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558B1 - 선박에서 설비로 lng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에서 설비로 lng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558B1
KR102251558B1 KR1020167021601A KR20167021601A KR102251558B1 KR 102251558 B1 KR102251558 B1 KR 102251558B1 KR 1020167021601 A KR1020167021601 A KR 1020167021601A KR 20167021601 A KR20167021601 A KR 20167021601A KR 102251558 B1 KR102251558 B1 KR 10225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ipe
duct
ship
natural gas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417A (ko
Inventor
기욤 겔린
베르트랑 부그니꼬르트
니꼴라 빌망
벤자민 샤르팡티에
아르노드 란두레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16013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1)에서 설비(2)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운송 시스템은
- 선박(1)의 갑판(4)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호이스트 장치(3);
- 호이스트 장치(3)에 의하여 지지된 이동식 새시(5);
-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며, 선박(1)에서 설비(2)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제1 온-보드 파이프(16); 및
-불활성 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제2 온-보드 파이프(17)를 포함하되,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2 덕트(12)와 관련된 제1 연결 요소(17a)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밸브(16c)와 제2 연결 요소(16c) 사이에서 제1 온-보드 파이프(16)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선박에서 설비로 LNG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METHOD FOR TRANSFERRING LNG FROM A SHIP TO A FACILITY}
본 발명은 유체 운송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급자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client ship)과 같은 설비 사이에 액화 천연가스(LNG)의 운송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서, 해상에서 공급자 선박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선박으로 LNG를 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운송 시스템이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8,286,678호에 설명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8,286,678호는 공급자 선박 측의 4개의 플렉시블 덕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며, 여기서 2개의 선박의 탱크의 가스 오버레이 내에서의 압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4개의 플렉시블 덕트 중 3개의 덕트는 공급자 선박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으로 LNG를 운송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하나의 덕트는 클라이언트 선박에서 공급자 선박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스템은 또한 공급자 선박의 플랫폼에 설치된 관절형 아암 그리고 관절형 아암에 의하여 지지된 이동식 새시를 포함한다. 이동식 새시는 4개의 플렉시블 덕트의 종단들을 지지하며 그리고 클라이언트 선박의 덕트로의 4개의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식 새시는 시트는 흡입관(sucker) 또는 전자석에 의하여 클라이언트 선박의 홀드(hold)에 대하여 고정된다.
LNG는 산소가 있을 때에는 가연성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선박 및 공급자 선박의 파이프는 LNG 운송 작동 전 그리고 후에 실행된, 불활성 가스에 의한 씻겨짐에 의하여 불활성이고 그리고 퍼지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불활성 가스가 선박의 플렉시블 덕트를 통하여 순환되며, 그리고 불활성화될 클라이언트 선박의 파이프로 운반된다. 결과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불활성화 작동은 공급자 선박의 덕트를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불활성화시키는 것을 필요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 불활성화 작동은 특히 길어진다.
또한, LNG 운송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선박의 덕트는 천연가스의 실질적인 기화를 일으킴이 없이 LNG의 운송을 허용하는 압력 및 온도 조건에 놓여져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공급자 선박의 덕트를 허용 가능한 온도 조건에서 유지시키기 위하여 또는 이 온도 조건에 놓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LNG는 전체적으로 공급자 선박의 덕트 내에서 유지되거나 또는 LNG는 이 덕트 내에서 순환된다.
그러나, 공급자 선박의 덕트가 불활성 가스에 의하여 씻겨지면, 덕트의 온도는 허용 가능한 조건 이상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불활성 가스에 의한 공급자 선박의 덕트의 씻겨짐 후에, 과도한 기화 없이 LNG의 운송을 예상하기 전에 이 덕트는 사전에 냉각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히 LNG의 운송 전의 작동에 관한 한 선행 기술에 따른 운송 조건은 전체적인 만족을 주지 않는다. 즉, 연결, 불활성화 그리고 냉각이 특히 길어진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선박과 시설 간에 LNG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개념은 선박에서 설비로의 LNG의 운송을 간단하게,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에서 설비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운송 시스템은
- 선박의 갑판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호이스트 장치;
-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여 지지된 이동식 새시;
- 선박의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 그리고 제2 종단을 갖는, 선박에서 설비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제1 덕트;
- 선박의 불활성 가스 저장 탱크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 그리고 제2 종단을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의 운반을 위한 제2 덕트;
- 이동식 새시에 의하여 지지되며,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1
제1 덕트의 제2 종단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2
설비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하여 설비의 덕트로의 제1 온-보드 파이프의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 제2 연결 요소; 및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3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 사이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하는,
선박에서 설비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제1 온-보드 파이프; 및
- 이동식 새시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2 덕트의 제2 종단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온-보드 파이프의 밸브와 제2 연결 요소 사이에서 제1 온-보드 파이프에 연결된, 불활성 가스의 운반을 위한 제2 온-보드 파이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운송 시스템은 공급자 선박측 상의 제1 덕트의 전체 길이의 불활성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LNG의 운송을 위한 덕트는 불활성화 동안에 사용 준비 중인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설비로의 LNG의 운송 전 작동은 더욱 신속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형태의 운송 시스템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송시스템은
- 선박의 장비로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 그리고 제2 종단을 포함하는, 설비에서 선박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덕트; 및
- 이동식 새시에 의하여 지지된, 설비에서 선박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온-보드 파이프를 더 포함하되,
- 제3 온-보드 시스템은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4
제3 덕트의 제2 종단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5
