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299B1 -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299B1
KR102252299B1 KR1020200098734A KR20200098734A KR102252299B1 KR 102252299 B1 KR102252299 B1 KR 102252299B1 KR 1020200098734 A KR1020200098734 A KR 1020200098734A KR 20200098734 A KR20200098734 A KR 20200098734A KR 102252299 B1 KR102252299 B1 KR 10225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entrance
access
user terminal
elevat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훈
김승훈
Original Assignee
남승훈
김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훈, 김승훈 filed Critical 남승훈
Priority to KR102020009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공동현관에 접근하면 공동현관이 자동으로 열리고 공동현관을 통해 들어가 승강기에 접근하면 승강기가 자동으로 호출되는 공동현관 자동 출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제어장치는 주기적으로 비컨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커넥션을 형성하여 커넥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키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과,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나 인체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와,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출입키와 기 저장한 출입키를 비교한 결과 출입키가 일치하는 동시에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근접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공동현관을 개방하기 위한 개방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utomatic common entrance}
본 발명은 출입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공동현관에 접근하면 공동현관문이 자동으로 열리고 공동현관을 지나서 승강기에 접근하면 승강기가 자동으로 호출되는 공동현관 자동 출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에서 공동현관은 평상 시 닫혀 있어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출입구가 상시 개방되어 있다면 잡상인이 들어와 무분별하게 광고전단을 붙이는 일이 많을 것이다. 또한 범죄 예방을 위해서라도 공동현관 출입구의 관리는 필요하다.
공동현관의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로비폰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긴 하나, 비밀번호 입력 방식은 입력 행위 자체가 번거롭고 비밀번호가 쉽게 유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거주자에게 RFID 또는 NFC 카드를 지급하고 카드 리딩을 통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기술이 공동현관에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태깅을 위해 카드를 꺼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공동주택 거주자가 공동현관을 통과한 후에 승강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승강기가 다른 층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아 승강기 버튼을 누르고 승강기가 내려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처럼 공동현관을 통과한 후에 매번 승강기 버튼을 누르고 기다리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지만, 근래 코로나 19로 인하여 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승강기 버튼을 손으로 누르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413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이나 카드를 꺼내는 동작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공동현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공동현관을 통과한 후 승강기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승강기가 호출되어 사용자가 감염병 우려 없이 빠르게 승강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제어장치는 주기적으로 비컨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커넥션을 형성하여 커넥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키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과,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나 인체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와,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출입키와 기 저장한 출입키를 비교한 결과 출입키가 일치하는 동시에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근접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공동현관을 개방하기 위한 개방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공동현관 출입용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출입키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공동현관 제어장치로부터 비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공동현관 제어장치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현관 제어장치와 커넥션이 이루어지면 커넥션을 통해 상기 공동현관 제어장치로 상기 출입키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키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승강기 제어장치로부터 비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강기 제어장치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승강기 제어장치와 커넥션이 이루어지면 커넥션을 통해 상기 승강기 제어장치로 상기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승강기 호출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출입키를 발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동현관 출입정보 및 승강기 호출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공동현관 및 승강기 사용이력을 업데이트 관리하는 출입관리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컨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커넥션을 형성하고 커넥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출입키를 기 저장된 출입키와 비교한 결과 출입키가 일치하는 동시에 주변 물체나 인체의 접근을 알리는 접근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공동현관의 잠금부를 개방하는 공동현관 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컨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커넥션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출입키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공동현관 출입정보가 커넥션을 통해 수신되면 승강기를 호출하는 승강기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사전등록 신청이 수신되면 방문자 정보를 등록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임시 출입키 요청이 수신되면 임시 출입키 요청에 포함된 방문자 정보와 기 등록된 방문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방문자 단말로 임시 출입키를 발급하는 출입관리 서버와, 상기 방문자 단말로부터 비컨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커넥션을 형성하고 커넥션을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임시 출입키를 기 저장된 임시 출입키와 비교한 결과 임시 출입키가 일치하는 동시에 주변 물체나 인체의 접근을 알리는 접근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공동현관의 잠금부를 개방하는 공동현관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공동현관을 출입할 때 지문인식, 얼굴인식, RFID 태그를 활용하거나 출입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가지고 공동현관에 접근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공동현관문이 개방되어 공동현관을 빠르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휴대폰의 출입키가 일치했다고 하여 바로 공동현관문이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출입키 일치와 동시에 사용자가 공동현관에 접근한 것이 감지되었을 때 비로소 공동현관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공동현관과 통신 범위에 있으나 근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동현관문이 개방되어 타인이 공동현관문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공동현관을 통과한 후에 승강기가 자동으로 1층에 내려오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어서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고, 대기 없이 빠르게 승강기에 탑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는 방문자가 임시 출입키를 발급받을 수 있어서 방문일 동안 자유롭게 공동현관을 출입할 수 있고, 방문일이 경과한 후에는 임시 출입키가 자동으로 삭제되어 방문자의 임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방문자의 임시 출입을 허용하기 위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출입 관리 서버(20), 공동현관 제어장치(30), 승강기 제어장치(4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공동주택이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거주가가 소유한 휴대 단말기이다. 휴대 단말기로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동현관 출입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종류의 장치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에는 공동현관 출입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출입관리 서버(20)로부터 출입키를 발급받아 저장하고, 공동현관 제어장치(30)와 근거리 통신하여 출입키를 전송한다.
