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23B1 - 과일 보호용 봉지 - Google Patents

과일 보호용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23B1
KR102251823B1 KR1020190034947A KR20190034947A KR102251823B1 KR 102251823 B1 KR102251823 B1 KR 102251823B1 KR 1020190034947 A KR1020190034947 A KR 1020190034947A KR 20190034947 A KR20190034947 A KR 20190034947A KR 102251823 B1 KR102251823 B1 KR 102251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ag
bag body
inle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962A (ko
Inventor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정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환 filed Critical 정용환
Priority to KR102019003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8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30Deformable or resilient metal or like stri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과일 보호용 봉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는, 과일나무에 달린 과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봉지 본체; 상기 봉지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과일이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과일 인입구; 및 상기 과일 인입구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도록 상기 과일 인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일 보호용 봉지{PROTECTIVE BAG FOR FRUITS}
본 발명은 과일 보호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을 해충, 조류는 물론이고 농약의 피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과일 보호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과일은 성장하는 과정이나 어느 정도 성장한 상태에서 병해는 물론 벌레나 곤충과 같은 유해한 해충 및 조류에 의하여 쉽게 손상을 입게 된다. 또한, 일정하게 성장한 상태에서 직사광선의 영향을 과다하게 받을 경우에는 과일 표면의 손상 또는 기형적으로 성장되어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다시 말해서, 과일은 많은 당과 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과일이 익어갈 무렵에는 각종 벌레 및 조류들이 과일을 쪼아먹기 때문에 과일의 외부에 흠이 생기고, 우박 등으로 인해 과일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될 경우 과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과일 재배과정에서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과일에 봉지를 묶는 작업은 각각의 봉지를 과일 별로 씌워서 별도의 철사 등을 이용하여 묶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높이 솟은 과일나무에서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은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가서 한 손으로 봉지를 씌우고 다른 손으로 철사를 이용해 고정을 하는데, 추락 등 작업상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은 요구되는 인력이 많아서 막대한 인건비가 요구될뿐만 아니라, 작업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데 농촌에 일손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적기에 작업을 하지 못하여 작업의 시기를 놓쳐서 과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에서 일손을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봉지에 고정용 끈이나 밴드가 일체로 마련된 과일 보호용 봉지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66772호(발명의 명칭: 과수용 과일봉지)가 개시되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166772호는 봉지의 입구를 봉합하는 와이어밴드가 봉지의 일측면 상단에 접착 상태로 부착되는 구조로, 와이어밴드를 뜯어내지 않고 그대로 작업할 수 있어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되며, 작업 과정에서 과일이 다치는 등의 피해가 최소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과 같은 과수용 과일봉지는 봉지의 입구를 일일이 손으로 벌려주는 작업이 필요하며, 과일에 봉지를 씌운 후에 다시 오므리는 작업과 와이어를 감아주는 작업 등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높여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를 벌린 후에 과일에 봉지를 씌우고, 다시 오므린 후에 와이어를 감아주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없어서 작업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에 과일 보호용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과일 보호용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과일나무에 달린 과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봉지 본체; 상기 봉지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과일이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과일 인입구; 및 상기 과일 인입구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도록 상기 과일 인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과일 인입구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과일 인입구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과일이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과일이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위치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과일 인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일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과일은 상기 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과일 인입구 측에서 상기 관통구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과일의 무게에 의해 뒤집혀서 상기 봉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봉지 본체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봉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과일 인입구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과일 인입구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봉지 본체는, 착색 봉지의 재질로 제작되거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과일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과일의 크기에 맞게 팽창하되 통기성이 확보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일 보호용 봉지는, 종래 과일 보호용 봉지와는 다르게 봉지 본체에 과일을 봉지 본체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과일 인입구가 형성하고 과일 인입구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과일 인입구를 벌려 주는 것 만으로도 과일에 과일 보호용 봉지를 씌울 수 있기 때문에 과일 보호용 봉지를 씌우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보호용 봉지는, 과일 인입구와 과일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과일이 수용된 과일 보호용 봉지 안으로 벌레나 해충 등의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보호용 봉지는, 봉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과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과일이 수용된 과일 보호용 봉지 자체의 크기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낙과가 발생하더라도 과일이 크게 손상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의 내부에 과일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과일 보호용 봉지를 씌우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과일 보호용 봉지의 봉지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과일 보호용 봉지의 내부에 수용된 과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봉지 본체가 커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에 도시한 과일 보호용 봉지의 내부에 과일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과일 보호용 봉지의 내부에 담긴 과일이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과일 보호용 봉지의 형태가 달라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는 과일나무(10)에 달린 과일(20)을 벌레나 해충과 같은 유해충 및 조류에 의한 피해와 살포된 농약으로 인해 과일(20)의 껍질에 피해가 감으로써 과일(20)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는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과일나무(10)에 달린 각각의 과일(20)에 씌워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는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과일(20)에 씌워주되 작업자의 손을 이용할 수도 있고 작업자가 별도의 기구(30)를 이용하여 과일(20)에 씌워줄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100)는 과일 나무(10)에 달린 과일(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봉지 본체(110), 봉지 본체(110)에 마련되어 과일(20)이 봉지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과일 인입구(112) 및 과일 인입구(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과일 인입구(11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봉지 본체(110)는 과일(20)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특히, 봉지 본체(110)의 내부공간(미도시)가 형성되며, 이 내부공간으로 과일나무(10)에 달린 과일(20)을 수용한다.
