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357A -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357A
KR20190026357A KR1020170113137A KR20170113137A KR20190026357A KR 20190026357 A KR20190026357 A KR 20190026357A KR 1020170113137 A KR1020170113137 A KR 1020170113137A KR 20170113137 A KR20170113137 A KR 20170113137A KR 20190026357 A KR20190026357 A KR 2019002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voice
server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향
Original Assignee
임태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향 filed Critical 임태향
Priority to KR102017011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357A/ko
Publication of KR2019002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얼굴인식, 음성인식 또는 처스처 인식기술을 사용하여 출입자에 대한 다중생체인식인증에 의한 출입을 통제하므로서, 보안상태를 강화시키면서도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도어락이 연결되고, 출입이 승인된 출입자에 대한 다중 생체정보의 저장, 다중생체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생체정보와 기등록 생체정보의 비교 및 그 비교결과에 따른 출입 대기자의 출입승인여부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클라우드 서버내에서 진행되도록 하므로서, 도어락의 부피를 소형화하고,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출입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출입대기자의 얼굴 및 제스처를 촬영하고, 그 얼굴 및 제스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방문자의 음성을 녹취하여 그 음성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모듈과,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모듈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과, 방문자의 방문을 알리는 호출버튼과, 상기 카메라모듈, 마이크모듈, 통신모듈, 음성출력모듈 및 호출버튼과 각기 연결되고, 상기 호출버튼으로 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모듈, 마이크모듈, 통신모듈, 음성출력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락단말기와;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단말기의 통신모듈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락단말기로 부터 전송되는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등록저장하고, 출입도어의 출입시 마다 상기 도어락단말기로 부터 전송되는 방문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기등록/저장된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각 생체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출입허가명령을, 불일치하였을 때 출입불허명령을 도어락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방문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고, 모발일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이 수신되면, TOP/IP 통신을 통해 도어락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음성통화는 중계하고, 모발일 단말기로부터 출입허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어락단말기로 출입허가명령을 전송하는 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락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부터 출입승인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출입도어의 락상태를 해제하고, 출입불허명령이 수신되었을 출입도어의 락상태를 유지하며, 음성전화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음성출력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모듈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클라우드 서버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An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door lock system operated by face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생체인식수단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과 서버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출입자의 얼굴, 음성 및 체스처 등 다중생체정보를 인식하여 획득하고, 획득한 각 생체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도어락으로 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기등록된 출입허용자의 생체정보와 비교하고, 비교결과 생체정보가 일치하였을 때 해당 도어락에 출입허가명령을 전송하여 출입문의 락상태를 해제하여 출입하게 하고, 고객이 외출 중일 때에도 필요시에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고객과 방문자와의 원격음성 및 화상통화를 실시할 수 있고, 기등록된 출입허용자가 출입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획득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에 의해 획득되는 생체정보는 서버 상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고객의 신청에 따라 형성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각종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출입문을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주택의 현관에 장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것으로, 마그네틱, 비밀번호 또는 지문정보를 기등록시킨 후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기등록된 마그네틱 또는 지문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만 도어의 락을 해제시켜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편리한 도어잠금수단이며, 이러한 내용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9342호(200.05.04 등록)에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특히 지문정보와 같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도어락은 등록된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출입인증 시 지문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지문정보를 저장된 등록생체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출입승인여부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이 모두 도어락 자체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도어락의 부피를 소형화하기 어렵고, 제작단가도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얼굴인식, 음성인식 또는 처스처 인식기술을 사용하여 출입자에 대한 다중생체인식인증에 의한 출입을 통제하므로서, 보안상태를 강화시키면서도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도어락이 연결되고, 출입이 승인된 출입자에 대한 다중 생체정보의 저장, 다중생체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생체정보와 기등록 생체정보의 비교 및 그 비교결과에 따른 출입 대기자의 출입승인여부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클라우드 서버 내에서 진행되도록 하므로서, 도어락의 부피를 소형화하고,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청 시 지정된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와 도어락단말기를 통해 고객과 방문자 간의 음성 및 화상통화가 가능하고, 기등록된 출입허용자가 출입 할 때 마다 지속적으로 획득되는 얼굴 및 음성인식에 의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생체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하여 고갹에 대한 각종 서비스에 형성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문을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출입대기자의 얼굴 및 제스처를 촬영하고, 그 얼굴 및 제스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방문자의 