출입관리 서버(2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출입키를 발급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공동현관 출입정보 및 승강기 호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출입 이력을 관리한다.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공동현관에 설치되어 공동현관문의 개방을 제어한다.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출입키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출입키와 일치하는 경우 공동현관문을 개방한다.
승강기 제어장치(40)는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승강기 제어장치(4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출입키 전송 사실(공동현관 출입 사실)을 나타내는 공동현관 출입정보 즉, 승강기 호출키를 수신하게 되면 승강기가 다른 층에 있는 경우 승강기를 현재 위치로 호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출입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10)은 앱 스토어에서 공동현관 자동출입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실행한다(S10).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10)은 출입관리 서버(2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S12), 출입관리 서버(20)는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14). 사용자 인증이 되면, 출입관리 서버(20)는 공동현관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키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S16). 사용자 단말(10)은 출입관리 서버(20)로부터 발급된 출입키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주기적으로 비컨신호를 송출한다(S18). 사용자 단말(10)이 공동현관 제어장치(30)의 통신 범위에 들어가게 되면 비컨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후 스캐닝을 통해 공동현관 제어장치(30)를 검색하여 공동현관 제어장치(30)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20).
그러면 사용자 단말(10)과 공동현관 제어장치(30) 간에 커넥션이 형성되고(S21), 사용자 단말(10)은 커넥션을 통해 공동현관 제어장치(30)로 출입키를 전송한다(S22).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출입키와 기 저장된 출입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24).
사용자 단말(10)의 출입키와 기 저장된 출입키가 상호 일치한 경우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바로 공동현관문을 개방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S26). 사용자 단말(10)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공동현관을 개방한다(S28).
이후, 사용자 단말(10)은 출입키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출입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30). 공동현관 출입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이 출입키를 전송하여 공동현관을 출입한 정보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10)이 공동현관을 통과한 후, 승강기에 접근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10)와 공동현관 제어장치(30) 간에 커넥션이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과 승강기 제어장치(40) 간에 다시 커넥션이 형성된다(S31).
사용자 단말(10)과 승강기 제어장치(40) 간에 커넥션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10)은 커넥션을 통해 승강기 제어장치(40)로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전송한다(S32). 여기서 공동현관 출입정보는 승강기 호출키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현관 출입정보는 공동현관 출입 이력 관리와 승강기 호출을 위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정보이다. 즉, 사용자 단말(10)이 공동현관 출입 이력 관리를 위해 출입관리 서버(20)로 보내는 정보와 사용자 단말(10)이 승강기 호출을 위해 승강기 제어장치(40)로 보내는 정보는 동일한 패킷이다. 이처럼 승강기 호출 시에 기 생성한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공동현관을 통과한 후 신속하게 승강기를 호출할 수 있게 된다.
승강기 제어장치(40)는 승강기 호출키를 수신하게 되면, 승강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승강기가 다른 층에 있는 경우 승강기를 호출한다(S34).
이후, 사용자 단말(10)은 승강기 호출정보를 출입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35). 승강기 호출정보는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정보와 동일하다. 즉, 승강기 호출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이 공동현관을 통과한 후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이용해 승강기 호출을 요청한 사실을 나타낸다.
출입관리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공동현관 출입정보 및 승강기 호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공동현관 출입 이력을 관리한다(S3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근거리통신모듈(101), 근접감지센서(103), 구동부(105), 잠금부(107), 제어부(109) 등을 포함한다.
근거리통신모듈(101)는 BLE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주기적으로 비컨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과의 블루투스 커넥션을 형성한다.
근접감지센서(103)는 물체나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근접감지센서(103)는 LiDAR,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광학펄스를 방사하여 반송된 신호의 특징을 분석해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나 인체를 감지한다.
구동부(105)는 제어부(109)의 제어 명령에 따라 공동현관문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제어부(109)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출입키와 기 저장된 출입키가 일치하는 경우 구동부(105)로 개방 명령을 출력한다. 구동부(105)는 제어부(109)로부터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잠금부(107)로 잠금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잠금부(107)는 공동현관문을 잠금장치로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잠금부(107)는 구동부(105)의 잠금해제 신호에 따라 잠금장치의 고정을 해제한다.
