehicle. Through this, the discharge unit 171 may dischar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10 so that the capacitor C is not charged before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40 . have.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부(171)는 방전 저항(R1)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방전 저항(R1)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방전 저항(R1)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 the discharge unit 171 may include a discharge resistor R1 .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discharge resistors R1 may be provided. Here, the plurality of discharge resistors R1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장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외부 장치를 방전시키는 구성을 통해 회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BMS 웨이크업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BMS wake-up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circuit can be obtained by discharging the external device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external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10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 보호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vercurrent protection unit 173 as shown in FIGS. 3 and 6 .

상기 과전류 보호부(173)는, 제1 접점(N1)과 스위칭 제어부(17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 보호부(173)는, 제1 접점(N1)과 스위칭 제어부(175) 사이의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overcurrent protection unit 17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tact N1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overcurrent protection unit 173 may be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between the first contact point N1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

과전류 보호부(173)는, 스위칭 제어부(175) 및 스위칭부(179)에 과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과전류 보호부(173)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류 보호부(173)는 보호 저항(R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저항(R2) 및 방전 저항(R1)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보호 저항(R2)의 크기는 방전 저항(R1)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overcurrent protection unit 173 may prevent an overcurrent from being supplied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and the switching unit 179 . That is, the overcurrent protection unit 173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an overcurrent from flowing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 For example, the overcurrent protection unit 173 may include a protection resistor R2 . Here, the sizes of the protection resistor R2 and the discharge resistor R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size of the protection resistor R2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ischarge resistor R1 .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생성 모듈(10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부(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pulse gener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as shown in FIGS. 3 and 6 .

상기 과전압 보호부(177)는, 스위칭 제어부(175) 및 스위칭부(179) 사이의 외부 전원 신호 경로(L2)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점(N2)과 접지(PG)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압 보호부(177)는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를 구비할 수 있다.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is on a path connecting the second contact N2 position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L2 between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and the switching unit 179 and the ground PG. can be located in For example,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may include a Zener diode.

과전압 보호부(177)는, 스위칭부(179)에 과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과전압 보호부(177)는, 스위칭 제어부(175)를 통해 게이트 단자(G)에 전달되는 외부 전원이 과전압인 경우 이를 스위칭부(179)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179)의 FET(F)을 보호하기 위해 15V가 과전압으로 설정되는 경우, 과전압 보호부(177)는 15V 이상의 외부 전원 신호를 스위칭부(179)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may prevent an overvoltage from being supplied to the switching unit 179 . That is, when the external power transmitted to the gate terminal G through the switching control unit 175 is an overvoltage,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may not transmit it to the switching unit 179 . For example, when 15V is set to an overvoltage to protect the FET F of the switching unit 179 ,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may not transmit an external power signal of 15V or more to the switching unit 179 . .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부(177)에 구비된 제너 다이오드(ZD)는 제2 접점(N2)으로부터 접지(PG) 방향을 도통의 정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드(ZD)는, 제2 접점(N2)로부터 접지(PG) 사이의 전압에 대하여 제너 다이오드(ZD)의 설정 값에 따라 과전압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과전압 보호부(177)는 과전압 미만의 전압이 제2 접점(N2)에 인가되면, 제2 접점(N2)에 인가된 전압을 그대로 스위칭부(179)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과전압 보호부(177)는 과전압 이상의 전압이 제2 접점(N2)에 인가되는 경우, 설정된 값에 맞게 전압을 제한함으로써 제2 접점(N2)에 인가된 과전압을 스위칭부(179)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 the Zener diode ZD provided in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may set the direction of the ground PG from the second contact N2 to the positive direction of conduction. Here, the Zener diode ZD may set an overvoltage refere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voltage between the second contact N2 and the ground PG according to the set value of the Zener diode ZD. In this configuration, when a voltage less than the over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N2 ,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may transfer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N2 to the switching unit 179 as it is. In addition,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7 transmits the over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N2 to the switching unit 179 by limiting the voltage according to a set value when a voltag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ver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N2 . may no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 회로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킬 수 있는 BMS 웨이크업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BMS wakeup device capable of waking up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stably through the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can be obtain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신호 및 스위칭부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 전원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voltage changes over time of an external power signal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module and power applied to a gate terminal of 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 크기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의 (b)그래프는, 이러한 외부 전원 신호에 의한 스위칭부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 전압의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즉, 도 7의 (b)그래프에는,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가 펄스 생성 모듈에 인가된 이후, 게이트 단자(G)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raph of FIG. 7 (a)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over time, and the graph of FIG. 7 (b) is a graph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by this external power signal. It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magnitude with time of voltage. That is, in the graph (b) of FIG. 7 , after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the voltage change of the gate terminal G according to time is shown.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전원 신호가 펄스 생성 모듈에 인가되면, 일단 펄스 생성 모듈에 포함된 스위칭부의 게이트 단자(G)에는 외부 전원 신호가 그대로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 및 (b)그래프에서,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12V의 외부 전원 신호가 펄스 생성 모듈에 인가되면, 외부 전원 신호 및 게이트 단자(G)의 초기 전압은 12V로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the external power signal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switching unit included in the pulse generating module. For example, in the graphs of (a) and (b) of FIG. 7 ,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of 12V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is applied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the external power signal and the initial voltage of the gate terminal (G) are the same as 12V can do.