이러한 봉지 본체(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상태로,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봉지 본체(110)의 형태가 상단부 및 하단부가 평평한 형태로 마련되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봉지 본체(110)는 습자지, 한지 등의 종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과 같이 봉지 본체(110)가 종이 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봉지 본체(110)에 수용된 과일(20)에 봉지 본체(110)로 인하여 착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 본체(110)가 종이 재질로 마련되면 봉지 본체(110)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서 과일(20)이 생육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봉지 본체(110-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는 다르게, 탄성력을 갖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봉지 본체(110-1)가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되, 봉지 본체(110-1)에 담긴 과일(20)의 생육을 위하여 통기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봉지 본체(110-1)는 얇은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봉지 본체(110-1)가 탄성력이 있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봉지 본체(110-1)에 담긴 과일(20)의 크기에 따라 과일(20)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부에 과일(20)이 수용된 봉지 본체(110-1)는 과일(20)이 성장함에 따라 과일(20)의 크기에 맞게 팽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작은 과일(20)이 수용된 봉지 본체(110-1)는 과일(20)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고 과일(20)을 감싸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일(20)이 성장하여 크기가 커지면 봉지 본체(110-1)도 팽창되어 성장된 과일(20)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과일(20)을 감싼다.
과일나무(10)에 달린 과일(20)에 씌워진 과일 보호용 봉지(100)는 과일나무(10)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바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여기서, 과일나무(10)에 바람이 불어오면 과일 보호용 봉지(100)가 씌워진 과일(20)이 과일나무(10)에서 낙과할 수 있고, 과일(20)의 낙과에 따라 과일(20)이 손상되어 과일(20)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 있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봉지 본체(110-1)는 과일(20)의 보호구 또는 보호케이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봉지 본체(110-1)는 봉지 본체(110-1)에 수용된 과일(20)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므로, 탄성력이 있는 합성 수지 재질의 봉지 본체(110-1)가 씌워진 과일(20)이 과일나무(10)에서 낙과되더라도 봉지 본체(110-1)에 의해 과일(20)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어느 정도를 막아줄 수 있다.
한편, 과일 보호용 봉지(100)는 봉지 본체(110)에 형성된 과일 인입구(112)를 통해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 과일이 수용된다.
과일 인입구(112)는 봉지 본체(110)의 상단부에 구멍(hole)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과일(20)의 꼭지 부위(22)를 외부, 즉 봉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봉지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과일(20)을 수용한다.
