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305B1 - 현악기용 조율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조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305B1
KR102253305B1 KR1020200014167A KR20200014167A KR102253305B1 KR 102253305 B1 KR102253305 B1 KR 102253305B1 KR 1020200014167 A KR1020200014167 A KR 1020200014167A KR 20200014167 A KR20200014167 A KR 20200014167A KR 102253305 B1 KR102253305 B1 KR 10225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rod
support
string instrument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종
Original Assignee
최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종 filed Critical 최우종
Priority to KR102020001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2Tuning forks or lik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용 조율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악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현악기에 구비되는 현의 매듭부와 접하며, 매듭부를 이동시키면서 현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악기용 조율장치{TUNING APPARATUS FOR STRINGED INSTRUMENTS}
본 발명은 현악기용 조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악기의 현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현악기용 조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야금, 거문고, 아쟁 등과 같은 전통 현악기의 현을 조율함에 있어서는, 현의 매듭부를 회전시켜 매듭부의 권취량을 조절함으로써 현에 걸리는 장력을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나, 현의 교체가 이루어지거나 장력의 재조정이 경우에는 현과 연결된 부들을 악력으로 잡아당겨 현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통 현악기의 현을 조율함에 있어서는, 현(4) 과 연결된 부들(6)을 직접 손으로 당기면서 현(4)의 장력을 조절하여야 하므로, 악력이 부족한 연주자가 직접 현(4)을 조율하기 어려워, 악기상 등 별도의 조율 전문가에게 의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조율 전문가의 경험과 음감에 의존하여 임의로 현(4)의 조율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음색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복수회의 조정을 거치는 번거로운 과정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0563374호(2006.03.16 등록, 발명의 명칭: 국악 현악기의 조율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조율 전문가가 뿐만 아니라 현악기 연주자를 포함한 누구나 현악기의 현을 용이하게 조율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는, 현악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악기에 구비되는 현의 매듭부와 접하며, 상기 매듭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현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현악기가 안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상기 현악기의 측부에 밀착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현악기의 하중과 상기 현에 걸리는 장력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지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홀딩부를 지지하는 지지골조부; 및 상기 지지골조부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가 안착되는 몸체안착부; 및 상기 몸체안착부의 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봉미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미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단부 중 너비방향 일측부가 안착되는 제1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 중 너비방향 타측부가 안착되며, 회동 또는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받침부와의 간격이 가변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미안착부는,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받침레일부; 및 일측부가 상기 제1받침부와 결속되고, 타측부가 상기 받침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받침레일부에 압착되는 착탈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는, 상기 현악기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현악기의 측부와 접하는 제1홀딩부; 및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홀딩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현악기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현악기의 측부와 접하는 제2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는,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홀딩레일부; 상기 홀딩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 일측부와 접하는 제1클램프부; 상기 홀딩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악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클램프부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 타측부와 접하는 제2클램프부; 및 일측부가 상기 제1클램프부와 결속되고, 타측부가 상기 홀딩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홀딩레일부에 압착되는 압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는,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봉장착대; 양단부가 상기 봉장착대에 장착되며, 상기 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봉; 및 상기 봉장착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장착대는, 상기 이동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연결부; 상기 이동연결부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기 현악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봉장착대; 상기 이동연결부의 타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기 현악기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봉장착대; 및 상기 제1봉장착대와 상기 제2봉장착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봉이 장착되는 봉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봉은, 상기 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듭부의 상부와 접하는 제1견인봉; 및 상기 현의 하측에 상기 제1견인봉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매듭부의 하부와 접하는 