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276B1 - Gpr 지지수단 - Google Patents

Gpr 지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276B1
KR102252276B1 KR1020200179969A KR20200179969A KR102252276B1 KR 102252276 B1 KR102252276 B1 KR 102252276B1 KR 1020200179969 A KR1020200179969 A KR 1020200179969A KR 20200179969 A KR20200179969 A KR 20200179969A KR 102252276 B1 KR102252276 B1 KR 10225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gpr
coupled
spring
sp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출
심재환
김상찬
이강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신이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신이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신이앤시
Priority to KR102020017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ground prob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R 지지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GPR 지지수단(100)은 GPR(10)에 결합되는 제1 완충수단(200), 일측이 제1 완충수단(2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부재(20)에 결합되는 제2 완충수단(300)을 포함하고, 제1 완충수단(200)의 탄성력이 제2 완충수단(300)의 탄성력에 비해서 작다.

Description

GPR 지지수단{Support Means for Ground Penetrating Radar}
본 발명은 GPR 지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GPR(지표투과레이더, 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는 10MHz 내지 수 GHz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 펄스를 이용하여 천부의 지하구조 파악 및 지하시설물 측량방법이다. 이러한 측량방법은 다른 탐사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를 사용하므로 분해능이 높으며, 매질간의 유전율 차이에 의한 전자기파의 반사(reflection)와 회절(diffraction) 현상 등을 측정하고 이를 해석하여 지하구조 및 시설물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유전율은 축적지의 용량이 내부 삽입 물질에 따라 변화할 때 볼 수 있는 물리량으로서 전자파의 속도를 결정지어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자파의 속도는 유전율에 의해서만 좌우되지는 않지만, GPR 탐사의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유전율이 일반적으로 전자파 속도를 결정짓는 역할을 한다.
GPR 탐사는 비교적 최근의 탐사방법으로서 환경오염대 조사, 지반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고, 특히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터널 등)의 비파괴 검사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구조물(터널 등)의 비파괴 검사시 GPR을 고정봉에 고정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봉을 통해서 GPR을 이동시킨다. 하지만, 구조물(터널 등)의 콘크리트 표면에는 단차나 요철이 존재하는데, GPR이 이러한 단차나 요철에 걸려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2020-0037729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성력이 상이한 2가지 종류의 완충수단(제1,2 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단차나 요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GPR 지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은 GPR에 결합되는 제1 완충수단, 및
일측이 상기 제1 완충수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2 완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수단의 탄성력이 상기 제2 완충수단의 탄성력에 비해서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수단은, 상기 GPR에 결합된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신축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된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신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내부를 관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 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조절부재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일단이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신축수단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로부터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반구형의 삽입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가 팽창된 경우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공간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가 수축된 경우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공간부는 접촉될 수 있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신축수단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신축수단이 상기 가이드수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수단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에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부재, 및 일단이 제2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를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과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 조절부재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수단이 상기 GPR의 일면에 결합될 때, 상기 GPR의 타면에는 보호 플레이트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보호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GPR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GPR을 커버하도록 절곡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력이 상이한 2가지 종류의 완충수단(제1,2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단차나 요철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GPR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을 이용한 GPR의 비파괴 검사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및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을 이용한 GPR의 비파괴 검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R(10,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은 터널(T) 등의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시 이용되는 것으로, 지지부재(20)에 지지되어 터널(T) 등의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되면서 구조물의 내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GPR(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차(30)에 탑재된 지미집(zimizib)일 수 있다. 즉, GPR(10)은 지미집 등의 지지부재(20)에 지지되어, 터널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100)는 GPR(10)과 지지부재(20) 사이에 구비되어 GPR(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GPR(10)에 완충 효과를 제공하는데, GPR 지지수단(100)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100)은 GPR(10)에 결합되는 제1 완충수단(200), 일측이 제1 완충수단(2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2 완충수단(300)을 포함하고, 제1 완충수단(200)의 탄성력이 제2 완충수단(300)의 탄성력에 비해서 작다.