설비로부터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해 설비의 덕트로의 제3 온-보드 파이프의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 제2 연결 요소; 및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6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 사이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하되,
- 제2 온-보드 파이프는 또한 제3 온-보드 파이프의 밸브와 제2 연결 요소 사이에서 제3 온-보드 파이프에 연결되고;
- 운송 시스템은 이동식 새시에 의하여 지지되고, 밸브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1 연결 요소와 밸브 사이의 제1 온-보드 파이프를 제1 연결 요소와 밸브 사이의 제3 온-보드 파이프에 연결하는 분기부를 더 포함하며;
- 제2 온-보드 파이프는 제1 연결부에 의하여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제1 온-보드 파이프에 그리고 해당되는 경우 제3 온-보드 파이프에 각각 연결되며, 연결부 각각은 밸브를 구비하고;
- 제2 온-보드 파이프는 설비의 덕트로의 제2 온-보드 파이프의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 제2 연결 요소를 포함하며;
- 제1 온-보드 파이프, 제2 온-보드 파이프 및/또는 제3 온-보드 파이프(18) 중 하나는 비상 단절 장치를 구비하고;
- 제1 온-보드 파이프, 제2 온-보드 파이프 및/또는 제3 온-보드 파이프 중 하나는 플렉시블 부분을 포함하되, 이 플렉시블 부분은 첫째로 비상 단절 장치에 연결되고 그리고 두 번 째로는 설비의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요소를 지지하는 자유단을 가지며;
- 제1 덕트, 제2 덕트 및/또는 제3 덕트는 플렉시블하고;
- 제1 덕트, 제2 덕트 및/또는 제3 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조인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강체부를 포함하며;
- 이동식 새시는 설비 상에서의 이동식 새시의 임시 고정을 위한 요소를 포함하고;
- 설비 상에서의 이동식 새시의 임시 고정을 위한 요소는 진공 발생기에 연결된 흡입관(sucker) 또는 전자석이며;
- 호이스트 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관절형 아암이고;
-운송 시스템은 작동 장치를 관절형 아암의 적당한 위치에서의 유지 및/ 또는 관절형 아암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하여 작동 장치가 평형 압력보다 큰 또는 동일한 압력 하에서 유지되는 상태 그리고 관절형 아암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작동 장치 내의 압력이 해제되어 관절형 아암이 선박과 설비 간의 상대 운동을 뒤따를 수 있는 해제 상태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제어 장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그리고
- 운송 시스템은 작동 장치를 관절형 아암의 적당한 위치에서의 유지 및/ 또는 관절형 아암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하여 작동 장치 내의 압력이 조절되는 작동 상태 그리고 시스템이 이동식 새시를 부분적으로 계속 지지하는 반면에 선박의 상대적인 이동을 뒤따르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작동 장치가 변위가 가능한 반면에 평형 압력보다 낮은 압력 하에서 유지되는 지지 지원 상태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제어 장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운송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첫째로 설비의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그리고 두 번째로 운송 시스템의 제1 온-보드 파이프에 연결된 액화 천연가스 운송용 덕트를 포함하는 설비에 연결된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에 의하여 선박으로부터 설비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제1 온-보드 파이프의 밸브가 닫힘 상태에 있고 그리고 제2 온-보드 파이프와 제1 온-보드 파이프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가 제2 덕트에서 설비의 덕트로 운반되는 불활성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형태의 운송 시스템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운송 시스템은 설비의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연결된, 가스 상태 내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덕트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설비에 연결되며, 이 운송 시스템은;
- 선박의 장비로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 그리고 제2 종단을 포함하는, 설비에서 선박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플렉시블 덕트; 및
이동식 새시에 의하여 지지된, 설비에서 선박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온-보드 파이프를 포함하되, 제3 온-보드 파이프는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7
제3 덕트의 제2 종단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8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해 설비의 덕트로 제3 온-보드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 요소; 및
Figure 112016076586070-pct00009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 사이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하되,
불활성 가스의 운송을 위한 제2 온-보드 파이프는 밸브와 제3 온-보드 파이프의 제2 연결 요소 사이에서 제3온-보드 파이프에 연결되며;
불활성 단계 동안에, 제3 온-보드 파이프의 밸브는 닫힘 위치에 있으며, 그리고 가스 상태에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하여 불활성 가스는 제2 온-보드 파이프와 제3 온-보드 파이프에 의하여 제2 덕트에서 설비의 제2 덕트로 운반되고,
운송 시스템은 이동식 새시에 의하여 지지되고, 밸브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1 연결 요소와 밸브 사이의 제1 온-보드 파이프를 제1 연결 요소와 밸브 사이의 제3 온-보드 파이프에 연결하는 분기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의 밸브가 닫힌 위치에 있는 동안에, 분기부의 밸브가 열린 위치에 있는 동안에 그리고 액화 천연가스가 분기부를 통하여 제1 덕트에서 제3 덕트로 운반되는 동안에 제1 및 제3 덕트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순수하게 비제한적인 설명의 형태로 제공된 본 발명의 다수의 특정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세부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공급자 선박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으로 LNG의 운송의 작동 동안의 유체 운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 내의 운송 시스템 내의 유체의 흐름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운송 시스템의 플렉시블 덕트의 냉각 예비 작동 동안 도 1 및 도 2의 운송 시스템 내에서의 LNG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불활성 작동 동안 도 1 및 도 2의 운송 시스템 내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공급자 선박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으로의 LNG의 운송 작동 동안 도 1 및 도 2의 운송 시스템 내에서의 LNG의 순환 그리고 클라이언트 선박에서 공급자 선박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LNG의 운송 작동 후 클라이언트 선박의 덕트를 비우고 그리고 퍼지를 목적으로 하는 작동 동안, 도 1 및 도 2의 운송 시스템 내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 도 9 및 도 10은 제2,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선박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으로의 LNG의 운송 작동 동안의 유체 운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한 세트의 3개의 회전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에 관하여, 공급자 선박(1)과 클라이언트 선박(2) 간의 액체 천연가스(LNG)의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운송 시스템의 설명이 이하에서 제공될 것이다. 공급자 선박(1)은 예를 들어 다른 선박으로의 LNG 보충을 책임지는 벙커 선박(bunker vessel)이며, 그리고 클라이언트 선박(2)은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운송 시스템은 호이스트 장치(3)를 포함하며, 이 호이스트 장치는 공급자 선박(1)의 갑판(4) 상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의 종단에서 이동식 새시(5)를 지지한다. 여기서 이동식 새시는 클라이언트 선박(2)의 선체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갑판(4)은 호이스트 장치(3)가 장착된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호이스트 장치(3)는 관절형 아암이다. 아암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로터리 플레이트(6)에 의하여 관절 방식으로 공급자 선박(1)의 갑판 상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관절형 아암은 축(A)을 중심으로 공급자 선박(1)의 갑판(4)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장착된 제1 부분(7) 및 축(B)을 중심으로 제1 부분(7)의 말단부 상에서 선회하도록 장착된 제2 부분(8)을 포함한다.
