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705B1 -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705B1
KR102253705B1 KR1020157036142A KR20157036142A KR102253705B1 KR 102253705 B1 KR102253705 B1 KR 102253705B1 KR 1020157036142 A KR1020157036142 A KR 1020157036142A KR 20157036142 A KR20157036142 A KR 20157036142A KR 102253705 B1 KR102253705 B1 KR 10225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tray
cooling
cooling device
contain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127A (ko
Inventor
한준수
이희준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0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refrig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8Quick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각 물품을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 장치에서 냉각 물품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할 경우, 냉각 장치의 상부 공간이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냉장고 고내 또는 도어의 배면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 물품들을 횡방향으로 수납하였을 때 발생하는 고내 용적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장치{Cooling apparatu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1월 10일자로 한국 특허청에 출원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03185호, 제10-2014-0003186호, 및 제10-2014-0003187호에 대하여, 미국 특허법(35 U.S.C. ξ119)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본 발명은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이나 물품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의 냉장고는 점차 대형화되었다. 또한, 냉장고는, 식생활 수준의 변화 추세에 따라 다기능화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어 왔다.
예컨대, 주류를 포함한 음료를 단시간에 급속하게 상온 이하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고내 일측에 이러한 음료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냉각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냉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기술적 사항들이 존재한다.
첫째, 냉각장치는 음료 캔과 같은 냉각 물품을 한번에 복수 개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이 좋지만, 이로 인하여 냉장고의 저장 공간이 협소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장치로 인한 냉장고의 저장 용적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냉각 장치에 관한 발명, 미국공개특허 US2012/0011885A1(2012년 1월19일에 공개)에 의하면, 냉각 장치의 트레이에 냉각 물품(이하, "냉각 물품"이라 함)이 놓이는 방향이 단일 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냉각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트레이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고, 그 결과 냉각 장치의 케이스 길이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케이스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냉각 장치가 설치된 저장실의 용적이 감소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저장실의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소용량 냉장고에는 이러한 냉각 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냉각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냉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한 줄로 길게 수납할 경우, 뒤쪽에 위치하는 냉각 물품을 인출하기에 불편한 단점도 있다.
복수 개의 냉각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트레이를 옆으로 확장하는 구조도 제안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식료품 또는 냉각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냉장고 저장실의 사용 용적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둘째, 냉각 장치 내에 수납되는 냉각 물품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 또는 캐비넷의 저장실에 설치되는 냉각 장치에서의 급속 냉동은, 상기 냉각 장치 내부로의 냉기 공급과, 냉각 물품의 회전을 포함하는 교반 운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 제2004-176977A호 또는 미국특허 제7,343,748B 등에서 개시되어 있는 냉각 장치에 의하면, 냉각 장치 내부에 음료 캔이 수납되고, 음료 캔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냉각 장치 내부로 냉기가 공급되어 상기 음료 캔이 급속 냉각된다.
그러나, 냉각 물품의 회전 중심 또는 교반 중심이 냉각 물품의 중심 길이 방향 축인 교반 메커니즘의 경우, 냉각 물품이 회전하더라도 냉각 물품 내부에 함유된 액체의 교반이 왕성하게 일어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냉각 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와 액체 및 냉각 물품과의 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냉각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상기 미국공개특허 US2012/0011885A1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냉각 장치로서, 상기 냉각 장치에 수납된 음료 캔이 단순 회전이 아니라 원호상의 일정한 거리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즉, 다소 스윙 동작을 하도록 하여 액체의 교반이 왕성하게 일어나도록 하였다. 그리고, 냉기가 음료 캔의 아래쪽으로 고속으로 분사되도록 하고, 분사되는 냉기가 음료 캔의 원주면에 최대한 수직하게 부딪히도록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미국 공개특허 제2012/0011885A1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도 51은 종래의 냉각 장치의 교반 운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상기 미국 공개특허 제2012/0011885A호에 개시된 냉각 장치는, 교반축(X)을 중심으로 하여 냉각 물품인 음료 캔(B)이 제 1 지점(A1)과 제 2 지점(A2) 사이를 원호 형태의 이동 궤적(S)을 따라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냉기(J)는 상기 음료 캔의 하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교반 운동의 경우, 원호상의 궤적(S)을 따라 왕복하는 스윙 모션 과정에서, 음료 캔(B)에 담긴 액체의 교반은 스윙 궤적의 양 끝단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스윙 궤적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약하게 일어난다. 즉, 제 1 지점(A1)과 제 2 지점(A2)에서 음료 캔(B)이 하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음료는 계속해서 상승하는 관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관성력에 의하여 음료 캔(B) 내부의 액체는 음료 캔(B)의 내주면을 타고 올라가다가 중력으로 인해 낙하하면서 관성에 의해 교반이 일어난다. 그러나, 음료 캔(B)이 최하점을 지나는 영역, 즉, 궤적의 중앙 부분에서는 음료가 음료 캔(B)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교반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난다. 그리고, 교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궤도 중앙 부분으로 냉기가 집중 분사되기 때문에, 최대의 냉각 효율을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 상세히, 음료 캔(B)이 제 1 지점(A1)과 제 2 지점(A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냉기가 공급되는 냉기 공급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어 음료 캔(B)에 부딪히는 냉기의 양이 감소된다. 즉, 일부 영역에서는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가 음료 캔(B)과 열교환하는 데 사용되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냉각 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제 1 지점(A1)과 제 2 지점(A2)에서 음료 캔(B)이 낙하하는 방향으로 음료 캔(B)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때, 음료와 음료 캔(B) 및 음료 거치대의 관성력이 음료 거치대를 구동하는 링크 부재에 저항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 부재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고 수명이 짧아지며, 교반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윙 모션의 경우 냉각 물품의 교반 궤적을 고려하여 냉각 장치의 폭과 높이를 설계하여야 하므로, 냉각 물품의 중심 길이 방향 축을 교반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교반 메커니즘을 가지는 냉각 장치에 비하여 냉장고 저장실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실시예들은, 적재되는 냉각 물품, 즉 음료 캔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냉장고 저장실의 용적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복수 개의 음료 캔이 균일하게 교반되어 냉각될 수 있는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실시예들은, 냉각 장치의 급속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특히 냉각 장치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가 냉각 물품과 열교환하지 못하고 배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냉각 효율 또는 열교환 효율을 최대화하는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은, 소용량 냉장고에서 음료의 원활한 교반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냉각 효율은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교반을 위한 트레이의 이동 범위 또는 이동 궤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냉각 장치의 수직 적층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각 물품을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 물품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할 경우, 냉각 장치의 상부 공간이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냉장고 고내 또는 도어 배면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수납하였을 때 발생하는 고내 용적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물품이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구동부 또는 구동부; 상기 냉각 물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어셈블리 또는 팬; 및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 물품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 어셈블리 또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 또는 지지부들; 및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의 내측 면(inner side surface)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냉각 물품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냉각 물품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냉각 물품의 이탈 방지
한편, 냉각 물품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경우, 다양한 크기의 냉각 물품, 즉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음료 용기들을 적층할 수 있어야 하고, 음료 용기들이 수납된 다음 자중으로 인해 밑으로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물품이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구동부 또는 구동부; 상기 냉각 물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어셈블리 또는 팬; 및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 물품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 어셈블리 또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 또는 지지부들; 상기 좌측 지지부의 상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 지지부 또는 지지부; 및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냉각 물품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냉각 물품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지지대가 냉각 물품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선접촉 또는 면접촉하여 음료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지지부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료 용기의 원주면을 절반 이상 감쌀 수 있기 때문에, 교반 과정에서 음료 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지지부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모아주게 되어 음료 용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3. 복수의 냉각 물품의 균일한 교반
복수 개의 냉각 물품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냉각 물품의 수납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냉각 물품이 균일한 교반 강도로 교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물품이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구동부 또는 장치; 상기 냉각 물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어셈블리 또는 팬; 및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 물품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 어셈블리 또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는 상기 냉각 물품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냉각 물품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교반 구동부에 의하여 수평면 상에서 교반 운동할 수 있고,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모션(agitating motion)은, 적어도 상기 냉각 물품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교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물품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냉각 물품이 교반되고, 냉기가 냉각 물품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급됨으로써, 냉각 물품의 교반 과정에서 냉기가 계속해서 냉각 물품에 부딪히게 되어, 냉각 효율이 좋아진다. 그리고, 냉각 물품의 교반 방향이 바뀌는 최외곽 지점에서 액체의 교반이 왕성하게 일어나며, 교반 방향이 바뀌는 시점에서 냉기 토출구와 음료 용기가 가장 가까이에 있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4. 교반 과정에서 냉각 물품의 전후 방향 이탈 방지
냉각 물품이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냉각 물품을 용기 거치대의 전면을 통하여 수납하는 구조가 가장 효율적이다. 이러한 경우, 교반 과정에서 냉각 물품이 용기 거치대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냉각 물품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물품이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구동부 또는 장치; 상기 냉각 물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어셈블리 또는 팬; 및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 물품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 어셈블리 또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 및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되고,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다수의 냉각 물품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 간의 간격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 간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냉각 물품의 교반 방향과 냉기의 공급 위치와의 관계
냉각 물품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냉각 방법에 대한 기술적 고려가 필요하다. 한 방법으로서, 냉각 물품이 교반되는 과정에서 항상 냉기가 냉각 물품에 부딪히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스윙 모션 형태의 교반 메커니즘을 가지는 냉각 장치의 경우, 냉각 물품이 교반 궤적의 끝부분으로 가면 냉기가 냉각 물품에 부딪히지 않고 빠져나가는 구간이 발생하여,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액체의 교반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지점에서 냉기가 냉각 물품에 집중 분사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물품이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구동부 또는 구동부; 상기 냉각 물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어셈블리 또는 팬; 및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 물품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 어셈블리 또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냉각 물품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가 돌출되고, 상기 다수의 냉각 물품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고,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교반 구동부에 의하여 수평면 상에서 교반 운동할 수 있고,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모션은, 적어도 상기 냉각 물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교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냉각 물품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냉각 장치 외부에 수납된 저장물과 용기 거치대의 간섭 방지
냉장고의 도어 배면 또는 본체 저장실 내부에 냉각 장치가 설치될 경우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서, 냉각 장치 근처에 수납된 물건들(items)과 용기 거치대가 서로 간섭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냉각 장치 근처에 수납된 물건들이 용기 거치대 쪽으로 넘어가면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나아가 교반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교반 모터가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물품이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구동부 또는 구동부; 상기 냉각 물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어셈블리 또는 팬;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 물품 쪽으로 안내하고, 토출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 측방 또는 제1 측에 배치되는 덕트 어셈블리 또는 덕트; 및 상기 토출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의 타 측방 또는 제2 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주위에 수납된 물품(item)이 상기 용기 거치대와 간섭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 어셈블리 또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휴지기에는, 상기 격벽을 접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가 놓이는 부분을 음식물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7. 복수 개의 냉각 물품에 대한 균일한 냉기 공급
복수 개의 냉각 물품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는 냉각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냉각 물품에 균일하게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중요한 기술적 고려 사항이 된다. 특히, 다수의 냉각 물품을 한 번에 냉각할 경우, 수납된 냉각 물품의 냉각 완료 시점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이고, 수평면 상에서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구동부 또는 구동부; 상기 냉각 물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어셈블리 또는 팬;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 어셈블리 또는 덕트; 및 상기 덕트 어셈블리의 토출단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방향에서 상기 냉각 물품을 향하여 냉기를 분사하는 토출 그릴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 그릴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냉각 물품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토출 노즐 세트의 개수가 동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에 의하면, 음료를 상측으로 적층할 수 있어, 음료 적재를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저장실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급속 냉각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용기 거치대를 분리하고 격벽을 용기 받침대로 전환하여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냉각 장치를 장착함에 따른 저장 공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기 거치대만 분리 가능하므로, 음료 용기를 수납하거나 인출하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실 내부 또는 도어 배면에 냉각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으로부터 냉각 장치를 분리 가능하므로, 냉각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맞는 브라켓을 선정함으로써 설치 공간에 대한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냉장고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의 냉각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도 1과 도 2의 냉각 장치의 다른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1과 도 2의 냉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과 도 2의 냉각 장치에 장착되는 용기 거치대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8b, 9a, 9b는 도 6의 용기 거치대에 음료 용기가 수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용기 거치대가 교반 트레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용기 거치대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용기 거치대가 교반 트레이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교반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구동부가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 및 도 21은 도 19의 교반 구동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19의 XXII-XX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23은 한 쌍의 교반 디스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4는 도 19의 XXIV-XXIV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가 교반 운동할 때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의 교반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
도 26b는 음료 용기의 교반 방향과 냉기 공급 방향이 동일한 교반 메커니즘을 가지는 냉각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구비되는 격벽이 접힌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격벽이 펼쳐져 개구된 상태의 다른 측면 사시도.
