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101B1 -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101B1
KR102253101B1 KR1020190037752A KR20190037752A KR102253101B1 KR 102253101 B1 KR102253101 B1 KR 102253101B1 KR 1020190037752 A KR1020190037752 A KR 1020190037752A KR 20190037752 A KR20190037752 A KR 20190037752A KR 102253101 B1 KR102253101 B1 KR 10225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moke
casing
fixing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242A (ko
Inventor
최영광
Original Assignee
라파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파코리아(주) filed Critical 라파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37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8Draining devices having means for processing the drained fluid, e.g. an absor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61M1/784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by filtering, sterilising or disinfecting the exhaust air, e.g. swellable filte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9Filters for solid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7Cannulas with means for removing or absorbing fluid, e.g. wick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61B2017/3441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with distal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수술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모크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2); 수용 공간에 고정되면서 스모크의 유입을 위한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고정 유닛(11); 및 필터 고정 유닛(11)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스모크를 유도하는 유도 실린더(1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A Smoke Filter Assembly with an Improved Air Tightness}
본 발명은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수술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유해 가스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유해 기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또는 이와 유사한 수술 과정에서 트로카(trocar) 또는 가이드 포트와 같은 수술 도구가 사용되어 절개가 되지 않거나, 최소 절개에 의하여 수술이 진행될 수 있다. 수술 과정에서 인체 내부로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가 주입될 수 있고, 수술 과정에서 초음파 또는 전기에 의한 인체 부위의 절단 및 응고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응고 과정에서 스모크(smoke)가 발생될 수 있고, 스모크는 트로카 또는 가이드 포트와 같은 수술 도구의 유입 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출되는 스모크는 유해 성분을 포함하므로 필터에 의하여 여과가 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6-0146110는 복강 내의 가스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트로카용 배기필터 조립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1601130은 필터의 성능을 지속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한 필터의 적층 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스모크의 배출을 위하여 필터 어셈블리에 유도 튜브가 연결되어야 하고, 유도 튜브는 필터 어셈블리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필터 어셈블리 내부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6-0146110(주식회사 세종메디칼, 2016.12.21. 공개) 트로카용 배기필터 조립체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10-1601130(주식회사 금호 엔.티, 2016.03.22. 공고) 필터의 적증 구조, 상기 적층 구조가 적용된 스모크 필터 및 스모크 필터의 제작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내부로 유입된 스모크의 유도 경로가 형성되면서 외부에서 연결되는 유도 튜브가 유도 경로에 직접 결합되어 기밀성이 향상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술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모크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 수용 공간에 고정되면서 스모크의 유입을 위한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고정 유닛; 및 필터 고정 유닛(11)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스모크를 유도하는 유도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실린더는 케이싱에 형성된 유도 탭의 내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필터 고정 유닛의 양쪽 끝에 형성된 고정 날개의 안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여과 배출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스모크 필터 내부로 스모크의 배출을 위한 유도 경로가 형성되어 스모크가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향상된 기밀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외부에서 연결되는 배출 유도 튜브가 필터의 배출을 위한 경로에 직접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 위치에 여과가 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 홀이 형성되어 여과 기체가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에서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로부터 스모크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술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모크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2); 수용 공간에 고정되면서 스모크의 유입을 위한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고정 유닛(11); 및 필터 고정 유닛(11)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스모크를 유도하는 유도 실린더(114)를 포함한다.
