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507B1 - 현악기용 전음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전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07B1
KR101433507B1 KR1020130010461A KR20130010461A KR101433507B1 KR 101433507 B1 KR101433507 B1 KR 101433507B1 KR 1020130010461 A KR1020130010461 A KR 1020130010461A KR 20130010461 A KR20130010461 A KR 20130010461A KR 101433507 B1 KR101433507 B1 KR 10143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arm
plate
ten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7841A (ko
Inventor
배진호
김선자
Original Assignee
이재원
배진호
김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원, 배진호, 김선자 filed Critical 이재원
Priority to KR102013001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507B1/ko
Priority to PCT/KR2014/000733 priority patent/WO2014119882A1/ko
Publication of KR2014009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10D3/147Devices for altering the string tension during playing
    • G10D3/153Tremolo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현의 튜닝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연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튜닝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 전음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현악기의 바디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부에 아밍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지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리어플레이트와,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현을 안내하는 새들을 유지하면서 현의 장력을 튜닝 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장력조절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어느 한 측방 저면에 암부시를 가지고 고정되는 암홀더와 결합되어 현의 아밍을 수행하는 트레몰로암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에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하여 트레몰로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암컨트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현악기용 전음장치{TREMOLO UNIT FOR A ST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현악기용 전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음장치의 구성을 싱크로나이즈드나 록킹 타입과 같은 지렛대방식에서 벗어나 조율상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개선한 신규하고 진보된 전음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는 기타, 첼로, 바이올린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며 이러한 현악기 전기기타를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헤드와 넥 및 바디로 크게 구성되며, 현은 헤드에서 바디까지 연결되어 음량에 맞게 조율하여 사용된다.
상기 현은 헤드부분과 바디부분에서 그 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서, 헤드 부분에서는 페그와 폴에 현의 일단이 연결되고, 바디부분에서는 전음장치(Tremolo Unit)에 연결된다.
상기 전음장치는 암과 브리지 등으로 구성되어 전음효과를 높이고 현을 조현함은 물론, 심한 아밍(Arming)에도 조율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종래에도 전음효과를 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음장치는 발전을 거듭하여 록킹 타입의 트레몰로 브리지인 폴로이드 로즈 트레몰로유니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트레몰로유니트의 역할은 현을 고정하여 잡아주는 기본적인 기능에서부터 암의 작동에 의하여 전음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바디에 장착되어 진다.
상기 트레몰로유니트는 바디 상부에 위치한 표면의 두 곳에 접점으로 맞대어져 현의 장력과 스프링의 장력이 이루는 균형에 의존한체 허공에 본체를 지탱하고 있는 불안전한 상태로 있게 되고, 헤드와 넥 사이의 경계점에는 조율된 현의 이탈과 풀어짐등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너트를 필요로 한다.
종래기술로부터 진보된 형태의 전음장치를 본원 출원인이 선행하여 특허출원(제 2000 - 24274 호)한바 있으며 이의 구성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전음장치(1)는, 현악기의 바디에 고정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하방에 결합되어 현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구(3)와;
상기 본체(2)와 장력유지구(3)와 결합되어 업,다운(UP, DOWN)에 의한 현의 긴장과 이완으로 고음과 저음상태에서 지속으로 떨리도록 하는 전음 효과를 얻기 위한 전음자(4)로 크게 구성한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폴로이드로즈 타입의 전음장치는, 헤드와 넥의 경계부위에 록킹너트를 구비하여 1차로 록킹너트를 이용하여 6개의 현을 모두 잠금상태로 유지한 후 미리 현을 늘려주는 에이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이징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로킹너트를 풀어서 현의 튜닝을 완료하고, 다시 로킹너트를 잠금하여 튜닝 된 현이 지속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튜닝이 완료된 후 로킹너트를 잠그는 과정에서 미세하게 튜닝 된 현이 변화하게 되므로 완벽한 튜닝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뿐만 아니라 현이 사용과정에서 늘어나게 되므로 조율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자명함에도 불구하고, 초기 에이징을 통하여 현을 최대한 늘어지게 하고 있으나 현의 특성상 사용과정에서 에이징 상태에서와 같이 과격하게 늘어나지는 않으나 미세하지만 지속적인 늘어짐 현상이 일어나기 록킹너트로 현을 단속하여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율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선행하여 