음성을 녹취하여 그 음성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모듈과,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모듈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과, 방문자의 방문을 알리는 호출버튼과, 상기 카메라모듈, 마이크모듈, 통신모듈, 음성출력모듈 및 호출버튼과 각기 연결되고, 상기 호출버튼으로 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모듈, 마이크모듈, 통신모듈, 음성출력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락단말기와;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단말기의 통신모듈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락단말기로 부터 전송되는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등록저장하고, 출입문의 출입시 마다 상기 도어락단말기로 부터 전송되는 방문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기등록/저장된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각 생체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출입허가명령을, 불일치하였을 때 출입불허명령을 도어락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방문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고, 모발일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이 수신되면, TOP/IP 통신을 통해 도어락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음성통화는 중계하고, 모발일 단말기로부터 출입허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어락단말기로 출입허가명령을 전송하는 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락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부터 출입승인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출입문의 락상태를 해제하고, 출입불허명령이 수신되었을 출입문의 락상태를 유지하며, 음성전화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음성출력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모듈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상기 서버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의 생체정보를 다중으로 인식하고, 그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에 대한 출입인증을 실시하므서, 보안상태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디지털 도어락의 생체인식모듈에 의해 획득한 생체정보의 를 등록-저장, 등록생체정보와 출입대기자의 생체정보의 비교 및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출입대기자에 대한 출입승인여부를 결정하는 일련의 인증과정을 디지털 도어락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디지털 도어락의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고, 디지털 도어락의 제작단가를 크게 늦출 수 있고, 고객의 외출 중 방문자가 방문하였을 때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과 방문자 간의 음성 및 화상통화를 실시할 수 있어 고객이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등록된 출입허용자가 출입문을 출입할 때마다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에 의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획득되어 서버로 전송되는 출입허용자 들의 각각의 생체정보를 서버 상에 탑재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빅데이터로 형성하고, 고객의 신청에 따라 각종 서비스을 제공하는데 형성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도록 하므로서, 고객의 일상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및 구성요소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중 도어락단말기의 설치상태 및 개략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중 도어락단말기의 구성 및 그 구성간의 상호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을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출입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은 도어락단말기(20)와, 고객의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50)와, 서버(3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락단말기(20)는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출입대기자의 얼굴 및 제스처를 촬영하고, 그 얼굴 및 제스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21)과,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방문자의 음성을 녹취하여 그 음성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모듈(22)과,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모듈(23)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25)과, 방문자의 방문을 알리는 호출버튼(26)과, 상기 카메라모듈(21), 마이크모듈(22), 통신모듈(23), 음성출력모듈(25) 및 호출버튼(26)과 각기 연결되고, 상기 호출버튼(26)으로 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모듈(21), 마이크모듈(22), 통신모듈(23), 음성출력모듈(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로 부터 출입승인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출입도어(40)의 락상태를 해제하고, 출입불허명령이 수신되었을 출입도어(40)의 락상태를 유지하며, 음성전화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음성출력모듈(2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모듈(22)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서버(30)로 발신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단말기(20)는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되어 사용디어도 좋다.
상기 서버(30)는 클라우드 서버이며, 상기 도어락단말기(20)의 통신모듈(23)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락단말기(20)로 부터 전송되는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등록저장하고, 출입도어(40)의 출입시 마다 상기 도어락단말기(20)로 부터 전송되는 방문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기등록/저장된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각 생체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출입허가명령을, 불일치하였을 때 출입불허명령을 도어락단말기(20)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50)로 방문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고, 모발일 단말기(50)로부터 통화요청이 수신되면, TOP/IP 통신을 통해 도어락단말기(20)와 모바일 단말기(50) 사이의 음성통화는 중계하고, 모발일 단말기(50)로부터 출입허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어락단말기(20)로 출입허가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도어락단말기(20)로부터 기등록된 출입허용자가 출입할 때 마다 획득되어 지속적으로 서버(30)로 전송되는 출입허용자에 대한 얼굴 및 음성 생체정보는 서버(30) 상에 탑재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각 출입허용자에 대한 빅데이터로 형성된다.
상기 서버(30)는 도어락작동제어서버(31)와,데이터베이스서버(32)와, TOP/IP 중계서버(33)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락작동제어서버(31)는 도어락단말기(20)에 대한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32)는 상기 도어락단말기(20)에 의해 취득되고, 수신된 생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TOP/IP 중계서버(33)는 도어락단말기(20)와 고객의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50) 간의 TOP/IP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은 서비스관리서버(60)와, 다수개의 서비스업체서버(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관리서버(60)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회원가입 및 가입회원들이 신청하는 각종 서비스를 관리한다.