하지만, 게이트 단자(G)의 전압은 스위칭 제어부의 커패시터(C)의 용량에 따라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스위칭 제어부의 커패시터(C)의 용량에 따라 전압-시간 그래프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그래프에는, 제1 그래프(VG1)의 커패시터(C)의 용량 값이 제2 그래프(VG2)의 커패시터(C)의 용량 값에 비해 큰 경우의 전압-시간 그래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However, the voltage of the gate terminal G may be gradually lowered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C of the switching controller. In this case, the voltage-time graph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apacitor C of the switching controller. For example, in the graph (b) of FIG. 7 , the voltage-time when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or C of the first graph VG1 is larger than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or C of the second graph VG2. Each graph is shown.

소스 전원은 설계된 시간 동안 스위칭부를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그래프에서, 스위칭부의 문턱 전압(Th)이 12V인 경우 12V를 그대로 통과하는 시간은 제1 그래프(VG1)의 경우, 130ms이고, 제2 그래프(VG2)의 경우, 120ms일 수 있다.The source power may pass through the switching unit for a designed time. For example, in the graph (b) of FIG. 7 , when the threshold voltage Th of the switching unit is 12V, the time for passing 12V as i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graph VG1 is 130ms, and that of the second graph VG2 case, it may be 120 m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신호, 펄스 신호 및 작동 전원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voltage changes over time of an external power signal, a pulse signal, and an operating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8에는,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된 이후(도 8의 (a)), 펄스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펄스 신호(도 8의 (b)) 및 전원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작동 전원(도 8의 (c))의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In particular, in FIG. 8, after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FIG. 8(a)), the pulse signal generated by the pulse generating module (FIG. 8(b)) and the operation output from the power output module The voltage change with time of the power source (FIG. 8(c)) is shown.

도 8을 참조하면, 펄스 생성 모듈은,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부에 대한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를 결정하여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펄스 생성 모듈은, 외부 전원 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동안 소스 전원을 통과 시켜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the pulse generating module may generate a pulse signal by determining whether the source power to the switching unit passes. That is, the pulse generating module may generate a pulse signal by passing the source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예를 들어, 도 8의 (b)그래프에는, 도 7의 제1 그래프(VG1)에서 결정된 130ms의 시간 동안 5V의 제1 펄스 신호(PL1)가 생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그래프에는, 도 7의 제2 그래프(VG2)에서 결정된 120ms의 시간 동안 5V의 제2 펄스 신호(PL2)가 생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For example, in the graph (b) of FIG. 8 , it is shown that the first pulse signal PL1 of 5V is generated for a time of 130 ms determined in the first graph VG1 of FIG. 7 . Also, in the graph (b) of FIG. 8 , it is shown that the second pulse signal PL2 of 5V is generated for a time of 120 ms determined in the second graph VG2 of FIG. 7 .

