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91B1 -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 Google Patents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91B1
KR102253991B1 KR1020190120665A KR20190120665A KR102253991B1 KR 102253991 B1 KR102253991 B1 KR 102253991B1 KR 1020190120665 A KR1020190120665 A KR 1020190120665A KR 20190120665 A KR20190120665 A KR 20190120665A KR 102253991 B1 KR102253991 B1 KR 10225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lf
fixing member
dynamomet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8047A (ko
Inventor
김명석
송윤영
유선모
유윤규
임정택
최성열
이영연
이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2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의 슬릿이 구비된 위치조정부; 및 일측이 상기 위치조정부에 관통되고, 타측이 자항 동력계 상단과 연결되는 포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포스트부를 고정 또는 회전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가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자항동력계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A FIXING EQUIPMENT FOR SELF-PROPULSION DYNAMOMETER}
본 발명은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형선 성능 평가 자항 시험 수행을 위해 모형선에 설치되는 자항 동력계의 축과 프로펠라의 회전을 위해 필요한 샤프트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도록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시에 있어서, 엔진 및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추진 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는, 미리 모형선을 제작하고 반복적인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실제 프로펠러에 걸리는 추력 및 토크 등을 계측하고 캐비테이션 성능을 검증하여, 그러한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실제 선박의 추진장치에 대한 설계를 확정하게 된다.
모형선을 이용하는 것은 실제 크기의 선박을 실험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며 수학적 모형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현상까지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선박의 저항추진 문제는 현상이 매우 복잡하므로 물리적 모형을 이용한 모형시험이 주를 이루게 된다. 다만, 모형선을 제작하여 실험을 하는 경우에는 모형시험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예인수조(Towing Tank)는 모형선을 수조에서 예인하면서 모형선에 작용하는 유체역학적인 힘을 측정하거나, 모형선 주위의 유동현상을 관찰 또는 계측할 수 있도록 설비된 실험 장치로써, 상기 예인수조에서는 모형선과 실선 사이에 기하학적 상사, 역학적 상사가 이루어지도록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프러펠러의 구동축계는 구동모터, 자항 동력계, 스턴 튜브(stern tube) 및 샤프트(shaft)로 구성되는데, 예인수조에서 사용중인 자항 동력계는 모형선 성능 평가 중 자항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모형선에 설치하여 프로펠러 회전으로 인해 생기는 추력과 토크를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항 동력계를 설치할 때 유의할 점은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자항 동력계 센서 값에 간섭이 없도록 자항 동력계를 단단히 고정해야 하는 것과,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는 자항 동력계 축의 정렬 상태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다.
또한, 샤프트의 정렬 상태는 샤프트의 회전으로 인해 생기는 오일리스 베어링과의 마찰력이 자항 동력계에 전달되고, 이 마찰력이 실제 자항 시험 시 계측되는 토크 값에 영향을 주므로, 마찰력으로 인해 전달되는 토크의 양이 크지 않도록 주의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모형선에 고정된 자항 동력계를 샤프트 정렬을 위해 보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프로펠라 샤프트와 자항 동력계의 축을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의 조절이 필요한데, 종래에 사용되던 자항 동력계의 고정 치구에서는 자항 동력계의 상하 이동만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의 받침대 밑에 와셔 등의 고임물로 고정 치구 자체에 경사를 주어 동력계를 상하 조정시키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모형선의 경우 자항 동력계의 축과 샤프트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 모형선에 설치된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를 해체하고 받침대 밑에 고임물을 끼워 경사를 주어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이 복잡하여 조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샤프트가 회전할 때 오일리스 베이링에 생기는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403호는 구동모터 및 동력계 설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동모터 및 동력계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와 동력계의 무게 및 크기로 인해 구동모터를 모형선에 설치하고 동력계와 연결하는 작업에 여러 가지 난점 및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던 종래의 구동모터 및 동력계 설치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동모터와 동력계를 단일의 설치구조물에 일체로 수용함으로써 구동모터와 동력계의 이동 및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구동모터와 동력계의 설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 및 동력계의 설치를 위한 설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동모터와 동력계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403호는 구동모터와 동력계를 수용하여 일체로 설치하고, 설치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에 높이조절블록, 높이조절가이드 및 고정취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403호는 동력계 자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치구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 경우 측계 자체의 높이 조절은 가능하나 프로펠러의 끝단 축은 고정되게 구성되어, 동력계 높이의 가변시 상기 동력계와 프로펠러와의 경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403호는 구동모터와 동력계를 단일의 설치 구조물로 일체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우며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종래의 자항 동력계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한계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형선 성능 평가 자항 시험 수행을 위해 구동모터를 모형선에 설치하고 자항 동력계와 연결하는 작업에서 자항 동력계의 축과 프로펠라의 회전을 위해 필요한 샤프트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 모형선에 설치된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를 해체 하여 받침대 밑에 고임물을 끼워 경사를 주도록 하는 종래의 방법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절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고, 샤프트가 회전할 때 오일리스 베어링에 생기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사용 중 상기 자항 동력계의 위치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자항 동력계의 고정 치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1379403 (등록일자 2014년 03월 24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항 동력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의 슬릿이 구비된 위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의 슬릿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포스트부를 구비함으로써, 모형선 성능 평가 자항 시험 수행 중 자항 동력계 축과 프로펠라 샤프트의 정렬을 맞추기 위한 상기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이 상기 포스트부의 회전만으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의 슬릿이 구비된 위치조정부; 및 일측이 상기 위치조정부에 