도 29는 도 27의 격벽이 펼쳐져 개구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30 내지 도 34는 도 27의 격벽을 음식물이나 기타 물품의 수납을 위한 받침대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5는 도 30의 XXXV-XXXV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흡입 덕트의 배면 사시도.
도 37은 쉬라우드가 제거된 도 36의 흡입 덕트의 전면 사시도.
도 38은 도 36의 XXXVIII-XXXVI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39는 도 36의 XXXIX-XXXI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40 및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된 음료 용기(들)와 토출 그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2는 도 40과 도 41의 토출 그릴의 정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0과 도 41의 토출 그릴에 구비되는 토출 노즐의 직경과 토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냉기 유량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4는 교반 모션 형태에 따른 교반 성능을 보여주는 비교 그래프.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의 진폭 및 교반 주기와 냉각 시간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있어서 교반 주기와 냉각 시간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48은 도 47의 냉각 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49는 도 48의 XXXXIX-XXXXIX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 사시도.
도 50은 도 48의 상태에서 바라본 도 47의 냉각 장치의 평면도.
도 51은 종래의 냉각 장치의 교반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유사 요소들을 가리키는 데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하였으며, 반복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냉장고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는, 냉장고(1)의 도어(4)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냉장고(1)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는 회동식 도어일 수도 있고,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서랍 형태로 인입되는 수납 장치의 전면에 장착되는 도어일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냉각 장치(100)가 도어(4)의 배면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어(4) 내부에 냉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2)의 측벽 내부에도 냉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2)의 측벽에 형성되는 냉기 유로의 입구단은 증발실(미도시)과 연통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4)를 닫았을 때 상기 캐비닛(2)의 측벽에 형성되는 냉기 유로의 출구단과 상기 도어(4)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기 유로의 입구단이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4)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기 유로의 출구단이 후술하는 상기 냉각 장치(100)의 흡입 덕트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4)가 서랍식 도어인 경우, 상기 냉각 장치(100)는 상기 냉동실(3)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급속 냉동 또는 냉각을 위한 음료 용기 쪽으로 고속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 장치(100)는 상기 도어(4)의 배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는 상기 냉동실(3)의 내부 일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 장치(100)는 상기 냉동실(3)의 측벽에 고정되거나, 상기 냉장고(1)가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인 경우, 상기 냉동실(3)의 바닥과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인 경우, 상기 냉동실(3)의 천장과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각 장치(100)의 냉기 흡입구는 상기 냉동실(3)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냉동실(3)의 배면에 형성된 증발실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증발실 내부의 저온의 냉기를 직접 음료 용기로 분사하여, 음료 용기를 단기간에 급속 냉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과 도 2의 냉각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과 도 2의 냉각 장치의 다른 정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냉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는, 저장실 또는 도어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내측에 고정되어 교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교반 구동부(3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서 상기 교반 구동부(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교반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40)와;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거치대(50)와;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 메커니즘(45)과;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또는 가장자리 상에 설치되는 격벽(60)과; 상기 용기 거치대(50)에 수납된 음료 용기로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70)는 팬(80)과 덕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덕트(9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20)와 별개의 부품으로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브라켓(10)에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20)가 상기 덕트(90)와 한 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90)의 일측에 걸림부(93)가 연장 및 절곡되고, 상기 브라켓(10)에는 상기 걸림부(93)가 안착될 수 있거나 걸어질 수 있는 걸이홈(1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10)은 상기 베이스(20)의 저면이 놓일 수 있는 바닥(11)과, 상기 바닥(1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면(12)의 상단에 또는 상단 내에 상기 걸이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12)의 모서리에는 또는 모서리 상에는 다수의 체결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0)이 저장실의 벽면 또는 도어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를 들어 올리면, 상기 걸림부(93)가 상기 걸이홈(11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냉각 장치(100)가 상기 브라켓(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는 냉기가 음료 용기의 측면을 향하여 고속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기 거치대(50)가 냉동실(3) 내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실로부터 상기 덕트(90)를 따라 상기 음료 용기에 분사되는 냉기는 냉동실(3) 내부의 냉기와 혼합된다.
상기 교반 구동부(30)에 의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원형의 교반 궤적을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음료 용기 내부에 함유된 음료를 교반시킬 수 있다.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교반 궤적을 따라 회전 운동할 때,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측면을 지나는 직선들이 항상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교반 운동할 때, 전단부와 후단부가 방향을 바꾸면서 원형의 교반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단부와 후단부가 항상 전방과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원형의 교반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 궤적의 중심, 즉,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회전 중심은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1과 도 2의 냉각 장치에 장착되는 용기 거치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 거치대(50)는,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는 터널 형태의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전단부의 제1 및 제2 하단부들의 각각을 잡아주는 홀더(53)와, 아치 형태로 라운딩될 수 있는 상기 하우징(51)의 전단부 상면에 장착되는 클램프(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 및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50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의 각각은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 프레임(501)의 내부는 음료 용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완전히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502)의 내부는 다수의 지지 리브(518)에 의하여 폐쇄되어, 음료 용기가 후측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다수의 지지 리브(518)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전방 프레임(50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501a)와, 상기 제1 지지부(501a)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501b) 및 상기 제1 지지부(501a)의 상단과 제2 지지부(501b)의 상단을 연결하는 아치 형태의 상측 지지부(501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들(501a, 501b,501c)은 단일체일 수 있고, 상기 상측 지지부(501c)는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원주면(또는 외주면)을 감싸도록 소정 곡률로 라운딩 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502)도 상기 전방 프레임과 동일하게, 제1 지지부(502a), 제2 지지부(502b) 및 상측 지지부(502c)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지지 리브(518)의 각각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지지부(502a)와 제2 지지부(502b)에 연결된다. 상기 후방 프레임(502)과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18)는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지지부(501c,502c)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원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음료 용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지지부(501c,502c)의 하단부는 적어도 수납되는 음료의 원주면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측 지지부(501c,502c)의 하단부가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외측 원주면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아래 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하측부가 상기 상측 지지부(501c,502c)의 하단부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음료 용기가 아래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의 외측 원주면의 절반 이상이 상기 상측 지지부(501c,502c)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으므로, 교반 과정에서 음료 용기가 흔들리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501)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지지부(501a)와 제2 지지부(501b) 간의 거리는 상기 후방 프레임(502)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지지부(502a)와 제2 지지부(502b) 간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납된 음료 용기가 교반 과정에서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503)은 상기 전방 프레임(501)의 상측 지지부(501c)와 상기 후방 프레임(502)의 상측 지지부(502c)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 및 상기 연결 프레임(503)은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501)의 상측 지지부(501c)의 외주면에는 상기 클램프(54)가 안착될 수 있기 위한 클램프 안착홈(511)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54)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이 뒤집어진 U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501a)와 제2 지지부(501b)의 하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음료 용기를 수납하면 음료 용기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501a)와 제2 지지부(501b)의 하단부가 벌어지게 되고, 그 결과 음료 용기가 밑으로 빠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지지부(501c)의 외주면에 상기 클램프(54)가 장착되고, 하단부에 상기 홀더(53)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51)의 하단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의 측면들에는 바(bar) 형태의 복수의 용기 지지대(5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상기 하우징(51)의 제1 측과 제2 측에 제공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용기 지지대(52)의 양 단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에 각각 연결되며, 수납되는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용기 지지대들(52)은 상기 전방 프레임(501) 및 후방 프레임(502)과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외측 원주면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하여, 상기 음료 용기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된 음료 용기가 교반 과정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을 연결하는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의 내측면에만 각각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즉, 복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상기 전방 프레임(501) 및 후방 프레임(502)의 전후 방향의 각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전방 프레임(501)의 하단부와 후방 프레임(502)의 하단부는 장착 플랫폼(516)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의 측면들, 즉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 연결 프레임(503) 및 상기 장착 플랫폼(516)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냉기 통과홀(512)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기 통과홀(512)은 다수의 상기 용기 지지대(52)에 의하여 다수의 냉기 통과홀(512)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기 통과홀(512)을 통하여 상기 덕트(90)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음료 용기의 표면에 분사되도록 한다. 복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수납된 음료 용기가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고, 상기 하우징(51)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는 원통 형상의 음료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상측 지지부(501c,502c)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1 수납부(513)와, 상기 제1 수납부(513)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2 수납부(514) 및 상기 제2 수납부(514)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3 수납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3 수납부(513,514,515)는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용기 지지대(52)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의 개수는 상기 하우징(51)에 수납 가능한 음료 용기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 용기가 최대 두 개까지 수납되도록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설계되었다. 음료 용기의 수납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음료 용기를 더 많이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을 더 길게 설계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개수를 늘이면 된다.
