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412B1 - Module for supporting cable - Google Patents

Module for supporting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412B1
KR102254412B1 KR1020200092816A KR20200092816A KR102254412B1 KR 102254412 B1 KR102254412 B1 KR 102254412B1 KR 1020200092816 A KR1020200092816 A KR 1020200092816A KR 20200092816 A KR20200092816 A KR 20200092816A KR 102254412 B1 KR102254412 B1 KR 10225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xtension part
connection extension
cable
re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섭
Original Assignee
권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2020009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support module. The cable support module includes: a body part for supporting a cable; a side rail forming a fastening hole and an insertion hol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Therefore, the cable support module can be easily assembled.

Description

케이블 지지모듈{Module for supporting cable}Cable support module {Module for support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배선, 통신선 등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support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support module for supporting cables such as electrical wiring and communication lines.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In general, in tunnels, factories, offshore structures, etc., cables of large and small diameters are arranged along ceilings, floors, and walls to supply power or fluid.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Cables arranged in this way should not be aesthetically pleasing or cause discomfort to passers-by.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Therefore, a cable tray is used to support and fix the cables in an orderly and arranged state.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레일과, 사이드 레일들을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지지모듈(렁)로 이루어진다.The cable tray is a support made of non-combustible or metal material for supporting cables, and includes side rail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ing left/right sides, and a support module (rung) that connects the side rails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의 결합방식은 용접, 나사체결, 끼움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The method of connecting the side rail and the rung of the cable tray is a method of connecting and fixing using methods such as welding, screwing, and fitting.

한편,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을 결합 시공하는 구조는 주로 천정에 설치되는데 이때 케이블을 증설하거나 수리하는 경우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에 올라가서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케이블과 작업자의 중량이 더 해지므로 작업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고 강도가 강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combining the side rail and the rung of the cable tray is mainly installed on the ceiling. In this case, when extending or repairing the cable, the worker climbs the cable tray and the work is performed. As the weight of the cable and the worker increases, the work load It must be sturdy and strong enough to withstand it.

케이블 트레이의 구조가 약하면 사이드 레일이 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고 기울어지는 등의 현상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f the structure of the cable tray is weak, there is a problem that safety accidents occur due to phenomena such as bending or twisting of the side rail and tilting.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과 렁의 연결부분이 취약하여 연결부를 보다 강하게 하도록 요구되어 왔는바, 시공이 용이하고 외관이 우수하며 강도가 우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렁을 필요로 하였다.In particular, since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side rail and the rung of the cable tray is weak, it has been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part. Therefore, a rung that can be firmly fixed due to its easy construction, excellent appearance, and excellent strength was required.

이에,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1359호(2019.09.16.등록)에서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개시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disclosed a cable support module and a cable tray including the sam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21359 (registered on September 16, 2019).

그러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렁을 사이드 레일에 조립할 때, 렁이 사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숙련된 작업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assembling the rung to the side rail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skilled work to prevent the rung from swinging based on the side rai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한 케이블 지지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cable support module that is easy to assemb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 및 소정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사이드 레일;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 연결구속부 및 제2 연결구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1-1 연결구속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2 연결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1 연결구속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2 연결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A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supporting a cable; Side rails forming a fastening hole and a predetermine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by the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body part comprises a body support part supporting the cable, and one end of the body support part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disposed. And a first body extension part and a second body extension part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wherein the connection part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form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a width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spaced apart in a direction and forming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a connection body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main body extension part are pressed and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by restraining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or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extending from th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restrain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restraint part for limiting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restraint part is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to limit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and the first-1 connection constraint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1-2 limiting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restraint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Is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2-1 connection restriction part and the 2-1 connection restriction part limiting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2 A 2-2 connection restriction part for limiting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and the 1-2 connection restriction part and the 2-2 connection restriction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에 의하면 작업자가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ssemble.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개략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의 개략 부분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hange, or delete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 및 소정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사이드 레일;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 연결구속부 및 제2 연결구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1-1 연결구속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2 연결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1 연결구속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2 연결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A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supporting a cable; Side rails forming a fastening hole and a predetermine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by the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body part comprises a body support part supporting the cable, and one end of the body support part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disposed. And a first body extension part and a second body extension part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wherein the connection part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form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a width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spaced apart in a direction and forming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a connection body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main body extension part are pressed and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by restraining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or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extending from th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restrain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restraint part for limiting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restraint part is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to limit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and the first-1 connection constraint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1-2 limiting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restraint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Is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2-1 connection restriction part and the 2-1 connection restriction part limiting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2 A 2-2 connection restriction part for limiting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and the 1-2 connection restriction part and the 2-2 connection restriction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의 개략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of a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inferior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been simplified or omitt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케이블이 낙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1 to 6, the cable suppor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a cable and may prevent the cable from falling.