상기 다수개의 서비스업체서버(70)는 상기 서비스관리서버(60)와 통신망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서비스관리서버(50)로 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신청을 접수하고, 서비스 대상 고객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로는 미용케어 서비스, 건강케어 서비스 및 심리케어 서비스이며, 이외의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통해 실행 가능한 서비스라면 어떤 것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락단말기를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시켜 복잡한 생체정보에 대한 인증과정을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실행하고, 인증결과에 의거한 출입승인 및 불승인명령을 도어락단말기에 전송하고, 도어락단말기는 클라으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출입도어의 락상태를 해제하거나 유지하는 단속작동만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서, 도어락단말기의 부피를 소형화하고, 도어락단말기에 대해 고가의 사양이 요구되지 않어 생산단가를 크게 늦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외출 중 방문한 방문자와 고객 간의 원격 음성 및 화상통화를 제공하여 고객이 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사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객의 신청에 따라 해당되는 각종 케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서, 고객의 일상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20: 도어락단말기
21: 적외선카매라모듈 22: 마이크모듈
23: 통신모듈 24: 제어부
25: 음성출력모듈 26: 호출버튼
30: 클라우드 서버 31: 도어락작동제어서버
32: 데이터베이스서버 33: TOP/IP 중계서버(33)
40: 출입도어 50: 모바일 단말기
60: 서비스관리서버 70: 서비스업체서버

Claims (6)

  1. 출입문을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은,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출입대기자의 얼굴 및 제스처를 촬영하고, 그 얼굴 및 제스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21)과, 출입승인된 출입자 또는 방문자의 음성을 녹취하여 그 음성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모듈(22)과, 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모듈(23)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25)과, 방문자의 방문을 알리는 호출버튼(26)과, 상기 카메라모듈(21), 마이크모듈(22), 통신모듈(23), 음성출력모듈(25) 및 호출버튼(26)과 각기 연결되고, 상기 호출버튼(26)으로 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모듈(21), 마이크모듈(22), 통신모듈(23), 음성출력모듈(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하는 도어락단말기(20)와;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50)와;
    상기 도어락단말기(20)의 통신모듈(23)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락단말기(20)로 부터 전송되는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등록저장하고, 출입문(40)의 출입시 마다 상기 도어락단말기(20)로 부터 전송되는 방문자의 얼굴, 제스처 및 음성 생체정보를 기등록/저장된 출입승인된 출입자의 각 생체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출입허가명령을, 불일치하였을 때 출입불허명령을 도어락단말기(20)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50)로 방문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고, 모발일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이 수신되면, TOP/IP 통신을 통해 도어락단말기(20)와 모바일 단말기(50) 사이의 음성통화는 중계하고, 모발일 단말기(50)로부터 출입허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어락단말기(20)로 출입허가명령을 전송하는 서버(30)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락단말기(20)의 제어부(24)는,
    상기 서버(30)로 부터 출입승인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출입도어(40)의 락상태를 해제하고, 출입불허명령이 수신되었을 출입도어(40)의 락상태를 유지하며, 음성전화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음성출력모듈(25)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모듈(22)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상기 서버(30)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는,
    도어락단말기(20)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락작동제어서버(31)와;
    상기 도어락단말기(20)에 의해 취득되고, 수신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32)와;
    모바일 단말기(50)와, 도어락단말기(20)와 고객의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50) 간의 TOP/IP 통신을 중계하는 TOP/IP 중계서버(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는,
    클라우드 서버이며;
    도어락단말기(20)로부터 기등록된 출입허용자가 출입할 때 마다 획득되어 지속적으로 서버(30)로 전송되는 출입허용자에 대한 얼굴 및 음성 생체정보는 서버(30) 상에 탑재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각 출입허용자에 대한 빅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0)은,
    상기 서버(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회원가입 및 가입회원들이 신청하는 각종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관리서버(60)와;
    상기 서비스관리서버(60)와 통신망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서비스관리서버(50)로 부터 수신되는 서비스신청을 접수하고, 서비스 대상 고객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개의 서비스업체서버(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미용 케어 서비스, 건강 케어 서비스 및 심리 케어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단말기(20)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20170113137A 2017-09-05 2017-09-05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90026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37A KR20190026357A (ko) 2017-09-05 2017-09-05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37A KR20190026357A (ko) 2017-09-05 2017-09-05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57A true KR20190026357A (ko) 2019-03-13