복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상기 후방 프레임(50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음료 용기의 하부와 상부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방 프레임(501)과 후방 프레임(502)의 내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용기 지지대(52)가 없는 구조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구조임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장착 플랫폼(516)의 전단부에는 상기 홀더(53)가 결합되고, 장착 플랫폼(516)의 후단부에는 걸림부(517)가 돌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플랫폼(516)의 전단부에는 걸림홀(516a)과 걸림홈(516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516a)은 상기 장착 플랫폼(516)의 전단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다. 걸림홈(516b)은 상기 장착 플랫폼(516)의 전단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516a)과 걸림홈(516b)은 각각 장착 플랫폼(516)의 제1 및 제2 측 내에 또는 제1 및 제2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납부(514)의 전단부의 폭은 투입되는 음료 용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수납부(514)에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52)의 전단부가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로 휘어져서, 음료 용기가 부드럽게 수납되도록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음료 용기의 수납을 가이드하는 부분을 수납 가이드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가이드부는 상기 제 3 수납부(515)에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52)의 전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모든 수납부의 전단부에 수납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53)는, 상기 하우징(51)의 바닥부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홀더 바디(531)와, 상기 홀더 바디(531)의 양 단부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는 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홀더 바디(531)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 1 걸이부(532)와, 상기 제 1 걸이부(532)로부터 상기 홀더 바디(531)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걸이부(5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이부(532,534)의 단부에는 각각 제 1 걸림단(533)과 제 2 걸림단(53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단(533,535)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되는 후크 형상을 이룬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홀더 바디(531)의 양 단부에서 두 개씩 형성되는 구조 외에, 제 1 걸이부(532)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홀더(53)는 상기 하우징(51)의 하단부들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걸이부(532)만 상기 하우징(51)의 하단부들의 외주면을 타고 연장되어 상기 걸림홀(516a)에 걸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516b)은 상기 홀더 바디(531) 부분이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홀더(53)가 상기 하우징(51)의 하단부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53)의 바닥부와 상기 하우징(51)의 하단부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함몰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516b)은 상기 홀더 바디(531)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되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51)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 측면에는 보강 리브들(518)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51)의 벌어짐을 추가적으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a, 8b, 9a, 9b는 도 6의 용기 거치대에 음료 용기가 수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거치대(50)에는 한 개의 음료 용기가 수납 가능하며, 한 개의 음료 용기가 수납될 때에는 상기 제 2 수납부(514)에 음료 용기가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음료 용기는 펼쳐진 또는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음료 용기의 상면과 바닥면이 각각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고, 상기 음료 용기의 상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원주면이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52)에 접촉한다.
상기 음료 용기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L)을 기준으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52)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5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52)는 상기 음료 용기의 제1 측과 제2 측을 지지한다.
상세히, 상기 한 개의 음료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음료 용기의 상부 제1 측을 지지하는 제 1 용기 지지대(52a)와, 상기 음료 용기의 상부 제2 측을 지지하는 제 2 용기 지지대(52b)와, 상기 음료 용기의 하부 제1 측을 지지하는 제 3 용기 지지대(52c) 및 상기 음료 용기의 하부 제2 측을 지지하는 제 4 용기 지지대(52d)가 필요하다.
서로 마주보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야 한다. 만일, 제1 및 제2 용기 지지대 중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낮은 지점에 형성될 경우, 상기 음료 용기가 교반되는 과정에서, 높은 쪽의 용기 지지대로부터 음료 용기가 이탈하였다가 보다 높은 용기 지지대에 대하여 다시 안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동 현상으로 인해 음료 용기가 용기 지지대에 부딪히면서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52) 간의 거리는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어서, 상기 음료 용기가 밑으로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51)의 제1 측과 제2 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용기 지지대를 한 세트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지지대 세트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용기 지지대 세트를 형성하는 용기 지지대들 간의 거리는 세트 별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및 제 2 용기 지지대(52a,52b) 간의 거리는 상기 제 3 및 제 4 용기 지지대(52c,52d) 간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용기 지지대들 간의 거리는 상기 음료 용기의 직경보다는 작은 범위 내에서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마주보는 용기 지지대들 간의 거리들이 모두 동일한 경우에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용기 지지대들은 동일 수직선 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두 개의 음료 용기가 수납될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3 수납부(513,515)에 음료 용기가 각각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수납되는 음료 용기는 원통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바로 인접하는 두 개의 수납부에 음료 용기를 수납하면, 두 개의 음료 용기의 원주면이 간섭되어 수납이 불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수납부(513)에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 지지대(52a,52b)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상측 지지부(501c)에 의하여 감싸지는 형태로 지지되어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기 제 3 수납부(515)에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상측은 상기 제 3 및 제 4 용기 지지대(52c,52d)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측은 제 5 및 제 6 용기 지지대(52e,52f)에 의하여 지지되어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대들은 해당 음료 용기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L)으로부터 상측과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마주보는 용기 지지대들 간의 거리는 음료 용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 용기가 용기 거치대(50)에 수납되면, 상기 음료 용기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하단부가 벌어질 수 있고, 그 결과 음료 용기가 바닥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54)가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상단부를 조여주어 1차적으로 벌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홀더(53)가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하단부를 잡아 주어 용기 거치대(50)가 2차적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의 용기 지지대(52)가 상기 음료 용기의 제1 측과 제2 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음료 용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52) 간의 거리는 상기 음료 용기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음료 용기가 상기 용기 지지대(52)에 얹히는 형태가 되어, 상기 음료 용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거치대(50)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리브(518)가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음료 용기가 컨트롤러 거치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용기 거치대가 교반 트레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도 6의 용기 거치대가 교반 트레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50)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교반 트레이(4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해서 상기 교반 트레이(40)에는 고정 메커니즘(4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메커니즘(45)은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상면 모서리 부위에 전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모서리에는 힌지홀(48:도 18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메커니즘(45)은, 상기 힌지홀(48)에 삽입되는 힌지부(451)와, 상기 힌지부(451)에서 연장되는 레버(452)와, 상기 레버(452)로부터 상기 레버(452)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름단(453)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누름단(453)은 다수의 누름단(4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타측 가장자리, 즉, 상기 힌지홀이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레버 걸이부(4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레버(452)의 단부가 상기 레버 걸이부(44)에 걸리면, 상기 누름단(453)이 상기 홀더(53)의 상면을 눌러서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교반 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후단부에는 걸림 리브(43)가 "ㄱ" 형태로 절곡 연장된다. 상기 걸림 리브(43)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1)의 후면 하단부의 내측면에는 걸림부(517)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517)는 상기 하우징(51)을 형성하는 상기 장착 플랫폼(516)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며, 즉, 장착 플랫폼(516)의 제1 측과 제2 측의 각각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부(517)는 상기 장착 플랫폼(516)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부(517a)와, 상기 수직부(517a)의 저면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517b)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517)는 "ㄴ"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51)이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결합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517)의 수평부(517b)가 상기 걸림 리브(43)에 걸리게 된다. 실시예들은 상기 걸림 리브(43)와 걸림부(517)의 도시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걸림 수단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하에서는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장착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냉각 장치의 용기 거치대가 교반 트레이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후면 하단에 돌출된 상기 걸림부(517)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후단에 돌출된 상기 걸림 리브(43)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후면 하단부가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상면에 닿도록 한다.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후방으로 밀어서 상기 걸림부(517)의 수평부(517b)가 상기 걸림 리브(43)의 아래쪽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뒤로 밀어서 상기 걸림부(517)이 상기 걸림 리브(43)에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517b)가 상기 걸림 리브(43)에 걸리면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단부를 내려서,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뒤로 더 밀어, 상기 걸림부(517)이 상기 걸림 리브(43)에 완전히 걸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메커니즘(45)의 레버(452)를 회전시켜 상기 레버 걸이부(44)에 상기 레버(452)의 단부가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 메커니즘(45)의 누름단(453)이 상기 홀더(53)의 상면을 타고 미끄러져서 상기 홀더(53)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상기 교반 트레이(4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장착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즉, 상기 고정 메커니즘(45)의 레버(452)를 역회전시켜 상기 누름단(453)이 상기 홀더(53)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앞으로 잡아 당겨 상기 걸림부(517)가 상기 걸림 리브(43)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들어 올려서 분리시킨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50)는 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된다.
상세히, 음료 용기가 상기 용기 거치대(50)에 장착된 상태에서 교반 운동이 시작되면, 교반 과정에서 흔들려 상기 용기 거치대(5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면부는 음료 용기의 수납과 인출을 위해서 완전히 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교반 과정에서 용기 거치대(50)의 전방으로 음료 용기가 빠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거치대(50)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하여 음료 용기의 무게 중심이 뒤쪽으로 쏠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 플랫폼(516)의 전면부 높이가 후면부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면부 높이(h1)가 후면부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안착되면,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음료 용기도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후방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상기 용기 거치대(50)가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상면을 지나는 선(L2)과 수평선(L1)이 이루는 각도는 약 5°~ 7°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50)의 전면은 후면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501)을 형성하는 제1 지지부(501a)와 제2 지지부(501b) 간의 거리가 후방 프레임(502)을 형성하는 제1 지지부(502a)와 제2 지지부(502b) 간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음료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기 위해서 용기 거치대의 상부를 통해 음료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거치대의 경우, 음료 용기의 수납과 인출이 매우 불편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최하측에 수납된 음료 용기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상측에 있는 음료 용기들을 모두 인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를 뉘어서 수납하고 상측으로 적층하는 용기 거치대의 경우, 용기 거치대의 전면을 통하여 음료 용기를 수납하는 방식이 사용 편의성에 있어서 최적이라 할 수 있다.