관절형 아암의 전개를 허용하기 위하여, 후자는 공압 또는 유압 작동 장치를 구비한다. 작동 장치는 제1 잭(9)과 제2 잭(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잭은 관절 방식으로 로터리 플레이트(6) 상에 장착된 제1 종단 및 관절 방식으로 아암의 제1 부분(7)에 장착된 제2 종단을 가지며, 또한 제2 잭은 관절 방식으로 제1 부분(7) 상에 장착된 제1 종단 및 관절 방식으로 제2 부분(8) 상에 장착된 제2 종단을 갖는다.
이동식 새시(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 또는 다수의 임시 고정 요소를 구비하며, 이 임시 고정 요소는 클라이언트 선박(2)의 선체에 대하여 이동식 새시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 요소는 특히 진공 발생기에 연결된 하나 또는 다수의 흡입관(sucker)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한 개입 없이 고정 요소가 이동식 새시(5)를 클라이언트 선박(2)의 선체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이러한 고정을 간단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형태의 고정 요소는 특히 유리하다.
호이스트 장치는 작동 장치의 제어를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작동 상태에서, 관절형 아암의 전개, 수축 또는 지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어 장치는 작동 장치 내의 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이동식 새시(5)가 클라이언트 선박(2)의 선체에 대하여 고정될 때 관절형 아암이 공급자 선박(1)과 클라이언트 선박(2) 간의 상대 운동을 뒤따른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작동 장치를 해제 상태에 둘 수 있다. 여기서 해제 상태에서는 관절형 아암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작동 장치의 공압 또는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이 감소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작동 장치를, 작동 장치가 압력 하에 그러나 작동 장치의 평형 상태의 압력보다 작은 압력에 유지되는 지지 지원 상태에 두며, 이는 관절형 아암을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이동식 새시를 부분적으로 계속해서 지지하면서 시스템이 선박들의 상대 운동을 뒤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 변위를 허용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운송 시스템은 공급자 선박(1)의 갑판(4)과 이동 프레임(5) 사이로 연장된 3개의 덕트(11, 12, 13)를 포함한다.
제1 덕트(11)는 공급자 선박(1)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의 LNG의 운송을 위하여 설계된다. 제1 덕트(11)는 파이프(15)를 통하여 공급자 선박(2)의 LNG 저장 탱크(14)에 연결된 제1 종단(11a) 그리고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된 제1 온-보드 파이프(16)에 연결된 제2 종단(11b)을 포함한다.
제2 덕트(12)는 불활성 가스의 운송을 목적으로 설계된다. 제2 덕트(12)는 파이프(26)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 저장 탱크(22)에 연결된 제1 종단(12a) 그리고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된 제2 온-보드 파이프(17)와 관련된 제2 종단(12b)을 포함한다. 불활성 가스는 불연성 그리고 비연소성 가스이거나 가스체 혼합물이다. 불활성 가스는 전형적으로 화학적으로 중성이고 그리고 값이 저렴한 질소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제3 덕트(13)는 클라이언트 선박(2)에서 공급자 선박(1)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NG)의 추출을 목적으로 설계된다. 제3 덕트(13)의 제1 종단(13a)은 덕트(27)에 의하여 LNG 저장 탱크(14)에 연결되거나 또는 공급자 선박(1) 선상에서의 천연가스의 재액화를 위하여 설비에 연결된다. 제3 플렉시블 덕트(13)의 제2 종단(13b)은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된 제3 온-보드 파이프(18)와 관련이 있다.
공급자 선박(1)은 나타나지는 않지만 펌프를 구비하며, 펌프는 천연가스와 불활성 가스의 운송을 위하여 필요한 압력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공급자 선박(1)의 갑판(4)에 대한 이동식 새시(5)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제2 및 제3 덕트(11, 12 및 13)는 플렉시블 덕트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덕트(11, 12 및 13)는 관절형 아암의 중간 부분에 매달린다는 것 또한 인지될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덕트(11, 12 및 13) 각각은 적어도 2개의 강체 부분을 포함하며, 이 강체 부분들은 회전 연결로 또한 알려진 로터리 조인트(2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형태의 로터리 조인트는 제1, 제2 및 제3 덕트(11, 12 및 13)의 2개의 강체 부분 간의 누설이 없는 회전 상태 연결을 보장한다. 로터리 조인트(28)는 수평 회전축을 갖는다. 운송 시스템이 단지 하나의 로터리 조인트(28)를 포함할 때, 관절형 아암의 제1 부분(7)과 제2 부분(8) 사이에서 그 축은 관절 축(A)과 동축이다. 도 11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실시예에서, 덕트(11, 12 및 13)의 2개의 부분은 평행한 그리고 수평의 관절축(A1, A2, A3)을 갖는 3개의 로터리 조인트(28a, 28b, 28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로터리 조인트(28a, 28b, 28c)는 강체 튜브(29a, 29b)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형태의 로터리 조인트(28a, 28b, 28c)의 배치 때문에 로터리 조인트(28a, 28b, 28c)의 관절 축(A1, A2, A3) 중에서 하나의 축이 관절형 아암의 제1 부분(7)과 제2 부분(8) 사이에서 관절 축(A)과 일렬로 정렬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덕트(11, 12 및 13)의 제1 종단(11a, 12a, 13a)과 제2 종단(11b, 12b, 13b) 역시 하나 또는 다수의 로터리 조인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덕트(11, 12 및 13)가 관절형 아암 상에 매달려 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될 것이다.
