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768B1 - 진동 발생기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0768B1 KR102250768B1 KR1020180167729A KR20180167729A KR102250768B1 KR 102250768 B1 KR102250768 B1 KR 102250768B1 KR 1020180167729 A KR1020180167729 A KR 1020180167729A KR 20180167729 A KR20180167729 A KR 20180167729A KR 102250768 B1 KR102250768 B1 KR 102250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vibration
- coil
- yoke
- vib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고, 권선부를 포함하는 코일, 코일과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진동자, 하우징과 진동자를 연결하는 탄성체 및 탄성체와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되는 진동 전달부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전달부의 구조를 도입하여 음향 및 진동 전달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자부품으로,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 등의 알림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진동모터는 진동자의 운동 방식에 따라 회전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모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빠른 반응속도, 잔 진동의 적음 및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진동모터는 진동자가 수직 또는 좌우 등 선형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진동 알림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진동모터보다 강한 진동력을 갖는 진동모터가 필요하다. 이는 통상 중량체의 무게 증가를 수반하며, 중량체의 무게 증가는 중량체의 재료를 비중이 큰 물질로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탄성부재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된다면, 당해 탄성부재는 부피나 재료 등의 요구되는 제원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적 문제없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진동할 수 있는 진동모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KR10-1284545 B1
(특허문헌 2) KR10-2010-0120894 A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우징의 개방된 일부에 위치하고 탄성체와 결합되는 진동 전달부의 구조를 도입하여 음향 및 진동 전달의 효율을 개선하는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거의 모든 대역에서 적절한 진동을 형성하여 골전도용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진동자의 상하 왕복운동 시 진동 전달부가 케이스의 내부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의해 더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제1 요크와 코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요크 및 제1 요크와 대향하도록 제2 요크를 배치함에 따라 자계 효율을 최대화하는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제1,2 요크를 연결하면서 무게 조절용 중량체를 대체하는 마그네트를 적용하여 음향 진동 특성을 개선하는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 발생기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권선부를 포함하는 코일, 상기 코일과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진동자,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진동자를 연결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되는 진동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되는 노출부 및 상기 노출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탄성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중심 부분의 일면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진동자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의 상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동 전달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진동자와 상기 코일의 상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이격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중심 부분은 상기 진동 전달부 및 상기 진동자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진동 발생기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진동 출력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권선부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 요크, 적어도 일부가 상기 권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결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권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2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권선부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은 상기 제1 요크와 결합되고, 하면은 상기 제2 요크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하우징의 개방된 일부에 위치하고 탄성체와 결합되는 진동 전달부의 구조를 도입하여 음향 및 진동 전달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특히 가청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진동자의 상하 왕복운동 시 진동 전달부가 케이스의 내부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의해 더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제1 요크와 코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제품수명을 연장하고 원하는 성능을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요크 및 제1 요크와 대향하도록 제2 요크를 배치함에 따라 자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제1,2 요크를 연결하면서 무게 조절용 중량체를 대체하는 마그네트를 적용하여 음향 진동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진동자 및 진동 전달부가 상하 왕복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전달부의 상부에 진동출력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진동자 및 진동 전달부가 상하 왕복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전달부의 상부에 진동출력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100)는 하우징(110), 코일(120), 진동자(130), 탄성체(140), 연결부(150) 및 진동 전달부(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케이스(111) 및 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1)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짐에 따라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1)의 형상은 원기둥 또는 다각면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11)의 내측면에는 케이스(111)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2)는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2)는 케이스(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케이스(111)의 중앙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연장될 수 있으며, 케이스(111)의 내측면과 수직방향 또는 법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술한 돌출부(112)는 진동 전달부(160)의 측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접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10)은 상술한 형태 또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육면체 형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bar) 형태 또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코일(120)은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는 권선부를 포함한다. 또한, 코일(120)은 케이스(111)의 하면 내측에 결합되고, 케이스(111)의 하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일(120)은 권선부로부터 연장되는 인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선은 하우징(110)의 외부와 연결되는 회로기판 등을 통해 외부의 신호를 인가받아 권선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코일(120)은 고정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진동자(130)는 적어도 일부가 코일(120)의 상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진동자(130)는 코일(120)과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제1 요크(131), 제2 요크(132) 및 마그네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크(131)는 코일(120)의 권선부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위치한다. 또한, 제1 요크(131)는 코일(120)의 권선부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측면 및 측면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요크(131)의 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요크(131)의 상면은 원판일 수 있으나, 상기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요크(131)의 측면은 권선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대향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권선부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선부가 링 형태로 형성되면 제1 요크(131)의 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요크(131)의 상면은 원판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요크(131)의 측면은 코일(120)의 측부를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면서 코일(12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요크(131)의 상면은 코일(120)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코일(1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 요크(131)의 상면과 코일(120)의 상단까지의 거리보다 거의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자(13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동안 제1 요크(131)의 상면이 코일(120)의 상부에 접촉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요크(131)의 상면과 코일(120)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진동자(13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가 된다.
