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11B1 -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811B1
KR102254811B1 KR1020200156251A KR20200156251A KR102254811B1 KR 102254811 B1 KR102254811 B1 KR 102254811B1 KR 1020200156251 A KR1020200156251 A KR 1020200156251A KR 20200156251 A KR20200156251 A KR 20200156251A KR 102254811 B1 KR102254811 B1 KR 10225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earring member
mask
face mask
ea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길
전성욱
Original Assignee
엄성길
전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성길, 전성욱 filed Critical 엄성길
Priority to KR102020015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먼지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안면 마스크(100)에 관한 것으로써, 마스크 본체(10)와 귀걸이 부재(30)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부착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안면 마스크(100)의 생산성이 증대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 Disposable face mask having a detachable ear band }
본 발명은 미세 먼지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안면 마스크로서, 특히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의 기후 변화로 자주 발생되는 황사 등 자연적인 대기 환경의 악화와, 경제 발전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에 의한 대기 오염 등으로 발생하는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 등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미세먼지가 인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기관지 및 폐에 악영향을 끼쳐 호흡기 질환, 뇌졸중, 심근경색,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등과 같은 질병으로 발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세먼지 뿐 아니라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이 바이러스 등으로 대표되는 세균이다. 바이러스는 핵산 성분으로서 DNA 또는 RNA를 보유하고, 생세포에 기생하여 증식하는 구조체이며, 공기 감염 혹은 비말(飛沫) 감염되기 때문에, 특히 공기가 건조한 겨울철에 사람들 사이에서 전염될 수 있다.
안면 마스크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러한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respiratory system)를 보호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호흡기로부터 주변으로 방출되는 분비물 을 차단하기 위하여 안면부에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안면 마스크는 외부 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안면부를 덮어 분진이나 이물질의 유입과 방출을 차단하도록,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착용자의 양쪽 귀에 걸어주기 위한 걸이 수단인 귀걸이 끈으로 구성되어, 상기 귀걸이 끈을 착용자의 귀에 걸어 안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안면 마스크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341호(2004. 12. 17.)에는 본체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활성탄 함침 부직포, 미세먼지 방진용 넬브루 및 원적외선용 토르마린 분말 코팅한 부직포면을 삽입 설치하고 마스크 본체를 양면에 1 내지 4번 주름진 구조로 형성하여 마스크 착용시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주며 코와 안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기능성 웰빙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5804호(2019. 11. 04.)에는 마스크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이어밴드와 상기 마스크의 겉면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조절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과홀에 상기 이어밴드의 타측을 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당김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어밴드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안면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면 마스크는 부직포를 재단하여 마스크 본체를 제조한 후, 상기와 같이 재단된 마스크 본체의 양측 말단에 귀걸이 끈을 부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마스크 본체의 양측말단에 귀걸이 끈의 부착공정은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 공정을 통해 실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면 마스크의 생산속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면 마스크의 제조시 귀걸이 끈의 부착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안면 마스크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고, 또한 길이의 조절이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 및 이를 이용한 안면 마스크는, 외피층(51)과 안면접촉층(53) 및 상기 외피층(51)과 안면접촉층(53)의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층(52)으로 구성되는 마스크 본체(10);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15);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체결하는 귀걸이 부재(30); 및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중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착용 시에 자유절곡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코 지지 밴드(120);로 구성되되,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는 상기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에는 돌기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실리콘 고무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32)는 둥근 막대형 또는 반구형이 바람직하며,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중앙부는 밴드 형상으로 두껍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는, 제조시 마스크 본체(10)에 구비되는 귀걸이 부재(30)의 부착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특히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격이 저렴한 안면 마스크(100)를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는 착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귀걸이 부재(30)를 장착하므로, 초기 제품 포장 시에 포장제품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누구나 쉽게 귀걸이 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범위를 확대시켜 판매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안면 마스크(100)의 착용시 마스크 본체(10)만을 교체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반복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동시에 안면 마스크(100) 사용에 따른 유지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100) 제조용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의 확대도이며,
도 4는 안면 마스크(100)의 종류에 따른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 및 이를 이용한 안면 마스크(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100) 제조용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의 확대도이며, 도 4는 안면 마스크(100)의 종류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부의 코와 입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써, 외피층(51)과 안면접촉층(53) 및 상기 외피층(51)과 안면접촉층(53)의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층(52)으로 구성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15)과, 양측 말단부에 복수 개의 돌기부(32)가 형성되는 귀걸이 부재(30); 및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중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착용 시에 자유절곡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코 지지 밴드(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15)에 억지끼움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착용자의 안면부의 코와 입을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가 요구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착용자의 안면부의 코와 입을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하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는 최상부층에는 외피층(51)으로서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층(51)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층(52)인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필터층(52)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기계적 물성이 약하여 외력 등에 의해 찢어지기 쉬우므로, 이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외피층(51)으로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외피층(51)은 필요한 강도 및 적당한 강성을 필터층(52)에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20 ~ 60 g/m2의 평량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피층(51)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펀본드(spunbond), 스펀레이스(spunlace) 또는 서멀본딩(thermal bonding) 중 어느 하나의 부직포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피층(51)의 하부에는 상기 안면 마스크(100)에 여과성을 부여하기 위한 필터층(52)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필터층(52)은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로 구성되며, 그 평량은 20 ~ 50 g/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층(52)은 공기 정화 기능 즉,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나 분진 등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층(52)은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상하부의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사이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구비되는 부직포 적층체로서, 상기 기계적 물성이 약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스펀본드 부직포층을 구비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부직포 적층체이다.