또한, 이동식 새시(5)는 공급자 선박(1)에서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 LNG를 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온-보드 파이프(16)를 지지한다. 제1 온-보드 파이프(16)는 제1 연결 요소(16a)를 포함하며, 이 제1 연결 요소는 제1 온-보드 파이프(16)를 제1 덕트(11)의 제2 종단(11b)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온-보드 파이프(16)는 부가적으로 제2 연결 요소(16b)를 포함하며, 이 제2 연결 요소는 제1 온-보드 파이프(16)를 매니폴드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19)에 연결하도록 설계된다. 덕트(19)는 클라이언트 선박(2)의, 도시되지 않은, LNG 저장 탱크에 연결된다.
본 설명에 따르면, "연결 요소"는 적어도 2개의 파이프 또는 덕트를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요소를 의미한다.
제1 온-보드 파이프(16)는 이동식 새시(5) 상에 고정된 제1 부분(16d) 그리고 제2 연결 요소(16b)를 지지하는 제2 플렉시블 부분(16e)을 잇달아 포함한다. 이 제2 플렉시블 부분(16e)은 클라이언트 선박(2)의 매니폴드 상에서의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연결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제1 온-보드 파이프(16)와 클라이언트 선박(2)의 매니폴드 사이의 연결부에서 흡수된 힘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플렉시블 부분(16e)은 LNG의 운송을 단절 및 중단을 가능하게 하는 비상 단절 장치(16f)에 의하여 제1 부분(16d)에 연결된다. 이 형태의 비상 단절 장치(16f)는 "비상 연결 해제 장치"를 위한 용어 "ERC"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설계된다.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제1 부분(16d)은 밸브(16c)를 구비한다. 한 실시예에 따라, 밸브(16c)는 경고 신호가 발생할 때 LNG의 운송을 특히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상 멈춤 밸브이다. 화재 또는 누설 감지, 동력 차단, 펌프의 고장 또는 비정상적인 온도 또는 압력 조건의 감지의 경우에 이러한 형태의 경고 신호는 특히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동식 새시(5)는 또한 클라이언트 선박(2)에서 공급자 선박(1)으로의 가스 상태의 NG의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온-보드 파이프(18)를 지지한다. 제3 온-보드 파이프(18)는 제3 덕트(13)의 제2 종단(13b)으로 제3 온-보드 파이프(18)를 연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연결 요소(18a) 그리고 매니폴드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21)로 제3 온-보드 파이프(18)를 연결하도록 설계된 제2 연결 요소(18b)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선박의 덕트(21)는 클라이언트 선박(2)의 LNG 저장 탱크의 가스 오버레이(gas overlay)에 연결된다.
제3 온-보드 파이프(18)는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3 온-보드 파이프(18)는 이동식 새시(5) 상에 고정되고 그리고 밸브(18c)를 구비한 제1 부분(18d), 제2 연결 요소(18b)를 지지하는 제2 플렉시블 부분(18e) 그리고 제1 부분(18d)과 제2 플렉시블 부분(18e)을 연결하는 비상 단절 장치(18f)를 포함한다.
이동식 새시(5)는 부가적으로 분기부(23)를 지지하며, 이 분기부는 제1 파이프(16)와 제3 파이프(18)를 연결한다. 분기부(23)는 밸브(23a)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및 제3 파이프의 제1 연결 요소(16a, 18a)와 그의 밸브(16c, 18c) 사이에서 제1 및 제3 파이프(16, 18) 각각으로 이어진다. 분기부(23)는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의 LNG 운송 전에 제1 덕트(11)가 허용 가능한 온도 조건에 놓여지는 것을 허용하는 LNG의 순환을 구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동식 새시(5)는 제2 온-보드 파이프(17)를 지지하며, 이 제2 온-보드 파이프는 제2 덕트(12)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 저장 탱크(22)에 연결된다.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제2 덕트(12)의 제2 종단(12b)으로의 제2 온-보드 파이프(17)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요소(17a)를 포함한다.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연결부(24)에 의하여 제1 파이프(16)에 연결된다. 연결부(24)는 밸브(24a)를 구비한다. 연결부(24)는 밸브(16c)와 제2 연결 요소(16b) 사이에서 제1 온-보드(16)로 이어진다. 유사하게,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밸브(25a)를 구비한 연결부(25)에 의하여 제3 온-보드 파이프(18)에 연결된다. 연결부(25)는 밸브(18c)와 제2 연결 요소(18b) 사이에서 제3 온-보드(18)로 이어진다. 연결부(24, 25)는 3방향 연결에 의하여 먼저 제2 온-보드 파이프(17)에 연결되며 그리고 두 번째로 제1 또는 제2 온-보드 파이프(16 또는 18)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3 덕트(11, 13)를 통하여 사전에 통과함이 없이 불활성 가스는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의 종단에서 그리고 클라이언트 선박(2)의 파이프(19, 21)에서 직접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 클라이언트 선박(2)은 불활성 가스 저장 탱크를 구비한다. 따라서, 공급자 선박(1)에서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의 불활성 가스의 운송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이동식 새시(5) 상에 고정된 제1 부분(17d),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20)로 제2 온-보드 파이프(17)를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연결 요소(17b)를 지지하는 제2 플렉시블 부분(17e) 그리고 제1 부분(17d)과 제2 플렉시블 부분(17e)을 연결하는 비상 단절 장치(17f)를 포함한다.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또한 밸브(17c)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밸브는 제2 플렉시블 부분(17d)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운송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의 단지 단일의 LNG 운송 라인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리고 운송 시스템은 또한 공급자 선박(1)에서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의 LNG 운반을 위하여 설계된 다수의 덕트(11) 및 클라이언트 선박(2)의 파이프(19)로 덕트(11)를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온-보드 파이프(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11) 각각은 연결부(24)에 의하여 제2 온-보드 파이프(17)에 연결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운반 시스템이 클라이언트 선박(2)에서 공급자 선박(1)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추출 라인을 구비하고 있을지라도, 본 발명은 결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리고 운반 시스템은 이러한 추출 라인이 없을 수 있다. 특히, 공급자 선박(1)의 LNG 저장 탱크가 C형 탱크, 즉 압력 하에서 천연가스를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원통형 탱크일 때, 클라이언트 선박(2)의 탱크 내에 존재하는 압력보다 큰 압력을 공급자 선박(1)의 탱크(14) 내에서 유지시킴에 의하여 LNG는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선박(2)의 가스 오버레이에서 공급자 선박(1)으로 천연가스의 추출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LNG의 운송을 위하여 펌프가 필요하지 않다.