또한, 제1 요크(131)는 연결부(15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요크(131)의 상면은 연결부(150)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요크(131)의 상면 중앙부에 연결부(150)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요크(132)는 코일(120)의 권선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코일(12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그네트(133)와 결합된다.
또한, 제2 요크(132)는 마그네트(133)와 결합하면서 마그네트(133)를 사이에 두고 제1 요크(131)와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즉, 제2 요크(132)는 마그네트(133)의 하부에 위치하고, 마그네트(133)는 연결부(15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마그네트(133)는 적어도 일부가 코일(120)의 권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요크(131)와 결합된다. 마그네트(133)의 상면은 제1 요크(131)와 결합되고, 하면은 제2 요크(132)와 결합된다. 다시 설명하면, 마그네트(133)는 제1 요크(131)의 상면 중앙부 및 제2 요크(132)와 결합함에 따라 제1 요크(131)와 제2 요크(132)를 연결한다.
탄성체(140)는 하우징(110)과 진동자(13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탄성체(140)는 중심 부분의 일면이 진동 전달부(160)의 결합부(162)에 결합되고, 타면이 진동자(130)에 결합된다.
탄성체(140)의 중심 부분은 진동 전달부(160) 및 진동자(130)와 결합되고, 탄성체(140)의 테두리 부분은 돌출부(112)에 결합된다.
연결부(150)는 제1 요크(131)의 마그네트(133)가 결합된 면의 반대면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부(150)는 탄성체(14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50)는 탄성체(140)의 중심부와 인접한 탄성체(140)의 면과 결합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연결부(150)는 제1 요크(131)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0)는 탄성체(140)와 제1 요크(131)를 연결하면서 진동자(13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탄성체(140)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진동자(130)가 상하 왕복 운동하도록 지원한다.
진동 전달부(160)는 탄성체(140)와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다. 또한, 진동 전달부(160)는 하우징(11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진동 전달부(160)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112)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진동 전달부(160)는 노출부(161) 및 결합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부(161)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다. 노출부(161)는 돌출부(112)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노출부(161)의 측부는 케이스(111)와 돌출부(112)의 구조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62)는 노출부(161)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결합부(162)는 노출부(161)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노출부(16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부(162)는 탄성체(14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탄성체(140)에 결합된다.
진동 전달부(160)와 돌출부(112)의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의 이격 거리(A)는 진동자(130)와 코일(120)의 상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이격 거리(B)보다 짧을 수 있다. 만약, 이격 거리(A)가 이격 거리(B)보다 길게 되면 제1 요크(131)의 상면은 코일(120)의 상단과 접하게 되고, 제1 요크(131)가 더 내려가게 되면 제1 요크(131)와 코일(120)이 부딪히게 되어 손상을 입게 된다. 이렇게 되면 진동자(130)와 코일(120)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전자기력의 세기나 방향 등에 변화를 주게 되어 본래의 기능보다 떨어지거나 원하지 않은 방향의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부(160)와 돌출부(112)의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의 이격 거리(A)가 진동자(130)와 코일(120)의 상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이격 거리(B)보다 짧도록 돌출부(112), 진동 전달부(160) 및 제1 요크(131)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진동 전달부(160)는 진동 발생기(100)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진동 출력부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진동 출력부로 진동이 전달된다.
본 발명은 컨택부 및 신호입력단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대부분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에는 신호입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의 상면에는 도전체로 구성된 컨택부가 형성되고, 컨택부는 코일(120)의 인출선과 연결된다.
신호입력단에 전기가 인가되면, 전기는 회로기판을 통하여 컨택부와 연결된 인출선으로 인가된다. 그에 따라 코일(120)과 진동자(130)는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도 2는 도 1에서 진동자 및 진동 전달부가 상하 왕복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동자 및 진동 전달부가 상하 왕복운동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진동자(130) 및 진동 전달부(160)는 도 1과 같이 본래 위치에 있다가 전기가 코일(120)로 인가되고, 코일(120)과 진동자(130)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전자기력이 발생함에 따라 진동자(130)는 도 2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진동자(130)는 상방으로도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진동 전달부(160)와 돌출부(112)의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의 이격 거리(A)는 0이 되면서 진동자(130)와 코일(120)의 상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이격 거리(B)보다 짧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진동자(130)와 코일(120)의 상부가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진동 발생기(100)의 제품수명을 길게 가져갈 수 있고, 원하는 기능을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진동전달부의 상부에 전자장치의 진동출력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진동전달부의 상부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진동출력부(1)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진동전달부(160)의 상부에는 전자장치의 진동출력부(1)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자(130)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은 연결부(150), 탄성체(140) 및 진동 전달부(16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진동출력부(1)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진동 출력부로 진동이 전달된다.
