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301B1 -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2301B1 KR101952301B1 KR1020170139536A KR20170139536A KR101952301B1 KR 101952301 B1 KR101952301 B1 KR 101952301B1 KR 1020170139536 A KR1020170139536 A KR 1020170139536A KR 20170139536 A KR20170139536 A KR 20170139536A KR 101952301 B1 KR101952301 B1 KR 101952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pring
- linear vibration
- vibrator
- mass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5—Leaf spr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design of individual leaves
- F16F1/187—Leaf spr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design of individual leaves shaped into an open profile, i.e. C- or U-shap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와 브라켓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Linear vibration motor)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가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자와 케이스 또는 상기 진동자와 브라켓을 연결하는 스프링에 트위스트(twist)가 발생하여 상기 상하진동하는 진동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등과 접촉하여 소음과 충격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진동자에 포함되는 질량체를 수직운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가 포함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질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의 트위스트현상에 따라 케이스 내측과 상기 질량체 등이 접촉하여 불필요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가 포함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질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의 트위스트현상에 따라 케이스 내측과 상기 질량체 등이 접촉하여 불필요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스와 브라켓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Linear vibration motor)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가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자와 케이스 또는 상기 진동자와 브라켓을 연결하는 스프링에 트위스트(twist)가 발생하여 상기 상하진동하는 진동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등과 접촉하여 소음과 충격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진동자에 포함되는 질량체를 수직운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진동벨 등 내부에 진동발생장치 또는 리니어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기기(이하, 진동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며, 상기 진동기기의 개발과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상기 진동기기 중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리니어 진동모터가 포함하는 진동자의 상하진동이 진행할 경우, 상기 진동자의 일 구성요소인 질량체가 정확한 수직운동을 하지 않고 나선형상의 스프링의 구조특성에 따라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트위스트(twist)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 트위스트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상하구동시에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질량체 등이 접촉하여 충격 및 노이즈가 발생하며, 상기 진동자를 포함한 리니어 진동모터 전체에 데미지가 누적되며,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의 동작 시 사용자가 이를 소음으로 인식하므로, 이와 같은 충격 및 소음을 절감하도록 하는 스프링의 구조개선 기술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리니어 진동모터 내부의 진동자의 상하진동이 진행할 경우, 상기 진동자의 일 구성요소인 질량체가 정확한 수직운동을 하지 않고 상하구동의 중심축이 좌우로 미려하게 움직이며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트위스트(twist)현상이 발생하며, 케이스 내측과 상기 질량체 등이 접촉하여 불필요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가 포함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 밴딩부를 포함하며 일단이 진동자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어 진동자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상기 질량체의 중공부에 삽입고정되어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상기 질량체의 중공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대칭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질량체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상의 질량체의 네귀퉁이에 형성된 제1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상기 질량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2개의 플레이트형 스프링이 마주보고 1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1쌍의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상기 질량체의 중공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어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질량체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상의 질량체의 네귀퉁이에 형성된 제1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 밴딩부 및 지지컵을 포함하며 일단이 진동자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어 진동자를 구성하는 질량체 및 상기 질량체의 중공부에 삽입고정되어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일체형의 스프링구성으로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 중앙에 코일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상기 질량체의 중공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어 구비되되, 상기 질량체를 지지하며 상기 마그넷과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일단에 지지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대칭되되, 상기 질량체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상의 질량체의 중앙측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가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 또는 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가 포함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질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의 트위스트현상에 따라 케이스 내측과 상기 질량체 등이 접촉하여 불필요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1쌍의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질량체의 상면도와 각 축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와 플레이트형 스프링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와 지지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지지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1쌍의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질량체의 상면도와 각 축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와 플레이트형 스프링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와 지지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지지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상기 진동기기 중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리니어 진동모터가 포함하는 진동자의 상하진동이 진행할 경우, 상기 진동자의 일 구성요소인 질량체가 정확한 수직운동을 하지 않고 일반적인 나선형상의 스프링의 구조특성에 따라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트위스트(twist)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 트위스트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상하구동시에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질량체 등이 접촉하여 충격 및 노이즈가 발생하며, 상기 진동자를 포함한 리니어 진동모터 전체에 데미지가 누적되며,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의 동작 시 사용자가 이를 소음으로 인식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브라켓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Linear vibration motor)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가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자와 케이스 또는 상기 진동자와 브라켓을 연결하는 스프링에 트위스트(twist)가 발생하여 상기 상하진동하는 진동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등과 접촉하여 소음과 충격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진동자에 포함되는 질량체를 수직운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확인하면, 나선형상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며, 대칭구조를 가지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을 참고하면,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100),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300)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400), 밴딩부(510)를 포함하며 일단이 진동자(80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상기 스프링(500)의 일단에 고정되어 진동자(800)를 구성하는 질량체(600) 및 상기 질량체(600)의 중공부(610)에 삽입고정되어 구비되는 마그넷(700)을 포함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리니어 진동모터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브라켓(2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FPCB(300)를 통해 외부전원이 해당 리니어 진동모터 측으로 인가된다.