제2견인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는, 상기 견인봉에 장착되고, 상기 견인봉으로부터 상기 견인봉의 진행방향을 향해 설정너비만큼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지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견인봉과 결합되는 제1봉결합부; 상기 제1봉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견인봉과 접하는 제2봉결합부; 상기 제1봉결합부와 상기 제2봉결합부로부터 상기 설정너비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매듭걸림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현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현이 통과되는 현연장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는, 상기 견인봉에 장착되고, 상기 견인봉으로부터 상기 견인봉의 진행방향을 향해 설정너비만큼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는,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봉과 결합되는 봉결합부; 상기 봉결합부로부터 상기 설정너비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매듭걸림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 상에 상기 현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현이 통과되는 현연장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는, 상기 매듭걸림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매듭구속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는, 지지부로 현악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장력조절이동부를 이용해 현악기에 구비되는 현의 매듭부를 이동시키면서 현에 걸리는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현과 연결된 부들을 직접 손으로 당기면서 현의 장력을 조절하던 어려움으로 인해, 연주자가 직접 조율하지 못하고 조율 전문가에게 의지해야 하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이동부 상에 장력이나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 시, 센서와 센서에서 감지된 하중(장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조율자가 현(4)에 걸리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목적한 장력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기존에 현을 조율함에 있어서 현에 장력을 일정하게 부여하지 못하고, 경험과 음감에 의존하여 임의로 그 조율이 이루어짐에 따른 조율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장력조절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장력조절이동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지그를 도 8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견인봉과 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지그와 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1)는 지지부(10)와 장력조절이동부(2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현악기(2)를 지지한다. 지지부(10)는 현악기(2)가 안착가능한 받침대나 받침판의 구조를 가지며, 장력조절이동부(20)를 이용해 현(絃)(4)의 장력을 조절가능한 설정위치 상에 현악기(2)를 고정한다. 현악기(2)는 지지부(10)에 의해 임의로 유동되지 않고 설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장력조절이동부(20)에 의해 목적한 장력으로 조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1)의 적용대상이 되는 현악기(2)로는 가야금, 거문고, 아쟁 등의 한국 전통악기가 바람직하다. 현악기(2)의 현(4)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가야금의 현(4)은 12개이고, 거문고의 현은 6개이다. 울림통의 기능을 하는 현악기(2)의 몸체부(3)는 현(4)의 양단부를 지지가능하게 현(4)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면서, 복수개의 현(4)을 포괄가능한 너비를 가진다.
현(4)은 명주실을 여러 겹으로 꼬아 만드는데, 연주자의 바깥쪽부터 낮은 음을 내는 굵은 줄을 사용하며, 안쪽으로 올수록 음이 높아지고 줄의 굵기는 점차 가늘어진다. 현(4)의 일단부는 현(4)을 받쳐주는 현침(絃枕)(미도시)을 지나 몸체부(3)를 관통해 몸체부(3)의 하측에서 돌괘(미도시)에 하나씩 매어진다.
현(4)의 타단부는 현(4)보다 굵은 부들(染尾)(6)과 연결된다. 부들(6) 중 현(4)과의 연결부를 학슬(鶴膝)이라 하는데, 학슬은 고리 형태를 가지고, 타래 형태로 감겨진 현(4)의 타단부와 엮인다.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엮인 현(4)과 부들(6)간의 연결부를 본 발명에 따른 매듭부(5)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듭부(5)는 상기와 같이 현(4) 중 꼬이거나 매이거나, 엮인 형태를 가지는 부분, 나아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인해 현(4)의 다른 부분보다 굵어진 부분이나, 현(4) 중 다른 악기구성품과의 결합을 위해 현(4)의 주요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의 굴곡부를 가지는, 예를 들어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태가 아닌 부분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장력조절이동부(20)는 매듭부(5)와 접한 상태로 매듭부(5)를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면서 현(4)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한다. 장력조절이동부(20)는 지지부(10) 상에 현(4)의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장력조절이동부(20)는 매듭부(5)를 현(4)의 일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다른 표현으로는 부들(6)이 고정되는 봉미(3a)측으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면서 현(4)에 걸리는 장력을 목적한 세기로 조절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베이스부(11), 받침부(12), 홀딩부(1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는 받침부(12), 홀딩부(13), 장력조절이동부(20), 현악기(2)의 자중과 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진다. 베이스부(11)는 현악기(2) 전체를 안착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나, 베이스부(11)에 현악기(2)를 안착시킬 수 있다면 본 발명을 이용한 조율이 가능하다.
현악기(2)의 무게중심이 베이스부(11)의 외부가 아닌 베이스부(11)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면, 현악기(2)를 안정적으로 받치기에 충분하다. 홀딩부(13)를 이용해 현악기(2)를 설정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1) 전체와 현악기(2)가 결속되는데, 현악기용 조율장치(1)와 현악기(2) 전체의 무게중심이 베이스부(11)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면, 현악기(2)를 기울어짐 없이 받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는 현악기(2) 중 매듭부(5)가 위치되는 일부를 안착가능한 길이를 가진다. 베이스부(11)가 현악기(2)의 일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경우, 소형화가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는 지지골조부(111)와 이동바퀴부(114)를 포함한다.