상기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경량으로서 부드럽고 다공성으로 통기성이 우수하며, 또한 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필터층(52)의 하부에는 안면접촉층(53)이 구비되고, 상기 안면접촉층(53)은 폴리올레핀 부직포층 또는 천연섬유 부직포층;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면접촉층(53)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유연하고 피부 자극이 없는 인체 친화적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면접촉층(53)은 평량이 20 ~ 80 g/m2인 폴리올레핀 부직포층 또는 천연섬유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면접촉층(53)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펀본드(spunbond), 스펀레이스(spunlace) 또는 서멀본딩(thermal bonding) 중 어느 하나의 부직포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안면접촉층(53)이 천연섬유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천연섬유는 면섬유, 마섬유 또는 대나무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층은 스펀레이스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천연섬유로 구성된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안면접촉층(53)으로 사용하게 되면, 상기 천연섬유는 친수성을 띄고 있어 인체 친화적인 안면 마스크(100)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연하고, 피부밀착성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촉감의 발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면접촉층(53)의 평량은 20 ~ 80 g/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안면접촉층(53)으로 적용되는 폴리올레핀 부직포층 또는 천연섬유 부직포층의 평량은 20 ~ 8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면접촉층(53)으로 적용되는 폴리올레핀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이 80 g/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간 공간이 부족하여, 공기투과도가 떨어져 착용자의 호흡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접촉층(53)으로 적용되는 폴리올레핀 부직포 또는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이 20 g/m2 미만인 경우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간 공간이 커서, 분진 또는 바이러스와 세균 등의 차단성이 부족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10)는 상기와 같이 외피층(51), 필터층(52) 및 안면접촉층(53)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로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하는 경우에 유연성 및 피부와의 밀착감이 우수하게 된다. 특히 기계적 물성이 증대되어 사용과정에서 찢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방진 효율이 우수한 안면 마스크(100)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본체(10)를 형성하는 다층구조의 부직포 시트(50)는 외피층(51)과 상기 외피층(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층(52) 및 안면접촉층(53)으로 구성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말단의 상하부에는 체결공(1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15)은 마스크 본체(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귀걸이 부재(30)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체결공(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 부재(30)의 말단부를 삽입하여 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공(15)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말단의 상하부에 적절한 크기로 타공되어 형성되며, 착용자가 상기 체결공(15)에 귀걸이 부재(30)의 말단부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착용자가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공(15)은 안면 마스크(100)의 제조공정시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구성하는 다층구조의 부직포 시트(50)가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컷팅롤러(미도시)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의 컷팅롤러와 하부의 컷팅롤러의 표면에는 체결공(15)을 형성할 수 있는 컷팅 나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컷팅 나이프를 구비하는 상부 및 하부의 컷팅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구성하는 다층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양측 말단의 상하부에 체결공(15)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공(15)의 크기는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직경이 2 ~ 10 mm 인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공(15)의 직경이 2 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공(15)의 크기가 작아서 착용자가 귀걸이 부재(30)의 체결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15)의 직경이 10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공(15)에 귀걸이 부재(30)의 체결시 마스크 본체(10)가 굴곡되어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공(15)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공(15)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체결공(15)의 형상은 귀걸이 부재(30)를 적절하게 체결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제한없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체결공(15)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에는 이후에 상기 체결공(15)으로 부터 부직포의 구성섬유가 풀리거나 또는 체결공(15)의 경계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공(15)의 일단을 열 또는 초음파를 통해 융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체결공(15)의 경계면을 융착하여 마감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100)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말단 상하부에 형성된 체결공(15)에는 착용자가 안면 마스크(100)를 상기 착용자의 양측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귀걸이 부재(30)가 체결된다.