출원한 전음장치는, 본체가 지지대와 지지판 및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장력유지구는 현고정기어와 이와 연접 및 이탈되는 로크체와 연결대, 스프링과 스프링고정구로 구성되고, 전음자는 베이스에 다수개의 새들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브라켓 등으로 구성되어 그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많은 부품들로 구성되어 전음장치 전체의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한 생산성이 높지 못하면서 과도하게 높은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장력유지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이 밸런스(수평유지)와 장력조절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밸런스와 장력조절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을 조절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현악기의 바디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부에 아밍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지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리어플레이트와,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현을 안내하는 새들을 유지하면서 현의 장력을 튜닝 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장력조절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어느 한 측방 저면에 암부시를 가지고 고정되는 암홀더와 결합되어 현의 아밍을 수행하는 트레몰로암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에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하여 트레몰로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암컨트롤러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현의 튜닝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연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튜닝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 전은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현을 튜닝 전에 늘려주는 에이징 작업 없이 바로 튜닝을 수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튜닝 된 상태에서 사용과정에서 현의 늘어짐이 있을 경우 늘어짐만큼 보상을 통하여 튜닝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현악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전음장치를 구성하는 관련 부품 수를 대폭 줄여 생산과 조립이 용이하면서 생산원가 또한 대폭절감 할 수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현악기용 전음장치(100)는, 현악기의 바디(10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단면이 개략 ㄷ 형상인 메인플레이트(102)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2)의 상부에 결합 되어 아밍(Arming) 가능하게 하는 에지(Edge)플레이트(103)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2)의 후방에는 현(104)을 안내하는 새들(105)을 유지하면서 현(104)의 장력을 튜닝 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장력조절수단(110)을 장착한 리어플레이트(106)를 고정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2)와 에지플레이트(103)의 어느 한 측방에는 현(104)의 아밍을 위한 트레몰로암(111)을 메인플레이트(103)의 저면에 암부시(112)를 가지고 고정되는 암홀더(113)와 결합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2)와 에지플레이트(103) 사이에는 암컨트롤러(114)를 개재하여 트레몰로암(111)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암컨트롤러(114)는, 메인플레이트(102)와 에지플레이트(103) 사이에 개재되는 암컨트롤플레이트(115)와 상기 에지플레이트(103)와 나사 결합되어 암컨트롤플레이트(115)를 움직이는 조절볼트(116)로 구성한다.
상기 트레몰로암(111)이 결합되는 위치의 암컨트롤플레이트(115)에는 트레몰로암(1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암홀(117)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볼트(116)가 결합되는 위치의 암컨트롤플레이트(115)에는 조절홀(118)을 형성하여 조절볼트(116)의 하단에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원추형상으로 형성하는 조절헤드(119)에 의하여 암컨트롤플레이트(115)가 트레몰로암(111) 방향으로 미는 양을 조절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새들(105)은, 바 타입으로 새들바디(120)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기 새들바디(120)의 후미에 형성되는 장공형태의 조절공(121)을 리어플레이트(106)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새들브라켓(122)에 장착되는 새들샤프트(123)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새들바디(120)의 후면에는 조절볼트(124)를 결합하여 새들(105)을 새들샤프트(12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하여 현(104)을 효율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새들바디(120)의 전방에는 현안내롤러(125)를 회전자유롭게 결합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110)은, 리어플레이트(106)의 수직벽면(130)에 현(104)과 현안내롤러(125)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수의 결합홀(13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131)에는 현(104)을 연결할 수 있도록 중앙에 현연결공(132)을 형성한 장력조절샤프트(133)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장력조절샤프트(133)에는 현(104)의 장력을 튜닝 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력스프링(134)을 결합하고, 상기 장력조절샤프트(133)의 후단에는 장력스프링(1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헤드(135)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장력조절샤프트(133)와 스프링헤드(135)의 결합위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스프링(134)은 각각의 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 