제어부(109)는 공동현관 제어장치(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부(109)는 근거리통신 모듈(101)을 통해 수신된 출입키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출입키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또한, 제어부(109)는 근접감지센서(103)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09)는 입력받은 출입키와 기 저장된 출입키 정보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고 동시에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근접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공동현관문을 개방하기 위한 개방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거주자 출입을 위한 출입키 정보 외에 방문자 출입을 위한 임시 출입키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9)는 근거리통신 모듈(101)을 통해 키값이 수신되면 먼저 키값을 거주자 출입키와 비교하고 만약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추가적으로 임시 출입키와 비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방문자의 임시 출입을 허용하기 위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친척이나 지인의 방문이 있는 경우 공동현관 출입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입관리 서버(20)로 방문자 사전 등록을 신청한다(S40). 방문자 사전 등록 신청 시에 사용자 단말(10)은 방문자 정보(이름, 휴대폰번호 등)를 입력하여 출입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출입관리 서버(20)는 방문사 사전 등록 신청을 받으면 방문자 정보를 등록한다(S42). 이후, 방문자 단말(50)로부터 임시 출입키 요청을 수신하면, 출입관리 서버(20)는 방문자 인증 절차를 거쳐(S46), 방문자 단말(50)로 임시 출입키를 발급하여 전송한다(S48). 즉, 출입관리 서버(20)는 임시 출입키 요청에 포함된 방문자 정보와 기 등록된 방문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방문자 단말(50)로 임시 출입키를 발급한다.
임시 출입키 발급 이후, 출입관리 서버(20)는 임시 출입키를 방문자에게 발급한 사실을 사용자 단말(10)로 통보한다(S50).
방문자 단말(50)은 임시 출입키를 저장하고, 이후 공동현관에 접근하여 통신 범위에 들어가게 되면 공동현관 제어장치(30)과 방문자 단말(50) 간에 블루투스 커넥션이 형성된다(S51).
공동현관 제어장치(30)과 방문자 단말(50) 간에 커넥션이 형성되면, 방문자 단말(50)은 임시 출입키를 공동현관 제어장치(30)로 전송한다(S52).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방문자 단말(50)로부터 임시 출입키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임시 출입키 정보와 비교하고(S54), 또한 방문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S56).
임시 출입키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고 방문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공동현관 제어장치(30)는 공동현관을 개방한다(S58).
이후, 방문자 단말(50)은 임시 출입키를 발급받은 시간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계속적으로 확인하여(S60),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발급받은 임시 출입키를 내부 메모리에서 삭제 처리한다(S6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출입관리 서버
30: 공동현관 제어장치 40: 승강기 제어장치
101: 근거리통신모듈 103: 근접감지센서
105: 구동부 107: 잠금부
109: 제어부

Claims (7)

  1. 삭제
  2.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공동현관 출입용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출입키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공동현관 제어장치로부터 비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공동현관 제어장치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현관 제어장치와 커넥션이 이루어지면 커넥션을 통해 상기 공동현관 제어장치로 상기 출입키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키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승강기 제어장치로부터 비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강기 제어장치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승강기 제어장치와 커넥션이 이루어지면 커넥션을 통해 상기 승강기 제어장치로 상기 기 생성된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승강기 호출을 위한 신호로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승강기 호출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전송된 공동현관 출입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5.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출입키를 발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공동현관 출입정보 및 승강기 호출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공동현관 및 승강기 사용이력을 업데이트 관리하는 출입관리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컨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커넥션을 형성하고 커넥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출입키를 기 저장된 출입키와 비교한 결과 출입키가 일치하는 동시에 주변 물체나 인체의 접근을 알리는 접근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공동현관의 잠금부를 개방하는 공동현관 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컨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커넥션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출입키를 전송한 사실을 나타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생성된 공동현관 출입정보가 승강기 호출을 위한 신호로서 커넥션을 통해 수신되면 승강기를 호출하는 승강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공동현관 자동 출입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는 상기 공동현관 출입정보에 근거해 관리하는 공동현관 출입 이력정보를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현관 자동 출입관리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98734A 2020-08-06 2020-08-06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25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34A KR102252299B1 (ko) 2020-08-06 2020-08-06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34A KR102252299B1 (ko) 2020-08-06 2020-08-06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299B1 true KR102252299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734A KR102252299B1 (ko) 2020-08-06 2020-08-06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2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375A (ko)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키 인식 도어록
KR20180076169A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이마을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1591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에스원 원격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29516B1 (ko) * 2020-02-03 2020-07-24 주식회사 지토 출입문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375A (ko)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키 인식 도어록
KR20180076169A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이마을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1591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에스원 원격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29516B1 (ko) * 2020-02-03 2020-07-24 주식회사 지토 출입문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8118B2 (en)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ccess
US11240668B2 (en) Universal personal identification signal
JP5471533B2 (ja) 来訪者入退管理システム
KR20190026357A (ko)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52181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공동 현관 출입문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5829B1 (ko) 호텔의 객실 도어락 관리시스템
JP430374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200122268A (ko) 모바일 기반 출입 관리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 방법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102252299B1 (ko) 공동현관 자동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231990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출입문 자동열림장치
WO2009116129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CN111717740B (zh) 电梯智能化管理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26709B1 (ko) 생체 인증 및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6134081A (ja) 入場管理システム、入場制御端末、及び入場管理方法
US20190088050A1 (en) Barrier control system
JP2021527904A (ja) ユニバーサル個人識別信号
KR101640802B1 (ko) 출입문 모바일 알람 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문 알람 세트 해제 방법
KR102247544B1 (ko) 공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164052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及び生体認証装置
KR20090118422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