이 경우, 상기 FPCB(3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은 해당 리니어 진동모터 내부에 구비된 코일로 전달되며,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코일의 주변에 위치한 마그넷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며 상기 마그넷을 상하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넷(700)은 상기 질량체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호작용을 일으키며 상하운동을 하게 될 경우 함께 결합된 질량체와 함께 보다 큰 힘으로 상하구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밴딩부(51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구조특성상, 상기 질량체와 결합한 마그넷 즉, 진동자(800)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온전하게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하 구동 이외의 좌우구동 또는 나선형 스프링의 구조특성에 따른 회전구동 등이 부가되지 않는 특징이 존재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설치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상기 질량체(600)의 중공부(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은 상기 질량체를 기준으로 좌우/상하 등 대칭되는 위치라면 방향과 관계없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칭구조의 특징상 상기 대칭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에 따라 대칭형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구조 특성상 안정적으로 비틀림이나 트위스팅 없이 상기 진동자(800) 구성을 상하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700)과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사이에는 마그넷 요크(710)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400)의 상부에는 코일요크(410)가 부가되어, 상기 마그넷(7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되, 자성의 전달과 마그넷-코일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더욱 자성을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에는 1개 이상의 만곡부(54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만곡부의 완만하게 얇아지는 스프링구성을 통하여, 밴딩부의 효율적인 밴딩구동이 가능하고, 스프링 생산에 요구되는 원자재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상기 질량체(600)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상의 질량체(600)의 네귀퉁이에 형성된 제1가공부(6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가공부(62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질량체(600)가 상하 구동을 할 경우, 하방으로 운동을 진행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과 접촉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존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1쌍의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도 4 (a) 및 (b)에서는 2개의 밴딩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을 도시하며 도 5 (a) 및 (b)에서는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구성을 갖추기 위한 2개의 밴딩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이 상기 질량체(6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구조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며, 하나의 포인트가 아닌 2개의 포인트로 상기 질량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중간부분이 절개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이 1쌍을 형성하여 상기 질량체(600)의 중공부(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에 삽입되는 질량체의 상면도와 각 축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와 플레이트형 스프링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을 가지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네귀퉁이가 각각 가공된 형상을 가지는 질량체(600)의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질량체(600)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상의 질량체(600)의 네귀퉁이에 형성된 제1가공부(6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가공부(62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질량체(600)가 상하 구동을 할 경우, 하방으로 운동을 진행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과 접촉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존재한다.
각각 YY', XX' 및 ZZ'축을 기준으로 한 단면의 형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 7에서는 상기 ZZ'축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살펴보았을 때, 상기 질량체 단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돌출구성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과 결합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a)에서는 질량체요크(640) 구성을 상기 질량체(600)와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사이에 구비하여, 보다 안정성 있는 질량체(600)와 스프링(500)간의 고정구조를 마련한 특징이 존재하며, 도 7 (b)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질량체요크(640) 없이 상기 질량체(600)와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을 직결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나선형상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며, 지지컵(520)을 포함하며 대칭구조를 가지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리니어 진동모터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a)에서는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100),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300)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400), 밴딩부(510) 및 지지컵(520)을 포함하며 일단이 진동자(80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상기 스프링(500)의 일단에 고정되어 진동자(800)를 구성하는 질량체(600) 및 상기 질량체(600)의 중공부(610)에 삽입고정되어 구비되는 마그넷(700)을 포함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의 (b)는, 질량체에 제1가공부(620)가 추가적으로 가공된 형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구체적인 지지컵(520)을 구비한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설치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컵(520)을 구비한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상기 질량체(600)의 중공부(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상기 질량체(6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상하 등 대칭되는 위치라면 방향과 관계없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칭구조의 특징상 상기 대칭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에 따라 대칭형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구조 특성상 안정적으로 비틀림이나 트위스팅 없이 상기 진동자(800) 구성을 상하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700)과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지지컵(520) 상부에 위치하는 마그넷 요크(710)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400)의 상부에는 코일요크(410)가 부가되어, 상기 