상기 제1 완충수단(200)은 GPR(10)에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완충수단(200)은 GPR(10)의 일면(구조물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완충수단(200)은 제1 플레이트부재(210), 제2 플레이트부재(215), 제1 스프링부재(220), 및 신축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부재(210)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GPR(10)의 일면(구조물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스크류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부재(215)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스프링부재(220)는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부재(210)에 제2 플레이트부재(2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때, 제1 스프링부재(220)는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을 기준으로 제1,2 플레이트부재(210, 215)가 사각형일 때, 제1 스프링부재(220)는 4개가 구비되어 제1,2 플레이트부재(210, 215)의 모서리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프링부재(220)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신축수단(230)은 일측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결합된 본체(231)와 본체(231)로부터 신축가능하도록 제1 플레이트부재(210) 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제1 플레이트부재(210)에 결합된 신축부재(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231)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신축부재(233)는 제1 스프링부재(22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축수단(230)이 제1 스프링부재(22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신축수단(230)은 신축부재(233)가 신축하는 방향(신축수단(230)의 길이방향)으로 제1 스프링부재(220)의 신축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신축수단(230)은 제1 스프링부재(220)와 유사하게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을 기준으로 제1,2 플레이트부재(210, 215)가 사각형일 때, 신축부재(233)는 4개가 구비되어 제1,2 플레이트부재(210, 215)의 모서리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신축수단(23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댐퍼(damper)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 사이에 제1 스프링부재(220)와 신축부재(233)가 구비되어, 제1 스프링부재(220)가 탄성력을 제공하고 신축부재(233)가 진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GPR(10)에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1 조절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부재(240)는 본체(2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1 플레이트부재(2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체(231)의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제1 조절부재(240)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제1 조절부재(2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절부재(240)를 회전시키면, 본체(231)와 제1 조절부재(240)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제1 조절부재(240)는 제1 플레이트부재(2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스프링부재(220)는 일단(하단)이 제1 플레이트부재(210)에 접촉되고, 타단(상단)이 제1 조절부재(24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조절부재(240)가 제1 플레이트부재(2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스프링부재(220)가 팽창되거나 압축되면서, 제1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부재(240)가 제1 플레이트부재(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도 5의 (a)-> 도 5의 (b)), 제1 스프링부재(220)가 팽창되어, 제1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조절부재(240)가 제1 플레이트부재(2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도 5의 (a)-> 도 5의 (c)), 제1 스프링부재(220)가 압축되어, 제1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부재(220)과 접촉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210)의 일면에는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213)가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부(213)의 제1 스프링부재(220)의 일단(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프링부재(220)의 일단(하단)이 제1 플레이트부재(210)의 함몰부(213)에 삽입되므로, 제1 스프링부재(220)는 제1 플레이트부재(210)의 일정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팽창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이때, 함몰부(213)는 제1 스프링부재(220)의 일단(하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부재(220)의 일단(하단)이 원형으로 형성되면, 이에 대응하여 함몰부(213)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수단(230)의 본체(231)는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31)는 신축수단(23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35)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GPR(10)에 회전하는 힘이 인가되었을 때(예를 들어, GPR(10)의 일부분이 단차나 요철과 접촉될 때), 신축수단(230)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해서 소정각도 회동되면서,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GPR(10)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해서 회동되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한 제1 플레이트부재(210)의 이동을 안전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서 가이드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수단(400)은 제1 가이드부재(410)와 제2 가이드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재(410)는 제1 플레이트부재(210)로부터 제2 플레이트부재(215)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1 가이드부재(410)는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말단(상단)에 반구형의 삽입부(415)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가이드부재(420)는 제2 플레이트부재(215)로부터 제1 플레이트부재(210)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2 가이드부재(420)는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말단(하단)에 삽입부(41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배치되는 공간부(425)가 형성된다. 