지지골조부(111)는 지지부(1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받침부(12), 홀딩부(13), 장력조절이동부(20), 현악기(2)의 자중과 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골조부(111)는 지지프레임부(112)와 커버부(113)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부(112)는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직선형 골조를 상호 연결한 구조를 가진다. 홀딩부(13)와 장력조절이동부(20), 받침부(12), 홀딩부(13)는 지지프레임부(112)에 결합, 설치된다. 커버부(113)는 지지프레임부(112)의 내부를 커버링가능한 판재의 구조를 가지고, 지지프레임부(112)의 측면부와 전후면부, 저면부에 결합된다.
커버부(113)에 의해, 지지프레임부(112)에 결합되는 홀딩부(13)와 장력조절이동부(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바퀴부(114)는 바퀴의 구조를 가지고 지지골조부(111)나 커버부(113)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바퀴부(114)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1)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현악기(2)를 조율 시 조율자는 한자리에 앉은 자세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1)의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현악기(2)의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가변시키면서 현악기(2) 조율을 수행할 수 있다.
받침부(12)는 현악기(2)가 안착되는 베이스부(11)의 상부에 형성된다. 받침부(12)는 현악기(2)를 하단지지 가능하다면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현악기(2)의 하부에 대응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2)는 몸체안착부(121)와 봉미안착부(124)를 포함한다.
몸체안착부(121)는 베이스부(11)의 상부를 커버링하게 설치되고, 현악기(2)의 몸체부(3)가 안착된다. 몸체안착부(121)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1)의 외관이 주요하게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안착부(121)는 안착판부(122), 제1개방부(123a), 제2개방부(123b), 제3개방부(123c)를 포함한다.
안착판부(122)는 베이스부(11)의 상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프레임부(112)의 상부를 커버링하며 설치된다.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태의 저면부를 가지는 현악기(2)의 형상을 고려하여, 안착판부(122)는 현악기(2)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가능한 평판 형상을 가진다. 안착판부(122)는 현악기(2)의 길이 중 일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길이방향은 현악기(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현(4)의 연장방향(전후방향)을 의미하고, 너비방향은 현악기(2)의 너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현(4)과 직교하거나 교차되는 방향(좌우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현(4)의 후단부는 돌괘에 의해 고정, 유지된 상태에서, 현(4)의 전단부에 형성된 매듭부(5)를 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현(4)의 장력을 조절한다.
제1개방부(123a)는 안착판부(122) 상에 현악기(2)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개방부(123a)는 안착판부(122) 상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홀딩부(13)는 제1개방부(123a)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하여 안착판부(122)의 상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3)는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2개가 구비되고, 제1개방부(123a)는 이에 대응되는 2개가 형성된다. 제1개방부(123a)는 안착판부(122)의 후단부와 중간부에 해당되는 2개소에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개방부(123b)는 안착판부(122)의 전단부 상에 현악기(2)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개방부(123b)는 안착판부(122) 상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봉미안착부(124)는 제2개방부(123b)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하여 안착판부(122)의 상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제3개방부(123c)는 안착판부(122)의 중간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홀딩부(13) 사이에, 다른 표현으로는 안착판부(122)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개방부(123a)와 안착판부(122)의 중간부에 형성된 제1개방부(123a)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3개방부(123c)는 현악기(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장력조절이동부(20)는 제3개방부(123c)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하여 안착판부(122)의 상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봉미안착부(124)는 몸체안착부(121)의 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배치되고, 몸체부(3)의 단부가 안착된다. 현악기(2)의 몸체부(3) 중 부들(6)이 매어져 고정되는 전단부를 봉미(3a)라 한다. 봉미(3a)에는 부들(6)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미도시)이 뚫려있으며, 이를 위해 봉미(3a)는 몸체부(3)를 이루는 다른 부분, 보다 구체적으로 울림통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몸체부(3)의 상부에 배치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현악기(2)의 봉미(3a)는 몸체부(3)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들뜬 상태가 된다. 봉미안착부(124)에는 이러한 현악기(2)의 봉미(3a)가 안착될 수 있게, 몸체안착부(121)의 전단부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봉미안착부(124)에 봉미(3a)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현악기(2)의 전단부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봉미안착부(124)가 현악기(2)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하게 되어, 장력조절이동부(20)를 이용해 현(4)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장력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미안착부(124)는 받침레일부(125), 제1받침부(126), 제2받침부(127), 착탈조절부(128)를 포함한다.