한편, 펄스 생성 모듈은, 스위칭부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이 문턱 전압 미만인 경우, 펄스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펄스 생성 모듈은, 스위칭부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이 문턱 전압 미만인 경우,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키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pulse generating module may not generate the pulse signal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voltage. That is, the pulse generating module may not pass the source power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voltage.

예를 들어, 도 8의 (b)그래프에는, 도 7의 제1 그래프(VG1)가 문턱 전압인 12V 미만으로 내려가는 지점인 130ms의 지점부터 5V의 펄스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제1 펄스 신호(PL1)의 전압-시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그래프에는, 도 7의 제2 그래프(VG2)가 문턱 전압인 12V 미만으로 내려가는 지점인 120ms의 지점부터 5V의 펄스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제2 펄스 신호(PL2)의 전압-시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graph (b) of FIG. 8 , the first pulse signal PL1 at which a pulse signal of 5V is not generated from the point of 130ms at which the first graph VG1 of FIG. 7 falls below the threshold voltage of 12V. ) is shown as a voltage-time graph. In addition, in the graph of FIG. 8 (b), the second pulse signal PL2 at which the pulse signal of 5V is not generated from the point of 120ms, which is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graph VG2 of FIG. 7 falls below the threshold voltage of 12V. A voltage-time graph is shown.

전원 출력 모듈은, 펄스 생성 모듈로부터 펄스 신호를 공급받으면 작동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원 출력 모듈은, 펄스 신호를 공급받으면 작동 전원을 시스템 제어 모듈에 전달하여 BMS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제어 모듈은 전원 출력 모듈로부터 작동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 모듈은 측정된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을 기초로 전원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작동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output module may output operating power when receiving a pulse signal from the pulse generating module. That is, when the power output module receives a pulse signal, it may transmit operating power to the system control module to wake up the BMS. In this case, the system control module may receive operating power from the power output module and measure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operat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output module based on the measured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여기서, 도 8의 (c)그래프에 도시된, 제1 작동 전원 그래프(OP1) 및 제2 작동 전원 그래프(OP2)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 모듈은,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작동 전원 그래프(OP1)와 같이 작동 전원을 계속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시스템 제어 모듈은, 외부 전원 신호의 전압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제2 작동 전원 그래프(OP2)와 같이 작동 전원을 계속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Here, referring to the first operating power graph OP1 and the second operating power supply graph OP2 shown in the graph of FIG. 8C , the system control module,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ange In this case, the operating power may be continuously output as shown in the first operating power graph OP1.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does not fal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system control module may not continuously output the operating power as shown in the second operating power graph OP2 .

예를 들어, 도 8의 (c)그래프에 도시된 제1 작동 전원 그래프(OP1)에서, 시스템 제어 모듈은, 외부 전원 신호가 10.5V 내지 14.8V인 경우,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기 위해 릴레이부를 턴온 시키고, 작동 전원을 계속 출력하도록 전원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의 동작 형태는 노멀 모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그래프에 도시된 제2 작동 전원 그래프(OP2)에서, 시스템 제어 모듈은 외부 전원 신호가 10.5V 이하이거나 14.8V 이상인 경우, 릴레이부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작동 전원의 출력을 멈추도록 전원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의 동작 형태는 슬립 모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rst operating power graph OP1 shown in the graph (c) of FIG. 8 , the system control module turns on the relay unit to charge the battery module when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10.5V to 14.8V and control the power output module to continue outputting the operating power. In this case, the operation form of the system control module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normal mode. In addition, in the second operating power graph OP2 shown in the graph of (c) of FIG. 8 , the system control module maintains the relay unit in a turn-off state when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10.5V or less or 14.8V or more, and the operating power The power output module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output of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of the system control module may be switched back to the sleep mode.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BMS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외부 전원의 공급을 통해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The device for waking up the B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wake up the BMS from the sleep mode state by supplying external power.