다만,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가 필요한 어느 물건을 지지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However, the cable support module is not limited to supporting the cable, and it is obvious that it may correspon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supports any object requiring support.

일례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able support module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0 for supporting a cable.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 상에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ble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이드 레일(200)에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케이블의 하중을 상기 사이드 레일(20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rail 200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load of the cable may be transmitted to the side rail 200.

여기서, 일례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은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체결홀(H1) 및 소정의 삽입홀(H2)을 형성하는 사이드 레일(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cable suppor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hole H1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T is fastened and a side rail 200 forming a predetermined insertion hole H2.

일례로, 상기 사이드 레일(200)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케이블의 하중을 전달받을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side rails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receive a load of a cable from the main body 100.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사이드 레일(200)간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일례로 볼트(T1)와 너트(T2)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T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main body 100 and the side rail 200 and may be, for example, a bolt T1 and a nut T2.

다만,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볼트(T1) 및 상기 너트(T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등과 같은 구성일 수도 있고,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fastening member (T) is not limited to the bolt (T1) and the nut (T2), may be a configuration such as a screw, etc., if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func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from the stand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일례로, 상기 사이드 레일(200)은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삽입되는 상기 체결홀(H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H1)와 인접한 영역에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부(300)가 삽입/고정되는 상기 삽입홀(H2)을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ide rail 200 may form the fastening hole H1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T is fastened/inserted, and a connection part 300 to be described below in a region adjacent to the fastening hole H1. The insertion hole (H2) into which) is inserted/fixed may be formed.

여기서, 일례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T)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연결되는 연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cable suppor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ed to the body part 100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200 by the fastening member T.

일례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사이드 레일(200)간의 연결을 연계하는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part 100 and the side rail 200.

일례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단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T)를 통해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연결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사이드 레일(200)간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ody part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rail 20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T, and as a result, the body part 100 A connection between the and the side rail 200 may be implemented.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 상기 사이드 레일(200) 및 상기 연결부(300)는 스틸재질 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등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00, the side rail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made of ste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110), 상기 연결부(3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제2 본체연장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main body part 100 is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support part 110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S in which the main body support part 110 for supporting the cable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re arranged. A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a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respectively extending may be provided.

일례로,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ody support part 110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to support the cable disposed between the side rails 200.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각각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절곡/연장되어 상기 배치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are respectively bent/extende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support part 110 to the placement space (S). Can be formed.

일례로, 상기 연결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지지부(110),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커버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part 300 is disposed on the arrangement space S, and is provided by the main body support part 110, the first main body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It can be covered and protected from external forces.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H3)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320),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H4)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330)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part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forming a first through hole H3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T is fastened, and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a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forming a second through hole H4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T is fastened, and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body portion 310.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형성된 체결홀(H1)을 지나 상기 제1 관통홀(H3)에 체결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 관통홀(H3)을 지나 상기 제2 관통홀(H4)에도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T may pass through a fastening hole H1 formed in the side rail 200 and be fastened to the first through hole H3, and further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H3. It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H4 as well.

일례로, 상기 제1 관통홀(H3) 및 상기 제2 관통홀(H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T)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through hole H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4 correspond to the thread of the fastening member T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T having a thread can be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hole H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4. Thread can be formed.

