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969B1 -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969B1
KR102251969B1 KR1020210040212A KR20210040212A KR102251969B1 KR 102251969 B1 KR102251969 B1 KR 102251969B1 KR 1020210040212 A KR1020210040212 A KR 1020210040212A KR 20210040212 A KR20210040212 A KR 20210040212A KR 102251969 B1 KR102251969 B1 KR 10225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inner tube
bed frame
partition wall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나리
조은이
Original Assignee
유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선 filed Critical 유정선
Priority to KR102021004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가 형성된 침대프레임과, 침대프레임에 결합되는 매트리스가 형성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의 장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격벽으로 구성되고 각 격벽이 레일부를 타고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어져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하는 가벽부재; 상기 다수의 격벽을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절첩작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상기 침대프레임의 머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판벽과, 상기 상판벽에 형성된 흡기공과, 상기 흡기공에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휘하는 흡입모터로 구성된 감압형성부; 상기 가벽부재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될 수 있고, 침상에 누운 환자의 상반신을 덮을 수 있도록 측면과 상부면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Prevent Infectious Diseases Patient Bed}
본 발명은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및 보호자가 쉬면서 휴식을 취할수 있고, 간호할 수 있으며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하도록 하는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여러 명의 환자가 함께 사용하는 다인 병실에서의 경우, 환자가 독립된 개인만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환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없어 환자가 불안감을 느끼게 되므로 이동 가능한 커튼을 침대 주변에 설치하여 공간을 구분하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근래들어 코비드-19와 같은 강한 바이러스 전염성 질병이 유행함에 따라 자칫 검사자로 인한 전염이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치료 과정 중인 환자는 병실 내 침대에 누워있어야 하나 의식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어 전염의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7-0020112호에는 「병실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 기술들은 주로 병실 내부에 격리 공간이 형성된 격리실, 환자가 위치하는 의료대를 구분하여 전염력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코비드 19와 같은 강한 전염력을 가지면서 특히 무증상일때도 강한 전염성을 보이는 신종 전염병에는 차단 성능이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가 머무는 병실 공간 내에서의 바이러스 전파 위험을 막기 위한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가 형성된 침대프레임과, 침대프레임에 결합되는 매트리스가 형성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의 장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격벽으로 구성되고 각 격벽이 레일부를 타고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어져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하는 가벽부재; 상기 다수의 격벽을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절첩작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상기 침대프레임의 머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판벽과, 상기 상판벽에 형성된 흡기공과, 상기 흡기공에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휘하는 흡입모터로 구성된 감압형성부; 상기 가벽부재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될 수 있고, 침상에 누운 환자의 상반신을 덮을 수 있도록 측면과 상부면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벽부재는 각 격벽의 하부에 롤러가 형성되고, 레일부에는 롤러가 주행되는 주행로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다수의 격벽에 각기 연결된 체인과, 상기 체인을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 및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내관체와 외관체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관체는 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외관체는 내관체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도록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측면에 장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외관체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관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비말이 외부로 전파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병실 공간 내에 바이러스 전파로 인한 전염병 위험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의 '가벽부재' 및 '덮개부'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의 '가벽부재' 및 '덮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의 '가벽부재'만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덮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의 '가벽부재' 및 '덮개부'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의 '가벽부재' 및 '덮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의 '가벽부재'만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덮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는, 받침대가 형성된 침대프레임(100)과, 침대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매트리스(120)가 형성된 침대에 적용되며, 가벽부재(200), 구동부(300), 감압형성부(500), 덮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벽부재(200)는 상기 침대프레임(100)의 장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레일부(220)와, 레일부(220)에 결합되며 다수의 격벽(230,240,250)으로 구성되고 각 격벽(230,240,250)이 레일부(220)를 타고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어져서 차단벽(W)을 형성하게 된다.
구동부(300)는 상기 다수의 격벽(230,240,250)을 레일부(220)를 따라 이동시켜 절첩작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가벽부재(200)의 각 격벽(230,240,250)은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절첩 작동을 하게 되어 침대의 장변에 전개되어 차단벽(W)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230,240,250)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된 판넬이며, 하부에는 롤러(R)가 형성된다.
격벽(230,240,250)이 결합되는 레일부(220)에는 격벽(230,240,250)의 롤러(R)가 주행될 수 있도록 주행로가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300)는 다수의 격벽(230,240,250)에 각기 연결된 체인(320)와, 상기 체인(320)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340) 및 풀리(340)를 회전시키는 모터(360)및 모터(360)의 온-오프 및 개방, 폐쇄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360)의 정,역회전에 의해 체인(320)가 당겨져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고, 체인(320)가 연결된 격벽(230,240,250)이 이동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격벽(230,240,250)이 중첩되어 접히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차단벽(W)을 형성하게 된다.