관통되고, 타측이 자항 동력계 상단과 연결되는 포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포스트부를 고정 또는 회전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가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자항 동력계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슬릿이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상기 포스트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일측회전공간 및 타측회전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슬릿으로 연통되는 통공 형상의 장착홀;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용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가 상기 위치조정부에 고정되거나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는, 상기 자항 동력계와 프로펠라 샤프트 정렬시 상기 제1프레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2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는, 상기 자항 동력계와 상기 프로펠라 샤프트 정렬시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삽입구가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슬릿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위치가 가변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는 상기 삽입구가 다수개의 삽입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위치가 가변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에 의하면, 모형선 성능 평가 자항 시험 수행을 위해 모형선에 설치되는 자항 동력계의 축과 프로펠라 샤프트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 포스트부의 좌우 회전 작동만으로도 상기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을 위해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를 해체하여 받침대 밑에 고임물을 삽입시켜 경사를 주었던 종래의 방법보다 상기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 각도를 더 크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조정부에 삽입된 포스트부의 회전만으로도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정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가 회전할 때 오일리스 베어링에 생기는 마찰력을 줄이는 조정 단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제2프레임고정부재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선형을 가진 프로펠라 각각에 맞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 일측에 가이드슬릿 형상의 삽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가이드슬릿에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위치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자항 동력계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의 포스트부의 회전에 따른 상하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구의 삽입공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 위치조정부(200) 및 포스트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1)에서 설치된 자항 동력계(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1프레임(110), 상기 제1프레임(1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프레임(120),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1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120)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30),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의 상단을 연결프레임(130)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하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자항 동력계(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철강 재질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연결프레임(130)의 삽입구(131) 구성에 의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이 모형선마다 다양한 규모의 자항 동력계 또는 프로펠라에 따라 상기 제1, 제2프레임(110, 12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은 상기 제1, 제2프레임(110, 120)을 연결프레임(130)에 고정시키는 후술할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 작용에 의해 자항 동력계(10)와 프로펠라 샤프트 정렬시 다양한 규격 및 선형을 갖는 프로펠라 각각에 맞춰 상기 자항동력계(10)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은 모형선마다 다양한 규모의 자항 동력계 또는 프로펠라에 맞춰 위치가 가변되거나, 회전에 의한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의 상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제2프레임고정부재(150)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프레임(110, 120)을 고정시키는 삽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31)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슬릿(131a)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의 위치가 가변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구(131)는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슬릿(131a)으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제2프레임(110, 120)과 상기 연결프레임(130)을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슬릿(131a)은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가 걸려져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슬릿(131a)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슬릿(131a) 일측에 복수개의 돌출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가 일정 위치에서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재(미도시)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제2프레임고정부재(140, 150)가 상기 돌출부재(미도시)의 걸림 힘을 극복하고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돌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미도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1,제2프레임고정부재(140, 150)의 이동을 차단하여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제1, 제2프레임고정부재(140, 150)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돌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구의 삽입공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구(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삽입공(131b)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거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공(131b)은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통공 형상으로, 상기 제1, 제2프레임고정부재(140, 150)가 삽입되어 상기 제1,제2프레임(110, 120)과 연결프레임(13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131b)은 상기 제1, 제2프레임(110, 120)의 배치에 적합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131b)의 개수는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상기 제1프레임(110)을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상기 자항 동력계(10)와 프로펠라 샤프트 정렬시 상기 제1프레임(1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연결프레임(13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상기 가이드슬릿(131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자항 동력계(10)와 프로펠라 샤프트의 다양한 규격 및 선형에 따라 상기 가이드슬릿(131a)에 슬라이드 이동을 하여 적합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다양하게 