받침레일부(125)는 현악기(2)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받침레일부(125)는 착탈조절부(12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구조를 가지고, 베이스부(11)의 지지골조부(111) 상에 고정설치된다.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는 봉미(3a)를 받쳐 지지가능한 받침면을 형성한다.
받침레일부(125)는 받침부(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는 받침부(12)를 관통하여 받침부(1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봉미(3a)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지지한다.
제1받침부(126)에는 봉미(3a)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이 안착된다. 제2받침부(127)에는 봉미(3a)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이 안착된다. 봉미(3a)는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는 설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회동 또는 이동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이 가변된다.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 간의 간격을 보다 축소시킴으로써, 보다 작은 너비의 현악기(2)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간의 간격을 보다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큰 너비의 현악기(2)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는 받침레일부(125)와 착탈조절부(128)에 의해 위치와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구조를 가지나, 이는 바람직한 일례를 개시하고자 한 것으로, 이로써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의 일단부를 베이스부(11)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부를 너비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의 위치와 간격을 조정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위치와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가능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받침부(126)와 제2받침부(127)는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착탈조절부(128)는 받침레일부(125)를 따라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제1받침부(126)와 연결된다. 착탈조절부(128)에는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도면부호 미표기)와, 너트부재(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된다. 볼트부재의 하부는 받침레일부(125)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상부는 제1받침부(126)를 관통하여 너트부재와 나사결합된다.
너트부재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볼트부재나 제1받침부(126)를 받침레일부(125)에 압착시켜 고정하거나, 압착 상태를 해제하여 제1받침부(126)를 받침레일부(125)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받침부(127)도 동일한 구조의 착탈조절부(128)를 이용해 받침레일부(125)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 유지할 수 있다.
홀딩부(13)는 받침부(12)에 안착된 현악기(2)의 측부에 밀착되어, 현악기(2)를 설정위치에 고정,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3)는 제1홀딩부(13A)와 제2홀딩부(13B)를 포함한다. 제1홀딩부(13A)는 현악기(2)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현악기(2)의 너비방향 양측부와 접한다. 제2홀딩부(13B)는 현악기(2)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현악기(2)의 너비방향 양측부와 접한다.
제1홀딩부(13A)와 제2홀딩부(13B)는 장력조절이동부(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홀딩부(13A)는 베이스부(11)의 후단부측에서 현악기(2)의 너비방향 양측부와 접하고, 제2홀딩부(13B)는 베이스부(11)의 중간부측에서 현악기(2)의 너비방향 양측부와 접한다. 제2홀딩부(13B)는 제1홀딩부(13A)보다 봉미안착부(124)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된다.
제1홀딩부(13A)와 제2홀딩부(13B)를 이용해 현악기(2)의 몸체부(3)를 전후방 2개소에서 안정되게 지지, 홀딩할 수 있고, 제1홀딩부(13A)와 제2홀딩부(13B)의 사이에 배치된 장력조절이동부(20)를 이용해 현(4)에 장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3)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홀딩부(13A)와 제2홀딩부(13B) 각각은, 홀딩레일부(131), 제1클램프부(132), 제2클램프부(133), 압착조절부(134)를 포함한다.
홀딩레일부(131)는 현악기(2)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홀딩레일부(131)는 착탈조절부12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구조를 가지고, 베이스부(11)의 지지골조부(111) 상에 고정설치된다.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는 현악기(2)의 좌우측에서 현악기(2)의 몸체부(3)에 접하여 현악기(2)의 유동을 구속한다.
홀딩레일부(131)는 받침부(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는 받침부(12)를 관통하여 받침부(1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는 각각 현악기(2)의 몸체부(3)의 좌측부, 우측부와 접한다.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는 너비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현악기(2)의 측면부에 밀착, 압착됨으로써, 현악기(2)를 목적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되, 그 상부가 하부에 비해 보다 작은 이격 간격을 가지게 현악기(2)측으로 구부러지거나 기울어진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의 상부에 걸려 현악기(2)의 상향 유동, 이탈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제1클램프부(132)는 홀딩레일부(13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현악기(2)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과 접한다. 제2클램프부(133)는 현악기(2)를 사이에 두고 제1클램프부(132)와 마주하여 배치된다. 제2클램프부(133)는 홀딩레일부(13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현악기(2)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과 접한다.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는 설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압착조절부(134)에 의해 홀딩레일부(131)를 따라 이동되면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압착조절부(134)는 홀딩레일부(131)를 따라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제1클램프부(132)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착조절부(134)는 레일걸림부(135)와 조절너트부(136)를 포함한다.