뉘어진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음료 용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교반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 상에서 공전 운동 또는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반 과정에서 수납된 음료 용기가 용기 거치대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용기 거치대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프레임(501)의 폭이 후방 프레임(50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교반 과정에서 음료 용기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502)에는 제1 지지부(502a)와 제2 지지부(502b)를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 리브(518)가 형성됨으로써, 음료 용기가 용기 거치대(50)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 리브들(518)은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52)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다수의 용기 지지대(52)의 후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음료 용기가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면은 완전히 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음료 용기가 수납되면 음료 용기의 하중에 의하여 용기 거치대(50)의 전면이 벌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54)와 홀더(53)가 결합되는 것 외에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단부 폭(W2)을 후단부 폭(W1)보다 좁게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단부의 측면과 후단부의 측면을 지나는 선(L4)과,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후면과 직교하며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L3)이 이루는 각도(도는가 약 5°~ 7°를 형성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기 교반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4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이룰 수 있는 트레이 바디(41)와, 상기 트레이 바디(41)의 양 측면 가장자리와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지고 상측으로 돌출되는 물넘침 방지 리브(42)와, 상기 트레이 바디(41)의 후면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상기 걸림 리브들(43)과, 상기 트레이 바디(41)의 중심부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보스(46)와, 상기 트레이 바디(41)의 네 모서리 부근에 해당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41)의 저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4개의 가이드 돌기(415) 및 상기 고정 메커니즘(45)의 힌지부(451)가 삽입되는 힌지홀(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41)의 각각의 측면부에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함몰될 수 있는 간섭 방지홈(417)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 방지홈(417)은,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수직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원운동할 때, 교반 궤적 주위에 있는 부품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교반 궤적 주위에는 상기 교반 구동부(30)의 모터를 덮는 커버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물론, 교반 궤적 주위에 간섭될 만한 구성이 없다면 상기 간섭 방지홈(417)은 없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상면에는 캡(47)이 씌워져서, 상기 음료 용기 표면에 맺혀서 흘러 내리는 물이 상기 가이드 보스(46)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넘침 방지 리브(42)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전면에는 형성되지 않아서, 상기 교반 트레이(40) 위로 떨어지는 물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전방으로 흘러 상기 베이스(20) 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보스(46)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상면 및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상면 및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부(462)와, 상기 수직부(462)의 하단부에서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중심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63)의 내측에는 편심축 삽입홀(46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내부에는 부쉬 챔버(4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63)는 상기 수직부(462)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편심축 삽입홀(464)은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상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쉬 챔버(465) 내부에는 후술한 부쉬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부(46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편심축 삽입홀(464)에는 교반 디스크의 편심축(후술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구동부가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 구동부(30)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교반 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20)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브라켓(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교반 구동부(30)와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놓이는 바닥(21)과, 상기 바닥(21)의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21)은 상기 브라켓(10)의 바닥(11)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측면(22)은 상기 브라켓(10)의 측면(12)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22)의 상단에는 냉기 토출을 위한 덕트(90)의 토출 덕트(후술함)와 토출 그릴(75)이 놓여서, 냉기가 음료 용기의 측면부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전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바닥(21)에는 배수홀(211)이 형성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전단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홀(211)을 통하여 냉동실(3)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음료 용기의 표면에 맺히는 응축수 또는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바닥(21)의 상면 네 모서리 영역에는 4개의 슬리브(2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23) 각각에는 트레이 받침대(49)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받침대(49)는, 길이가 짧고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각 트레이 받침대(49) 상면의 중심부(491)와 에지부(492) 사이에는 안내홈(493)이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493)에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저면에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415)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상기 교반 구동부(30)에 의하여 교반 궤적을 따라 원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415)는 상기 안내홈(493)을 따라 원운동할 수 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교반 운동 메커니즘은,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가이드 돌기(415)가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 또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홈(493)을 따라 원운동 또는 공전 운동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23)의 내경이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돌기(415)가 상기 안내홈(493)을 따라 원운동할 때, 상기 트레이 받침대(49)가 상기 슬리브(23) 내부에서 좀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교반 운동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에 안착되면, 상기 거치 부재(50) 및 음료 용기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 돌기(415)와 상기 안내홈(493)이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상기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 돌기(415)와 상기 트레이 받침대(49)가 한 몸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받침대(49)가 상기 슬리브(23) 내부에 꽉 끼이게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415)와 상기 트레이 받침대(49)가 한몸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부드럽게 회전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외경이 상기 슬리브(23)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교반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9의 교반 구동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구동부(30)는,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32)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일측에 안착되어 교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교반 모터(33)와; 상기 교반 모터(3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 어셈블리(34)와; 상기 기어 어셈블리(34)를 통하여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는 상기 교반 모터(33)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기어 어셈블리(34)가 장착될 수 있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의 바닥부에는 한 쌍의 지지 보스(311)가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보스(311) 각각에는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가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 보스(311)의 각각의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지그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교반 디스크(35)의 내측에 반원 형상의 지그홀(35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그홀들(312,355)을 관통하는 지그 필러(후술함)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의 위치가 정렬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32)에는 상기 교반 디스크(35)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교반 디스크 삽입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32)가 상기 케이스(31)에 결합되면, 상기 디스크 삽입홀(321)에 상기 교반 디스크(35)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 모터(33)로부터 구동축(330)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330)의 외주면에는 웜기어(331)가 형성되어, 상기 교반 모터(33)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 어셈블리(34)로 전달한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34)는, 상기 웜기어(331)에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된 제 1 기어(36)와, 상기 제 1 기어(36)와 맞물리는 제 2 기어(37) 및 상기 제 2 기어(37)와 맞물리는 제 3 기어(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38)는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 모터(33)가 동작하면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가 회전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기어(36)는, 상기 웜 기어(331)와 맞물리는 상측 기어부(361)와, 상기 상측 기어부(36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기어(37)와 맞물리는 하측 기어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38)는,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상측 기어부(381)와, 상기 상측 기어부(38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와 맞물리는 하측 기어부(3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37)는 상기 제 1 기어의 하측 기어부(362)와 상기 제 3 기어(38)의 상측 기어부(381)와 기어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는, 원통 형상의 디스크 바디(351)와, 상기 디스크 바디(35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기어(38)의 하측 기어부(382)와 맞물리는 피니언(352)과, 상기 디스크 바디(351)의 상면에 돌출되는 편심축(3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53)은 상기 디스크 바디(351)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편심되어 형성된다. 상기 편심축(353)의 내측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홈(35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디스크 바디(351)의 중심부에는 반원 형상의 지그홀(35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바디(351)의 내부에는 보스 삽입홈(356: 도 2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 삽입홈(356)은 상기 디스크 바디(351)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심축(35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 트레이(40)의 가이드 보스(46) 저면에 형성되는 편심축 삽입홀(46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 디스크(35)가 회전하면 상기 편심축(353)이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교반 트레이(40)도 상기 편심축(353)의 회전 궤적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용기 거치대(50)에 수납된 음료 용기를 교반하게 된다.
도 22는 도 19의 XXII-XX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의 바닥(11)에 상기 베이스(20)의 바닥(21)이 놓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20)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교반 구동부(3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교반 구동부(30)의 케이스(31)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상기 지지 보스(311)는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보스 삽입홈(356)에 삽입된다. 즉, 상기 교반 디스크(35)가 상기 지지 보스(31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교반 디스크(35)는 상기 커버(32)에 형성된 교반 디스크 삽입홀(321)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커버(32)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편심축 삽입홀(464)에 상기 편심축(353)이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축(353)의 체결홈(354)에 락너트(lock nut)(N)와 같은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내부에 형성된 부쉬 챔버(465)에는 원형의 부쉬(39)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수평부(463)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볼트(B)와 같은 체결 부재가 상기 부쉬(39)를 관통하여 상기 락너트(N)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편심축(353)과 한몸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볼트(B)가 체결된 이후에 상기 가이드 보스(46)의 상면은 상기 캡(47)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도 23은 한 쌍의 교반 디스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구동부(30)는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가 상기 제 3 기어(38)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동일 선상에 놓일 수 있고, 상기 제 3 기어(38)에 맞물려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는 제 1 교반 디스크와 제 2 교반 디스크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교반 디스크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가이드 보스(46)도 제 1 가이드 보스와 제 2 가이드 보스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교반 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가 상기 지지 보스(311)에 끼워질 때, 상기 지그홀들(355,312)이 동일 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삽입 위치를 조정하여야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에 각각 돌출되는 편심축들(353)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여야만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교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둘째, 교반 과정에서 제 1 교반 디스크의 편심축(353)의 중심과 교반 디스크(35)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제 2 교반 디스크의 편심축(353)의 중심과 교반 디스크(35)이 중심을 지나는 직선과 일치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 초기 상태(회전각이 0 또는 360도인 지점)에서는 상기 두 개의 직선이 동일 선상에 놓여야 하고, 회전을 시작하면 항상 실질적으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셋째, 초기 상태에서, 상기 편심축들(353)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놓여야 하지만,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 사이를 지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지 않는 위치에 놓여야 한다.
위 세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제 3 기어(38)가 회전할 때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상기 제 3 기어(38)의 기어이와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피니언(352)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컨대,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조립시 상기 편심축들(353)이 동일선상에 놓이더라도 대칭되는 위치에 놓일 경우, 초기 상태에서 상기 편심축들(353)이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교반 디스크들(35)이 동일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초기 상태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고, 즉, 틀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량이 90가 넘어서면 상기 편심축들(353)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교반 트레이(40)를 회전시킬 수 없다. 즉,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파손되거나 상기 교반 구동부(30)의 기어가 파손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조립 시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의 편심축(353)을 정렬(align)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정렬작업(alignment)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기어 어셈블리(34)가 상기 케이스(31)에 안착된 상태, 즉 상기 제 3 기어(38)가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피니언(352)과 맞물릴 준비가 된 상태에서, 지그 부재를 상기 케이스(31)의 저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부재는 상기 케이스(31)의 저면이 놓이는 지그 바디(G)와, 상기 지그 바디(G)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그 필러(zig pillar)(G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필러(G1)는 횡단면이 상기 지그홀(312,355)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반원 기둥이다.
상기 지그 필러(G1)가 상기 지지 보스(311)에 형성된 지그홀(312)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를 끼울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의 지그홀(355)에 상기 지그 필러(G1)가 삽입되면, 자동으로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가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편심축들(353)이 위 세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 디스크(35)가 상기 지그 필러(G1)를 타고 하강하면서 상기 피니언(352)이 상기 제 3 기어(38)의 하측 기어부(382)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피니언(352)이 상기 제 3 기어(38)의 하측 기어부(382)와 맞물리면, 상기 지그 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3 기어(38)가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축들(353)은 항상 동일 선상에 놓이거나, 편심축(353)의 중심과 교반 디스크(35)의 중심을 지나는 선들이 항상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측면을 지나는 선이 틀어지지 않고 항상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24는 도 19의 XXIV-XXIV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안정적인 교반 운동을 위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네 모서리가 트레이 받침대(49)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놓이는 베이스(20)의 바닥(21) 상면에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네 모서리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슬리브(2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23) 내부에 상기 트레이 받침대(49)가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3)의 내측에는 안착홀(2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착홀(231)은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직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가진다. 상기 안착홀(23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지점에는 상기 트레이 받침대(49)를 지지하는 단턱(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홀(231)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 또는 단차지는 다수의 물빠짐홀(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물빠짐홀(233)은 상기 안착홀(231)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안착홀(231)이 형성 가능하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트레이 받침대(49)가 상기 슬리브(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가이드 돌기(415)는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안내홈(49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교반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415)는 상기 안내홈(493)을 따라 원운동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가 교반 운동할 때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 디스크(35)가 회전하면, 상기 교반 디스크(35)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편심축(353)이 원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교반 트레이(40)도 동일한 궤적으로 원운동한다.
상세히,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원운동 함에 따라,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가이드 돌기(415)는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안내홈(493)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받침대(49)의 중심부(491)를 중심으로 원운동할 수 있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의 교반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a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35)의 회전에 의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할 수 있고, 교반 과정에서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측면을 지나는 선들은 항상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일측 모서리는 초기 상태에서 90도 간격으로 ab→cd의 원 궤적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각 지점에서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a1b1→c1d1을 따르는 궤적을 형성하면서 회전한다.
