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496B1 - 타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타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496B1
KR102256496B1 KR1020210035125A KR20210035125A KR102256496B1 KR 102256496 B1 KR102256496 B1 KR 102256496B1 KR 1020210035125 A KR1020210035125 A KR 1020210035125A KR 20210035125 A KR20210035125 A KR 20210035125A KR 102256496 B1 KR102256496 B1 KR 10225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astening member
fastening
fastened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옥
Original Assignee
김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옥 filed Critical 김선옥
Priority to KR102021003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 끝단이 타일의 상부 양 측면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상부 제1체결부재; 양 끝단이 타일의 상단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상부 제2체결부재; 양 끝단이 타일의 하부 양 측면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하부 제1체결부재; 양 끝단이 타일의 하단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하부 제2체결부재; 및 좌우측단이 절곡되어 결합부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제1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제1관통홀과, 상부 및 하부 제2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패널;을 포함하되, 상부 및 하부 제1체결부재는 제1관통홀과 결합되는 부분이 제1절곡각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 제2체결부재는 제2관통홀과 결합되는 부분이 제2절곡각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타일 체결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tile}
본 발명은 타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타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어셈블리는 벽면 및 천장에 시공된다. 이 때, 패널 어셈블리는 지지프레임을 먼저 벽면 및 천장에 설치하여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외부패널을 결합한다. 상기 외부패널의 일측에는 나사 등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패널의 서로 인접하여 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패널을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에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 등으로 지지프레임에 외부패널을 고정하는 경우 패널 어셈블리를 조립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나사 등이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저감시키고 외부의 사용자가 나사 등으로 인하여 신체상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587호(2017.2.15 공개)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체결시킬 수도 있다.
외부패널의 외면에는 타일(tile)이 추가로 시공될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외부패널과 타일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하여 결합후에 타일이 분리 이탈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타일이 외부패널이 접착된 이후 예기치 않게 분리 이탈될 경우, 지나가는 행인에게 떨어질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5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타일을 간편하여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는, 양 끝단에 타일의 상부 양 측면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상부 제1체결부재; 양 끝단에 타일의 상단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상부 제2체결부재; 양 끝단에 타일의 하부 양 측면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하부 제1체결부재; 양 끝단에 타일의 하단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하부 제2체결부재; 및 좌우측단이 절곡되어 결합부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제1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제1관통홀과, 상부 및 하부 제2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패널;을 포함하되, 상부 및 하부 제1체결부재는 제1관통홀과 결합되는 부분이 제1절곡각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 제2체결부재는 제2관통홀과 결합되는 부분이 제2절곡각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절곡각은 제2절곡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외부패널에는 상부 제2체결부재, 상부 제1체결부재, 하부 제1체결부재, 하부 제2체결부재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패널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끼움부는, C채널과, C채널에 체결된 클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발생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타일을 외부패널에 체결할 수 있으며,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와 타일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보다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가 설치될, 클립이 체결된 C채널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가 C채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와 타일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보다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는, 세로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장방형의 판재로 구성된 외부패널(110)과, 외부패널(110)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을 포함한다.
외부패널(110)은, 좌우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부(111)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결합부(11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관통홀(111a)과 제2관통홀(111b)이 각각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부패널(110)은, 후술될 클립(미도시)가 체결된 C채널(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 부분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끼움부(113)가 각각 구비된다. 이에 따라 끼움부(113)가 클립(미도시)와 C채널(미도시)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게 된다.