일례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일례로, 상기 연결본체부(31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에 가해진 외력을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에 가해지 외력을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body 31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and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일례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는 상기 연결본체부(3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may be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connection body part 310.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 또는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in the connection part 300,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are pressed and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or the second By constraining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i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100.

일례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를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를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onnection part 300,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is deformed by pressing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by an external force. At the same time,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o restra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to restrain the body part 100. ) Can be connected.

여기서, 구속의 의미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가압 변형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meaning of restraint mean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is the pressure-deformed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It may mean that the position movement is restricted by (130).

그 결과,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배치공간(S)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fixed to the body part 1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arrangement space S.

한편, 일례로, 상기 연결본체부(310)는 제3 관통홀(H5)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3 관통홀(H5) 상으로 삽입되는 변형부(K4)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body 310 forms a third through hole H5, and the body support 110 is deformed by pressure by an external force and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H5. It can have a part (K4).

일례로, 상기 변형부(K4)는 상기 배치공간(S)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관통홀(H5) 상으로 돌출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formable part K4 may protrude into the arrangement space S, and may be protruded and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H5.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본체부(310)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 연결구속부(340) 및 제2 연결구속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part 300 extends from the connection body part 3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are modified. A first connection restriction unit 340 and a second connection restriction unit 350 may be further provided.

일례로, 상기 제1 연결구속부(340)와 상기 제2 연결구속부(350)는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340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35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일례로, 상기 연결본체부(310)는 상기 제1 연결구속부(340)와 상기 제2 연결구속부(350)를 연결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body 310 may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restriction 340 and the second connection restriction 350.

일례로, 상기 제1 연결구속부(340)와 상기 제2 연결구속부(350)는 상기 연결본체부(3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binding portion 340 and the second connection binding portion 350 may be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connection body portion 310.

일례로, 상기 제1 연결구속부(340) 및 상기 제2 연결구속부(350)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가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속하기 위해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가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속하기 위해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될 때,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As an example, in the first connection restriction part 340 and the second connection restriction part 350,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is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 330) and the second main body extension part 130 to restra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by external force. When the pressure is deformed by the pressure,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may be limite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작업자는 상기 연결부(300)를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하기 위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를 상기 배치공간(S)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the operator, 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ion part 300 to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5(b), the first main body extension 120 and the second main body The extension part 130 may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S).

이 때,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상기 배치공간(S) 방향으로 돌출 변형될 수 있으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는 상기 폭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may protrude and defor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S by a pressing force, and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330 may be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만약,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가 상기 폭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T)가 상기 제1 관통홀(H3) 및 상기 제2 관통홀(H4)에 체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are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astening member T may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H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cannot be fastened to the hole H4.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상기 제1 연결구속부(34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1 연결구속부(341) 및 상기 제1-1 연결구속부(341)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2 연결구속부(342)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first connection restraint unit 3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uni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unit 33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unit 320 and the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1-1 connection restraint part 341 and the 1-1 connection restraint part 341 to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 And a 1-2 connection restraint part 342 for limiting deform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연결구속부(35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1 연결구속부(351) 및 상기 제2-1 연결구속부(351)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2 연결구속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Likewise, the second connection restraint part 3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to provide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It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2-1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351 and the 2-1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351 to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part 330, 2 A 2-2 connection restraint part 352 may be provided to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1 연결구속부(341) 및 상기 제2-1 연결구속부(351)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가 상기 연결부(300)의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1-1 connection restriction part 341 and the 2-1 connection restriction part 351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may be limited to be de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나아가,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는 각각 상기 제1-1 연결구속부(341) 및 상기 제2-1 연결구속부(351)로부터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가 상기 연결부(300)의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Further, the 1-2 connection binding part 342 and the 2-2 connection binding part 352 are respectively the 1-1 connection binding part 341 and the 2-1 connection binding part 351 From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and the second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limited.

일례로,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의 상면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의 하면과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가 상기 연결부(300)의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1-2 connection restriction part 342 and the second connection restriction part 352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As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limited.