도 3 내지 도 7은 공급자 선박(1)에 의한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의 LNG 공급의 작동 동안에 실행된 작동 순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3 덕트(11, 13)를 냉각시키는 제1 예비 단계 동안에, 제1 덕트와 제3 덕트를 LNG의 운반에 적합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 넣기 위하여 LNG는 제1 덕트(11)와 제3 덕트(13)를 통하여 순환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LNG는 제1 덕트(11)를 통하여 운반되며, LNG 저장 탱크(14)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LNG는 그후 분기부(23)를 통하여 제3 덕트(13)로 운반된다. LNG의 이 순환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의 밸브(16c, 18c)는 닫힌 위치에 있는 반면에, 분기부를 갖춘 밸브(23)는 열린 위치에 있다. 공급자 선박(1)과 클라이언트 선박(2)의 접근 단계에서 이 예비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반면에, 이동식 새시(5)는 클라이언트 선박(2)의 선체에 아직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후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는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19, 21)에 연결되며,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활성 예비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부(24, 25) 그리고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의 제2 부분(16e, 18e)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는 제2 덕트(12)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의 덕트(19, 21)로 운반된다. 이 단계 동안에,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의 밸브(16c, 18c)는 닫힌 위치에서 유지되며, 그리고 연결부(24, 25)를 갖춘 밸브(24a, 25a)는 열린 위치에 있다. 이 작동은 연결부, 특히 제1 및 제3 인-보드 파이프(16, 18)와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19, 21) 간의 밀봉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이용된다.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19, 21)의 종단이 불활성화될 때, 공급자 선박(1)에서 클라이언트 선박(2)으로의 LNG의 운송이 그후 일어날 수 있다. 운송 작동이 도 5에 도시된다. LNG는 제1 덕트(11), 제1 온-보드 파이프(16) 그리고 덕트(19)를 통하여 공급자 선박(1)의 LNG 저장 탱크(14)에서 클라이언트 선박(2)의 LNG 저장 탱크로 운반된다. 가스 상태의 NG는 덕트(21), 제3 온-보드 파이프(18) 그리고 제3 덕트(13)에 의하여 LNG 저장 탱크로부터 추출된다.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의 밸브(16c, 18c)는 열린 위치에 위치하는 반면에, 분기부(23)와 연결부(24, 25)를 갖춘 밸브(23a, 24a, 25a)는 닫힌다.
밸브 운송 작동이 종료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9)는 그후 비워져야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후 덕트(19, 21)은 퍼지되어야 한다.
도 6에 나타난 덕트(19)의 비움 작동 동안에, 불활성 가스는 제2 온-보드 파이프(17)의 부분, 연결부(24) 그리고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제2 플렉시블 부분(16e)을 통하여 제2 덕트(12)에서 덕트(19)로 운반된다. 따라서 불활성 가스는 LNG를 클라이언트 선박(2)의 LNG 저장 탱크로 밀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가스 상태의 NG의 추출은 덕트(21), 제3 온-보드 파이프(18) 그리고 제3 덕트(13)를 통하여 유지된다.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밸브(16c, 23a 및 25a), 분기부(23) 그리고 연결부(25)는 닫힌 위치에 있는 반면에, 제3 온-보드 파이프(18)의 밸브(18c, 24a) 그리고 연결부는 열린 위치에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퍼지(purging) 작동 동안에,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는 덕트(19, 21)에 연결되며, 그리고 불활성 가스는 연결부(24, 25) 그리고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의 제2 플렉시블 부분(16e, 18e)에 의하여 제2 덕트(12)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의 덕트(19, 21)로 운반된다. 연소되기 위하여 LNG와 불활성 가스의 혼합물은 그후 배출된다. 이 단계 동안에,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및 18)의 밸브(16c, 18c)는 닫힌 위치에서 유지되며, 그리고 연결부를 갖춘 밸브(24a, 25a)는 열린 위치에 있다.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및 18)는 그후 클라이언트 선박(2)의 덕트(19, 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다수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이 이 실시예들에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는 그리고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이 설명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인 등가물뿐만 아니라 그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동사 "함유된다", "포함된다" 또는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의 활용형은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요소 또는 단계와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또는 단계를 위한 부정 관사의 사용은 다수의 이러한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내의 어떠한 도면 부호는 권리 범위의 제한으로서 해석될 수 없다.