특히,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배터리 팩이 방전된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배터리 팩, 이를테면 차량용 배터리 팩이 방전된 경우, 대체로 BMS는 꺼져 있게 된다. 이때, 배터리 팩을 충전하기 위해 충전기가 배터리 팩에 접속되면,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이처럼 외부 충전기의 충전 전원을 외부 전원으로서 공급받아, BMS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discharged. That is, when a battery pack, for example, a vehicle battery pack is discharged, the BMS is generally turned off. At this time, when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to charge the battery pack,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charging power of the external charger as an external power supply in this way to wake up the BMS.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이 차량에 장착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켜질 때, 외부 전원이 BMS 웨이크업 장치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BMS 웨이크업 장치가 BMS를 웨이크업 시키도록 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applied to this form. For example, when a battery pack is installed in a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BMS wake-up device, thereby allowing the BMS wake-up device to wake up the BMS.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BMS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BMS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종래 BMS에 포함된 구성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추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의 전원 출력 모듈(200) 및 시스템 제어 모듈(300)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의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BMS wak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BMS. That is, the B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onfiguration, at least some of each component of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supplementing or adding functions of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BMS. For example, the power output module 200 and the system control module 300 of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of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는, 배터리 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은,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 상기 BMS 웨이크업 장치, 전장품(BMS나 릴레이, 퓨즈 등 구비) 및 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That is,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ere, the battery pack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ary batteries, the BMS wake-up devic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BMS, a relay, a fuse, etc.), a case,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and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 BMS 웨이크업 장치 10: 배터리 모듈
30: 릴레이부 40: 외부 전원 모듈
50: 제1 전압 측정부 70: 제2 전압 측정부
100: 펄스 생성 모듈 110: 외부 전원 입력부
130: 소스 전원 입력부 150: 펄스 신호 출력부
171: 방전부 173: 과전류 보호부
175: 스위칭 제어부 177: 과전압 보호부
179: 스위칭부 200: 전원 출력 모듈
210: 컨버터 230: 제1 레귤레이터
250: 펄스 신호 입력부 270: 제2 레귤레이터
300: 시스템 제어 모듈 310: 제1 전압 수신부
330: 릴레이 제어부 350: 작동 전원 입력부
370: 제2 전압 수신부
B: BMS wake-up device 10: battery module
30: relay unit 40: external power module
50: first voltage measuring unit 70: second voltage measuring unit
100: pulse generation module 110: external power input unit
130: source power input unit 150: pulse signal output unit
171: discharge unit 173: overcurrent protection unit
175: switching control unit 177: overvoltage protection unit
179: switching unit 200: power output module
210: converter 230: first regulator
250: pulse signal input unit 270: second regulator
300: system control module 310: first voltage receiver
330: relay control unit 350: operating power input unit
370: second voltage receiver