각 격벽(230,240,250)의 하단에 체인(320)과 고정장착되는 팁(380a~380c)이 각기 형성되고, 팁(380a~380c)은 격벽(230,240,250)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예를들어 3개의 격벽(230,240,250)을 각기 제1 ~ 제3격벽(230,240,250)으로 구분된다. 이들 제1~제3격벽(230,240,250)에 각기 형성되는 제1팁(380a) ~ 제3팁(380c)으로 구분된다.
스위치를 개방 모드, 온(on) 작동시키면, 모터(360)가 회전되고, 이에 연동되어 체인(320)이 이동되면 제1팁(380a)과 제1격벽(230,240,250)이 이동되다가 제1팁(380a)이 제2팁(380b)에 접촉되면 제1격벽(230,240,250)은 제2격벽(230,240,250)과 중첩되고, 체인(320)가 더 이동되면 제1팁(380a)이 제2팁(380b)을 밀게 되므로 제1격벽(230,240,250)과 제2격벽(230,240,250)이 동반 이동된다.
제1팁(380a) 및 제2팁(380b)이 제3팁(380c)과 접촉되면 제1,2격벽(230,240)이 제3격벽(250)과 중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제1~제3격벽(230,240,250)이 중첩되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이렇게 차단벽(W)을 개방시킨 후 환자가 침대에 오르거나 내려올 수 있다.
이와 역순으로 스위치를 폐쇄 모드, 온(on) 작동시키면, 모터(360)가 역회전되고, 체인(320)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팁(380a) 및 제1격벽(230,240,250)이 먼저 이동하게 되어 전개 작동이 시작된다.
따라서 체인(320)이 계속 이동되면 제2격벽(230,240,250)도 제3격벽(230,240,250)으로부터 중첩된 상태로부터 이탈되면 제1~제3격벽(230,240,250)이 일직선 상태로 전개되어 차단벽(W)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감압형성부(T)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100)의 머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판벽(130)과, 상기 상판벽(130)에 형성된 흡기공(140)과, 상기 흡기공(140)에 연결되는 흡입호스(150)와, 상기 흡입호스(150)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휘하는 흡입모터(160)로 구성된다.
흡입모터(160)의 온-오프 작동은 전술한 제어부에 구비된 다른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호스(150)와 흡입모터(160)에 통하도록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여과부(180)는 흡입호스(150)와 연결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적층된 극세사 필터, 숯탈취필터, 항균필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흡입펌프(160)의 온(ON) 작동에 의해 흡기공(140)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흡입호스(150)를 따라 이동하여 여과부(180)를 통과하면서 살균 및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가급적 인체에 무해한 청정 공기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가벽부재(2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덮개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덮개부(400)는 상판벽(130)의 상부에 힌지(H)로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될 수 있고, 침대에 누운 환자의 상반신을 덮을 수 있도록 측면과 상부면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덮개부(4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내관체(410,420)와 외관체(440)가 끼움결합되고, 외관체(440)와 내관체(410,42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460)를 포함한다.
덮개부(400)는 '┌┐'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내관체(410,420); 내관체(410,420)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도록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측면에 장공(442)이 형성된 외관체(440);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외관체(440)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442)을 관통하여 상기 내관체(410,420)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관체(410,420) 또는 외관체(440)는 연속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원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고, 그 외 미세한 길이 조정은 내관체(410,420)가 외관체(44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한 후 체결구(460)를 조여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내관체(410,420) 또는 외관체(440) 각각은 단면 형상이 '┌┐'자 형상이다.
외관체(440)는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공(442)이 길게 형성된다.
내관체(420)는 외관체(440)의 장공(412,442)과 대응되며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423)이 형성된다.
체결구(460)는 볼트가 적당하며, 상기 장공(442)을 관통한 후 체결공(423)에 나사 결합되어 조여짐으로써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체결구(460)를 풀고 외관체(440) 또는 내관체(410,420)를 서로 이동시켜 적절한 길이가 되도록 조절한 후 체결구(460)를 조여서 길이 설정이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가벽부재(200)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상부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하기 위해 덮개부(400)를 전개시켜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도 1 참조).