Claims (18)

  1. 선박(1)에서 설비(2)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 선박(1)의 갑판(4)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호이스트 장치(3);
    - 호이스트 장치(3)에 의하여 지지된 이동식 새시(5);
    - 선박(1)의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14)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11a) 그리고 제2 종단(11b)을 갖는, 선박(1)에서 설비(2)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제1 덕트(11);
    - 선박의 불활성 가스 저장 탱크(22)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12a) 그리고 제2 종단(12b)을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의 운반을 위한 제2 덕트(12);
    -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며, 선박(1)에서 설비(2)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제1 온-보드 파이프(16)로서,
    Figure 112021010891950-pct00010
    제1 덕트(11)의 제2 종단(11b)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16a);
    Figure 112021010891950-pct00011
    설비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하여 설비의 덕트(19)로의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 제2 연결 요소(16b); 및
    Figure 112021010891950-pct00012
    제1 온-보드 파이프의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16a와 16b) 사이에 배치된 밸브(16c)를 포함하는, 제1 온-보드 파이프(16); 및
    -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며, 불활성 가스의 운반을 위한 제2 온-보드 파이프(17)로서,
    Figure 112021010891950-pct00027
    제2 덕트(12)의 제2 종단(12b)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17a);
    Figure 112021010891950-pct00028
    제2 온-보드 파이프(17)를 시설의 덕트(20)에 연결하도록 설계된 제2 연결 요소(17b);
    Figure 112021010891950-pct00029
    제2 온-보드 파이프(17)의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17a, 17b) 사이에 배치된 밸브(17c)를 포함하는, 제2 온-보드 파이프(17);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밸브(16c)와 제2 연결 요소(16b) 사이의 제1 온-보드 파이프(16)로, 그리고 제2 온-보드 파이프의 제1 연결 요소(17a)와 제2 온-보드 파이프(17)의 밸브(17c) 사이의 제2 온-보드 파이프(17)로 개방되는 제1 연결부(24)를 통해 제1 온-보드 파이프(16)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설비 측에서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일부의 불활성화를 허용하는, 선박(1)에서 설비(2)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 선박의 장비로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13a) 그리고 제2 종단(13b)을 포함하는, 설비(2)에서 선박(1)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덕트(13); 및
    -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고, 설비(2)에서 선박(1)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온-보드 파이프(18)로서,
    Figure 112021010891950-pct00030
    제3 덕트(13)의 제2 종단(13b)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18a);
    Figure 112021010891950-pct00031
    설비로부터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해 설비의 덕트(21)로의 제3 온-보드 파이프(18)의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 제2 연결 요소(18b); 및
    Figure 112021010891950-pct00032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 요소(18a와 18b) 사이에 배치된 밸브(18c)를 포함하는, 제3 온-보드 파이프(18);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제3 온-보드 파이프(18)의 밸브(18c)와 제2 연결 요소(18b) 사이의 제3 온-보드 파이프(18)로, 그리고 제2 온-보드 파이프의 제1 연결 요소와 밸브 사이의 제2 온-보드 파이프로 개방되는 제2 연결부(25)을 통해 제3 온-보드 파이프(18)에 연결되는, 운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고, 밸브(23a)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제1 연결 요소(16a)와 밸브(16c) 사이의 제1 온-보드 파이프(16)를 제3 온-보드 파이프(18c)의 제1 연결 요소(18a)와 밸브(18c) 사이의 제3 온-보드 파이프(18)에 연결하는 분기부(23)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4) 및 상기 제2 연결부(25)는 밸브(24a, 25a)를 구비한 운송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온-보드 파이프(16), 제2 온-보드 파이프(17) 그리고 제3 온-보드 파이프(18) 중 적어도 하나는 비상 단절 장치(16f, 17f, 18f)를 구비한 운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온-보드 파이프(16), 제2 온-보드 파이프(17) 그리고 제3 온-보드 파이프(18)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시블 부분(16e, 17e, 18e)을 포함하되, 이 플렉시블 부분은 첫째로 비상 단절 장치(16f, 17f, 18f )에 연결되고 그리고 두번 째로는 설비의 파이프(19, 20, 21)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요소(16b, 17b, 18b)를 지지하는 자유단을 갖는 운송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덕트(11), 제2 덕트(12) 및 제3 덕트(13)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덕트는 플렉시블한 운송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덕트(11), 제2 덕트(12) 및 제3 덕트(13)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조인트(2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강체부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식 새시(5)는 설비(2) 상에서의 이동식 새시(5)의 임시 고정을 위한 요소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설비(2) 상에서의 이동식 새시(5)의 임시 고정을 위한 요소는 진공 발생기에 연결된 흡입관(sucker) 또는 전자석인 운송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이스트 장치(3)는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관절형 아암인 운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를 작동 상태 및 해제 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상태는, 관절형 아암의 위치 또는 변위의 유지를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장치가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상태이고,
    상기 해제 상태는, 관절형 아암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 장치가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상태이며,
    이렇게 하여 관절형 아암이 선박과 설비 간의 상대 운동을 따를 수 있는 것인, 운송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를 작동 상태 및 지지 지원 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상태는, 관절형 아암의 위치 또는 변위의 유지를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장치가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상태이고,