여기서, 과일 인입구(112)에는 지지부재(120)가 마련된다. 지지부재(120)는 과일 인입구(112)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며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지지부재(120)는 링(ring)의 형태로 탄성력이 있어서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120)는 고무(rubber) 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20)가 과일 인입구(112)를 지지하여 형태를 유지하되, 외력에 의해 과일 인입구(112)를 변형시켜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과일(20)에 과일 보호용 봉지(100)를 씌울 때, 별도의 기구(3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작업자가 기구(30)를 이용하여 지지부재(120)를 벌려주면 지지부재(120)의 탄성에 의해 과일 인입구(112)가 확장되고, 확장된 과일 인입구(112)를 통해 봉지 본체(110)의 내부로 과일(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반대로,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 과일(20)이 위치된 후에는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지지부재(120)를 벌린 기구(30)는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지지부재(120)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 지지부재(120)는 과일 인입구(112)를 축소시켜서 과일(20)의 꼭지 부위(22) 부위와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재(120)에 의해 과일 인입구(112)와 과일(20)의 꼭지 부위(22)가 밀착됨으로써 과일(20)의 꼭지 부위(22)와 과일 인입구(112)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봉지 본체(110)의 내부로 벌레나 해충 등의 이물질이나 조류의 인입을 막아줌으로써 과일(20)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200)를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200)는 과일나무(10)에 달린 과일(2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미도시)가 형성되는 봉지 본체(110); 봉지 본체(110)에 마련되어 과일(20)이 봉지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과일 인입구(112) 및 과일 인입구(112)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도록 과일 인입구(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200)는 봉지 본체(110), 과일 인입구(112) 및 지지부재(120)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200)는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지지부재(120)의 하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230); 및 가이드부(230)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과일 인입구(1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232)를 더 포함한다.
이때, 과일 인입구(112)의 크기가 너무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과일 보호용 봉지(200)를 이용하여 과일(20)을 감싸는 것, 즉 과일(20)의 꼭지 부위(22)가 노출된 상태에서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 과일(20)이 담기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과일 인입구(112)의 크기를 너무 크게 형성할 경우에는 과일 보호용 봉지(200)를 이용하여 과일(20)을 감싸서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 과일(20)이 담기더라도 봉지 본체(110)와 과일(20)의 꼭지 부위(22)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벌레나 해충, 조류 등이 들어올 수 있어서 과일(20)의 품질을 온전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200)에서 가이드부(23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30)는 과일 인입구(112)의 하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230)는 과일 인입구(112)에서부터 관통구(232)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깔대기 형태로 제공된다.
즉, 봉지 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과일 인입구(112)를 통해 과일(20)이 담기면, 과일(20)은 과일 인입구(112), 가이드부(230) 및 관통구(232)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에 따라, 과일 인입구(112) 및 가이드부(230)에는 과일(20)의 꼭지 부위(22)가 관통된 상태로 위치되고, 과일(20)의 꼭지 부위(22)가 과일 인입구(112) 및 가이드부(230)에 위치된 상태에서 과일(20)의 꼭지 부위(22)를 제외한 과일(20) 부분이 관통구(232)를 통과하여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관통구(232)를 통과한 과일(20)의 상단부는 관통구(232)와 접촉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6의 (b) 및 도 8을 참조하면, 봉지 본체(110)에 과일(20)이 담긴 상태에서 과일(20)의 크기가 커지면, 과일(20)의 무게에 의해 가이드부(230)가 뒤집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지 본체(110)에 담긴 과일(20)이 커지면 가이드부(230) 및 관통구(232)가 과일(20)의 무게에 의해 뒤집히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230) 및 관통구(232)는 뒤집혀서 과일 인입구(112)에 대해 상단부에 위치되어 봉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봉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었던 과일 인입구(112)는 봉지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부(230)는 과일(20)의 통과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마련되되, 천연 수지 재질이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230)는 고무(rubber)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부(230)는 과일 인입구(112)의 지지부재(120)와 함께 사출가공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통구(232)에는 밀착부재(240)가 마련된다. 밀착부재(240)는 관통구(232)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되, 관통구(232)가 과일(20) 꼭지 부위(22)와 완전히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밀착부재(240)는 상술한 지지부재(120)와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된다. 