Claims (12)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는 BMS 웨이크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모듈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외부 전원 신호와는 다른 경로로 소스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에 따라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 모듈; 및
상기 펄스 생성 모듈로 상기 소스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펄스 생성 모듈로부터 상기 펄스 신호를 공급받으면, 상기 펄스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작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 신호의 크기와 미리 결정된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소스 전원의 통과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In the BMS wake-up device for waking up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power module,
Pulse generation for receiving the external power signal from the external power module, receiving source power through a path diffe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ignal, and generating a pul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source power passes when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module; and
and a power output module that provides the source power to the pulse generating module and outputs operating power for driving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pulse signal when receiving the pulse signal from the pulse generating module,
The pulse generating module,
and compare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value, and determine whether the source power passes or no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 신호가 공급되는 외부 전원 신호 경로와 상기 소스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가 서로 접하는 접점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전원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스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스위칭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at a contact point where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to which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supplied and the path to which the source power is supplie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pens and closes the path to which the source power is supplied bas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switching part
BMS wake-up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크기가 미리 결정된 기준 전압값 이상인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키고, 상기 스위칭부에 크기가 기준 전압값 미만인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소스 전원을 통과 시키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witching unit passes through the source power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having a magnitud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and passes through the source power when an external power signal having a magnitude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BMS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not to do.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의 시간을 조절하는 스위칭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im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BMS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가 인가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스위칭부에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의 시간을 줄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witching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time of the external power signal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external power signal is appli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전원 신호에 의하여 충전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와 접지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witching control unit may include a capacitor position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and charged by the external power signal, and a resistor positioned on a path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and ground. up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소스 전원이 상기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witching control unit, BMS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just the time for the source power to pass through the switch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 모듈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점과 접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의 상기 제1 접점과 연결된 상기 외부 전원 모듈 이외의 외부 장치를 방전시키는 방전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between a first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power module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and a ground, and discharges external devices other than the external power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discharging unit
BMS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스위칭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과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과전류 보호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the overcurrent protection unit to prevent overcurrent from being supplied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and the switching unit
BMS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 모듈은, 상기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부 사이의 상기 외부 전원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점과 접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과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과전압 보호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MS 웨이크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ulse generating module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int located on the external power signal path between the switching control unit and the switching unit and a ground, and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that prevents an overvoltage from being supplied to the switching unit
BMS wak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를 포함하는 BMS.
A BMS comprising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BMS 웨이크업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MS wake-up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170147190A 2017-11-07 2017-11-07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256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90A KR102256601B1 (en) 2017-11-07 2017-11-07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18876478.1A EP3637532B1 (en) 2017-11-07 2018-11-07 Bms wake-up device, and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PL18876478.1T PL3637532T3 (en) 2017-11-07 2018-11-07 Bms wake-up device, and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N201880027107.1A CN110574217B (en) 2017-11-07 2018-11-07 BMS awakens equipment, and including BMS and group battery of this BMS awakens equipment up
PCT/KR2018/013488 WO2019093769A1 (en) 2017-11-07 2018-11-07 Bms wake-up device, and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HUE18876478A HUE064869T2 (en) 2017-11-07 2018-11-07 Bms wake-up device, and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ES18876478T ES2971343T3 (en) 2017-11-07 2018-11-07 BMS reactivation device, and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19556609A JP6881707B2 (en) 2017-11-07 2018-11-07 BMS wakeup device, BMS including it and battery pack
US16/654,827 US11205804B2 (en) 2017-11-07 2019-10-16 BMS wake-up device, and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190A KR102256601B1 (en) 2017-11-07 2017-11-07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77A KR20190051477A (en) 2019-05-15
KR102256601B1 true KR102256601B1 (en) 2021-06-02