    상기 지지 지원 상태는, 운송 시스템이 이동식 새시를 부분적으로 계속 지지하면서 선박의 상대적인 이동을 따르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장치가 작동 장치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유압 또는 공압 작동 장치를 평형 압력보다 낮은 압력 하로 유지하는 상태인, 운송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송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1).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송 시스템에 의하여 선박(1)으로부터 설비(2)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첫째로 설비의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두 번째로 운송 시스템의 제1 온-보드 파이프(16)에 연결된 액화 천연가스의 설비로의 운송용 덕트(19)를 포함하고, 설비(2)에 연결되며, 상기 방법은,
    - 제1 온-보드 파이프(6)의 밸브(16c)가 닫힘 상태에 있고 그리고 제2 온-보드 파이프(17)와 제1 온-보드 파이프(16)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가 제2 덕트(12)에서 설비(2)의 덕트(19)로 운반되는 불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 천연가스 운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설비(2)는 가스 상태에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2 덕트(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덕트는 첫번째로 설비의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두 번째로 운송 시스템의 제3 온-보드 파이프(18)에 연결되며,
    상기 운송 시스템은,
    - 선박의 장비로 연결되도록 설계된 제1 종단(13a) 그리고 제2 종단(13b)을 포함하는, 설비(2)에서 선박(1)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덕트(13); 및
    -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고, 설비(2)에서 선박(1)으로의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한 제3 온-보드 파이프(18)로서,
    Figure 112021501239973-pct00033
    제3 덕트(13)의 제2 종단(13b)과 관련된 제1 연결 요소(18a);
    Figure 112021501239973-pct00034
    설비로부터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해 설비의 덕트(21)로의 제3 온-보드 파이프(18)의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 제2 연결 요소(18b); 및
    Figure 112021501239973-pct00035
    제1 연결 요소와 제2 연결 요소 요소(18a와 18b) 사이에 배치된 밸브(18c)를 포함하는, 제3 온-보드 파이프(1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보드 파이프(17)는 제3 온-보드 파이프(18)의 밸브(18c)와 제2 연결 요소(18b) 사이의 제3 온-보드 파이프(18)로, 그리고 제2 온-보드 파이프의 제1 연결 요소와 밸브 사이의 제2 온-보드 파이프로 개방되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제3 온-보드 파이프(18)에 연결되며,
    불활성 단계 동안에 제3 온-보드 파이프(18)의 밸브(18c)는 닫힘 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불활성 가스는 가스 상태에서의 천연가스의 추출을 위하여 제2 덕트(12)에서 덕트(21)로 운반되는, 액화 천연가스 운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시스템은, 이동식 새시(5)에 의하여 지지되고, 밸브(23a)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1 온-보드 파이프(16)의 제1 연결 요소(16a)와 밸브(16c) 사이의 제1 온-보드 파이프(16)를 제3 온-보드 파이프(18c)의 제1 연결 요소(18a)와 밸브(18c) 사이의 제3 온-보드 파이프(18)에 연결하는 분기부(23)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3 온-보드 파이프(16, 18)의 밸브(16c, 18c)가 닫힌 위치에 있는 동안에, 분기부(23)의 밸브(23a)가 열린 위치에 있는 동안에 그리고 액화 천연가스가 분기부(13)를 통하여 제1 덕트(11)에서 제3 덕트(13)로 운반되는 동안에 제1 및 제3 덕트(11, 13)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 천연가스 운송 방법.
  18. 삭제
KR1020167021601A 2014-01-31 2015-01-20 선박에서 설비로 lng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KR102251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0801 2014-01-31
FR1450801A FR3017127B1 (fr) 2014-01-31 2014-01-31 Systeme de transfert de gnl d'un navire vers une installation
PCT/EP2015/050935 WO2015113857A1 (fr) 2014-01-31 2015-01-20 Systeme de transfert de gnl d'un navire vers une insta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417A KR20160133417A (ko) 2016-11-22
KR102251558B1 true KR102251558B1 (ko) 2021-05-13

Family

ID=5082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601A KR102251558B1 (ko) 2014-01-31 2015-01-20 선박에서 설비로 lng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9826B2 (ko)
EP (1) EP3099566B8 (ko)
KR (1) KR102251558B1 (ko)
CN (1) CN106061832B (ko)
FR (1) FR3017127B1 (ko)
WO (1) WO2015113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4957A4 (en) * 2015-05-08 2019-02-13 Akabotics, LLC MICROBAGG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AU2018330638B2 (en) * 2017-09-06 2021-03-04 Connect Lng As Tie-in system and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tie-in system
KR102460619B1 (ko) * 2019-01-18 2022-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장형 액화가스 저장부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2767A1 (en) * 2008-11-20 2011-09-29 Single Buoy Moorings Inc. Multi-function unit for the offshore transfer of hydrocarbon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913A (en) * 1964-03-31 Figure
US2818891A (en) * 1956-09-26 1958-01-0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manipulating flexible conduit connections
US2927607A (en) * 1957-03-25 1960-03-08 Fmc Corp Fluid transferring apparatus
US3050092A (en) * 1959-06-26 1962-08-2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Marine loading arm
US3199553A (en) * 1959-11-19 1965-08-10 Parker Hannifin Corp Ship to ship refueling device
US3085593A (en) * 1960-05-19 1963-04-16 Harry E Sorensen Cargo transfer apparatus
BE643861A (ko) * 1963-02-20 1900-01-01
US3221772A (en) * 1963-03-11 1965-12-07 Mississippi Valley Structural Articulated conduit boom assembly
US3217748A (en) * 1963-06-26 1965-11-16 John D Harper Flexible insulated fluid transfer apparatus
US3463114A (en) * 1968-04-24 1969-08-26 Stanwick Corp The Method for maneuvering a vessel with respect to its station
US3825045A (en) * 1972-08-22 1974-07-23 Fmc Corp Fluid delivery and vapor recovery apparatus
NL7414096A (nl) * 1973-11-06 1975-05-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Meerinrichting.