레일걸림부(135)의 하부는 홀딩레일부(13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볼트부재(수나사)의 구조를 가지고 제1클램프부(132)를 관통하여 조절너트부(136)와 나사결합된다. 조절너트부(136)는 너트부재(암나사)의 구조를 가지고, 레일걸림부(135)의 상부와 나사결합된다.
조절너트부(136)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레일걸림부(135)나 제1클램프부(132)를 홀딩레일부(131)에 압착시켜 고정하거나, 압착 상태를 해제하여 제1클램프부(132)를 홀딩레일부(131)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클램프부(133)도 동일한 구조의 압착조절부(134)를 이용해 받침레일부(125)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압착조절부(134)를 이용해,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간의 이격 간격을 현악기(2)의 너비보다 확장되게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의 사이에 현악기(2)를 안착시킨 후,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를 각각 현악기(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압착조절부(134)를 이용해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를 홀딩레일부(131) 상의 정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제1클램프부(132)와 제2클램프부(133)로 현악기(2)를 측방향 및 양방향으로 지지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장력조절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장력조절이동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이동부(20)는 봉장착대(21), 견인봉(22), 이동지지부(25), 지그(26)를 포함한다.
봉장착대(21)는 현(4)에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견인봉(22)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부로, 현악기(2)의 너비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장착대(21)는 이동연결부(211), 제1봉장착대(212), 제2봉장착대(213), 봉장착부(214)를 포함한다.
이동연결부(211)는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를 지지하는 장치부로, 이동지지부(25)와 연결되고, 현악기(2)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봉장착대(212)는 이동연결부(211)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일측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제2봉장착대(213)는 이동연결부(211)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타측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된다.
이동연결부(211)는 받침부(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는 받침부(12)를 관통하여 받침부(12)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는 각각 현악기(2)의 너비방향 일측과 타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 상에는 견인봉(22)이 끼워져 장착되는 봉장착부(21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장착부(214)는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의 전방부에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홈부의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의 전방에서 봉장착부(214)에 견인봉(22)의 양단부를 끼움으로써, 견인봉(22)의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봉장착부(214)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경사지거나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봉장착부(214)에 견인봉(22)을 끼운 상태에서, 견인봉(22)은 자중에 의해 봉장착부(214)의 후단부에 자연히 정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장착부(214)는 홈부의 형상을 가지나, 이를 바람직한 일례를 개시하고자 한 것이지 이로써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봉장착부(214)는 견인봉(22)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면, 홀의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견인봉(22)은 현(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봉장착대(21)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견인봉(22)은 원형 단면의 막대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에 각각 장착됨으로써,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봉(22)은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을 포함한다.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은 각각 현(4)의 상측과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봉장착부(214)는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을 장착가능한 한 쌍이 상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를 매듭부(5)와 접하게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은 각각 매듭부(5)의 상부, 하부와 접한다(도 10 참조).
지지부(10) 상에 현악기(2)를 안착,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을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부(10) 상에 현악기(2)를 배치하게 된다.
이후 제2견인봉(24)을 장착함에 있어서서는, 제2견인봉(24)를 현(4)의 하측에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현(4)과 몸체부(3)의 사이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제2견인봉(24)의 양단부를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 상에 형성된 봉장착부(214)에 장착한다.
제1견인봉(23)을 장착함에 있어서는, 제1견인봉(23)을 현(4)의 상측에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견인봉(23)의 양단부를 제1봉장착대(212)와 제2봉장착대(213) 상에 형성된 봉장착부(214)에 장착한다.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은 상호 간섭되지 않으므로,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을 장착 순서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조율자의 편의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가능하다.