현의 튜닝완료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하여 최대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104)을 장착하여 튜닝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력스프링(134)이 압축되었다가 현(104)이 이완되면 이완되는 만큼 압축상태에서 신장하여 현(104)의 튜닝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악기용 전음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104)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현(104)의 선단부를 장력조절수단(110)을 구성하는 장력조절샤프트(133)의 현연결공(132)을 통과시켜 헤드의 페그와 폴로 연결하고, 현(104)의 끝단에 구비되는 고정링은 장력조절샤프트(133)의 후미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스프링헤드(135)에 걸림 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현(104)은 리어플레이트(106)와 에지플레이트(103)에 유지되는 샤들(105)의 현안내롤러(125)를 경유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며, 새들바디(120)의 후미에 결합되는 조절볼트(124)를 이용하여 새들샤프트(123)에 대하여 새들바디(120)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현(104)의 상태에 맞게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현(104)을 바로 튜닝하게 되는 데, 현(104)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각 현(104)의 튜닝완료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하여 장력조절수단(110)을 구성하는 장력조절샤프트(133)에 결합 된 장력스프링(134)은 최대 압축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레몰로암(111)을 이용하여 아밍을 수행하거나 연주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현(104)이 늘어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압축되어 있던 장력스프링(134)이 신장하면서 이완되는 현(104)에 대응하게 되므로 튜닝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현(104)이 이완된다고는 하는 현실적으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만큼 크게 늘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력조절스프링(134)이 최대 압축된 상태에서 미세하게 늘어지는 현(104)에 대응하여 신장하게 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009 게이지(Gage)의 현을 살펴보면, 1번 현은 5.942㎏/㎠의 장력이 발생하고, 2번 현은 4.989㎏/㎠, 3번 현은 6.667㎏/㎠, 4번 현은 7.166㎏/㎠, 5번 현은 7.166㎏/㎠, 6번 현은 6.713㎏/㎠의 장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010 게이지의 현의 경우에는, 1번 현은 7.348㎏/㎠의 장력이 발생하고, 2번 현은 6.985㎏/㎠, 3번 현은 7.529㎏/㎠, 4번 현은 8.346㎏/㎠, 5번 현은 8.845㎏/㎠, 6번 현은 7.937㎏/㎠의 장력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각 현의 장력에 맞게 장력스프링(134)의 선경, 내경과 외경 및 길이 또는 최대압축길이를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결합함으로써 튜닝상태에서 장력스프링(134)이 최대 압축상태가 되고, 최대 압축된 상태에서 현(104)의 이완이 발생할 시 압축되었던 장력스프링(134)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하여 보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리어플레이트(106)의 수직벽면(130)에 형성되는 결합홀(131)과 나사 결합되는 장력조절샤프트(133)가 현(104)이 당기는 방향으로는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력스프링(134)에 의하여 현(104)이 당기는 반대방향(현이 이완되는 반대방향)으로 긴장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 또한 일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아밍동작을 수행하는 트레몰로암(111)의 사용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암컨트롤러(114)를 이용하여 연주 과정에서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단속하도록 하고, 트레몰로암(111)이 필요할 경우에는 다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에지플레이트(103)의 상부에 나사 결합된 조절볼트(116)를 풀거나 조여줌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데, 조절볼트(116)를 풀어주면 메인플레이트(102)와 에지플레이트(103) 사이에 개재된 암컨트롤플레이트(115)의 암홀(117)과 트레몰로암(111)이 일치하게 되므로 트레몰로암(111)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조절볼트(116)를 조여주면 조절볼트(116)의 하단에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조절헤드(119)가 암컨트롤플레이트(115)에 형성되는 조절홀(118)과 연접되면서 암컨트롤플레이트(115)를 트레몰로암(111)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트레몰로암(111)과 암홀(117)이 어긋나게 되므로 결국에는 트레몰로암(111)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현의 튜닝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연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튜닝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 전은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현악기용 전음장치
102; 메인플레이트
103; 에지플레이트
105; 새들
106; 리어플레이트
110; 장력조절수단
111; 트레몰로암
115; 암컨트롤플레이트
120; 새들바디
131; 결합홀
132; 현연결공
133; 장력조절샤프트
134; 장력스프링
135; 스프링헤드

Claims (4)

  1. 현악기의 바디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부에 아밍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지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리어플레이트와;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현을 안내하는 새들을 유지하면서 현의 장력을 튜닝 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장력조절수단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어느 한 측방 저면에 암부시를 가지고 고정되는 암홀더와 결합되어 현의 아밍을 수행하는 트레몰로암과;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에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하여 트레몰로암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암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전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컨트롤러는, 메인플레이트와 에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암컨트롤플레이트와;