케이싱(12)은 전체적으로 타원 구형이 되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수용 공간에 필터 고정 유닛(11)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12)은 서로 결합 가능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의 케이싱(12)이 서로 결합되어 필터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필터 고정 유닛(11)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필터 고정 유닛(11)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감기는 고정 몸체(111), 고정 몸체(111)의 양쪽 끝에 형성된 고정 날개(112a, 112b); 하나의 고정 날개(112a)에 형성된 유입 탭(113); 및 유입 탭(113)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도 실린더(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몸체(111)은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필터가 감길 수 있는 형상이 될 수 있고, 필터가 감긴 상태에서 내부에 기체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도 실린더(114) 및 유입 탭(113)을 통하여 여과가 되어야 하는 냄새 또는 이와 유사한 성분을 포함하는 기체가 기체 수용 공간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기체는 고정 몸체(111)에 감긴 필터를 통하여 여과가 되어 필터 고정 유닛(11)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후 케이싱(12)에 형성된 여과 배출 홀(124a, 124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 탭(113)은 하나의 고정 날개(112a)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하나의 고정 날개(112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탭(113)으로 유입 탭(113)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실린더 형상이 되는 유도 실린더(114)가 연장될 수 있다. 유도 실린더(114)는 유입 탭(1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끝 부분이 케이싱(12)에 형성된 유도 탭(1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필터 고정 유닛(11)의 내부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외부 유도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 유도 실린더(114)가 유입 탭(113)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유도 실린더(114)와 유입 탭(113)은 기체의 유도 경로를 형성하는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유입 탭(113)의 외부 직경은 적절하게 선택되면서 유도 실린더(114)의 외부 직경은 케이싱(12)에 형성된 유도 탭(123)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필터 고정 유닛(11)은 케이싱(12)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결합 과정에서 유도 실린더(114)가 유도 탭(12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싱(12)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또는 타원 형상이 되면서 바깥쪽으로 볼록한 케이싱 몸체(121); 케이싱 몸체(121)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결합 고정 부위(122a, 122b)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 고정 부위(122a, 122b)는 한 쌍의 고정 날개(112a, 112b)가 각각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형의 고정 날개(112a, 112b)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홈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12)의 한쪽 끝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의 유도 탭(123)이 형성될 수 있고, 유도 탭(123)에 예를 들어 트로카와 같은 수술 도구와 연결된 유도 튜브가 결합될 수 있다. 필터 고정 유닛(11)이 케이싱(12)에 결합되면서 유도 실린더(114)가 유도 탭(12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도 실린더(114)의 끝 부분이 유도 탭(123)의 중간 부분 또는 이와 유사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 실린더(114)가 유도 탭(123)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다른 케이싱(12)이 결합되어 밀폐 구조의 필터 하우징이 형성되고, 유도 튜브가 유도 튜브로 삽입되어 유도 실린더(1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튜브의 내부로 또는 유도 튜브의 외부로 유도 실린더(114)가 결합될 수 있다. 유도 튜브를 통하여 기체가 유도되어 필터 고정 유닛(11)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이후 기체는 필터 고정 유닛(11)을 통하여 유동되면서 필터 고정 유닛(11)에 감긴 필터에 의하여 여과되어 케이싱(12)의 여유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 배출 홀(124a, 124b)을 통하여 필터 하우징의 외부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여과 배출 홀(124a, 124b)은 케이싱(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필터 고정 유닛(11)의 양쪽 끝에 형성된 고정 날개(112b)의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를 통과한 여과된 기체는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를 위하여 여과 배출 홀(124a, 124b)은 케이싱(12)의 여유 공간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동시에 필터를 통과한 이후 빠르게 배출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여과 배출 홀(124a, 124b)이 고정 날개(122b)가 고정되는 결합 고정 부위(122b)의 안쪽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유도 탭(123)이 형성된 반대편의 결합 고정 부위(122b)의 안쪽 부분에 형성되면서 결합 고정 부위(122b)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결합 고정 부위(122b)의 안쪽 부분 및 결합 고정 부위(122b)의 양쪽 끝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여과 배출 홀(124a, 124b)은 케이싱(12)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에서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고정 유닛의 고정 날개(112a, 112b)가 각각 결합 고정 부위(122a, 122b)에 결합될 수 있고, 케이싱 몸체(121)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기체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한 벽(126a, 126b)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고정 부위(122a, 122b)와 제한 벽(126a, 126b)에 의하여 사각 벽의 제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제한 공간의 모서리 안쪽에 여과 배출 홀(124a, 12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한 공간의 형성 및 여과 배출 홀(124a, 124b)의 구조에 의하여 여과된 기체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 탭(113)은 결합 고정 부위(122a, 122b)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고, 유도 실린더(114)가 결합 탭(113)으로부터 연장되어 유도 탭(12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튜브가 유도 실린더(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 탭(113)과 일체로 