이웃하는 트레이 받침 부재들(49)의 중심을 연결하면 평면 2차원 도형, 즉 직사각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직사각형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X)이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교반 중심이 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상기 수직축(X)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는 교반 메커니즘 또는 교반 궤적을 가진다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받침부재(49)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궤적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응축수가 상기 교반 트레이(40)로 떨어져 상기 슬리브(23)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메커니즘에 의하면,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수평면 상태에서 2차원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좌우 방향 또는 제1 측 방향(x축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K1)과 전후 방향 또는 제2 측 방향(y축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K2)을 교번하여 수행한다. 냉기는 제1 측 방향(x축 방향)으로 공급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교반 트레이(40)가 좌우 방향으로 운동할 때(K1)는, 상기 음료 용기가 토출 그릴(75)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가장 먼 지점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이동 방향과 냉기의 공급 방향이 일치하므로, 교반 트레이(40)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토출 그릴(75)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음료 용기의 원주면에 항상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하지 못하고 용기 거치대를 빠져나가는 냉기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51에 보이는 종래의 냉각 장치의 교반 메커니즘에 의하면, 음료 용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서 음료 용기에 부딪히는 냉기의 양이 가변적이다. 즉, 스윙 모션이 채택된 종래의 냉각 장치의 경우, 음료 용기가 교반 궤적의 끝지점(A1,A2)에 위치할 때 음료 용기에 부딪히지 않고 냉각 장치를 빠져나가는 냉기가 존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음료 용기가 교반 궤적의 끝지점에서 하강하는 순간부터 교반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이 순간에는 음료 용기의 원주면에 부딪히는 냉기의 양이 가장 적다. 그리고, 교반 강도가 가장 약한 상태에 해당하는 지점, 즉 상기 음료 용기가 교반 궤적의 최하점에 위치하는 지점에서 음료 용기의 표면에 부딪히는 냉기의 양이 가장 많다.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스윙 운동이 일어나고, 냉기가 상측으로 공급되는 냉각 장치, 즉 교반 방향과 냉기 공급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메커니즘을 가지는 종래의 냉각 장치에 비하여, 교반 방향과 냉기 공급 방향이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메커니즘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냉각 효율에 있어서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교반 트레이가 수평면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교반 성분을 가지고, 음료 용기의 교반 방향과 냉기 공급 방향이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교반 방향이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교반 메커니즘은 뛰어난 냉각 효율을 나타내는 실시예들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26b는 음료 용기의 교반 방향과 냉기 공급 방향이 동일한 교반 메커니즘을 가지는 냉각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b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수평면 상에서 좌우 방향 또는 제1 측방향으로 교반 운동할 수 있고,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 용기는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전후 방향 또는 제2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놓일 수 있다. 즉,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과 음료 용기의 교반 방향이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그리고, 냉기(J)는 상기 음료 용기의 교반 방향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교반 트레이(4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교반 링크(35b)의 제1 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교반 링크(35b)의 제2 측단에는 교반 디스크(35a)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디스크(35a)의 중심에는 교반 모터(33)의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링크(35b)의 제1 측단은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단은 상기 교반 디스크(35a)에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교반 링크(35b)의 제2 측단은 상기 교반 디스크(35a)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교반 모터(33)가 회전하면 상기 교반 디스크(35a)가 회전하고, 상기 교반 디스크(35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교반 링크(35b)의 제2 측단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 링크(35b)의 제2 측단이 상기 교반 디스크(35a)에 편심되게 연결되므로, 상기 교반 링크(35b)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좌우 방향 또는 제1 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교반 트레이(40)는 공급되는 냉기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 및 냉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상기 음료 용기는 수평면 상에서 왕복 운동하되, H1로 제고할 수 있다 수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교반 메커니즘에 의하면, 음료 용기가 상기 토출 그릴(75)에 해당하는 냉기 공급부로부터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운동, 즉, 직선 왕복 운동을 반복할 뿐이며, 상기 냉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기 전부는 항상 음료 용기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냉각 효율이 종래의 교반 메커니즘에 비하여 현저히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6a에서 제시되는 교반 메커니즘에도 도 26b에서 제시되는 교반 메커니즘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에 적용되는 교반 메커니즘이 도 26b에서 제시되는 직선 왕복 운동 메커니즘과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만, 도 26a에서 제시되는 교반 메커니즘을 적용할 경우, 교반 트레이(40)와 음료 용기 및 용기 거치대(50)의 관성에 의한 용기 거치대의 흔들림 및 교반 구동 부품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는, 관성에 의한 용기 거치대의 흔들림 및 교반 구동 부품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26a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 교반 운동이 교번하여 일어나도록 설계되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실시예들은, 교반 트레이가 적어도 수평면 상에서 또는 수평면에서 교반 운동하고,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교반 성분을 가지며, 상기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냉기가 공급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용기 거치대(50)는, 음료 용기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 중 하나는 음료 용기 내부의 액체가 수납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교반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하측에 수납되는 음료 용기와 상측에 수납되는 음료 용기의 교반 강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스윙 운동 방식의 경우, 상측에 적층되는 음료 용기는 하측에 적층되는 음료 용기에 비하여 교반 궤적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교반 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측에 적층되는 음료 용기는 하측에 적층되는 음료 용기에 비하여 액체의 혼합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도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평면 상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교반 메커니즘, 또는 수평면 상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교반 성분을 가지며 수직축(z축으로 정의될 수 있음)을 중심으로 공전 운동하는 교반 메커니즘의 경우, 적층 높이에 관계없이 음료 용기의 교반 강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공전 운동은 음료 용기가 뉘어진 상태에서, 음료 용기의 전면과 후면은 항상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으로 정의됨을 밝혀둔다.
또한,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 중심을 지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음료 용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메커니즘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는 용기 거치대 구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하로 적층되는 음료 용기들 각각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이 설계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절절하지 못하다.
또한, 음료 용기를 세운 상태 또는 배향으로 수납하는 용기 거치대 구조의 경우, 음료 용기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교반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음료 용기를 옆으로 뉘어서 수납하는 용기 거치대의 구조에 비하여 교반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음료 용기를 옆으로 뉘어서 수납하는 형태의 용기 거치대가, 수평면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교반 트레이에 놓이는 경우, 교반 트레이의 이동 방향이 바뀌는 시점에서 액체의 혼합이 크게 일어나므로, 교반 강도 및 열교환 효율이 더욱 좋은 장점이 있다. 즉, 교반 트레이가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성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구비되는 격벽이 접힌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상기 격벽이 펼쳐져 개구된 상태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9는 상기 격벽이 펼쳐져 개구된 상태의 다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60)은, 링크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60)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의 바닥(21)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격벽(61)과; 하단부가 상기 하부 격벽(61)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 격벽(62) 및 하단부가 상기 중간 격벽(62)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격벽(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60)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측방에 직립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60)은, 저장실의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 등의 물품이 상기 용기 거치대(50)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벽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격벽(61)은, 하단부의 전단과 후단에서 돌출되는 힌지축(611)과; 우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간 격벽(62)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 리브(612)와; 상면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는 연결단(613); 및 연결단(613)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동 방지 리브(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격벽(62)은, 하면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는 하부 연결단(621)과; 상기 하부 격벽(61)에 돌출되는 상기 흔들림 방지 리브(612)와 맞닿도록 돌출되는 흔들림 방지 리브(625)와; 상면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는 상부 연결단(622)과; 하면에 형성되는 제 1 회동 방지 리브(623); 및 상면에 형성되는 제 2 회동 방지 리브(6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격벽(63)은, 하면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는 연결단(631)과; 하면에 형성되는 회동 방지 리브(636)와; 우측면 전단과 후단에 돌출되는 간격 유지 리브(632)와; 상기 흔들림 방지 리브(612,625)가 삽입되는 삽입 슬릿(634)과; 전면 상단에 돌출되는 끼움 돌기(6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 리브(632)에는, 상기 상부 격벽(63)이 접혔을 때 상기 하부 격벽(61)과 중간 격벽(62)을 연결하는 연결단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 방지홈(63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격벽(61)의 연결단(613)과 상기 중간 격벽(62)의 하부 연결단(621) 중 어느 하나의 연결단에는 힌지축(611)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611)이 상기 연결단들(613,621) 중 다른 하나의 연결단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중간 격벽(62)이 상기 하부 격벽(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격벽(63)과 중간 격벽(62) 간의 연결 구조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격벽(61)의 힌지축(611)은 상기 베이스(20)의 바닥(21) 상면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된 힌지홈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격벽(62)의 측면이 상기 하부 격벽(6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접힙 상태)에서 18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격벽(62)과 상기 하부 격벽(61)이 일직선상에 놓이는 상태(펼침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다. 상기 중간 격벽(62)이 펼쳐져 개구된 상태에서는, 상기 흔들림 방지 리브들(625,612)로 인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중간 격벽(62)의 흔들림 방지 리브(625)가 상기 하부 격벽(61)의 흔들림 방지 리브(612)와 접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중간 격벽(62)이 펼쳐져 개구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간 격벽(62)은 상기 하부 격벽(61)의 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격벽(63)은 상기 중간 격벽(62)과 동일 선상에 놓인 상태, 즉, 완전히 펼쳐져 개구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할 수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90도까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격벽(63)이 직립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도만큼 회전하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슬릿(634)에 상기 흔들림 방지 리브(612,625)가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부 격벽(63)이 직립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상부 격벽(63)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회동 방지 리브(636)가 상기 중간 격벽(63)의 상단에 형성된 제 2 회동 방지 리브(624)에 걸려서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도 34 참조).