스위치(미도시)를 온(on) 작동시켜 덮개부(400)를 덮고, 감압흡입부(8)를 온(on) 작동시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곧바로 배출한 후 살균처리함으로써 병실 내에 바이러스 전파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침대프레임 120 : 매트리스
130 : 상판벽 140 : 흡기공
150 : 흡입호스 160 : 흡입모터
200 : 가벽부재 220 : 레일부
230,240,250 : 격벽 300 : 구동부
320 : 체인 340 : 풀리
360 : 모터 400 : 덮개부
H : 힌지 410, 420 : 내관체
440 : 외관체 460 : 체결구

Claims (3)

  1. 받침대가 형성된 침대프레임과, 침대프레임에 결합되는 매트리스가 형성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의 장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격벽으로 구성되고 각 격벽이 레일부를 타고 이동하면서 전개되거나 접어져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하는 가벽부재;
    상기 다수의 격벽을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절첩작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상기 침대프레임의 머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판벽과, 상기 상판벽에 형성된 흡기공과, 상기 흡기공에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휘하는 흡입모터로 구성된 감압형성부;
    상기 가벽부재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될 수 있고, 침상에 누운 환자의 상반신을 덮을 수 있도록 측면과 상부면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벽부재는 각 격벽의 하부에 롤러가 형성되고, 레일부에는 롤러가 주행되는 주행로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다수의 격벽에 각기 연결된 체인과, 상기 체인을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 및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내관체와 외관체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체는 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외관체는 내관체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도록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측면에 장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외관체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관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KR1020210040212A 2021-03-29 2021-03-29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KR10225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12A KR102251969B1 (ko) 2021-03-29 2021-03-29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12A KR102251969B1 (ko) 2021-03-29 2021-03-29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969B1 true KR102251969B1 (ko) 2021-05-17

Family

ID=7615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212A KR102251969B1 (ko) 2021-03-29 2021-03-29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96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45A (ja) * 1993-06-24 1995-01-13 Mitsuo Iwamoto 医療用ベット清毒ユニット
JP2000126251A (ja) * 1998-08-19 2000-05-09 Juon Medical System:Kk クリ―ンベッド
JP2004344320A (ja) * 2003-05-21 2004-12-09 Nippon Kankyo Chosa Kenkyusho:Kk 組み立て式の隔離用フード装置
US20040255937A1 (en) * 2003-06-18 2004-12-23 En-Jang Sun Personal isol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ection of SARS or the like
JP2009131303A (ja) * 2007-11-28 2009-06-18 Daikin Ind Ltd 空調装置付きベッド
KR101506014B1 (ko) * 2013-11-27 2015-03-31 이진국 기능성 침대
EP3025691A1 (en) * 2014-11-28 2016-06-01 J. M. Canty International, Ltd. Infectious disease isolation and treatment enclosure system
WO2018042436A1 (en) * 2016-08-31 2018-03-08 Klein Amos Bed hood
KR102128249B1 (ko) * 2019-11-28 2020-06-30 (주)태양홀딩스 공기정화 및 사생활 보호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용 침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45A (ja) * 1993-06-24 1995-01-13 Mitsuo Iwamoto 医療用ベット清毒ユニット
JP2000126251A (ja) * 1998-08-19 2000-05-09 Juon Medical System:Kk クリ―ンベッド
JP2004344320A (ja) * 2003-05-21 2004-12-09 Nippon Kankyo Chosa Kenkyusho:Kk 組み立て式の隔離用フード装置
US20040255937A1 (en) * 2003-06-18 2004-12-23 En-Jang Sun Personal isol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ection of SARS or the like
JP2009131303A (ja) * 2007-11-28 2009-06-18 Daikin Ind Ltd 空調装置付きベッド
KR101506014B1 (ko) * 2013-11-27 2015-03-31 이진국 기능성 침대
EP3025691A1 (en) * 2014-11-28 2016-06-01 J. M. Canty International, Ltd. Infectious disease isolation and treatment enclosure system
WO2018042436A1 (en) * 2016-08-31 2018-03-08 Klein Amos Bed hood
KR102128249B1 (ko) * 2019-11-28 2020-06-30 (주)태양홀딩스 공기정화 및 사생활 보호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용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6559T3 (es) Circuitos respiratorios que tienen conductos y sistemas respsiratorios no convencionales y procedismientos para optimizar la utilizacion de gases puros.
CN109549804A (zh) 空气承载患者转移系统
KR20180092868A (ko) 일체형 필터 및 배기 포트를 갖는 밀봉 조립체
JP2004141239A (ja) 患者隔離ユニット
JP2019034171A (ja) 改良された補助換気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3479860B1 (de) Atemtherapiegerät
WO2018222081A1 (ru) Медицинская маска каркасная барьерно-отводяще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JP2008508948A (ja) 携帯型隔離囲繞器
CN111749341A (zh) 密封隔离仓
KR102251969B1 (ko) 비말차단 환자용 침대
CN108294904A (zh) 一种医疗用检查床
WO2007110112A1 (en) Filter arrangement
KR101731472B1 (ko) 트로카용 배기필터 조립체
US11033350B2 (en) Multi-layer pre-drape apparatus and process
EP2892581B1 (de) Medizinischer drainageschlauch
KR101821329B1 (ko) 조직손상이 적은 흡입력 조절용 석션기
CN211095558U (zh) 一种微负压空气隔离罩
CN209770691U (zh) 一种手术用吸血垫及穿刺器系统
CN111691710A (zh) 密封隔离仓
CN211912061U (zh) 多功能医用防护床罩
CN111472578B (zh) 一种收放自如的防病毒传播隔离间
CN104815379B (zh) 一种滑片式呼吸机气体压力流量控制阀及其工作原理
CN111691742A (zh) 密封隔离仓
KR102556519B1 (ko) 감염병 전파 방지용 신체 격리장치
CN207627399U (zh) 一种前列腺电切手术烟雾吸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