일례로,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는 각각 상기 제1-1 연결구속부(341) 및 상기 제2-1 연결구속부(351)로부터 폭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1-2 connection binding part 342 and the 2-2 connection binding part 352 are respectively the 1-1 connection binding part 341 and the 2-1 connection binding part 351 )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는 상기 삽입홀(H2)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연결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1-2 th connection restraint part 342 and the 2-2 th connection restraint part 35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2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20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가 상기 배치공간(S)으로부터 돌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배치공간(S)으로부터 돌출된 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는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H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connection part 300 includes the main body part ( 100) can be connected/fixed, and the 1-2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342 and the 2-2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352 protruding from the arrangement space S are attached to the side rail 200. Each may be inserted into the formed insertion hole (H2).

그 결과, 작업자는 상기 체결부재(T)를 상기 사이드 레일(200) 및 상기 연결부(300)에 체결하기 전,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를 먼저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H2)에 각각 삽입시킴으로서 상기 연결부(300)를 임시적으로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쉽게 상기 체결부재(T)를 체결할 수 있다.As a result, before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 to the side rail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the operator has the 1-2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342 and the 2-2 connection constraining part ( In that the connection part 300 can be temporarily fixed to the side rail 200 by first inserting each 352 into the insertion hole H2 formed in the side rail 200, the fastening member ( T) can be fastened.

또한,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는 상기 체결부재(T)에 집중되는 케이블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사이드 레일(200)로 전달함으로서, 상기 체결부재(T)가 파손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1-2 connection binding portion 342 and the 2-2 connection binding portion 352 distributes the load of the cable concentrated on the fastening member T and transmits it to the side rail 20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 that the fastening member (T) is damaged.

결과적으로,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320)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330)가 상기 연결부(300)의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 레일(2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H2)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체결부재(T)를 보다 쉽게 체결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상기 체결부재(T)에 집중되는 케이블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체결부재(T)가 파손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in the 1-2 connection binding part 342 and the 2-2 connection binding part 352,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3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33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 While limiting the deformation in the outer direction of 300), each of the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2 formed in the side rail 200 to limit positional movement, so that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fasten the fastening member T.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n environment and further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cable concentrated on the fastening member T to reduce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fastening member T.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레일(200)이 형성하는 상기 삽입홀(H2)에 상기 상기 제1-2 연결구속부(342)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352)가 삽입되는 것이 아닌, 본체부(A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2 connection restraint part 342 and the At least a part of the body portion A100 may be inserted instead of the 2-2 connection constraining portion 352 being inserted therein.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본체부(A100)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110), 상기 연결부(3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제2 본체연장부(130)를 구비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0)의 상기 삽입홀(H2)에 삽입되는 제1 본체돌출부(150) 및 제2 본체돌출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main body portion A100 include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110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S in which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110 for supporting the cable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0 are arranged. A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a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are provided,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130. A first body protruding part 150 and a second body protruding part 140 may be provided which are protruded and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2 of the side rail 200.

이 경우, 상기 본체부(A100)에 연결되는 연결부(A3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1359호에 기재된 연결부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A3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100 may be the connection part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21359.

즉, 상기 본체부(A100)의 배치공간(S) 상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1359호에 기재된 연결부와 동일한 상기 연결부(A300)가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A100)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same connection part A300 as the connection part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21359 may be disposed on the arrangement space S of the body part A100 to be fixed to the body part A100.