이동지지부(25)는 봉장착대(2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25)는 리니어 가이드의 구조를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동연결부(211)의 좌측부, 우측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이동연결부(211)로서 리니어 가이드를 적용하는 경우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속도와 변위를 정밀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25)는 리니어 가이드의 구조를 가지나, 이는 바람직한 일례를 개시하고자 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부(25)는 봉장착대(21)를 직선 경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면 실린더 구조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그(26)는 복수개의 현(4)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가야금의 조율 시 12개의 현(4) 중 하나만을 조율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지그(26)는 견인봉(2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견인봉(22)에 장착 시 견인봉(22)의 전단부로부터 견인봉(22)의 진행방향(전방)을 향해 설정너비(d)만큼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지그를 도 8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26)는 지그본체부(261), 봉결합부(262), 제1봉결합부(263), 제2봉결합부(264), 매듭걸림부(265), 매듭구속턱부(266), 현연장통로부(267)를 포함한다.
지그본체부(261)는 지그(26)의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견인봉(22)의 이동력을 매듭부(5)로 전달가능한 강성을 가진다. 봉결합부(262)는 지그본체부(261)의 후방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또는 연장되게 형성되고, 견인봉(22)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결합부(262)는 제1봉결합부(263)와 제2봉결합부(264)를 포함한다.
제1봉결합부(263)는 제1견인봉(23)과 결합되는 장치부로, 지그본체부(261)의 후방부 중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견인봉(23)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봉결합부(263)는 이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홀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봉결합부(263)는 제1견인봉(23)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견인봉(2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고, 제1견인봉(23)의 연장방향(좌우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제2봉결합부(264)는 제2견인봉(24)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장치부로, 제1봉결합부(263)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2봉결합부(264)는 지그본체부(261)의 후단부 중 하부에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제2견인봉(24)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제2봉결합부(264)는 이에 대응되는 호 형상을 가진다. 제1견인봉(23)를 중심으로 지그본체부(261)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2봉결합부(264)는 제2견인봉(24)의 전단부와 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봉결합부(263)는 홀의 형상을 가지고 제1견인봉(23)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지나, 이는 바람직한 일례를 개시하고자 한 것이지 이로써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봉결합부(263)와 제2봉결합부(264)는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에 착탈가능하고 위치조정가능하다면, 후단부가 개방된 홈의 형상을 가지고,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매듭걸림부(265)는 제1봉결합부(263)와 제2봉결합부(264)로부터 설정너비(d)만큼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매듭부(5)와 접한다. 견인봉(22)을 통해 지그본체부(261)로 전달된 가압력은 매듭걸림부(265)에 의해 매듭부(5)로 전달된다. 복수개의 매듭부(5) 중 조율대상이 되는 매듭부(5)는 매듭걸림부(265)와 접한 상태로 전방으로 가압, 이동된다.
매듭구속턱부(266)는 매듭부(5)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장치부로, 매듭걸림부(265)의 가장자리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듭구속턱부(266)는 매듭걸림부(265)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4개가 구비된다.
현연장통로부(267)는 지그본체부(261)와 현(4)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본체부(261)의 하부에 현(4)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현연장통로부(267)는 지그본체부(261)의 너비방향 중간부에 위치된다. 현연장통로부(267)를 형성함으로써, 지그(26)를 견인봉(22)에 장착함에 있어서, 현(4)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상부와 하부를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에 각각 장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견인봉과 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의 지그와 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견인봉(22)을 이용해 현악기(2)의 현(4)을 조율함에 있어서는,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으로 제1매듭부(5a), 제2매듭부(5b)를 포함한 복수개의 매듭부(5)를 밀어내면서, 복수개의 매듭부(5) 전체를 최종조율위치(P) 보다 설정너비(d)만큼 전방에 위치되는 가조율위치(P')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은 각각 매듭부(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한 상태가 된다.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을 이용해 가조율위치(P')까지 매듭부(5)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부들(6)의 전단부를 봉미(3a)에 매어 고정시킨 후 매듭부(5)에 가하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예를 들어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매듭부(5a), 제2매듭부(5b)를 포함한 복수개의 매듭부(5)가 최종조율위치(P)에 최종적으로 위치된다.