제1체결부재(120)는, 기계적 강성을 가지며 선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재(120)는 타일(150)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변형후 복원력을 갖는 탄성 소재, 일례로 철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체결부재(120)는, 양 끝단이 타일(150)의 양 측면 에지에 체결되도록 구부러지게 형성된 갈고리(121)가 구비된다. 또한, 제1체결부재(120)는 외부패널(110)의 좌우측 결합부(111)에 각각 형성된 제1관통홀(111a)을 모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제1관통홀(111a)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분은 소정 각도(제1절곡각)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123)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재(130)는, 제1체결부재(120)와 같이 기계적 강성을 갖는 선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체결부재(130)는 양 끝단이 타일(150)의 상단 또는 하단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131)가 구비되며, 외부패널(110)의 좌우측 결합부(111)에 각각 형성된 제2관통홀(111b)을 모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제2관통홀(111b)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분은 소정 각도(제2절곡각)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133)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제1절곡부(123)의 제1절곡각과 제2절곡부(133)의 제2절곡각은, 모두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가 타일(150)과의 체결을 위해 변형되기 전의 각도이다.
여기서,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가 변형되기 전인 상태인 도 1에 도시된, 제1절곡부(123)의 제1절곡각과 제2절곡부(133)의 제2절곡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체결부재(120)에 형성된 제1절곡각이 제2체결부재(130)에 형성된 제2절곡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1절곡각은 대략 90도에 가깝게 형성되고, 제2절곡각은 90도보다 큰 둔각으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체결부재(130)는 제2절곡각을 갖지 않고 직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절곡각을 가질 경우에는 제2체결부재(130)가 제2관통홀(111b)에 끼워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와 타일(150)이 체결될 때에는 그 절곡각이 변형되는데, 체결시의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체결부재(120)는 외부패널(110)의 결합부(1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제2체결부재(130)도 외부패널(110)의 결합부(1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제1체결부재(120)의 상측에 상부 제2체결부재(130)가 배치되고, 하부 제1체결부재(120)의 하측에 하부 제2체결부재(130)가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외부패널(110)에 상부 제2체결부재(130), 상부 제1체결부재(120), 하부 제1체결부재(120), 하부 제2체결부재(130) 순서로 결합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는,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절곡각이 형성된 상태로 외부패널(110)에 결합되고,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를 변형시켜 갈고리(121,131)의 위치를 변경하여 타일(150)의 양 측면 에지 및 상단 또는 하단 에지에 체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타일(150)과 외부패널(110)이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의 최초 제1절곡각 및 제2절곡각이 변경되며, 탄성소재인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에서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는,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의 변형후 발생되는 상기 복원력에 의해 타일(150)과 외부패널(110)을 견고하게 체결시키게 되는데, 체결상태에서 발생되는 복원력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체결부재(120)는 도 1에서 대략 90도 부근의 제1절곡각을 가졌지만 타일(150)과 체결된 상태에서는 90도보다 더 벌어진 둔각으로 변형되어 복원력은 x방향으로(즉, 타일(150)의 측면에서 내부방향으로) 발생된다. 또한, 제2체결부재(130)는 도 1에서의 제2절곡각보다 더 좁혀진 둔각으로 변형되어 복원력은 y방향으로(즉, 타일(150)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내부방향으로)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에서 발생된 복원력은 x방향 및 y방향으로 동시에 작용되어 타일(150)과 외부패널(110)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타일(150)과 결합된 외부패널(110)은 이후, 도 5에 도시된 클립(30)이 체결된 C채널(20)에 장착된다.
C채널(20)은 단면이 대략 'C'형태로 형성된 프레임이며,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10)과 수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C채널(20)과 지지프레임(10)의 체결을 위해서는 연결브라켓(21)이 사용된다.
여기서, C채널(20)에는 C채널(20)의 일부 단면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워지는 클립(30)이 체결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C채널(20)과 클립(30)이 체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타일 체결장치에 포함된 외부패널(110)의 끼움부(113)가 C채널(20)과 클립(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가 C채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타일(150)과 외부패널(110)이 상부 및 하부의 제1체결부재(120) 및 제2체결부재(130)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는, C채널(20)에 체결된 클립(30)에 의해 C채널(20)에 장착된다.
