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277B1 -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277B1
KR102252277B1 KR1020200060139A KR20200060139A KR102252277B1 KR 102252277 B1 KR102252277 B1 KR 102252277B1 KR 1020200060139 A KR1020200060139 A KR 1020200060139A KR 20200060139 A KR20200060139 A KR 20200060139A KR 102252277 B1 KR102252277 B1 KR 10225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light
shaft
lidar sens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037A (ko
Inventor
김경린
김영신
김원겸
조성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2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90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자 및 샤프트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자의 바닥면에 N극 및 S극이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자석을 구비한 모터; 모터의 일 부분과 샤프트에 의해 결합되어 모터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으로 구성되고, 회전판 상에 일정한 간격의 홈을 구비한 인코더; 발광신호를 생성하고, 모터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판의 홈을 통과한 광을 수광신호로 수신하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 모터의 타 부분과 결합되고, 자석과 접촉하는 부분에 도선 패턴이 구비되며, 모터의 회전 시에 자석에 의해 도선 패턴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도출하는 플레이트; 모터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모터의 회전 시에 플레이트로부터 수신한 전류신호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도선 패턴은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부 및 환형부로부터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Apparatus for Stabilizing Lidar Sensor}
본 개시는 라이다 센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다 센서에 구비된 모터의 상태를 판단하여 라이다 센서의 성능을 안정화시키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는 빛을 활용해 거리 측정하고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레이더와 비슷한 원리를 가지고 있다. 다만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발사해 재수신되는 전자기파로 거리, 및 방향 등을 확인하지만, 라이다는 펄스 레이저를 발사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파장이 짧은 레이저를 사용하므로 정밀도 및 해상도가 높고 사물에 따라 입체적 파악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라이다 센서는 차량의 범퍼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후방을 센싱하여 사물이나 구조물 등을 감지한다. 참고로 도 1은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장착된 라이다 센서의 FOV(Field of View)를 보인 예시도이다.
한편 라이다 센서는 주로 전방 범퍼에 장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라이다 센서를 글라스(glass)나 차체(vehicle body) 등의 다른 구조물 속에 넣는 것은 센서의 감지 성능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참고로 라이다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레이저 송신), 수신부(반사된 레이저 수신), 및 구동부(미러 회전 모터를 구동)를 포함하며,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부가된다. 그리고 커버에는 열선이 장착되어 있으며, 열선은 커버 표면에 부착되는 습기나 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이다.
라이다 센서의 각도 분해능은 일반적으로 0.25 또는 0.125의 상당히 정밀한 각도 분해능을 가지며, 모터를 얼마나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라이다 센서의 각도 분해능 성능이 결정된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모터가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모터의 제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코더(encoder)와 PI(photo interrupt) 센서를 이용한다. 모터의 회전 속도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인코더를 PI 센서 사이를 통과시키면 인코더 홈의 간격에 따라서 하이(high) 또는 로우(low)의 출력 신호가 발생되고 해당 신호의 간격을 이용해서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PI 센서 사이나 인코더 홈에 이물이 끼거나, 인코더의 왜곡이 발생한다면 모터의 회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나아가 모터의 회전 속도 또한 일정하게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9177호(2015. 01. 26 등록, 발명의 명칭: 라이다 센서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개시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개시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개시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개시의 목적은 모터의 회전 상태 파악을 위해 인코더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 외에 추가로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적용하여 포토 인터럽트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높이고 해당 신호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바로 대체하도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자 및 샤프트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자의 바닥면에 N극 및 S극이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자석을 구비한 모터; 모터의 일 부분과 샤프트에 의해 결합되어 모터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으로 구성되고, 회전판 상에 일정한 간격의 홈을 구비한 인코더; 발광신호를 생성하고, 모터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판의 홈을 통과한 광을 수광신호로 수신하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 모터의 타 부분과 결합되고, 자석과 접촉하는 부분에 도선 패턴이 구비되며, 모터의 회전 시에 자석에 의해 도선 패턴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도출하는 플레이트; 모터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모터의 회전 시에 플레이트로부터 수신한 전류신호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도선 패턴은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부 및 환형부로부터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 상태 파악을 위해 인코더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 외에 추가로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적용하여 포토 인터럽트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높이고 해당 신호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바로 대체할 수 있음에 따라서 라이다 센서 모터 회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전/후방 범퍼에 장착된 라이다 센서의 일반적인 FOV(field of view)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기존에 출시된 라이다 센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라이다 센서의 센싱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스캐너 구동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안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라이다 센서의 센싱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또는 라이다 센싱 장치)는, 센싱 광원부(light source unit, 10), 송광 반사경(transmitted light reflector, 20), 스캐너부(scanner, 30), 수광 렌즈(light receiving lens, 40), 수광 반사경(received light reflector, 50), 광검출부(light detecting unit, 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광원부(10)는 센싱을 위한, 즉, 센싱광(light for sensing)을 조사할 수 있다. 센싱 광원부(10)는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 광통로를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싱 광원부(10)가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 광통로 벗어나도록 배치되므로, 센싱 광원부(10)가 광통로에서 입사광을 가리(차폐: blockage effect)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 렌즈(40)의 광통로에서 센싱 광원부(10)에 의한 수신 가림영역(A)(blockage area)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수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수신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라이다 센서의 최대 검출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센싱 광원부(10)는 경통(barrel, 11), 광원(light source, 13) 및 송광 렌즈부(light transmitting lens unit, 15)를 포함할 수 있다. 