US3921684A (en) * 1973-12-19 1975-11-25 Lawrence P Allen Apparatus for coupling oil loading hose and other conduit with a storage tank fill pipe
US4099542A (en) * 1976-06-09 1978-07-11 Fmc Corporation Marine loading arm jumper assembly
CA1099186A (en) * 1978-04-08 1981-04-14 George Fujita Mobile apparatus for fluid transfer
JPS6088298A (ja) * 1983-10-21 1985-05-18 Niigata Eng Co Ltd 液体荷役方法
GB8530592D0 (en) * 1985-12-12 1986-01-22 British Aerospace Open sea transfer of fluids
NO315194B1 (no) * 1998-01-30 2003-07-28 Navion As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eksport av LNG og kondensat fra et flytende produksjons-, lagrings- og lossefartöy
EP0947464A1 (en) * 1998-04-01 1999-10-06 Single Buoy Moorings Inc. Fluid transfer boom with coaxial fluid ducts
NO312715B1 (no) * 1999-10-27 2002-06-24 Statoil Asa System for offshore overföring av flytendegjort naturgass
US6938570B2 (en) * 2001-04-17 2005-09-06 Mooring Systems Limited Mooring robot
NZ520450A (en) * 2002-07-30 2004-12-24 Mooring Systems Ltd Method of controlling a mooring system
US7610934B2 (en) * 2003-05-05 2009-11-03 Single Buoy Moorings Inc. Hydrocarbon transfer system with a damped transfer arm
CN1946606B (zh) * 2004-04-29 2010-11-10 辛格尔浮筒系船公司 并列式碳氢化合物转移系统
GB2420319B (en) * 2004-11-22 2007-04-04 Bluewater Engergy Services Bv Apparatus for the offshore transfer of fluid
US7464734B2 (en) * 2005-08-08 2008-12-16 Xuejie Liu Self-cooling pipelin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 of cryogenic fluids
FR2903653B1 (fr) * 2006-07-13 2009-04-10 Eurodim Sa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tel que du gaz naturel liquefie entre un navire tel qu'un methanier navette et une unite flottante ou fixe.
FR2927322B1 (fr) * 2008-02-08 2010-03-05 Fmc Technologi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irecte, notamment proportionnelle et/ou de chargement et/ou dechargement de fluides
FR2931451B1 (fr) * 2008-05-22 2010-12-17 Fmc Technologies Sa Dispositif de commande pour systeme de chargement et/ou dechargement de fluides
US10780955B2 (en) * 2008-06-20 2020-09-22 Seaone Holdings, Llc Comprehensive system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natural gas in a light hydrocarbon liquid medium
JP5495713B2 (ja) * 2009-10-28 2014-05-21 Ihi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Lng受入基地タンクからのlng出荷方法及びその装置
US8286678B2 (en) 2010-08-13 2012-10-16 Chevron U.S.A. Inc. Process, apparatus and vessel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two structures
US9004102B2 (en) * 2010-09-22 2015-04-14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 hydrocarbon fluid
US9004103B2 (en) * 2010-09-22 2015-04-14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 hydrocarbon fluid
KR101198829B1 (ko) * 2010-11-04 2012-11-07 한국과학기술원 선박의 계류 시스템, 이를 이용한 부유체, 이동항구 및 안벽
FR2967990B1 (fr) * 2010-11-30 2014-11-28 Saipem Sa Support installe en mer equipe d'un dispositif de connexion et de vannes utile pour la purge de conduites flexibles
FR2968058B1 (fr) * 2010-11-30 2012-12-28 Saipem Sa Support en mer equipe d'un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guidage de conduites flexibles utiles pour le transfert en mer de produits petroliers
SG184636A1 (en) * 2011-03-11 2012-10-30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t Pte Ltd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KR20130134244A (ko) * 2012-05-30 2013-12-1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FR2999522B1 (fr) * 2012-12-18 2015-01-16 Gaztransp Et Technigaz Systeme de manutention pour conduite flexi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2767A1 (en) * 2008-11-20 2011-09-29 Single Buoy Moorings Inc. Multi-function unit for the offshore transfer of hydrocarb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1832B (zh) 2018-09-28
EP3099566A1 (fr) 2016-12-07
CN106061832A (zh) 2016-10-26
EP3099566B1 (fr) 2018-03-21
EP3099566B8 (fr) 2018-05-16
US20160332703A1 (en) 2016-11-17
KR20160133417A (ko) 2016-11-22
FR3017127A1 (fr) 2015-08-07
US10589826B2 (en) 2020-03-17
FR3017127B1 (fr) 2016-02-05
WO2015113857A1 (fr)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2608A1 (en) Liquefied hydrogen loading arm and liquefied hydrogen transport method
KR102251558B1 (ko) 선박에서 설비로 lng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JP2009541114A (ja) 液体を船舶に移送するシステム
WO2016052374A1 (ja) 液化水素移送システム
KR102250630B1 (ko) 선박 및 클라이언트선과 같은 설비 사이의 유체 이송 시스템
CN112689596B (zh) 流体产品传输系统
US11667356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cryogenic product between two ships placed side by side
JP5894097B2 (ja) 液化ガス供給用接続機構
KR20130064194A (ko) 선박용 lng 및 lpg 저장탱크의 유지보수 시스템
AU2018330635B2 (en) A process system and a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process system
JP6215985B2 (ja) 液化ガス供給用接続機構
KR20210030403A (ko) 액화 가스 이송 시스템
US20240052977A1 (en) Portable cargo handling equipment for liquid hydrogen and emergency releas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