    상기 에지플레이트와 나사 결합되어 암컨트롤플레이트를 움직이는 조절볼트로 구성하고;
    트레몰로암이 결합되는 위치의 암컨트롤플레이트에는 트레몰로암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암홀과;
    상기 조절볼트가 결합되는 위치의 암컨트롤플레이트에 형성하는 조절홀과;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에 조절홀과 결합 및 이탈되면서 암컨트롤플레이트를 트레몰로암 방향으로 미는 양을 조절하도록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원추형상으로 형성하는 조절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전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리어플레이트의 수직벽면에 현과 현안내롤러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나사 결합 되고 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현연결공을 형성한 장력조절샤프트와;
    상기 장력조절샤프트에 결합되어 현의 장력을 튜닝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장력스프링과;
    상기 장력조절샤프트의 후단에 결합하여 장력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전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스프링은 각각의 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 현의 튜닝완료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하여 최대압축될 수 있도록 하여;
    각 현이 튜닝 완료된 상태에서 장력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현이 이완되면 이완되는 만큼 압축상태에서 신장하여 현의 튜닝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전음장치.
KR1020130010461A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전음장치 KR10143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61A KR101433507B1 (ko)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전음장치
PCT/KR2014/000733 WO2014119882A1 (ko) 2013-01-30 2014-01-27 현악기용 전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61A KR101433507B1 (ko)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전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841A KR20140097841A (ko) 2014-08-07
KR101433507B1 true KR101433507B1 (ko) 2014-08-22

Family

ID=5126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461A KR101433507B1 (ko) 2013-01-30 2013-01-30 현악기용 전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3507B1 (ko)
WO (1) WO20141198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43A (ko) * 2001-06-26 2003-01-06 호시노 각끼 가부시끼가이샤 현악기의 트레몰로 장치
US7718873B1 (en) 2007-05-16 2010-05-18 Slavik Randal L Stringed instrument vibrato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2835A (en) * 1995-08-25 1997-09-30 Doughty; Colin David Tremolo devices
JP3830909B2 (ja) * 2003-02-27 2006-10-11 星野楽器株式会社 トレモロ装置及びトレモロ装置を備えた電気ギター
KR101075400B1 (ko) * 2009-07-03 2011-10-24 태성정밀공업 주식회사 트레몰로브릿지용 트레몰로암결합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43A (ko) * 2001-06-26 2003-01-06 호시노 각끼 가부시끼가이샤 현악기의 트레몰로 장치
US7718873B1 (en) 2007-05-16 2010-05-18 Slavik Randal L Stringed instrument vibrat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9882A1 (ko) 2014-08-07
KR20140097841A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0263A1 (en) Sound board support system
US20140026735A1 (en) Drum supporting device and drum
US9390693B2 (en) Musical instrument with opposing adjustable pitch drums
US8884145B1 (en) Percussion device for cajon
US9330639B1 (en) Adjustable pitch stop for the tremolo bar of an electric guitar
CN104424926A (zh) 鼓系统
US20080289474A1 (en) Tension Equalizer
US8217245B1 (en) Guitar
KR101433507B1 (ko) 현악기용 전음장치
US9286864B2 (en) Mount for tremolo arm
JP2011008040A (ja) 打楽器の音調整装置
JP6058304B2 (ja) ギター、及びその弦調整構造
JP5837409B2 (ja) 弦楽器用調弦装置
US8399755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drum shell
US9324308B1 (en) Guitar string bender
US9697810B2 (en) Strainer for a snare drum
US8766070B2 (en) Device for attachment of lever to tremolo bridge and kit
US8853513B2 (en) Vibrato system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10964294B2 (en) Device for aiding in stringing musical instruments
US20050155480A1 (en) Compound musical instrument string configuration and support system
US9355623B2 (en) Fastening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JP7101654B2 (ja) スペーサーとベンド用レバーを用いた単弦牽引装置
KR102253305B1 (ko) 현악기용 조율장치
JP3221831U (ja) ブリッジ
JP2011221333A (ja) 弦楽器の弦端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