Family

ID=6576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37A KR20190026357A (ko) 2017-09-05 2017-09-05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35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5333A (zh) * 2019-04-30 2019-08-30 南京邮电大学 一种人脸识别智能锁具
CN110246254A (zh) * 2019-06-15 2019-09-17 湖南科技学院 一种基于云计算的小区安防系统
CN110517383A (zh) * 2019-08-23 2019-11-29 航天库卡(北京)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解锁方法及其智能门锁
KR102074836B1 (ko) * 2019-04-26 2020-02-07 송혜선 다기능을 통합하는 가정의 홈 서버를 이용한 소지품 체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지품 체크 방법
KR102085540B1 (ko) * 2019-07-01 2020-03-06 송혜선 가정에 설치되는 nas 서버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방법
CN111210555A (zh) * 2020-03-18 2020-05-29 三门峡珑启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库房管理门
CN111311793A (zh) * 2020-02-18 2020-06-19 周林武 智能图像识别与语音识别门锁系统
KR20200145334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에어큐브 물리보안 및 논리보안을 이용한 생체정보 기반 보안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237742B1 (ko) 2019-12-31 2021-04-07 전정일 밀폐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부여된 pvc 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CN112785758A (zh) * 2021-01-20 2021-05-11 赣州市正途科技有限公司 一种人工智能识别人脸和声音的门锁
CN113132857A (zh) * 2021-04-23 2021-07-16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智能门锁、音频模块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888782A (zh) * 2021-10-15 2022-01-04 刘俊蕾 一种工业互联网用设备安全监控系统及其使用方法
CN114202832A (zh) * 2021-12-11 2022-03-18 桂林理工大学 一种人脸识别门控管理系统及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36B1 (ko) * 2019-04-26 2020-02-07 송혜선 다기능을 통합하는 가정의 홈 서버를 이용한 소지품 체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지품 체크 방법
CN110185333A (zh) * 2019-04-30 2019-08-30 南京邮电大学 一种人脸识别智能锁具
CN110246254A (zh) * 2019-06-15 2019-09-17 湖南科技学院 一种基于云计算的小区安防系统
KR20200145334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에어큐브 물리보안 및 논리보안을 이용한 생체정보 기반 보안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085540B1 (ko) * 2019-07-01 2020-03-06 송혜선 가정에 설치되는 nas 서버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방법
CN110517383A (zh) * 2019-08-23 2019-11-29 航天库卡(北京)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解锁方法及其智能门锁
KR102237742B1 (ko) 2019-12-31 2021-04-07 전정일 밀폐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부여된 pvc 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CN111311793A (zh) * 2020-02-18 2020-06-19 周林武 智能图像识别与语音识别门锁系统
CN111210555A (zh) * 2020-03-18 2020-05-29 三门峡珑启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库房管理门
CN112785758A (zh) * 2021-01-20 2021-05-11 赣州市正途科技有限公司 一种人工智能识别人脸和声音的门锁
CN113132857A (zh) * 2021-04-23 2021-07-16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智能门锁、音频模块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132857B (zh) * 2021-04-23 2022-08-26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智能门锁、音频模块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888782A (zh) * 2021-10-15 2022-01-04 刘俊蕾 一种工业互联网用设备安全监控系统及其使用方法
CN114202832A (zh) * 2021-12-11 2022-03-18 桂林理工大学 一种人脸识别门控管理系统及方法
CN114202832B (zh) * 2021-12-11 2023-10-03 桂林理工大学 一种人脸识别门控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357A (ko) 얼굴인식 및 음성인식으로 작동되는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US9426432B2 (en) Remote interactive identity verification of lodging guests
CN105931340B (zh) 应用于小区的智能访客门禁装置
EP2515500B1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sequential biometric authentication
CN109523678A (zh) 智能门禁的交互方法和装置
CN107564144A (zh) 一种智能机器人门禁系统及控制方法
CN102467762A (zh) 在车内使用驾驶者脸部识别管理进入和离开的系统和方法
JP2004032685A (ja) コンピュータテレホニーによる保護資源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保護資源アクセス方法
CN109215206A (zh) 一种小区人脸识别物业管理系统及其方法
KR101622154B1 (ko)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2497579B1 (ko) 생체 인식 기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0634214B (zh) 物联网操作系统的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2386A (ko) 특징점을 기반으로 한 얼굴 인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9389711A (zh) 基于生物特征识别的门禁解锁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60006126A (ko)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20170111804A (ko) 출입보안 시스템
CN110400406A (zh) 门锁控制系统、方法、显示控制终端和门锁控制装置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5382A (ko) 실시간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및 방문자 기록 시스템
Chaudhari et al. Smart doorbell security system using IoT
CN110675534A (zh) 访客对讲门禁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N210691428U (zh) 一种可以通过人脸识别和远程遥控的智能锁系统
CN109035506A (zh) 一种对讲抓拍式云门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