그리고, 상기 상부 격벽(63)이 접혀서 상기 중간 격벽(62)과 하부 격벽(61)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끼움 돌기(635)가 상기 베이스(20)의 바닥(21)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201:도 30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격벽(60)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덕트(90)의 외주면에는 지지 돌기(901:도 30 참조)가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 돌기(901)는 상기 격벽(6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격벽(60)의 일측 상에 또는 일측에 놓인 음식물이 상기 격벽(60)을 밀어서 상기 격벽(60)이 상기 용기 거치대(50)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상부, 중간 격벽들(61,62,63)을 적절히 접고 펴는 동작에 따라 상기 격벽(60)이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다른 물품이 놓이도록 하는 받침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0 내지 도 34는 격벽을 음식물 또는 기타 물품의 수납을 위한 받침대로 변경하기 위한 조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급속 냉동 기능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는, 상기 용기 거치대(50)를 분리하고, 상기 격벽(60)을 음식물 또는 기타 물품의 수납을 위한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3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격벽(60)을 위로 약간 들어 올려서, 상기 상부 격벽(63)에 돌출되는 끼움 돌기(635)가 상기 끼움홈(20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격벽(60)이 펼쳐지거나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격벽(61)과 중간 격벽(62)의 연결 부위를 상기 교반 트레이(40) 쪽으로 밀면서 상기 중간 격벽(6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위를 밀어서 상기 중간 격벽(62)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부 격벽(63)이 상기 지지 돌기(901)와 간섭되지 않도록 조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 격벽(62)을 회전시켜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격벽(61)과 중간 격벽(62) 및 상부 격벽(63)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서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격벽(61)이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놓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중간 격벽(6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 격벽(6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격벽(62)이 상기 교반 트레이(40)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180도 회전시켜, 상기 하부 격벽(61)과 중간 격벽(62)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격벽(63)은 직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격벽(63)을 상기 베이스(20)의 측면(22)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75)로부터 상기 상부 격벽(63)이 소정 거리, 예를 들어, 약 5mm 정도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상기 상부 격벽(63)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가 상기 토출 그릴(75)의 토출 노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격벽(63)과 상기 토출 그릴(75)의 노즐 사이에서 응축수가 얼어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5는 도 30의 XXXV-XXXV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에 구비되는 송풍기(70)는, 증발실 또는 냉동실 냉기를 흡입하는 팬(80)과, 상기 팬(80)에 의하여 제공되는 냉기를 상기 용기 거치대(50)에 수납된 음료 용기로 안내하는 덕트(90) 및 상기 덕트(90)의 토출단에 또는 토출단 상에 구비되는 토출 그릴(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80)은, 모터축(811)을 가지는 팬모터(81)와, 상기 모터축(81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송풍팬(82)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82)은 냉기를 원심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심팬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90)는, 증발실 또는 냉동실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 덕트(91)와, 상기 흡입 덕트(91)에 연결되어, 냉기를 상기 토출 그릴(75) 쪽으로 안내하는 토출 덕트(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모터(81)는 상기 흡입 덕트(91)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82)은 상기 토출 덕트(92)의 입구 쪽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덕트(91)의 배면 하측에는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911)가 형성될 수 있고, 전면부에는 냉기를 토출 덕트(92)로 안내하는 쉬라우드(9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덕트(91)의 전면에는 상기 토출 덕트(92)가 연결되는데, 상기 토출 덕트(92)는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측면으로 냉기가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덕트(92)는,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후방에 놓일 수 있고, 상기 흡입 덕트(91)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제 1 부분(921)과, 상기 제 1 부분(92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9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22)에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상기 토출 그릴(7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75)에는 다수의 토출 노즐(75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75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토출 덕트(92)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음료 용기의 표면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지지 돌기(901)는 상기 제 1 부분(921)의 외측 면에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22)은 상기 베이스(20)의 측면(22)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덕트(91)와 토출 덕트(92)는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어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단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팬(82)은 상기 제 1 부분(9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82)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제 1 부분(921)을 따라 제 2 부분(922)으로 안내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를 구성하는 흡입 덕트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7은 쉬라우드가 제거된 도 36의 흡입 덕트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 덕트(91)의 배면 하단 가장자리에는 증발실 냉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9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덕트(91)는, 쉬라우드(912)가 장착되는 전면(917)과; 상기 흡입구(911)가 형성되는 배면(913)과; 상기 배면(913)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전면부 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는, 측면(915)과 상면(914) 및 저면(9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914)과 측면(915) 및 저면(916)이 만나는 지점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부드럽게 만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914)은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측방향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상면(914)의 내측 표면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측면(915)과 배면(913) 쪽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면(914)과 측면(915)이 부드럽게 라운드지는 형태로 이어지므로, 상기 상면(914)과 측면(915)이 만나는 지점에서 응축수가 맺혀있지 않고 상기 측면(915)을 따라 흘러 내리게 된다.
상기 흡입구(911)에는 차폐부(911a:도 39 참조)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상 과정에서 뜨거운 공기가 상기 흡입구(9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구(9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차폐부(911a)를 상기 흡입구(911)의 상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911a)의 회전축이 전기적인 제어 또는 제어 신호에 따른 기구적인 제어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상 과정이 시작되면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차폐부(911a)가 회동하여 상기 흡입구(911)를 차폐하도록 하고, 제상 과정이 끝나면 차폐부(911a)가 역회전하여 상기 흡입구(911)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별도의 구동 부재가 없이, 흡입구(911)를 통하여 흡입되는 냉기에 의하여 차폐부(911a)가 회전하여 상기 흡입구(911)를 개방하고, 냉기 흡입이 없을 때에는 자중에 의하여 차폐부(911a)가 역회전하여 상기 흡입구(911)를 폐쇄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38은 도 36의 XXXVIII-XXXVI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고, 도 39는 도 36의 XXXIX-XXXI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상면(914)은 상기 배면(913)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914)과 배면(913)의 경계 부분이 소정 곡률로 부드럽게 만곡되는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상면(914)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배면(913) 쪽으로 흘러내리고, 상기 배면(913)의 표면을 따라 상기 저면(916)까지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916)도 상기 흡입구(911)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저면(916)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상기 흡입구(911) 쪽으로 흘러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911)의 바닥부는 양측면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수로(918)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덕트(91) 내부에 맺힌 응축수가 상기 배수로(918)를 따라 증발실 쪽으로 흘러 내리도록 한다. 상기 증발실 쪽으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드레인팬(drain pan)(도시하지 않음)에 집수되어 버려질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저면(916)은 전면(917)에서 배면(913)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저면(916)은, 상기 쉬라우드(912)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입구(911)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수가 상기 흡입구(911) 쪽으로 모두 흘러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 덕트(91) 내부에 맺힌 응축수가 흡입구(911) 쪽으로 모두 흘러가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이 없이 측방향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리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상기 흡입 덕트(91)가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0 및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된 음료 용기(들)와 토출 그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 그릴(75)에는 다수의 토출 노즐(751)이 행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75)은,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들 각각은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들(75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토출 노즐들(751)이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 및 음료 용기의 적층 방향으로 배치되어, 음료 용기에 냉기가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토출 노즐 세트는 4 ~ 5개 정도의 토출 노즐(75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 그릴(75)은 4 ~ 5개 정도의 토출 노즐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상기 토출 노즐 세트의 개수와, 하나의 토출 노즐 세트가 가지는 토출 노즐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751)은 세로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세로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토출 노즐들(751)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측 토출 노즐 세트에 배치되는 토출 노즐들은 상측 토출 노즐 세트에 배치되는 토출 노즐들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는 지점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토출 노즐 행에 구비되는 토출 노즐들의 간격은 모두 동일하다.
한편, 도 4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한 개의 음료 용기가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제 2 수납부(514)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751) 전부가 상기 음료 용기를 향하여 냉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음료 용기가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제 1 및 제 3 수납부(513,515)에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수납부(513)에 수납된 음료 용기를 향하여 냉기를 분사하는 토출 노즐(751)의 개수와 상기 제 3 수납부(515)에 수납된 음료 용기를 향하여 냉기를 분사하는 토출 노즐(751)의 개수가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음료 용기가 수납될 때에는 냉기가 1대 1로 분배되어 분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납된 복수 개의 음료 용기에는 동일한 개수의 토출 노즐 세트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3 수납부(513,515)에 수납된 음료 용기 각각에는 두 줄의 토출 노즐 세트가 배치되도록 하였다.
도 42는 도 40과 도 41의 토출 그릴의 정면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그릴(75)은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토출 노즐 세트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7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수의 토출 노즐들(751)은 지그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들(751)이 세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인접하는 토출 노즐들(751) 간의 간격(E)은 토출 노즐(751)의 직경(D)의 1 ~ 2배 정도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세히, 토출 노즐(751)의 개수가 많을수록 냉각면에 골고루 냉기를 분사하여 고른 열전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정해진 면적에서 너무 많은 개수의 토출 노즐이 형성되어 토출 노즐들 간의 간격이 작아지면, 인접하는 노즐들로부터 분사되는 냉기가 서로 간섭되어 냉각 효과가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인접하는 토출 노즐들의 간격(E)이 노즐 직경(D)의 1 ~ 2배 정도가 될 때, 인접하는 토출 노즐에서 분사되는 냉기들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음이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는 토출 노즐들의 간격(E)은 토출 노즐들의 직경(D)의 1.5배가 좋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0과 도 41의 토출 그릴에 구비되는 토출 노즐의 직경과 토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냉기 유량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토출 노즐(751)의 직경(D)을 나타내고, 제1 세로축은 토출 강도를 나타내며, 제2 세로축은 토출 노즐(751)을 통하여 분사되는 냉기의 유량 또는 풍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래프 A는 노즐 직경에 따른 냉기 유량 그래프일 수 있고, 그래프 B는 노즐 직경에 따른 냉기의 토출 강도 그래프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 강도는 레이놀즈 수(Re)로 표현될 수 있다. 작동 유체는 공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냉기의 토출 강도는 아래의 식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5125331432-pct00001
ρ: 공기의 밀도,
μ: 공기의 점성,
D: 토출 노즐의 직경,
V: 토출 노즐에서 분사되는 냉기의 속도.
상기 냉기의 분사 속도(V)는 팬의 송풍 능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토출 노즐(751)의 직경 및 개수에 따라 정해진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의 토출 강도와 냉기 유량을 종합하면, 토출 노즐(751)의 직경이 구간 C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냉각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토출 노즐(751)의 직경(D)은 약 6mm ~ 8mm가 적당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6.5mm ~ 7.5mm가 좋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7mm가 좋다.
상기 토출 노즐(751)의 직경이 커질수록 토출되는 냉기의 양이 증가하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토출 노즐(751)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거나 직경이 너무 커지면 냉기 분사 압력을 의미하는 냉기 토출 강도가 저하되어 열교환 효율이 오히려 저하된다.
도 44는 교반 모션 형태에 따른 교반 성능을 보여주는 비교 그래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그래프의 가로축은 교반 주기를 나타낼 수 있고, 세로축은 교반 강도를 나타낼 수 있고, 그래프 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40)가 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형태의 교반 모션일 때의 결과를 보여주며, 그래프 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40)가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 운동하는 형태의 교반 모션일 때의 결과를 보여준다.
교반 주기는 교반 모터의 RPM으로 정의되고, 교반 강도는 탁도값(NTU:Nepthelometric Turbidity Unit)으로 정의된다.
제약 조건은, 교반 가용 진폭은 5 ~ 10mm, 교반 모터의 최대 주기는 220RPM으로 하였고, 두 개의 음료 용기가 제 1 및 제 3 수납부(513,515)에 적재된 상태에서 교반 성능 평가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음료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는 형태의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거치대(50)의 경우, 교반 트레이(40)가 수납된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여 음료 용기를 교반시킬 때에 비해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음료 용기를 교반시킬 때 교반 성능이 향상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은 음료 용기 자체의 회전이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용기 거치대가 공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그리고, 교반 성능에 차이가 나는 이유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 왕복 운동의 경우, 액체가 음료 용기의 원주면을 따라 좌우 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스윙 운동하는 형태로 교반된다.