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에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돌기부(32)는 이후에 상기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체결공(15)에 억지끼움되어 체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체결공(15)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32)가 형성된 귀걸이 부재(30)의 말단의 크기는 상기 체결공(15)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3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형상이 둥근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 마스크(100)의 장시간 착용시 귀의 통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의 폭이 넓은 밴드 형상으로 넓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안면 마스크(100)의 제조시 사용되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귀걸이 끈은 폭이 좁아서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 귀를 압박하여 착용자의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시간 착용시 귀걸이 부재(30)에 의한 통증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앙부의 폭이 넓은 밴드 형상의 귀걸이 부재(3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신축성이 큰 실리콘고무 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특히 양측 말단부에 돌기부(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스크 본체에 구비되는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32)가 형성된 귀걸이 부재(30)가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확실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부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구비되는 체결공(15)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삽입하여 끼움으로써, 상기 귀걸이 부재(30)가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체결되어 결속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이다.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부여하고, 상기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켜 방진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길이는 80 ~ 30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귀걸이 부재(30)는 안면 마스크의 착용시 착용자가 자신의 얼굴에 맞도록 체결공(15)에 돌기부(32)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적절하게 그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다.
즉, 안면 마스크(100)의 착용시 얼굴이 큰 착용자의 경우에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귀에 가해지는 압박감으로 인해 통증을 유발하여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수 있고, 반면에 얼굴이 작은 착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길이가 길게 되면 안면 마스크(100)와 착용자의 안면부와의 밀착성이 떨어지면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먼지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여과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부재(30)는 상기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돌기부(32)에 의해 그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100 ~ 200 %의 신장율을 갖는 것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안면에 밀착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황사 등의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등의 세균으로부터 완전한 밀폐기능 갖게 됨으로써, 방진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신장율이 100 % 미만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안면부가 압박되어 착용이 불편할 수 있고,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신장율이 2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안면부에 대한 밀착력이 떨어져서 방진효과가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신장율은 100 ~ 200 %의 범위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부재(30)는 액상 실리콘 고무를 원료로 이용하여 액상실리콘사출기를 통해 금형에 사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e Rubber, 이하 LSR), 즉 LSR은 인체에 무해하고 내열, 절연, 난연 등의 안정적인 물성으로 의료, 전자제품, 생활가전, 화장품,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부재(30)는 신축성이 뛰어난 실리콘 고무로 제조됨으로써, 착용자가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하였을 때 그 길이조절이 용이하여 안면부와의 밀착성을 높힐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귀걸이 부재(30)는 착용자가 안면 마스크(100)의 마스크 본체(10)에 구비되는 체결공(15)에 체결하여 사용하게 되고, 사용 후에는 상기 귀걸이 부재(30)를 탈착하여 마스크 본체(10)와 별도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의 착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자가 착용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15)에 별도로 구비되는 귀걸이 부재(30)의 말단부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고무로 형성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에는 돌기부(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는 상기 돌기부(32)를 가압하거나 변형을 가하여 용이하게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를 체결공(15)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를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상하부에 구비되는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착용자는 상기 귀걸이 부재(30)를 착용자의 양측 귀에 걸어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착용자는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32)를 이용하여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착용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귀걸이 부재(30)의 착용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돌기부(32)를 상기 체결공(15)에 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착용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외측에 구비되는 돌기부(32)를 상기 체결공(15)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는 돌기부(32)를 이용하여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착용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는 일정 시간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상기 귀걸이 부재(30)를 탈착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다른 마스크 본체(10)와 체결함으로써 상기 귀걸이 부재(30)를 지속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즉, 안면 마스크의 사용 후 마스크 본체(1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반복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동시에 안면 마스크(100) 사용에 따른 유지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100)는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PVC 등으로 코팅된 코 지지 밴드(120)가 삽입되어 부착된다.
상기 코 지지 밴드(120)는 착용자가 안면 마스크(10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안면 마스크(100)와 착용자의 안면부와의 밀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삽입되어 초음파융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부착된다.