가야금의 현(4)은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데, 굵기에 따라 매듭부(5)에서의 권취량을 서로 달리하여, 예를 들어 가는 현(4)일수록 매듭부(5)에서의 권취량을 보다 증가시킨 상태에서, 다른 표현으로는 굵은 현(4)일수록 매듭부(5)에서의 권취량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매듭부(5) 모두를 최종조율위치(P)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각각의 현(4)에 걸리는 장력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그(26)를 이용해 현악기(2)의 현(4)을 조율함에 있어서는, 제1견인봉(23)을 따라 지그(26)를 이동시키면서 조율 대상이 되는 현(4)에 대응되게 배치한 상태에 제1견인봉(23)을 중심으로 지그본체부(261)를 하향 회동시킨다. 지그본체부(261)의 하향 회동 시 제2봉결합부(264)가 제2견인봉(24)의 전단부와 접하면서 그 회동이 구속되고, 매듭걸림부(265)가 전방을 향하는 각도로 셋팅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매듭부(5a)'를 조율대상이 되는 현(4)의 매듭부(5)로 설정한다. 제1견인봉(23)과 제2견인봉(24)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지그(26)가 제1매듭부(5a)만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매듭부(5a)를 최종조율위치(P)보다 설정너비(d)만큼 전방에 위치되는 가조율위치(P')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매듭부(5b)가 최종조율위치(P)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매듭부(5a)를 가조율위치(P')에 위치시키고, 부들(6)의 전단부를 봉미(3a)에 매어 고정시킨 후 매듭부(5)에 가하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제1매듭부(5a), 제2매듭부(5b)를 포함한 복수개의 매듭부(5) 모두가 최종조율위치(P)에 최종적으로 위치된다. 이때, 조율 대상이 되는 현(4)은, 복수개의 현(4) 중 목적한 음 발생을 위한 장력 조절이 필요한 특정한 현(4)이나, 현악기(2)의 사용 중에 끊어지거나, 교체가 이루어지게 되는 현(4)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조율장치(1)에 의하면, 지지부(10)로 현악기(2)를 지지한 상태에서 장력조절이동부(20)를 이용해 현악기(2)에 구비되는 현(4)의 매듭부(5)를 이동시키면서 현(4)에 걸리는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현(4) 과 연결된 부들(6)을 직접 손으로 당기면서 현(4)의 장력을 조절하던 어려움으로 인해, 연주자가 직접 조율하지 못하고 조율 전문가에게 의지해야 하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이동부(20) 상에 장력이나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설치 시, 센서와 센서에서 감지된 하중(장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조율자가 현(4)에 걸리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목적한 장력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기존에 현(4)을 조율함에 있어서 현(4)에 장력을 일정하게 부여하지 못하고, 경험과 음감에 의존하여 임의로 그 조율이 이루어짐에 따른 조율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현악기용 조율장치 2 : 현악기
3 : 몸체부 4 : 현
5 : 매듭부 6 : 부들
10 : 지지부 11 : 베이스부
12 : 받침부 13 : 홀딩부
13A : 제1홀딩부 13B : 제2홀딩부
20 : 장력조절이동부 21 : 봉장착대
22 : 견인봉 23 : 제1견인봉
24 : 제2견인봉 25 : 이동지지부
26 : 지그
111 : 지지골조부 112 : 지지프레임부
113 : 커버부 114 : 이동바퀴부
121 : 몸체안착부 122 : 안착판부
123a : 제1개방부 123b : 제2개방부
123c : 제3개방부 124 : 봉미안착부
125 : 받침레일부 126 : 제1받침부
127 : 제2받침부 128 : 착탈조절부
131 : 홀딩레일부 132 : 제1클램프부
133 : 제2클램프부 134 : 압착조절부
135 : 레일걸림부 136 :조절너트부
211 : 이동연결부 212 : 제1봉장착대
213 : 제2봉장착대 214 : 봉장착부
261 : 지그본체부 262 : 봉결합부
263 : 제1봉결합부 264 : 제2봉결합부
265 : 매듭걸림부 266 : 매듭구속턱부
267 : 현연장통로부

Claims (15)

  1. 현악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악기에 구비되는 현의 매듭부와 접하며, 상기 매듭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현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현악기가 안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상기 현악기의 측부에 밀착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현악기의 하중과 상기 현에 걸리는 장력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지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홀딩부를 지지하는 지지골조부; 및
    상기 지지골조부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가 안착되는 몸체안착부; 및
    상기 몸체안착부의 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봉미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미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단부 중 너비방향 일측부가 안착되는 제1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 중 너비방향 타측부가 안착되며, 회동 또는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받침부와의 간격이 가변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미안착부는,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받침레일부; 및
    일측부가 상기 제1받침부와 결속되고, 타측부가 상기 받침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받침레일부에 압착되는 착탈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현악기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현악기의 측부와 접하는 제1홀딩부; 및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홀딩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현악기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현악기의 측부와 접하는 제2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홀딩레일부;
    상기 홀딩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 일측부와 접하는 제1클램프부;
    상기 홀딩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현악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클램프부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 타측부와 접하는 제2클램프부; 및