상술한 진동 발생기(100)는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특히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적절한 진동을 형성하여 골전도용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고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진동 발생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진동출력부
100: 진동 발생기
110: 하우징
111: 케이스
112: 돌출부
120: 코일
130: 진동자
131: 제1 요크
132: 제2 요크
133: 마그네트
140: 탄성체
150: 연결부
160: 진동 전달부
161: 노출부
162: 결합부
100: 진동 발생기
110: 하우징
111: 케이스
112: 돌출부
120: 코일
130: 진동자
131: 제1 요크
132: 제2 요크
133: 마그네트
140: 탄성체
150: 연결부
160: 진동 전달부
161: 노출부
162: 결합부
Claims (12)
-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의 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권선부를 포함하는 코일;
중심 부분 및 상기 중심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에 결합되어 있는 테두리 부분을 포함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상기 중심 부분의 하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일의 상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일과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진동자; 및
상기 탄성체의 상기 중심 부분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의 상하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형성되는 진동 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전달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진동자와 상기 코일의 상부의 대향하는 부분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진동 발생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진동 발생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내부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되는 노출부 및 상기 노출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탄성체에 결합되는 진동 발생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중심 부분의 일면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진동자에 결합되는 진동 발생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중심 부분은 상기 진동 전달부 및 상기 진동자와 결합되는 진동 발생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진동 발생기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진동 출력부와 결합되는 진동 발생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코일의 빈 공간 속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마그네트;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 요크; 및
상기 마그네트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의 빈 공간 속에 삽입되게 위치하는 제2 요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기.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외주면과 대향하는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코일의 상부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과 결합되어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기.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은 상기 제1 요크와 결합되고, 하면은 상기 제2 요크와 결합되는 진동 발생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729A KR102250768B1 (ko) | 2018-12-21 | 2018-12-21 | 진동 발생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729A KR102250768B1 (ko) | 2018-12-21 | 2018-12-21 | 진동 발생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125A KR20200078125A (ko) | 2020-07-01 |
KR102250768B1 true KR102250768B1 (ko) | 2021-05-11 |
Family
ID=7160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7729A KR102250768B1 (ko) | 2018-12-21 | 2018-12-21 | 진동 발생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076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1440B1 (ko) * | 1999-12-17 | 2003-04-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진동 스피커 |
KR20090002530A (ko) * | 2007-06-30 | 2009-01-09 | 아이필유(주) | 소형 음향 유니트의 판 스프링 |
KR20090006526A (ko) * | 2007-07-12 | 2009-01-15 | 아이필유(주) | 소형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
KR100992096B1 (ko) * | 2007-11-20 | 2010-11-04 | 주식회사 알에프컴 | 골전도 스피커 |
KR20110117920A (ko) * | 2010-04-22 | 2011-10-28 | 나상일 | 오디오 출력장치용 진동 유닛 |
KR20170039116A (ko) * | 2017-03-31 | 2017-04-10 | 주식회사 예일전자 |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
-
2018
- 2018-12-21 KR KR1020180167729A patent/KR10225076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125A (ko) | 202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44323B2 (en) | Vibration sound-producing apparatus | |
CN107872137B (zh) | 线性振动马达 | |
KR101821669B1 (ko) | 선형 진동자 | |
CN207475380U (zh) | 线性振动马达 | |
US20150123498A1 (en) | Linear vibr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
US20180229270A1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KR20110004562A (ko) | 수평형 진동모터 | |
KR101184502B1 (ko) | 선형 진동자 | |
KR100639024B1 (ko) |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 |
KR101952301B1 (ko) |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 |
KR102250768B1 (ko) | 진동 발생기 | |
KR102250753B1 (ko) | 진동 발생기 | |
KR102264328B1 (ko) |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
KR102149025B1 (ko) | 음향 및 진동 발생기 | |
KR102226309B1 (ko) | 진동모터 | |
WO2019029051A1 (zh) | 一种线性振动马达 | |
KR102149029B1 (ko) | 음향 및 진동 발생기 | |
KR102054835B1 (ko) | 진동 모터 | |
KR102251218B1 (ko) | 진동모터 | |
KR102131846B1 (ko) | 선형 진동발생장치 | |
KR102054831B1 (ko) | 진동 모터 | |
JP2005013836A (ja) |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 |
KR102066662B1 (ko) | 진동 모터 | |
KR102037777B1 (ko) | 진동 모터 | |
KR102307549B1 (ko) | 진동모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