형성된 유도 실린더(114)가 유도 탭(123)의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면서 필터 고정 유닛이 케이싱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튜브가 유도 탭(123)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도 실린더(114)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로부터 스모크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로카 또는 가이드 포트와 연결되어 기체를 유도하는 연결 튜브(33)가 밸브 유닛(32)에 연결될 수 있고, 밸브 유닛(32)으로 유도 튜브(31)가 연장되어 유도 탭(12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밸브 유닛(32)의 작동에 의하여 유도 튜브(31)를 통하여 기체가 필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여과가 된 기체는 케이싱 몸체(121)에 형성된 여과 배출 홀(124a, 124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수술 도구가 필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스모크 필터 내부로 스모크의 배출을 위한 유도 경로가 형성되어 스모크가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향상된 기밀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외부에서 연결되는 배출 유도 튜브가 필터의 배출을 위한 경로에 직접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 위치에 여과가 된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 홀이 형성되어 여과 기체가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필터 고정 유닛 12: 케이싱
32: 밸브 유닛 33: 연결 튜브
111: 고정 몸체 112a, 112b: 고정 날개
113: 유입 탭 114: 유도 실린더
121: 케이싱 몸체 122a, 122b: 결합 고정 부위
123: 유도 탭 124a, 124b: 여과 배출 홀
126a, 126b: 제한 벽

Claims (3)

  1. 수술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모크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2);
    수용 공간에 고정되면서 스모크의 유입을 위한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고정 유닛(11); 및
    필터 고정 유닛(11)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스모크를 유도하는 유도 실린더(114)를 포함하고,
    필터 고정 유닛(11)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감기는 고정 몸체(111), 고정 몸체(111)의 양쪽 끝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 날개(112a, 112b); 및 하나의 고정 날개(112a)에 형성된 유입 탭(113)을 포함하고, 유도 실린더(114)는 유입 탭(113)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유입 탭(113)으로부터 케이싱(12)에 형성된 유도 탭(123)의 내부로 연장되고,
    케이싱(12)은 케이싱 몸체(121)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결합 고정 부위(122a, 122b)를 포함하고, 한 쌍의 결합 고정 부위(122a, 122b)는 각각 필터 고정 유닛(11)의 한 쌍의 고정 날개(112a, 112b)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싱(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한 쌍의 고정 날개(112b)의 안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여과 배출 홀(124a, 124b)을 포함하는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KR1020190037752A 2019-04-01 2019-04-01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KR10225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52A KR102253101B1 (ko) 2019-04-01 2019-04-01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52A KR102253101B1 (ko) 2019-04-01 2019-04-01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42A KR20200116242A (ko) 2020-10-12
KR102253101B1 true KR102253101B1 (ko) 2021-05-21

Family

ID=7288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752A KR102253101B1 (ko) 2019-04-01 2019-04-01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469A (en) 1992-03-16 1994-02-22 Envirosurgical, Inc. Surgery plume filter device
JP3042495U (ja) 1993-05-29 1997-10-21 ドレーゲルヴェル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吸込み導管内にフィルタ挿入体を備えた吸込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03B1 (ko) * 2015-05-26 2017-02-08 이병갑 수술용 투관침세트의 유해가스필터장치
KR101731472B1 (ko) 2015-06-11 2017-05-0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용 배기필터 조립체
KR101601130B1 (ko) 2015-07-21 2016-03-22 주식회사 금호 엔.티 필터의 적층구조, 상기 적층구조가 적용된 스모크필터 및 스모크필터의 제작방법
KR102137050B1 (ko) * 2018-08-27 2020-07-23 남병욱 필터 교체 구조의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469A (en) 1992-03-16 1994-02-22 Envirosurgical, Inc. Surgery plume filter device
JP3042495U (ja) 1993-05-29 1997-10-21 ドレーゲルヴェル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吸込み導管内にフィルタ挿入体を備えた吸込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42A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0186B1 (en) Duckbill seal with fluid drainage feature
KR102395006B1 (ko) 필터 카트리지 조립체
JP7429240B2 (ja) 流体管理構造体を有する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組立品
JP2022527274A (ja) ロボット支援外科的処置用のガス密封アクセスキャップおよび弁密封アクセスキャップを備えたガス循環システム
EP3560536B1 (en) Air purifier for laparoscopic surgery
JPH02149319A (ja) 透析器の閉鎖キャップ並びにそれを備えた透析器
KR102253101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KR101731472B1 (ko) 트로카용 배기필터 조립체
KR102040082B1 (ko)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CN209751122U (zh) 一种单孔多通道的手术装置
KR20200023799A (ko) 필터 교체 구조의 스모크 필터 어셈블리
KR101142439B1 (ko) 복강경 수술용 싱글포트
KR102594423B1 (ko) 수술용 유해가스 필터장치
CN216455120U (zh) 一种独立气体过滤组件
US20220354536A1 (en) Active surgical access port filtration fittings
JP2002028233A (ja) 血液浄化器用キャップ及びそれを装着した血液浄化器
US11904087B2 (en) Passive surgical access port filtration fittings
JP7439113B2 (ja) 人工肺
CN110432955B (zh) 内窥镜手术用牵开器
CN110960293B (zh) 一种穿刺套管
KR100308109B1 (ko) 복강경수술용복강정화장치
KR102559853B1 (ko) 의료용 개창 기구
KR102197637B1 (ko) 복강경 수술 중 발생하는 유해가스 여과를 위한 트로카 장착 필터 구조체
KR102257602B1 (ko) 트로카용 덕 밸브
CN217793145U (zh) 一种新型腹腔镜软器械鞘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