    일측부가 상기 제1클램프부와 결속되고, 타측부가 상기 홀딩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홀딩레일부에 압착되는 압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는,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봉장착대;
    양단부가 상기 봉장착대에 장착되며, 상기 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봉; 및
    상기 봉장착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장착대는,
    상기 이동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현악기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연결부;
    상기 이동연결부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기 현악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봉장착대;
    상기 이동연결부의 타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기 현악기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봉장착대; 및
    상기 제1봉장착대와 상기 제2봉장착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봉이 장착되는 봉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봉은,
    상기 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듭부의 상부와 접하는 제1견인봉; 및
    상기 현의 하측에 상기 제1견인봉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매듭부의 하부와 접하는 제2견인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는,
    상기 견인봉에 장착되고, 상기 견인봉으로부터 상기 견인봉의 진행방향을 향해 설정너비만큼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지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견인봉과 결합되는 제1봉결합부;
    상기 제1봉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견인봉과 접하는 제2봉결합부;
    상기 제1봉결합부와 상기 제2봉결합부로부터 상기 설정너비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매듭걸림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현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현이 통과되는 현연장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이동부는,
    상기 견인봉에 장착되고, 상기 견인봉으로부터 상기 견인봉의 진행방향을 향해 설정너비만큼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봉과 결합되는 봉결합부;
    상기 봉결합부로부터 상기 설정너비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와 접하는 매듭걸림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 상에 상기 현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현이 통과되는 현연장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매듭걸림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매듭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매듭구속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조율장치.
KR1020200014167A 2020-02-06 2020-02-06 현악기용 조율장치 KR10225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67A KR102253305B1 (ko) 2020-02-06 2020-02-06 현악기용 조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67A KR102253305B1 (ko) 2020-02-06 2020-02-06 현악기용 조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305B1 true KR102253305B1 (ko) 2021-05-17

Family

ID=7615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67A KR102253305B1 (ko) 2020-02-06 2020-02-06 현악기용 조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374B1 (ko) * 2004-09-10 2006-03-28 이춘봉 국악 현악기의 조율장치
KR20150127879A (ko) * 2014-05-07 2015-11-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량 가야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374B1 (ko) * 2004-09-10 2006-03-28 이춘봉 국악 현악기의 조율장치
KR20150127879A (ko) * 2014-05-07 2015-11-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량 가야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760B1 (ko) 일렉트릭기타용 트레몰로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일렉트릭기타
US7645928B2 (en) Bass drum system and method
KR102253305B1 (ko) 현악기용 조율장치
US6817070B1 (en) Shoelace fastener
CN104424926A (zh) 鼓系统
JPH036945Y2 (ko)
US20040154193A1 (en) Shoe with lace tightening assembly
JP5837409B2 (ja) 弦楽器用調弦装置
US9324308B1 (en) Guitar string bender
JP3523717B2 (ja) 漁網用結束機
US9697810B2 (en) Strainer for a snare drum
US20080116332A1 (en) Leg system for drums
US20100071677A1 (en) Lever regulated compound bow
RU2012108570A (ru) Головка рапиры для ткацкой машины
CN205741436U (zh) 一种捕边纱支撑架及采用其的织机
US2166733A (en) Snare drum
US9601093B2 (en) Restraint item for endpin of musical instrument and stand for speaker
JP4860145B2 (ja) ミシンの糸案内
JP2010088713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2507256A (ja) よこ糸のストレッチおよびテンションのための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有する織機
JPH11224083A (ja) 三味線の減音具
KR101433507B1 (ko) 현악기용 전음장치
JP3220796U (ja) 弦楽器
KR20180032935A (ko) 홀로그램 공연과 라이브 공연이 가능한 가변형 무대장치
DE102005015952B3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ie Halterung eines Tonabnehmers an einem Schlaginstrument, das mindestens einen Spannreifen aufwe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