둘째, 교반 트레이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경우, 액체가 음료 용기의 원주면을 따라 좌우 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스윙 운동할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음료 용기의 전면과 후면에 부딪히면서 이동 방향이 바뀌는 회전 운동이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교반 모션보다 수직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교반 모션에서 액체의 혼합이 더욱 왕성하게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의 교반 모션이 가지는 교반 성능은, 종래에 알려진 스윙 모션 또는 음료 용기가 회전하는 모션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트레이의 진폭 및 교반 주기와 냉각 시간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토출 노즐(751)의 직경 6.5mm, 냉기 온도 -15 하에서, 팬 구동을 위한 입력 전압 12V ~ 15V, 진폭 ±5mm ~ ±10mm로 변경하면서 냉각 성능 DOE(Design Of Experiment)를 실시하였다. 교반 주기(RPM)는 팬 구동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교반 주기의 단위는 볼트(V)로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실험 결과, 교반 성능은 교반 트레이(40)의 진폭과 주기가 클수록 좋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의 경우, 교반이 시작되면 토출 노즐(751)과 음료 용기의 거리가 가까워졌다 멀어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 경우, 토출 노즐(751)이 음료 용기로부터 멀어지는 구간에서는 열전달 효과가 약간 감소된다. 따라서, 진폭이 너무 커지면 토출 노즐(751)과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열전달 효과가 떨어져서 냉각 시간은 오히려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진폭이 감소하면 음료 용기의 관성이 증가하고 이동 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교반 주기가 감소하게 된다.
한편, 진폭과 교반 주기에 따른 냉각 시간을 확인한 결과, 진폭이 작을 수록, 그리고 교반 주기(RPM)가 커질수록 냉각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수 회의 실험 결과, 교반 성능과 냉각 시간을 고려할 때, 진폭은 약 5 ~ 8mm 범위 내이고, 교반 주기(RPM)는 약 12V ~ 15V,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3V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교반 트레이(40)와 상기 토출 노즐(751) 간의 최소 거리, 즉 교반 트레이(40)가 토출 노즐(751)에 가장 가까워졌을 때의 거리는 노즐 직경(D)보다 크되 노즐 직경(D)의 4배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토출 노즐(751)로부터 분사되는 냉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에 있어서 교반 주기와 냉각 시간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교반 진폭을 약 5mm로 설정하고, 335mml 음료 용기 1개를 적재한 상태에서 교반 주기를 증가하면서 냉각 시간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교반 주기(RPM)가 증가함에 따라 냉각 시간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세히, 교반 주기에 따른 냉각 시간 그래프는 크게 3 구간으로 나뉘어짐을 확인하였다. 즉, 냉각 지연 구간(Q)과, 교반 안정 구간(P) 및 거치 불안정 구간(R)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냉각 지연 구간(Q)에서는 교반 주기가 낮아짐에 따라 냉각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거치 불안정 구간(R)은 교반 주기가 증가함에 따라 음료의 거치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의 경우, 다수의 음료 용기를 위로 적재하는 형태의 용기 거치대(50)가 사용되기 때문에 용기 거치대(50)의 무게 중심이 높아진다. 따라서, 교반 트레이(40)의 교반 주기가 과도하게 크면, 냉각 시간은 크게 차이가 없으면서 용기 거치대(50)가 교반 과정에서 옆으로 전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적정 교반 주기는 음료 용기 1개가 거치된 상태에서 약 120 ~ 220rpm이 적정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60 ~ 200rpm이 좋다. 상기 음료 용기의 개수를 2 개로 증가하였을 때, 상기 교반 주기에는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7의 상기 냉각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9는 도 48의 XXXIX-XXXXIX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 사시도이며, 도 50은 도 48의 상태에서 바라본 도 47의 냉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7 내지 도 5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0)는,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된 용기 거치대(50)를 사용하되, 송풍 모듈(700)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일 수 있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0)는, 베이스(200)와, 상기 베이스(20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이는 용기 거치대(50)와,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덕트(900) 및 상기 덕트(900) 내부에 수용되는 팬(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900)와 상기 팬(800)은 송풍 모듈(700)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덕트(900)는, 상기 팬(800)이 수용될 수 있는 흡입 덕트(901)와, 상기 흡입 덕트(901)로부터 연장되는 토출 덕트(902)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덕트(901)와 토출 덕트(902)는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그리고, 상기 흡입 덕트(901)의 일측에는 흡입구(9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1000)의 측면은, 상기 흡입 덕트(901)와 토출 덕트(902)가 놓일 수 있는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 쪽에 해당하는 제 2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1000)가 냉동실에 장착될 때, 상기 제 2 측면이 상기 냉동실의 측면에 근접 또는 밀착되고, 상기 흡입 및 토출 덕트들(901,902)은 상기 냉동실의 측면을 마주보게 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에 의하면, 상기 냉각 장치(1000)의 측방에 수납된 다른 음식물 또는 용기가 상기 흡입 및 토출 덕트들(901,902)에 의하여 막혀서 상기 용기 거치대(50)와 간섭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된 격벽(60)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00)의 경우도, 상기 덕트(900)가 상기 격벽(60)이 형성된 측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격벽(60)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냉각 장치(1000)가 냉동실 도어에 장착될 때는, 상기 제 2 측면부가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근접 또는 밀착된다.
상기 토출 덕트(902)는 상기 용기 거치대(5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일측에 토출 그릴(75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750)은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된 토출 그릴(75)과 동일할 수 있고, 토출 그릴(750) 내에 다수의 토출 노즐(75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덕트(901)는 상기 토출 덕트(902)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토출 덕트(902)의 후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입 덕트(901)는, 토출 덕트(902)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가이드면(904)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면(904)의 내측면에 상기 팬(8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덕트(902)의 후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 덕트(901)와 상기 토출 덕트(902)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토출 덕트(902)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덕트(902)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감소하지만, 상기 토출 덕트(902)의 폭이 좁아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토출 덕트(902)의 시작 부분과 끝부분에서 토출 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 덕트(902)의 후면이 전방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입 덕트(901)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토출 그릴(750) 쪽으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800)은, 흡입홀(801a)과 토출홀(801b)이 형성된 팬 하우징(801)과, 상기 팬 하우징(801)에 수용되는 송풍 팬(802) 및 상기 송풍 팬(802)을 구동하는 팬모터(8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 팬(802)은 원심팬 또는 터보팬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송풍 팬(802)이 횡류팬 또는 축류팬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흡입 덕트(901)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심팬 또는 터보팬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 덕트(901)의 흡입구(903)를 통하여 흡입되는 냉동실 또는 증발실의 냉기는 상기 팬 하우징(801)의 흡입홀(801a)을 통하여 상기 팬 하우징(80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801b)을 통하여 상기 토출 덕트(902)로 토출되며, 상기 토출 덕트(902)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토출 덕트(902)의 경사진 후면에 의하여 상기 토출 그릴(750)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750)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 노즐(751)을 통하여 냉기가 고압으로 분사된다. 고압으로 분사되는 냉기는 음료 용기의 표면에 부딪혀서 음료 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음료 용기에 부딪힌 냉기의 일부는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가이드면(904) 쪽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904) 쪽으로 흐르는 냉기는 상기 가이드면(904)에 의하여 냉동실의 측면(3a) 또는 도어의 배면(4a)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음료 용기에 부딪혀서 열교환된 냉기가 상기 흡입 덕트(901)의 흡입구(903)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16)

  1. 냉장고의 저장실 상에 또는 상기 저장실에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적층되게끔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 면(inner side surface)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냉각 물품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수평면에서 교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각 냉각 대상물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상측 원주면과 하측 원주면을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지지대의 쌍들의 각각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상측 원주면 또는 하측 원주면과 접촉하도록 제1 및 제2 지지대 상의 대면 위치들로부터 돌출되고,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 상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 중 용기 지지대는,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 중에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상측 원주면 또는 하측 원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후방 프레임 상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 중 용기 지지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출구단에 장착된 토출 토출 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그릴은 다수의 토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방에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원주면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상기 용기 거치대의 전면을 통하여 수납되도록, 상기 용기 거치대의 전면은 완전히 개구되고,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면에는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원주면에 분사되도록 냉기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장착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랫폼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제1 지지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제1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장착 플랫폼과,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제2 지지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장착 플랫폼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의 일측 상에 또는 상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홀더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고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힌지와,
    상기 힌지로부터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레버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의 상면을 가압하는 누름단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용기 지지대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납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가이드는,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로 휘어져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수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2. 제1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냉장고의 저장실 상에 또는 상기 저장실에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수평면 상에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의 네 모서리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반 운동하도록 하는 네 개의 트레이 받침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 수납되는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는, 상기 네 개의 트레이 받침대를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사각형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되,
    상기 교반 트레이의 전단부는 항상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는, 각 냉각 대상물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을 중심으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상측 원주면과 하측 원주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용기 지지대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쌍들의 각각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상측 원주면 또는 하측 원주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용기 거치대의 제1 및 제2 측방 지지부 상의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냉각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 각각은 상기 용기 거치대에 수납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냉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각각의 전면부는 후면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냉각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구동부는,
    교반 모터;
    상기 교반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 어셈블리;
    상기 기어 어셈블리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 디스크; 및
    상기 교반 디스크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교반 디스크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교반 트레이에 삽입되는 편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편심축이 편심 회전하고,
    상기 편심축이 편심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9. 제13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서로 수직 적층되도록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과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각각은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데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각각은, 상기 각 냉각 대상물의 전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길이를 따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원주면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상기 각 냉각 대상물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상측 원주면과 하측 원주면을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측 지지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측 지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원주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의 하단부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원주면의 중심 아래에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의 각각의 하단부간 거리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원주면의 절반 이상을 감싸는 데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측 지지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원호 형상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의 일측에 또는 상기 일측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홀더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고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힌지와,
    상기 힌지로부터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레버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더의 상면을 가압하는 누름단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31. 제20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32. 냉장고의 저장실 상에 또는 상기 저장실에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서로 수직 적층되게끔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가 돌출되고,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교반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수평면에서 교반 운동하고,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모션(agitating motion)은, 적어도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교반 성분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수평면 상에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구동부는,
    교반 모터,
    중심부에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과 한 몸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반 디스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반 디스크와 상기 교반 트레이를 연결하는 교반 링크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링크의 일단은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면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교반 링크의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반 디스크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 링크의 회전축과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되, 상기 교반 트레이의 전단부는 항상 상기 냉각 장치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구동부는,
    교반 모터와,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기어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한 쌍의 교반 디스크를 포함하고,
    한 쌍의 편심축의 각각은, 반경 방향으로 각 교반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고 상기 교반 트레이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편심축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교반 트레이를 이등분하는 선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와 기어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놓이며, 상기 교반 트레이의 네 모서리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트레이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다수의 트레이 받침대에 의하여 교반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트레이 받침대의 각각의 상면에는 원형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교반 트레이의 네 모서리 저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각각 돌출되며,
    상기 편심축이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3. 제32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제13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각 대상물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냉각 장치.