즉, 코 지지 밴드(120)가 PVC 등의 합성수지로 코팅된 상태에서 외피층(51), 필터층(52) 및 안면접촉층(53)으로 구성되는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초음파 융착 또는 열융착됨으로써, 착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자유절곡되어 안면부와의 밀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된 코 지지 밴드(120)가 코를 중심으로 안면의 굴곡에 맞게 변형되어 밀착됨으로서, 세균 또는 박테리아가 비강 및 구강의 내부로부터 밖으로 유출되거나 또는 반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안면 마스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굴곡면을 갖는 1폴드형(a)과, 2개의 굴곡면을 갖는 2폴드형(b) 및 3개의 굴곡면을 갖는 3폴드형(c)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는 상기 1폴드형과 2폴드형 및 3폴드형의 안면 마스크(10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30)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는, 제조시 마스크 본체(10)에 구비되는 귀걸이 끈의 부착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특히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격이 저렴한 안면 마스크(100)를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누구나 쉽게 귀걸이 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사용범위를 확대시켜 판매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 본체
15 : 절개부
51 : 외피층
52 : 필터층
53 : 안면접촉층
100 : 안면 마스크
110 : 귀걸이 끈

Claims (5)

  1. 착용자의 안면부의 코와 입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안면 마스크(100)로서,
    외피층(51)과 안면접촉층(53) 및 상기 외피층(51)과 안면접촉층(53)의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층(52)으로 구성되는 마스크 본체(10);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15);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체결하는 귀걸이 부재(30)로서, 양측 말단에는 돌기부(32)가 형성되는 귀걸이 부재(30); 및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중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착용 시에 자유절곡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코 지지 밴드(120);로 구성되되,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양측 말단부는 상기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부재(30)는 실리콘 고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32)는 둥근 막대형 또는 반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부재(30)의 중앙부는 밴드 형상으로 두껍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귀걸이 부재(3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

KR1020200156251A 2020-11-20 2020-11-20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10225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51A KR102254811B1 (ko) 2020-11-20 2020-11-20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251A KR102254811B1 (ko) 2020-11-20 2020-11-20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811B1 true KR102254811B1 (ko) 2021-05-21

Family

ID=7615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251A KR102254811B1 (ko) 2020-11-20 2020-11-20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8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18B1 (ko) * 2021-03-05 2022-01-13 김중학 마스크용 밴드
KR20230072049A (ko) * 2021-11-17 2023-05-24 안병로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979B1 (ko) * 2019-05-16 2019-12-31 김회철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00116334A (ko) * 2019-04-01 2020-10-12 이명자 필터 교체형 방진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334A (ko) * 2019-04-01 2020-10-12 이명자 필터 교체형 방진 마스크
KR102060979B1 (ko) * 2019-05-16 2019-12-31 김회철 끈 조절 기능을 갖는 마스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18B1 (ko) * 2021-03-05 2022-01-13 김중학 마스크용 밴드
KR20230072049A (ko) * 2021-11-17 2023-05-24 안병로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566250B1 (ko) * 2021-11-17 2023-08-10 안병로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4180B2 (ja) マスク
KR102254811B1 (ko) 탈부착이 가능한 귀걸이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102279769B1 (ko) 마스크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JP2007021025A5 (ko)
KR101361012B1 (ko) 마스크
KR20190104651A (ko)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CN210471100U (zh) 防眼镜起雾口罩
JP2011160944A (ja) マスク
WO2015193408A1 (en) A seal forming structure for a patient interface and a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al forming structure
CN204838103U (zh) 一种可平面、立体佩戴的两用式新型口罩
KR102157462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코 지지 밴드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JP2007021028A (ja) マスク
CN212065765U (zh) 医用防护口罩
JP2007021026A (ja) マスク
KR102284097B1 (ko) 개인맞춤형 방진 마스크 및 개인맞춤형 방진 마스크 제작방법
JP2018084016A (ja) 耳用マスク部または挿入体付きの口鼻用マスク。
CN218303532U (zh) 口罩
KR102221198B1 (ko) 착용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
JP2007021032A (ja) マスク
KR102312277B1 (ko) 초음파 융착 투명마스크
JP2007021032A5 (ko)
CN212574202U (zh) 一种医用防护口罩
JP2016176165A (ja) マスク
CN215603340U (zh) 一种入耳式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