Family

ID=6643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90A KR102256601B1 (en) 2017-11-07 2017-11-07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05804B2 (en)
EP (1) EP3637532B1 (en)
JP (1) JP6881707B2 (en)
KR (1) KR102256601B1 (en)
CN (1) CN110574217B (en)
ES (1) ES2971343T3 (en)
HU (1) HUE064869T2 (en)
PL (1) PL3637532T3 (en)
WO (1) WO201909376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149B1 (en) * 2019-01-21 2024-06-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anager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Battery Manager System and Electronic Control Unit
CN210912030U (en) * 2019-08-12 2020-07-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Wake-up circuit and rechargeable device
KR20210059218A (en)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wakeup BMS
KR20210087816A (en)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KR102305056B1 (en) * 2020-01-31 2021-09-27 (주)미섬시스텍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KR102380920B1 (en) 2020-03-13 2022-03-3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of Battery Over-temperature Protection
KR20210129824A (en) * 2020-04-21 2021-10-29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Battery management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external signal
KR102501273B1 (en) * 2020-08-31 2023-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488998B1 (en) 2021-02-03 2023-01-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gent battery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cess data at the edge with standalone IoT devices
CN113098088B (en) * 2021-03-31 2023-08-18 漳州科华技术有限责任公司 Battery module,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2563592B1 (en) 2021-04-30 2023-08-07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ortable battery pack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13364080B (en) * 2021-05-17 2023-08-01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Activation circuit,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cleaning device
CN113285505A (en) * 2021-05-19 2021-08-20 沃太能源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reactivating charging function after serious power shortage of battery
CN113448638B (en) * 2021-07-12 2023-07-28 度普(苏州)新能源科技有限公司 Awakening source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230013577A (en) *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battery system
KR102352308B1 (en) * 2021-07-23 2022-01-17 주식회사유비씨에스 Wake-up apparatus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230055503A (en)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30076011A (en) *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Vehicle diagnostic device for electric vehicle
WO2023097615A1 (en) * 2021-12-02 2023-06-08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Activation circuit,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pack, and electric apparatus
US20240077932A1 (en) * 2022-09-06 2024-03-07 Apple Inc. Wakeup circu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90B1 (en) * 2013-07-02 2015-01-08 주식회사 이아이지 Control device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8760B2 (en) 2000-09-21 2008-03-2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Power management topologies
KR101146378B1 (en) * 2010-06-09 2012-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harging battery pack and system thererwith
KR101582577B1 (en) 2010-08-02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control thereof
KR101193167B1 (en) * 2010-08-06 2012-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charger and charging system
KR20120083023A (en) * 2011-01-17 2012-07-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ystem for charge and discharge of battery pack
KR101765934B1 (en) 2011-06-10 201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Star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80916B2 (en) * 2011-08-09 2014-11-04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ttery management systems
JP5847506B2 (en) 2011-09-14 2016-01-20 株式会社ケーヒン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2013102649A (en) * 2011-11-09 2013-05-23 Makita Corp Battery pack
KR101348633B1 (en) * 2011-12-30 2014-01-10 한국전기연구원 Circuit and method for securing power of charging control device by using dc voltage of battery in electric vehicle
KR101539693B1 (en) * 2012-10-04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waking up multi-bms
KR102165937B1 (en) * 2014-05-30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KR101629172B1 (en) 2014-07-07 2016-06-13 파워소프트 주식회사 Battery management system with self-consumption power down capability
KR101700805B1 (en) 2014-09-04 2017-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system and electric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5098891A (en) 2015-07-23 2015-11-25 合肥工业大学 Common-port charging awakening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059617B1 (en) 2015-09-02 2020-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and for 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battery pack
KR102481905B1 (en) * 2015-09-22 2022-12-27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Battery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CN105515094A (en) * 2015-12-04 2016-04-20 合肥工业大学 Charging wake-up circuit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CN206336142U (en) * 2016-10-28 2017-07-18 广东恒沃动力科技有限公司 Battery management system
CN206264804U (en) * 2016-12-02 2017-06-20 华南理工大学 A kin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auto sleep and the circuit for waking up
KR101741643B1 (en) 2016-12-21 2017-06-15 이텍산업 주식회사 Battery mansgement system with power saving mode circuit
CN106786967B (en) * 2017-01-18 2020-03-06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with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90B1 (en) * 2013-07-02 2015-01-08 주식회사 이아이지 Control device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769A1 (en) 2019-05-16
EP3637532A1 (en) 2020-04-15
US20200052346A1 (en) 2020-02-13
US11205804B2 (en) 2021-12-21
PL3637532T3 (en) 2024-03-25
EP3637532B1 (en) 2023-12-27
JP6881707B2 (en) 2021-06-02
ES2971343T3 (en) 2024-06-04
CN110574217A (en) 2019-12-13
JP2020518096A (en) 2020-06-18
KR20190051477A (en) 2019-05-15
EP3637532A4 (en) 2020-07-22
HUE064869T2 (en) 2024-04-28
CN110574217B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601B1 (en)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0141551B2 (en) Battery system
EP3790151B1 (en) Balancing apparatus,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247393B1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202012B1 (en) Battery back and power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00551B1 (en) Battery back
US10416239B2 (en)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with monitoring integrated circuit selectively powered by a high voltage battery or low voltage power supply powered by a low voltage battery
US20150162763A1 (en) Secondary protection ic, method of controlling secondary protection ic, protection module, and battery pack
CN114072984B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KR20160099357A (en) Battery pack and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050979A1 (en) Charging Management Apparatus,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Electric Vehicle
US11258291B2 (en) Power supply circuit for energy transfer between battery and smoothing capacitor,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KR1023642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harging
KR10224412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switching device
KR1023873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secondary battery
JP2019198195A (en) On-vehicle lithium ion battery control device
WO2024007983A1 (en) Dual-battery switch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4135101A1 (en) Device for managing battery
KR20220132940A (en)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and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1008781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lay
KR202201671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 discharge
KR20210051540A (en) Battery switching apparatus
KR2020002790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