즉, 클립(30)과 C채널(20) 사이로 외부패널(110)의 끼움부(113)가 끼워지게 되고, 탄성소재로 형성된 클립(30)은 끼움부(113)를 탄성회복력에 의해 끼움부(113)를 가압함으로써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클립(30)과 체결되는 끼움부(113)의 대응되는 부분 일부를 절개하여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C채널(20)과 클립(30) 사이에 끼움부(113)가 끼워져 장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단면이 사각형인 클로즈드 셀(Closed Cell)의 사각 프레임에 결합된 다른 형태의 클립(미도시)에 끼움부(113)가 끼워져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 체결장치는 다수의 탄성 체결부재(120,130)를 변형시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타일(150)을 외부패널(110)에 체결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타일(150)을 외부패널(110)에 체결하며,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프레임
20: C채널
30: 클립
110: 외부패널
120: 제1체결부재
121,131: 갈고리
123: 제1절곡부
130: 제2체결부재
133: 제2절곡부
150: 타일

Claims (5)

  1. 양 끝단에 타일의 상부 양 측면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상부 제1체결부재;
    양 끝단에 타일의 상단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상부 제2체결부재;
    양 끝단에 타일의 하부 양 측면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하부 제1체결부재;
    양 끝단에 타일의 하단 에지에 체결되도록 갈고리가 구비되는 하부 제2체결부재; 및
    좌우측단이 절곡되어 결합부가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제1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제1관통홀과, 상부 및 하부 제2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패널;을 포함하되,
    상부 및 하부 제1체결부재는 제1관통홀과 결합되는 부분이 제1절곡각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 제2체결부재는 제2관통홀과 결합되는 부분이 제2절곡각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하는, 타일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절곡각은 제2절곡각보다 작게 형성되는, 타일 체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패널에는 상부 제2체결부재, 상부 제1체결부재, 하부 제1체결부재, 하부 제2체결부재 순서로 배치되는, 타일 체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외부패널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움부가 구비되는, 타일 체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끼움부는,
    C채널과, C채널에 체결된 클립 사이에 끼워지는, 타일 체결장치.
KR1020210035125A 2021-03-18 2021-03-18 타일 체결장치 KR10225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25A KR102256496B1 (ko) 2021-03-18 2021-03-18 타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25A KR102256496B1 (ko) 2021-03-18 2021-03-18 타일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496B1 true KR102256496B1 (ko) 2021-05-26

Family

ID=7613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25A KR102256496B1 (ko) 2021-03-18 2021-03-18 타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719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광스틸 착탈식 금속 패널 시스템
KR20170000587U (ko) 2015-08-04 2017-02-15 이해식 판넬 고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719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광스틸 착탈식 금속 패널 시스템
KR20170000587U (ko) 2015-08-04 2017-02-15 이해식 판넬 고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029B1 (ko) 내진 창호 새시의 코너피스
KR101950250B1 (ko) 프레임 조립용 브라켓
CA2597186A1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JP6548427B2 (ja) 外壁部材の留付補助具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256496B1 (ko) 타일 체결장치
KR101473753B1 (ko) 텐션클립을 이용한 패널
JP4120818B2 (ja) 壁体支持構造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209590B1 (ko) 지지철물
JP5238217B2 (ja) 壁パネル
JP6050032B2 (ja) 窓接続枠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102111802B1 (ko) 칸막이 조립체
KR101827504B1 (ko) 구조보강용 고정바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판넬조립체
KR101975087B1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평고정장치
JP2014125836A (ja) 金属製建具における竪枠と横枠の接続部の防水構造
JP5022306B2 (ja) 建物ユニットにおける床板支持構造
JP4943934B2 (ja) 目隠しパネルの固定構造
JP5650931B2 (ja) 連段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7150839U (zh) 一种用于幕墙立柱与横梁的连接件
CN212810985U (zh) 一种电气箱单元及组合电气箱
JP5886593B2 (ja) 格子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7150144A (ja) 太陽光発電装置
JP6184744B2 (ja) 屋外構造物の屋根
KR102307231B1 (ko)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