경통(11)은 수광 렌즈(40)의 광통로를 벗어나도록 배치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3)은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광 렌즈부(15)는 광원(13)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시준(collimate)하도록 광원(13)의 출력측에 설치될 수 있다. 송광 렌즈부(15)가 센싱광을 평행한 광선으로 시준하므로, 센싱광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송광 렌즈부(15)는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광 렌즈(15a)는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 송광 렌즈(15b)는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 송광 렌즈(15b)에는 제1 송광 렌즈(15a)를 투과하는 센싱광이 입사될 수 있다.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가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가 수광 렌즈(40)의 수신 가림영역(A)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광 반사경(20)은 센싱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송광 반사경(20)에는 광반사 효율을 개선하도록 금속 반사층(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송광 반사경(20)은 수광 렌즈(40)의 광통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송광 반사경(20)이 수광 렌즈(40)의 광통로에 배치되므로, 송광 반사경(20)의 폭만큼 수신 가림영역(A)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 렌즈(40)에서 수신 가림영역(A)을 감소시키므로, 광수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광수신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라이다 센싱장치의 최대 검출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스캐너부(30)는 송광 반사경(20)에서 반사되는 센싱광을 타겟에 반사시키고, 타겟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스캐너부(30)에도 광반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스캐너부(30)는 스캐너 반사경(31)과 스캐너 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반사경(31)은 송광 반사경(20)에서 반사되는 센싱광을 타겟 측으로 반사시키고, 타겟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수광 렌즈(40)로 반사시킬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33)는 스캐너 반사경(31)을 회전시키도록 스캐너 반사경(31)에 연결될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33)가 스캐너 반사경(31)을 회전시키므로, 스캐너 반사경(31)의 각도에 따라 센싱광과 입사광의 반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33)는 모터(도 5의 33-1), 인코더(도 5의 33-2), 포토 인터럽트 센서(도 5의 33-3) 및 플레이트(도 5의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533)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광 렌즈(40)에는 스캐너부(30)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투과되고, 수광 렌즈(40)는 송광 반사경(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와 송광 반사경(20)은 크리스탈(crystal), 유리(glass), 투명한 합성수지(synthetic resin) 등의 동일한 광학재료로 가공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는 입사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반사 코팅층(anti-reflective coat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와 송광 반사경(20)이 하나의 광학모듈로 통합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경통(11)에 의해 수신 가림영역(A)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광 반사경(50)은 수광 렌즈(40)를 투과한 입사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스캐너부(30)에도 광반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광검출부(60)에는 수광 반사경(50)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입사될 수 있다. 광검출부(60)에서는 입사광이 입사됨에 따라 타겟의 위치 및 거리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다 센서는 수광 반사경(50)과 광검출부(60) 사이에 설치되는 간섭 필터(interrupt filter, 63)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필터(63)는 특정 파장의 광을 걸러주며, 간섭 필터(63)가 광검출부(60)에 일정한 파장대의 광을 입사시키므로, 광검출부(60)에서 타겟의 위치 및 거리 등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스캐너 구동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1)는 스캐너 구동부(scanner operating unit, 33), 변환부(conversion unit, 610), 증폭부(amplifying unit, 620), 제어부(control unit, 630) 및 알림부(alarm unit, 64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캐너 구동부(33)는 모터(motor, 33-1), 인코더(encoder, 33-2), 포토 인터럽트 센서(photo interrupt sensor, 33-3) 및 플레이트(plate, 33-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1)는 제어부(63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및 속도를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3-1)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33-11), 샤프트(33-11)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33-12) 및 회전자(33-12)의 바닥면에 구비된 자석(magnet, 3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33-13)의 N극 및 S극은 회전자(33-12)의 바닥면에서 샤프트(33-1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인코더(33-2)는 모터(33-1)의 일 부분과 샤프트(33-11)에 의해 결합되어 모터(33-1)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으로 구성되고, 회전판 상에 일정한 간격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는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미도시) 및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회전판으로 구성된 인코더(33-2)가 위치될 수 있다.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는 발광부를 통하여 발광신호를 생성하고, 모터(33-1)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판으로 구성된 인코더(33-2)의 홈을 통과한 광을 수광신호로 수신하여 제어부(63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인코더(33-2)가 회전하는 홈에 의해 차광물의 유/무가 반복적으로 적용되어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는 하이(high) 수광신호와 로우(low) 수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출력되는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모터(자석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모터)의 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수광신호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모터가 얼마나 일정하게 회전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인코더(33-2)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 사이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또는 인코더(33-2)의 홈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또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가 오작동하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수광신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라이다 센서의 스캐너 반사경(31)의 회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이는 라이다 센서의 동작에 매우 치명적인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인코더(33-2)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와, 모터(33-1)의 회전자(33-12) 바닥에 구비된 자석(33-13) 및 플레이트(33-4)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포토 인터럽트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높이고 해당 신호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바로 대체할 수 있음에 따라서 라이다 센서 모터 회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트(33-4)는 모터(33-1)의 타 부분 즉, 자석(33-13)을 포함하는 회전자(33-12)의 바닥면과 결합되고, 자석(33-13)과 접촉하는 부분에 도선 패턴(conduction line pattern, 33-41)이 구비되며, 모터(33-1)의 회전 시에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33-4)는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33-4)의 일부에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도선 패턴(33-41)이 구비될 수 있다.