즉, 제1 가이드부재(410)와 제2 가이드부재(420)가 서로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부재(410)의 말단에 형성된 삽입부(415)가 제2 가이드부재(420)의 말단에 형성된 공간부(425)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스프링부재(220)가 팽창된 경우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간격이 충분히 유지되므로 삽입부(415)와 공간부(425)는 일정간격 이격되고(도 4 참조), 제1 스프링부재(220)가 수축된 경우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삽입부(415)와 공간부(425)는 접촉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즉, GPR(10)의 일부분이 단차나 요철과 접촉되어, 제1 플레이트부재(210)가 제2 플레이트부재(215)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스프링부재(220)가 수축되면, 삽입부(415)가 공간부(425)의 내벽에 접촉되어, 제1 플레이트부재(210)가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해서 전후좌우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한 제1 플레이트부재(210)의 각도가 변화되더라도, 삽입부(415)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므로, 삽입부(415)는 공간부(425)에 대한 접촉을 항상 유지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부재(210)를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플레이트부재(210)의 3축을 기준으로 한 모든 회전운동이 가이드수단(4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수단(400)은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가이드부재(410)는 제1 플레이트부재(210)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2 가이드부재(420)는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스프링부재(220)와 신축수단(230)은 복수개(예를 들어 4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제1 스프링부재(220)와 신축수단(230)이 가이드수단(40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도록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가이드수단(400)은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스프링부재(220)와 신축수단(230)은 4개가 구비되어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완충수단(300)은 GPR(10)에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완충수단(300)은 일측(하측)이 제1 완충수단(200)에 결합되고, 타측(상측)이 지지부재(예를 들어 지미집 등)에 결합된다. 이때, 제2 완충수단(300)은 제3 플레이트부재(310), 제2 스프링부재(320), 및 연결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플레이트부재(310)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제3 플레이트부재(310)는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스프링부재(320)는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3 플레이트부재(31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제3 플레이트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다. 이때, 제2 스프링부재(320)는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3 플레이트부재(310)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을 기준으로 제2,3 플레이트부재(215, 310)가 사각형일 때, 제2 스프링부재(320)는 4개가 구비되어 제2,3 플레이트부재(215, 310)의 모서리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프링부재(320)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330)은 일단(하단)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결합되고, 타단(상단)이 제3 플레이트부재(310)에 결합된다. 이때, 연결수단(330)은 제2 스프링부재(32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수단(330)이 제2 스프링부재(32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연결수단(330)은 그 길이방향으로 제2 스프링부재(320)의 신축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연결수단(330)은 제2 스프링부재(320)와 유사하게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3 플레이트부재(310)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을 기준으로 제2,3 플레이트부재(215, 310)가 사각형일 때, 연결수단(330)은 4개가 구비되어 제2,3 플레이트부재(215, 310)의 모서리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 사이에 제2 스프링부재(320)와 연결수단(330)이 구비되어, 제2 스프링부재(320)가 탄성력을 제공하고 연결수단(330)이 제2 스프링부재(320)의 신축 방향을 제한함으로써, GPR(10)에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스프링부재(32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2 조절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330)은 일단(하단)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를 관통하고, 타단(상단)이 제3 플레이트부재(31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연결수단(330)의 일단(하단)과 타단(상단)에는 제2 스프링부재(32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 조절부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수단(330)의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제2 조절부재(340)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수단(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제2 조절부재(3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절부재(340)를 회전시키면, 연결수단(330)과 제2 조절부재(340)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제2 조절부재(340)는 제2 스프링부재(32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프링부재(320)는 양단이 각각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3 플레이트부재(31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절부재(340)가 제2 스프링부재(32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3 플레이트부재(3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져, 제2 스프링부재(320)가 팽창되거나 압착되면서, 제2 스프링부재(32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프링부재(320)가 제2 스프링부재(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도 6의 (a)-> 도 6의 (b)),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3 플레이트부재(3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제2 스프링부재(320)가 팽창되어, 제2 스프링부재(320)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조절부재(340)가 제2 스프링부재(3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도 6의 (a)-> 도 6의 (c)), 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제2 플레이트부재(215)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제2 스프링부재(320)가 압축되어, 제2 스프링부재(320)의 탄성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제2 조절부재(340)가 연결수단(330)의 일단(하단)과 타단(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조절부재(340)는 연결수단(330)의 일단(하단)과 타단(상단)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제1 완충수단(200)의 탄성력은 제2 완충수단(300)의 탄성력에 비해서 작다(도 4 참조). 