그 결과, 작업자가 상기 체결부재(T)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300)와 상기 사이드 레일(200)을 연결하기 전, 먼저 상기 제1 본체돌출부(150) 및 상기 제2 본체돌출부(140)를 상기 사이드 레일(200)의 상기 삽입홀(H2)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상기 체결부재(T)를 체결할 수 있다.As a result, before the operator connects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side rail 200 using the fastening member T, the first body protrusion 150 and the second body protrusion 140 By inserting and fixing it into the insertion hole H2 of the side rail 200, the fastening member T may be more easily fasten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본체부
200: 사이드 레일
300: 연결부
100: main body
200: side rail
300: connection

Claims (1)

케이블 지지모듈에 있어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 및 소정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사이드 레일;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연장부,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결연장부를 구속함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 연결구속부 및 제2 연결구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1-1 연결구속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2 연결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구속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1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1 연결구속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와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2 연결구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연결구속부 및 상기 제2-2 연결구속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케이블 지지모듈.
In the cable support module,
A body portion supporting the cable;
Side rails forming a fastening hole and a predetermine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by the fastening member,
The body part,
A body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cable,
A first body extension part and a second body extension part respectively extending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support part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arranged,
The connection part,
A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forming a first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forming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and And a connection body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The connection part,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are pressed and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by restraining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or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The connection part,
Each further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restri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restriction portion limiting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constraining unit,
The 1-1 connection restraint part and the 1-1 connection restraint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to limit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a 1-2 connection restraint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limiting deform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The second connection restraint unit,
The 2-1 connection restraint part and the 2-1 connection restraint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to limit deform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a 2-2 connection restraint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connection extension part and limiting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xtension part,
The 1-2 connection constraint and the 2-2 connection constrain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side rail,
Cable support module.
KR1020200092816A 2020-07-27 2020-07-27 Module for supporting cable KR102254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16A KR102254412B1 (en) 2020-07-27 2020-07-27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16A KR102254412B1 (en) 2020-07-27 2020-07-27 Module for supporting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412B1 true KR102254412B1 (en) 2021-05-21

Family

ID=7615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816A KR102254412B1 (en) 2020-07-27 2020-07-27 Module for supporting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1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67A (en) * 2007-04-20 2008-10-23 김윤철 Cable tray
KR101657939B1 (en) * 2016-03-08 2016-09-22 주식회사 서영산업 Rung connecting apparatus and cable tray including the same
KR101691371B1 (en)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Rung of cable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6535B1 (en) * 2017-09-28 2018-05-10 권오섭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KR101883654B1 (en) * 2017-09-28 2018-07-31 권오섭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KR102021359B1 (en) * 2018-06-07 2019-09-16 주식회사 서영산업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67A (en) * 2007-04-20 2008-10-23 김윤철 Cable tray
KR101657939B1 (en) * 2016-03-08 2016-09-22 주식회사 서영산업 Rung connecting apparatus and cable tray including the same
KR101691371B1 (en) *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Rung of cable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6535B1 (en) * 2017-09-28 2018-05-10 권오섭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KR101883654B1 (en) * 2017-09-28 2018-07-31 권오섭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KR102021359B1 (en) * 2018-06-07 2019-09-16 주식회사 서영산업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359B1 (en)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US10047775B2 (en) Attachment element
KR20190052532A (en) Cable tray
KR102254412B1 (en) Module for supporting cable
KR101844983B1 (en) Cable supporting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424942Y1 (en) A mounting structure for frame of bed
KR102548346B1 (en) Device for Fixing a Safety Wire Rope to a Structure
US10450747B2 (en) Support system and system of connection elements for connecting supports
KR200417902Y1 (en) Anchor frame assembly of tower crane
KR101844986B1 (en) Limit module for quakeproof function of cable supporting module
KR100668593B1 (en) Anchor frame assembly of tower crane
KR101216149B1 (e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seat rail
KR200451739Y1 (en) Wiring box with fixing member
KR102298383B1 (e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ble tray
KR102060885B1 (en) Assembly type handrail
KR101746753B1 (en) Cable Tray
KR200433347Y1 (en) cable holding device
JP6824849B2 (en) Wiring / piping material laying structure and wiring / piping material laying tool installation structure
KR102396140B1 (en) 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KR102074573B1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EP2808963B1 (en) Wiring support structure
KR200497674Y1 (en) Brick wall support system with high seismic stability, safety, and constructability
KR20140005570A (en) Secondary cable hanger
KR20190000710U (en) Cable tray
KR20230098935A (en) Device for Fixing a Safety Wire Rope to 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