도선 패턴(33-41)은 회전자(33-12)의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 및 위치일 수 있고 톱니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선 패턴(33-41)은 샤프트(33-1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부(annular portion, 33-411) 및 환형부(33-411)로부터 샤프트(33-1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protruding portion, 33-4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33-412)는 환형부(33-411)로부터 샤프트(33-11)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33-412)는 샤프트(33-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33-412)의 각 돌출부(33-412)의 적어도 일부는 N극 및 S극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돌출부(33-412)의 개수는 N극의 개수 및 S극의 개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33-1)가 회전하게 되면 도선 패턴(33-41)에 자석(33-13)의 N극 및 S극이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전류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모터(33-1)의 크기와 자석(33-13)의 크기로 인하여 모터(33-1)의 1 회전 시 인코더(33-2)만큼 많은 수의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없으나, 인코더(33-2)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의 출력 신호와 동기화 되어서 모터(33-1)의 회전 상태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인코더(33-2)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의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로 이상이 발생했을 때 이상 상황이 해결되기 전까지 해당 신호를 대체할 수 있어 라이다 센서의 성능 안정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I/V 변환부(610)는 플레이트(33-4)의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증폭부(620)는 I/V 변환부(610)에서 변환된 전압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6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630)는 모터(33-1)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22-1)로 전송하고,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의 발광 및 수광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모터(33-1)의 회전 시에 증폭부(620)로부터 수신한 전압 증폭 신호(플레이트(33-4)의 도선 패턴(33-41)에서 생성)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모터(33-1)의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증폭부(620)로부터 수신한 전압 증폭 신호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예를 들어 ±0.5%) 내에서 동일한 경우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정상(normal)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증폭부(620)로부터 수신한 전압 증폭 신호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다른 경우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비정상(abnormal)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비정상이라 함은, 인코더(33-2)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 사이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또는 인코더(33-2)의 홈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또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가 오작동 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면, 이를 알림부(640)를 통해 라이다 센서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부(640)는 제어부(630)로부터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비정상이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오디오 신호(음성 신호 또는 경고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신호, 디스플레이부에 비정상임을 디스플레이) 또는 촉각적(heptic) 신호(스티어링 휠의 진동, 착좌한 시트의 진동 등)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증폭부(620)로부터 수신한 전압 증폭 신호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다른 경우,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플레이트(33-4)의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33-1)의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안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S710 단계에서, 제어부(630)는 라이다 센서에 구비된 모터(33-1)에 회전을 지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모터(33-1)는 제어부(63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을 개시한다.
S720 단계 및 S730 단계에서, 제어부(630)는 플레이트(33-4)에 구비된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플레이트(33-4)에 구비된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I/V 변환 및 증폭된 전압신호일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제어부(630)는 플레이트(33-4)에 구비된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증폭된 전압신호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예를 들어 ±0.5%) 내에서 동일한지 판단한다.
S750 단계에서, 제어부(630)는 플레이트(33-4)에 구비된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증폭된 전압신호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한 결과 오차 범위(예를 들어 ±0.5%) 내에서 동일한 경우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S760 단계에서, 제어부(630)는 플레이트(33-4)에 구비된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증폭된 전압신호와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한 결과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다른 경우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알림부(640)를 통하여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비정상임을 알린다.