즉, 제1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은 제2 스프링부재(320)의 탄성력에 비해서 작은 것이다. 따라서, 제1 완충수단(200)은 GPR(10)이 상대적으로 작은 단차나 요철(P)을 통과할 때 GPR(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완충수단(300)은 GPR(10)이 상대적으로 큰 단차나 요철(P)을 통과할 때 GPR(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GPR 지지수단(100)은 탄성력이 상이한 2가지 종류의 완충수단(제1,2 완충수단(200, 300))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단차나 요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R(10)이 이동하면서, GPR(10)의 전방에 단차나 요철(P)이 접촉되면, 전방의 제1 스프링부재(220) 또는 제2 스프링부재(320)가 수축되면서, GPR(10)의 전방이 지지부재(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신축수단(230)이 회전축(235)에 의해서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GPR(10)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해서 회동되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R(10)이 추가로 이동하여, GPR(10)의 중앙에 단차나 요철(P)이 접촉되면, 전후방 모든 제1 스프링부재(220) 또는 제2 스프링부재(320)가 수축되면서, GPR(10)의 중앙이 지지부재(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신축수단(230)이 회전축(235)에 의해서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GPR(10)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해서 회동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R(10)이 추가로 이동하여, GPR(10)의 후방에 단차나 요철(P)이 접촉되면, 후방의 제1 스프링부재(220) 또는 제2 스프링부재(320)가 수축되면서, GPR(10)의 후방이 지지부재(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신축수단(230)이 회전축(235)에 의해서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제1 플레이트부재(210)와 GPR(10)이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해서 회동되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부재(210)가 제2 플레이트부재(215)에 대해서 회동될 때, 제1 가이드부재(410)의 삽입부(415)가 제2 가이드부재(420)의 공간부(425)의 내벽에 대한 접촉을 유지하므로, 제1 플레이트부재(210)과 GPR(10)의 3축을 기준으로 한 모든 회전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3 플레이트부재(310)에는 지지부재(20, 예를 들어 지미집 등)와 결합되는 체결수단(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체결수단(500)은 제3 플레이트부재(310)의 일면(제2 플레이트부재(215)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GPR(10)을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 플레이트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완충수단(200)이 GPR(10)의 일면(상면)에 결합될 때, GPR(10)의 타면(하면)에는 보호 플레이트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호 플레이트부재(600)는 GPR(10)의 양단(전단과 후단)보다 돌출되도록 연장된 연장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610)는 GPR(10)의 양단(전단과 후단)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결국, GPR(10)에 보호 플레이트부재(600)가 구비되므로, 구조물의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는 GPR(10)의 타면(하면)을 보호할 수 있고, GPR(10)의 양단(전단과 후단)을 커버하도록 절곡된 연장부(610)가 구비되므로, 구조물의 콘크리트 표면에 존재하는 단차나 요철(P)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GPR 20: 지지부재
30: 대차 100: GPR 지지수단
200: 제1 완충수단 210: 제1 플레이트부재
213: 함몰부 215: 제2 플레이트부재
220: 제1 스프링부재 230: 신축수단
231: 본체 233: 신축부재
235: 회전축 240: 제1 조절부재
300: 제2 완충수단 310: 제3 플레이트부재
320: 제2 스프링부재 330: 연결수단
340: 제2 조절부재 400: 가이드수단
410: 제1 가이드부재 415: 삽입부
420: 제2 가이드부재 425: 공간부
500: 체결수단 600: 보호 플레이트부재
610: 연장부

Claims (12)

  1. GPR에 결합되는 제1 완충수단; 및
    일측이 상기 제1 완충수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2 완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수단의 탄성력이 상기 제2 완충수단의 탄성력에 비해서 작은 GPR 지지수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수단은,
    상기 GPR에 결합된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신축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된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신축수단;
    을 포함하는 GPR 지지수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GPR 지지수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 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조절부재에 접촉되는 GPR 지지수단.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에는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GPR 지지수단.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신축수단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되는 GPR 지지수단.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로부터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반구형의 삽입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가 팽창된 경우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공간부는 이격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가 수축된 경우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공간부는 접촉될 수 있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GPR 지지수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신축수단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신축수단이 상기 가이드수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GPR 지지수단.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수단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에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부재; 및
    일단이 제2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GPR 지지수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를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과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 조절부재가 결합되는 GPR 지지수단.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GPR 지지수단.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수단이 상기 GPR의 일면에 결합될 때,
    상기 GPR의 타면에는 보호 플레이트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보호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GPR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GPR을 커버하도록 절곡되는 GPR 지지수단.