설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상기 삽입공(131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적용되는 자항 동력계(10)와 프로펠라 샤프트의 다양한 규격 및 선형에 따라 적합한 삽입공(13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하게 설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제1, 제2프레임(110, 120)의 좌우 회전 시에는 회전이 구현될 수 있도록 소정으로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제1, 제2프레임(110, 120)이 회전하여 위치가 설정된 후에는 상기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잠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140)는 철강 재질로 구성된 봉볼트 일 수 있으며, 상기한 봉볼트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것을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상기 제2프레임(120)을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상기 자항 동력계(10)와 프로펠라 샤프트 정렬시 상기 제2프레임(1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상기 제2프레임(120)과 상기 연결프레임(13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상기 가이드슬릿(131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자항 동력계(10)와 프로펠라 샤프트의 다양한 규격 및 선형에 따라 상기 가이드슬릿에 슬라이드 이동을 하여 적합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다양하게 설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상기 삽입공(131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적용되는 자항 동력계(10)와 프로펠라 샤프트의 다양한 규격 및 선형에 따라 적합한 삽입공(13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하게 설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제1, 제2프레임(110, 120)의 좌우 회전 시에는 회전이 구현될 수 있도록 소정으로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제1, 제2프레임(110, 120)이 회전하여 위치가 설정된 후에는 상기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잠겨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150)는 철강 재질로 구성된 봉볼트 일 수 있으며, 상기한 봉볼트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것을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조정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의 슬릿(2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부(200)는 상기 포스트부(300)를 고정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고정부재(220)를 포함하여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300)가 상기 고정부재(220)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자항 동력계(1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조정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연결프레임(130) 일측에서 돌출되어 구성된 길이방향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중심부측에 상기 위치조정부(200)의 길이 보다 소정으로 작게 형성된 슬릿(2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정부(200)는 상기 슬릿(210)에 삽입되는 상기 포스트부(300)가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포스트부(300)의 좌우 회전만으로도 상기 자항 동력계(10)의 상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210)은 상기 위치조정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슬릿공 형상으로, 상기 위치조정부(200)로 상기 포스트부(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210)은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300)의 일측 및 타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포스트부(3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일측회전공간(211) 및 타측회전공간(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210)은 상기 일측회전공간(211) 및 타측회전공간(21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포스트부(300)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자항 동력계(10)의 상하 높이 조절 각도가 종래의 방법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간편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가변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슬릿(210)에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300)가 상기 위치조정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부(300)가 상기 위치조정부(200)에 고정되기 위하여 잠금이 실행될 수 있는 한편, 상기 포스트부(300)가 좌우 회전하기 위하여 소정으로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포스트부(300)의 고정을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포스트부(300)의 회전을 위한 구성일 수도 있고, 상기 포스트부(300)의 회전시 회전축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220)는 장착홀(221), 고정용볼트(222), 제1고정부재(223) 및 제2고정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홀(221)은 상기 슬릿(210)으로 연통되는 통공형상으로, 상기 고정용볼트(222)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용볼트(222)가 상기 포스트부(300)에 접촉하여 상기 포스트부(300)를 고정 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용볼트(222)는 상기 장착홀(221)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볼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용볼트(222)는 상기 장착홀(221)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조정부(200)에 상기 포스트부(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홀(221)에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용볼트(222)는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포스트부(300)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풀림 상태에서는 상기 포스트부(300)의 좌우 회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볼트(222)는 상기 포스트부(300)의 회전이 완료되어 회전 후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다시 잠금 상태를 수행하여 회전 위치에서의 상기 포스트부(300)의 고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볼트(222)는 철강 재질로 구성된 봉볼트 일 수 있으며, 상기한 봉볼트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것을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23)는 상기 포스트부(300)와 상기 위치조정부(200)가 접촉하는 양면 중 일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20)일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224)는 상기 제1고정부재(223)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포스트부(300)와 상기 위치조정부(200)가 접촉하는 양 면 중 타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20)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재(223) 및 제2고정부재(224)는 상기 위치조정부(20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부(300)의 양면에서 상기 포스트부(300)에 미는 힘을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포스트부(300)가 상기 슬릿(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의 포스트부의 회전에 따른 상하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스트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위치조정부(200)에 관통되고, 타측이 상기 자항동력계(10) 상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트부(300)는 상측이 상기 위치조정부(200)의 슬릿(210)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22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자항 