  49. 삭제
  50. 삭제
  51.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서로 수직 적층되게끔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간의 간격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간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리브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용기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각각은, 상기 전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후방 프레임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원주면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상기 용기 거치대의 전방에서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프레임의 내측 부분은 개구되고,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각각의 전단부는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각각의 후단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제1 지지부의 하단부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제2 지지부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장착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 플랫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랫폼의 전단부 높이는 상기 장착 플랫폼의 후단부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9. 제51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용기 지지대들 사이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각각은, 수납되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0.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출구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토출홀들이 형성되는 토출 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기 통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들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용기 거치대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원주면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수평면 상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고, 원운동 과정에서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면은 항상 상기 토출 그릴을 마주보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3. 제51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64. 냉장고의 저장실 상에 또는 상기 저장실에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서로 수직 적층되도록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거치대는,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용기 지지대가 돌출되고,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상기 용기 거치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에 놓인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평면 상에서 교반 운동하고,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모션은, 적어도 상기 냉각 대상물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교반 성분을 포함하고,
    토출 그릴이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방에 배치되어, 용기 거치대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팬이 수용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로부터 연장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상기 교반 트레이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는, 상기 토출 그릴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토출 그릴에 가까워지는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는 상기 토출 그릴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용기 지지대의 각각은, 상기 용기 거치대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0.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 각각은, 상기 용기 거치대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71.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구동부는,
    교반 모터와,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기어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한 쌍의 교반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의 상면에는 한 쌍의 편심축이 각각 돌출되고,
    한 쌍의 편심축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고 상기 교반 트레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편심축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교반 트레이를 이등분하는 선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교반 디스크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와 기어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놓이며, 상기 교반 트레이의 모서리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트레이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다수의 트레이 받침대에 의해 교반 과정에서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트레이 받침대의 각각의 상면에는 원형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교반 트레이의 모서리의 저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각각 돌출되며,
    상기 편심축이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6. 제64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77. 냉장고의 저장실 상에 또는 상기 저장실에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수평면 상에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의 네 모서리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반 운동하도록 하는 네 개의 트레이 받침대;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수의 냉각 대상물이 뉘어진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 수납되는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토출구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방에 배치되는 토출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는, 상기 네 개의 트레이 받침대를 차례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사각형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되, 상기 교반 트레이의 전단부는 항상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되며,
    토출 그릴은, 상기 용기 거치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각 대상물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냉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방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팬이 수용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로부터 연장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상기 교반 트레이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용기 거치대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
  80. 삭제
  81. 삭제
  82.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 각각은, 상기 용기 거치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83.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구동부는,
    교반 모터;
    상기 교반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 어셈블리;
    상기 기어 어셈블리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 디스크; 및
    상기 교반 디스크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교반 디스크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교반 트레이에 삽입되는 편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편심축이 편심 회전하고,
    상기 편심축이 편심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4. 제77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85. 냉장고의 저장실 상에 또는 상기 저장실에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직 적층되도록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고, 덕트의 토출단이 상기 베이스의 제1 측 상에 또는 상기 제1 측에 배치되는 덕트; 및
    상기 토출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의 제2 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주위에 수납된 물품들이 상기 용기 거치대와 간섭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격벽과,
    상기 하부 격벽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 격벽, 및
    상기 중간 격벽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격벽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과 중간 격벽은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상부 격벽은 회동하여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격벽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끼움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함몰되어 상기 끼움 돌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 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기 격벽이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교반 트레이의 후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팬이 수용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교반 트레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거치대 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91.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가 상기 교반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격벽과 중간 격벽은 회동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 위에 놓이고,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토출 덕트에 인접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92. 제85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93. 냉장고의 저장실 상에 또는 상기 저장실에 또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놓여서 교반 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 트레이;
    상기 교반 트레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냉각 대상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교반 트레이의 교반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교반 트레이에 연결된 교반 구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각 대상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냉각 대상물 쪽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의 토출단이 상기 베이스의 제1 측 상에 또는 상기 제1 측에 배치되고, 접힘가능한 격벽이 상기 베이스의 제2 측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각 장치.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격벽,
    상기 하부 격벽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 격벽, 및
    상기 중간 격벽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격벽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과 중간 격벽은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상부 격벽은 회동하여 상기 상부 격벽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냉각 장치.
  97.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가 상기 교반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중간 격벽은 회동하여 상기 교반 트레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토출 덕트에 인접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냉각 장치.
  98. 제93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99.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거치대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의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노즐 세트들의 개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각 대상물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노즐 세트는 적어도 두 줄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101. 삭제
  102. 삭제
  103.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 세트는 적어도 5줄을 포함하고,
    각 토출 노즐 세트는 적어도 4개 내지 5개의 토출 노즐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104.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에 형성되는 다수의 토출 노즐들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5. 제10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들의 각각의 직경은 6mm 내지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6. 제10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들의 각각의 직경은 6.5mm 내지 7.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7.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들의 각각의 직경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8. 제100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치된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 중의 토출 노즐들 간의 간격은,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들의 각각의 직경의 1배 내지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9.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와 상기 토출 그릴 간의 최단 거리는, 상기 다수의 토출 노즐들의 각각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토출 노즐들의 각각의 직경의 4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1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의 진폭은 5mm 내지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1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의 주기는 160rpm 내지 2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12. 제99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13.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상기 토출 그릴에 가까워지는 방향과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5mm 내지 10mm의 진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15.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트레이는 160rpm 내지 200rpm의 사이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16. 제113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7036142A 2014-01-10 2015-01-06 냉각 장치 KR10225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187 2014-01-10
KR1020140003186 2014-01-10
KR1020140003185 2014-01-10
KR20140003186 2014-01-10
KR1020140003187 2014-01-10
KR20140003185 2014-01-10
PCT/KR2015/000120 WO2015105319A1 (en) 2014-01-10 2015-01-06 Coo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27A KR20160108127A (ko) 2016-09-19
KR102253705B1 true KR102253705B1 (ko) 2021-05-18

Family

ID=5352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142A KR102253705B1 (ko) 2014-01-10 2015-01-06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20984B2 (ko)
EP (1) EP3092452B1 (ko)
KR (1) KR102253705B1 (ko)
CN (1) CN105339745B (ko)
WO (1) WO2015105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5988B2 (en) * 2014-02-18 2017-12-19 Supercooler Technologies, Inc. Rapid spinning liquid immersion beverage supercooler
WO2017211364A1 (en) * 2016-06-07 2017-12-14 Innochiller Aps Freezer insert with forced convection
GB201700511D0 (en) * 2017-01-11 2017-02-22 42 Tech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oling fluids
US11293682B2 (en) * 2018-04-27 2022-04-05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modifying temperatures of multiple objects and apparatus therefor
CN109773167B (zh) * 2019-04-04 2023-09-26 安徽省含山县林头振皖铸造厂 一种可调节铸件冷却装置的铸件座
CN113048684B (zh) * 2019-12-26 2022-05-0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速冷装置及具有它的冰箱
KR102438601B1 (ko) * 2020-11-13 202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4576A1 (en) 2001-03-01 2002-09-12 Loibl Gregory H. Rapid fluid cooling and heating device and method
US7343748B2 (en) 2005-12-29 2008-03-18 Whirlpool Corporation Device for rapidly chilling articles in a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0405A (en) 1985-05-10 1986-04-08 Cretzmeyer Iii Francis X Beverage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282368A (en) * 1993-05-17 1994-02-01 Ordoukhanian Raymond D Beverage cooling device
US5505054A (en) 1994-08-26 1996-04-09 Loibl; Gregory H. Rapid beverage cooling
US6237360B1 (en) * 1998-07-09 2001-05-29 Gary L. Corona Chilling and/or storing receptacle for bottles or beverage containers
US5966964A (en) * 1998-07-28 1999-10-19 Pattee; Clark C. Beverage cooling applian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10081386A (ko) 2000-02-14 2001-08-29 김태승 초음파를 이용한 캔음료 급속 냉각장치
KR100388687B1 (ko) * 2001-01-03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선반
US7707848B2 (en) * 2001-03-01 2010-05-04 The Cooper Un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Art Rapid fluid cooling system and refrigeration device having same
JP2004176977A (ja)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急速冷却装置
US6945069B2 (en) 2003-01-24 2005-09-20 Lg Electronics Inc. Quick cooling device
WO2004113808A1 (en) * 2003-06-20 2004-12-29 Australasian Sign Company Pty Ltd An improved packaged beverage refrigerator
JP4580405B2 (ja) * 2007-03-30 2010-11-10 エフアイエス株式会社 水素ガスセンサ
BRPI0804877A2 (pt) * 2008-11-28 2010-07-27 Whirlpool Sa dispositivo de resfriamento rápido para uso em um compartimento resfriado de um refrigerador do tipo convencional
KR101159978B1 (ko) 2010-06-28 2012-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가스의 수분량 측정장치
EP2593730B1 (en) * 2010-07-13 2018-12-19 LG Electronics Inc.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20007768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 장치
KR101852831B1 (ko) * 2011-06-28 201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02985772B (zh) 2010-07-13 2015-05-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以及冷却装置
CN103052855B (zh) * 2010-07-13 2015-04-15 Lg电子株式会社 制冷装置及具有该制冷装置的冰箱
KR101787744B1 (ko) * 2010-07-20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781213B1 (ko) * 2010-07-30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12472B1 (ko) * 2013-06-03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US10228179B2 (en) * 2014-10-23 2019-03-12 Whirlpool Corporation In door ice bin for an automatic ice m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4576A1 (en) 2001-03-01 2002-09-12 Loibl Gregory H. Rapid fluid cooling and heating device and method
US7343748B2 (en) 2005-12-29 2008-03-18 Whirlpool Corporation Device for rapidly chilling articles in a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20984B2 (en) 2018-03-20
EP3092452B1 (en) 2019-03-06
US20180149423A1 (en) 2018-05-31
EP3092452A1 (en) 2016-11-16
US20150198363A1 (en) 2015-07-16
KR20160108127A (ko) 2016-09-19
CN105339745B (zh) 2017-10-31
WO2015105319A1 (en) 2015-07-16
EP3092452A4 (en) 2017-08-16
US10458700B2 (en) 2019-10-29
CN105339745A (zh)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705B1 (ko) 냉각 장치
EP3690362B1 (en) Refrigerator
EP2593731B1 (en) Refrigerator and cooling apparatus
EP3315886B1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859037B1 (ko) 냉장고
EP2096381A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25821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20110138777A (ko) 냉장고
CN105247306B (zh) 冷却装置及冷却装置的控制方法
EP2530413A2 (en) Ice 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CA2651386A1 (en) Vertical mixer with deflectors
EP2331893B1 (en) Cooling device with rotatable shelf
KR101737118B1 (ko) 냉각 장치 및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JP6754606B2 (ja) 収納容器
KR101781224B1 (ko) 냉각 장치
KR20140141896A (ko) 냉각 장치
KR102051897B1 (ko) 냉각 장치
EP4276391A1 (en) Refrigerator
CN210446734U (zh) 烹饪器具
KR200380872Y1 (ko) 자동판매기의 슬라이딩판 지지구
KR102115617B1 (ko) 냉각 장치
KR20230132173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CN109073315B (zh) 收纳容器及冰箱
JP6745131B2 (ja) 収納容器、および冷蔵庫
KR20230132177A (ko) 제빙 장치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