KR1020200179969A 2020-12-21 2020-12-21 Gpr 지지수단 KR10225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69A KR102252276B1 (ko) 2020-12-21 2020-12-21 Gpr 지지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69A KR102252276B1 (ko) 2020-12-21 2020-12-21 Gpr 지지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276B1 true KR102252276B1 (ko) 2021-05-14

Family

ID=7591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969A KR102252276B1 (ko) 2020-12-21 2020-12-21 Gpr 지지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2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7986A (zh) * 2021-06-07 2021-09-28 深圳市博铭维智能科技有限公司 缓冲装置及地质雷达机器人
CN113978374A (zh) * 2021-10-19 2022-01-28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全地形车与探地雷达仪器检测的缓冲连接装置
CN116101181A (zh) * 2023-04-12 2023-05-12 中公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适应性微波雷达防护装置
KR102653320B1 (ko) * 2023-07-18 2024-04-02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이동대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100B1 (ko) * 2017-11-27 2018-09-10 한국시설안전공단 터널 콘크리트 내면 공동 탐사용 어태치먼트
CN109541040A (zh) * 2018-12-25 2019-03-29 武汉瑞敏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波探伤装置
CN110146875A (zh) * 2019-04-16 2019-08-20 武汉驰驭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初砌雷达检测装置
KR102074258B1 (ko) * 2019-06-20 2020-02-06 (주)케이에스알큰사람 터널의 천단부 스캐닝 장치
KR20200037729A (ko) 2018-10-01 2020-04-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3d gpr을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성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분석 방법
CN111594270A (zh) * 2020-05-14 2020-08-2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隧道检测辅助车
CN111896622A (zh) * 2020-08-05 2020-11-0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材料内部缺陷检测机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100B1 (ko) * 2017-11-27 2018-09-10 한국시설안전공단 터널 콘크리트 내면 공동 탐사용 어태치먼트
KR20200037729A (ko) 2018-10-01 2020-04-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3d gpr을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성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분석 방법
CN109541040A (zh) * 2018-12-25 2019-03-29 武汉瑞敏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波探伤装置
CN110146875A (zh) * 2019-04-16 2019-08-20 武汉驰驭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初砌雷达检测装置
KR102074258B1 (ko) * 2019-06-20 2020-02-06 (주)케이에스알큰사람 터널의 천단부 스캐닝 장치
CN111594270A (zh) * 2020-05-14 2020-08-2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隧道检测辅助车
CN111896622A (zh) * 2020-08-05 2020-11-0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材料内部缺陷检测机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7986A (zh) * 2021-06-07 2021-09-28 深圳市博铭维智能科技有限公司 缓冲装置及地质雷达机器人
CN113447986B (zh) * 2021-06-07 2024-03-15 深圳市博铭维技术股份有限公司 缓冲装置及地质雷达机器人
CN113978374A (zh) * 2021-10-19 2022-01-28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全地形车与探地雷达仪器检测的缓冲连接装置
CN113978374B (zh) * 2021-10-19 2023-08-04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全地形车与探地雷达仪器检测的缓冲连接装置
CN116101181A (zh) * 2023-04-12 2023-05-12 中公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适应性微波雷达防护装置
KR102653320B1 (ko) * 2023-07-18 2024-04-02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이동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276B1 (ko) Gpr 지지수단
Pieraccini Monitoring of civil infrastructures by interferometric radar: A review
Nan et al. A Chinese concept for the 1 km2 radio telescope
US4149612A (en) Noise reducing resonator apparatus
Pyo et al. Development of vector hydrophone using thickness–shear mode piezoelectric single crystal accelerometer
US5208599A (en) Serrated electromagnetic absorber
US9310499B2 (en) Low frequency seismic acquisition using a counter rotating eccentric mass vibrator
WO1994010721A1 (en) Electrostatically shaped membranes
DE102017218823A1 (de) Antennenanordnung zum Abtasten eines Raumes mittels sichtbarer oder unsichtbarer Strahlung
Bonab et al. Simulation of soil-pile interaction under lateral impact loads
CN107422325A (zh) 一种全极化地基合成孔径雷达系统
US20120236687A1 (en) Directional Seismic Sensor Array
Barone et al. Watt’s linkage based high sensitivity large band monolithic seismometers and accelerometers for geophysics and seismology
US3331072A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illance, tracking and communicating
Wei Measurements on extended objects for radar field probes
Xing et al. Research on the testing methods for IBIS-S system
Mahmoodi et al. Synthetic beamforming for localized FSS-based sensing
Raziq et al. GPS deflection monitoring of the West Gate Bridge
Maizuar et al. Dynamic behavior of Indonesian bridges using interferometric radar technology
JPH0191503A (ja) レ−ド−ム
CN207133429U (zh) 一种全极化地基合成孔径雷达系统
Barone et al. Tunable compact mechanical monolithic sensors for linear and angular large band low-frequency monitoring and characterization of sites and structures
Shih et al. Wireless control of parabolic shells using photostrictive actuators
US5825717A (en) Method of measuring an angle in three dimensions, by scanning an ultrasound beam
RU2633804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гравитационной постоян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