예컨대 밀착부재(240)는 상술한 지지부재(120)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가이드부(230)는 지지부재(120) 및 밀착부재(24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되, 지지부재(120) 및 밀착부재(24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30)가 봉지 본체(110)에 수용된 과일(20)의 무게에 따라 손쉽게 뒤집히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만약, 가이드부(230)가 지지부재(120) 및 밀착부재(240) 보다 두껍게 형성될 경우에는 봉지 본체(110)에 수용된 과일(20)의 무게가 무거워지더라도 가이드부(230)가 뒤집히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24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마련되되, 상술한 지지부재(120)와 같이 링(ring) 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밀착부재(240)의 두께는 지지부재(120)의 두께보다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240)의 직경은 지지부재(12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20) 및 밀착부재(240)가 과일(20)의 꼭지 부위(22)와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과일 인입구(112)를 통해 봉지 본체(110)의 내부로 해충이나 조류,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는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의 봉지 본체(110)에 구멍 형태의 과일 인입구(112)를 형성하고, 그 과일 인입구(112)에 탄성이 있는 지지부재(120), 가이드부(230) 및 밀착부재(240)를 사용함으로써 과일 인입구(112)를 벌려주는 것만으로 과일(20)에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를 손쉽게 씌울 수 있고,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를 씌운 뒤에 별도의 마무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과일(20)에 과일 보호용 봉지(100, 200)를 씌우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과일나무 20: 과일
22: 꼭지 부위
100, 200: 과일 보호용 봉지
110: 봉지 본체
112: 과일 인입구
120: 지지부재
230: 가이드부
232: 관통구
240: 밀착부재

Claims (8)

  1. 과일나무에 달린 과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봉지 본체;
    상기 봉지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과일이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과일 인입구;
    상기 과일 인입구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도록 상기 과일 인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과일 인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과일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상기 과일은 꼭지 부위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관통구에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과일의 꼭지 부위와 접촉하는 밀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과일 인입구의 하측에서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다가,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과일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과일의 무게에 의해 뒤집혀서 상기 과일 인입구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구와 함께 상기 봉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봉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과일의 꼭지 부위와 접촉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과일 인입구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과일 인입구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과일이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과일이 상기 봉지 본체의 내부에 위치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과일 인입구 측에서 상기 관통구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와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봉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과일 인입구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과일 인입구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본체는,
    착색 봉지의 재질로 제작되거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과일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과일의 크기에 맞게 팽창하되 통기성이 확보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KR1020190034947A 2019-03-27 2019-03-27 과일 보호용 봉지 KR102251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47A KR102251823B1 (ko) 2019-03-27 2019-03-27 과일 보호용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47A KR102251823B1 (ko) 2019-03-27 2019-03-27 과일 보호용 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962A KR20200113962A (ko) 2020-10-07
KR102251823B1 true KR102251823B1 (ko) 2021-05-12

Family

ID=7288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947A KR102251823B1 (ko) 2019-03-27 2019-03-27 과일 보호용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20Y1 (ko) * 2001-09-14 2001-12-28 금 섭 이 과실보호용 봉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146Y1 (ko) * 1988-03-25 1990-07-09 장세하 과일봉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20Y1 (ko) * 2001-09-14 2001-12-28 금 섭 이 과실보호용 봉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962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244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102251823B1 (ko) 과일 보호용 봉지
ITMI20121761A1 (it) Impianto antigrandine ed antiinsetto monofilare, ad apertura e chiusura rapida, per la protezione di coltivazioni di piante disposte in filari.
KR100782559B1 (ko)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JP3123558U (ja) 果樹の覆い装置
KR102162286B1 (ko) 수목보호덮개
KR101282106B1 (ko) 과일 보호캡과 체결수단을 갖는 낙과방지용 보호주머니
KR20120006239U (ko) 무용제 타입의 무독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과일재배용 봉지
KR200299304Y1 (ko) 과채류 보호봉지
KR20120054305A (ko) 주름 구간이 형성된 과일 봉지
TWM529359U (zh) 套袋組合結構
KR200410639Y1 (ko) 과일보호용 커버
KR200406246Y1 (ko) 과일 보호구
CN219305479U (zh) 一种果树高位嫁接装置
KR20040038392A (ko) 과실보호용 과수봉지
KR200175548Y1 (ko) 과실(果實)피해방지 팩
KR200268474Y1 (ko) 과실수의 병충해 방지용 보호캡
KR200306610Y1 (ko) 과일 보호 및 낙과방지용 보호캡
KR200229328Y1 (ko) 과수재배용 과일보호대
WO2007080200A1 (es) Sistema de envasado individual de melocoton otras frutas y verduras que por su configuración lo permitan
KR20080003489U (ko) 과일보호용 커버
KR200402902Y1 (ko) 과일 생육용 보호봉지
KR200227391Y1 (ko)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KR19990022665U (ko) 과실보호용커버
KR200237297Y1 (ko) 과실보호용합성수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