동력계(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1)와 상기 자항 동력계(1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포스트부(300)의 좌우 회전만으로도 하단에 연결된 자항 동력계(10)의 상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다각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300)는 상기 자항 동력계(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철강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부(30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에 의하면, 모형선 성능 평가 자항 시험 수행을 위해 모형선에 설치되는 자항 동력계의 축과 프로펠라 샤프트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 포스트부의 좌우 회전 작동만으로도 상기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을 위해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를 해체하여 받침대 밑에 고임물을 삽입시켜 경사를 주었던 종래의 방법보다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 각도를 더 크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치조정부에 삽입된 포스트부의 회전만으로도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정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가 회전할 때 오일리스 베어링에 생기는 마찰력을 줄이는 조정 단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제2프레임고정부재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선형을 가진 프로펠라 각각에 맞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프레임 일측에 가이드슬릿 형상의 삽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가이드슬릿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위치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자항 동력계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자항 동력계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10 : 자항동력계
100 : 지지프레임 110 : 제1프레임
120 : 제2프레임 130 : 연결프레임
131 : 삽입구 131a : 가이드슬릿
131b : 삽입공 140 : 제1프레임고정부재
150 : 제2프레임고정부재 200 : 위치조정부
210 : 슬릿 211 : 일측회전공간
212 : 타측회전공간 220 : 고정부재
221 : 장착홀 222 : 고정용볼트
223 : 제1고정부재 224 : 제2고정부재
300 : 포스트부

Claims (10)

  1.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일측단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의 슬릿이 구비된 위치조정부; 및
    상단이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하단이 자항 동력계 상단과 연결되는 포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포스트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은,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된 일정 공간의 일측회전공간; 및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의 타측 방향에 구비된 일정 공간의 타측회전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기 포스트부가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축으로 상기 일측회전공간 및 타측회전공간으로 회전하여 상기 자항동력계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릿으로 연통되는 통공형상의 장착홀;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용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는,
    상기 자항동력계와 프로펠라 샤프트 정렬시 상기 제1프레임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2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는,
    상기 자항동력계와 상기 프로펠라 샤프트 정렬시 상기 제2프레임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슬릿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위치가 가변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다수개의 삽입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재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위치가 가변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동력계 고정 치구.
KR1020190120665A 2019-09-30 2019-09-30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KR10225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65A KR102253991B1 (ko) 2019-09-30 2019-09-30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65A KR102253991B1 (ko) 2019-09-30 2019-09-30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47A KR20210038047A (ko) 2021-04-07
KR102253991B1 true KR102253991B1 (ko) 2021-05-20

Family

ID=7546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665A KR102253991B1 (ko) 2019-09-30 2019-09-30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214B1 (ko) 2021-07-22 2022-12-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 프로펠러 제작 정밀도 검증을 위한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583A (ko) * 2008-02-19 2009-08-24 박성희 광고판 설치대
KR101228389B1 (ko) * 2011-03-31 2013-01-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조리개장치
KR101379403B1 (ko) 2013-03-14 2014-03-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구동모터 및 동력계 설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동모터 및 동력계 설치방법
KR101705052B1 (ko) * 2015-04-20 2017-02-09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214B1 (ko) 2021-07-22 2022-12-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 프로펠러 제작 정밀도 검증을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47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811A (ko) 연직 강제동요장치의 시험장비
KR102253991B1 (ko) 자항 동력계 고정 치구
ES2690651T3 (es) Aparato y método de carga de muestra
KR102094408B1 (ko) 계류 모사 가이드장치
KR101767215B1 (ko) 아지무스 추진기의 추진력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추진력의 측정이 가능한 아지무스 추진기
KR101151888B1 (ko) 몰수체 내항성능시험 장치
CN109883632B (zh) 运动模拟装置及标定装置
KR20130021155A (ko) 선박의 스러스터 모터와 시트의 얼라인먼트 조정을 위한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 조정 방법
KR101379403B1 (ko) 구동모터 및 동력계 설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동모터 및 동력계 설치방법
CN108572055B (zh) 一种应用于水池实验室的auv水下回收流体动力测试实验装置
JP2023532890A (ja) 船舶のためのラダートランク、ラダートランクを有する船舶、及びラダートランクを生成する方法
KR102067066B1 (ko) 반 타원형 회전체방식의 모형선 관성시험장치
US5192047A (en) Tetherable frame for, and in combination with, a submersible mixer
EP3960616A1 (en) Floating type aquatic supportapparatus
KR102347118B1 (ko) 수중 조사장비용 거치 장치
KR101850014B1 (ko) 균일류 중 축경사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시험이 가능한 단독시험장치
KR20110121001A (ko)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CN212929383U (zh) 一种新型可调整的全站仪支架
KR100343020B1 (ko) 6분력계 교정장치
US2069590A (en) Support
CN218974593U (zh) 一种用于固定水声学鱼探仪的装置
CN206231593U (zh) 一种航行器的配重与抛载一体化装置
KR102486115B1 (ko)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JP2020085635A (ja) 水槽試験装置、水槽試験システム、および水槽試験方法
CN219154722U (zh) 一种防震动船用发动机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