S770 단계에서, 모터(33-1)의 회전 상태가 비정상임을 판단한 제어부(630)는 더 이상 인코더(33-2) 및 포토 인터럽트 센서(33-3)를 신뢰할 수 없으므로, 플레이트(33-4)의 도선 패턴(33-41)으로부터 수신한 증폭된 전압신호를 이용하여 모터(33-1)의 회전 상태를 판단한다.
이상 설명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회전자(rotator) 및 샤프트(shaft)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자의 바닥면에 N극 및 S극이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자석(magnet)을 구비한 모터(motor);
    상기 모터의 일 부분과 상기 샤프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모터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rotational plate)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 상에 일정한 간격의 홈을 구비한 인코더(encoder);
    발광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터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의 상기 홈을 통과한 광을 수광신호로 수신하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photo interrupt sensor);
    상기 모터의 타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자석과 접촉하는 부분에 도선 패턴(conduction line pattern)이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 시에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도선 패턴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도출하는 플레이트(plate);
    상기 모터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 시에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수신한 전류신호 및 상기 포토 인터럽트 센서로부터 수신한 수광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도선 패턴은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부(annular portion) 및 상기 환형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protruding portion)를 포함하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환형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N극 및 상기 S극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는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개수는 상기 N극의 개수 및 상기 S극의 개수의 합과 동일한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중 상기 도선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KR1020200060139A 2020-05-20 2020-05-20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KR10225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139A KR102252277B1 (ko) 2020-05-20 2020-05-20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139A KR102252277B1 (ko) 2020-05-20 2020-05-20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343A Division KR102649326B1 (ko) 2019-04-18 2019-04-18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037A KR20200123037A (ko) 2020-10-28
KR102252277B1 true KR102252277B1 (ko) 2021-05-13

Family

ID=7301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139A KR102252277B1 (ko) 2020-05-20 2020-05-20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2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738A (ja) 2001-09-26 2003-05-09 Snr Roulements パルス制御された電子的に整流されるモータ
JP2003209992A (ja) 2001-09-26 2003-07-25 Snr Roulements パルス制御電気動力支援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10200432A (ja) 2009-02-24 2010-09-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
JP2015089318A (ja) 2013-11-01 2015-05-07 株式会社安川電機 モータ制御装置
WO2017046854A1 (ja)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安川電機 モータ用エンコーダ及びモータ
WO2017126338A1 (ja) 2016-01-18 2017-07-27 株式会社ニコン エンコーダ装置、駆動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317A (ja) * 1995-10-23 1997-05-02 Tamagawa Seiki Co Ltd ハイブリッド型回転検出器及び回転検出方法
JPH1080104A (ja) * 1996-09-02 1998-03-24 Shibaura Eng Works Co Ltd モータ
KR19980058013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마그네트레지스터가 제거된 브이씨알의 캡스턴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738A (ja) 2001-09-26 2003-05-09 Snr Roulements パルス制御された電子的に整流されるモータ
JP2003209992A (ja) 2001-09-26 2003-07-25 Snr Roulements パルス制御電気動力支援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10200432A (ja) 2009-02-24 2010-09-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
JP2015089318A (ja) 2013-11-01 2015-05-07 株式会社安川電機 モータ制御装置
WO2017046854A1 (ja)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安川電機 モータ用エンコーダ及びモータ
WO2017126338A1 (ja) 2016-01-18 2017-07-27 株式会社ニコン エンコーダ装置、駆動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037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1858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KR102191592B1 (ko) 비행 시간법을 기반으로 하는 레이저 레이더 시스템
JP5998808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US20160164383A1 (en) Encoder and motor with encoder
CN110794383A (zh) 编码盘、光电编码器和激光雷达
US20160178407A1 (en) Encoder and motor with encoder
KR20170114242A (ko) 확장된 수평 시야각을 가지는 스캐닝 라이다 장치
KR102583339B1 (ko) 라이다 센서 스캔 정밀화 장치 및 방법
KR102558838B1 (ko) 라이다 센서의 광 정렬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2252277B1 (ko)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KR20210104667A (ko) 물체 검출 장치
US8045182B2 (en) Location detection apparatus
KR102649326B1 (ko)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및 방법
KR102189503B1 (ko) 내부반사 차단구조를 갖는 라이다
EP3805788B1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JP7120200B2 (ja) 回転角検出装置
US20210341608A1 (en)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object detection system
KR100255645B1 (ko) 엔코더일체형모터
JP2011122999A (ja) 光導波路装置および校正システム
JP7432872B2 (ja) レーザレーダ
KR102208301B1 (ko) 라이다 센서 조립체
KR100255173B1 (ko) 스케닝 레이져 레이더
CN217425670U (zh) 激光雷达装置
TWI457542B (zh) Optical encoder
CN110736995B (zh) 光检测和测距感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