마그넷(7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되, 자성의 전달과 마그넷-코일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더욱 자성을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컵(520)이 구비된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에는 1개 이상의 만곡부(54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만곡부의 완만하게 얇아지는 스프링구성을 통하여, 밴딩부의 효율적인 밴딩구동이 가능하고, 스프링 생산에 요구되는 원자재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와 지지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 (a), (b), (c) 및 (d)는 각각 질량체와 지지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가 결합한 구성의 상면도, 정면도 및 하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컵(520)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상기 질량체(600)의 하단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질량체(6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부(610)의 하부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컵(520)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컵(520)의 상부에 상기 마그넷(700)이 위치하며, 상기 마그넷(700)은 질량체(600)와 고정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질량체(600)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상의 질량체(600)의 네귀퉁이에 형성된 제1가공부(620) 또는 상기 질량체(600)의 중앙측부에 적어도 2개상의 제2가공부(6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가공부(620) 또는 상기 제2가공부(63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질량체(600)가 상하 구동을 할 경우, 하방으로 운동을 진행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과 접촉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존재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지지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의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는 하나의 밴딩부(510)와 지지컵(520)을 가지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을 도시하고 있으며, (b)는 2개의 밴딩부(510)와 지지컵(520)을 가지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을 도시하고 있으며, (c)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2개의 밴딩부(510)를 포함하고, 지지컵(520)과 관통홀(530)을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을 도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밴딩부(510)를 구비함으로써, 밴딩부(510)의 일정수준 이상의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며, 지지컵(520)의 단부를 연결하여 관통홀(530)을 포함하는 하나의 지지컵(520)의 형태를 갖추는 구성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질량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리니어 진동모터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일단이 진동자(800)에 결합되며, 타단이 케이스(100)에 고정된 형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일단이 진동자(800)에 결합되며, 타단이 케이스(100)에 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나,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일단이 진동자(800)에 결합되며, 타단이 브라켓(200)에 고정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200 : 브라켓
300 : FPCB
400 : 코일
410 : 코일요크
500 : 플레이트형 스프링
510 : 밴딩부
520 : 지지컵
530 : 관통홀
540 : 만곡부
600 : 질량체
610 : 중공부
620 : 제1가공부
630 : 제2가공부
640 : 질량체 요크
700 : 마그넷
710 : 마그넷 요크
800 : 진동자
200 : 브라켓
300 : FPCB
400 : 코일
410 : 코일요크
500 : 플레이트형 스프링
510 : 밴딩부
520 : 지지컵
530 : 관통홀
540 : 만곡부
600 : 질량체
610 : 중공부
620 : 제1가공부
630 : 제2가공부
640 : 질량체 요크
700 : 마그넷
710 : 마그넷 요크
800 : 진동자
Claims (14)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리니어 진동모터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100);
상기 리니어 진동모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300)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400);
밴딩부(510) 및 지지컵(520)을 포함하며 일단이 진동자(80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상기 스프링(500)의 일단에 고정되어 진동자(800)를 구성하는 질량체(600); 및
상기 질량체(600)의 중공부(610)에 삽입고정되어 구비되는 마그넷(700);
을 포함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일체형의 스프링구성으로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 중앙에 코일(400)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5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상기 질량체(600)의 중공부(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대칭되어 구비되되, 상기 질량체(600)를 지지하며 상기 마그넷(700)과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일단에 지지컵(5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은,
짝수개로 구비되어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600)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상의 질량체(600)의 네귀퉁이에 형성된 제1가공부 또는 중앙측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가공부(6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스프링(500)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100) 또는 브라켓(200)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9536A KR101952301B1 (ko) | 2017-10-25 | 2017-10-25 |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
US16/166,322 US10892674B2 (en) | 2017-10-25 | 2018-10-22 | Linear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plate type spring having bent portion |
CN201811246707.5A CN109713870B (zh) | 2017-10-25 | 2018-10-24 | 具备带折弯部的板型弹簧的线性振动发生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9536A KR101952301B1 (ko) | 2017-10-25 | 2017-10-25 |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2301B1 true KR101952301B1 (ko) | 2019-02-26 |
Family
ID=6556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9536A KR101952301B1 (ko) | 2017-10-25 | 2017-10-25 |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892674B2 (ko) |
KR (1) | KR101952301B1 (ko) |
CN (1) | CN109713870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7028A (ko) * | 2019-01-10 | 2020-07-20 | 주식회사 이엠텍 | 액추에이터 |
KR20210076621A (ko) * | 2019-12-16 | 2021-06-24 | 자화전자(주) |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선형 진동발생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29854B2 (ja) * | 2012-05-22 | 2016-11-24 | ミネベア株式会社 | 振動子及び振動発生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858B1 (ko) * | 2013-10-02 | 2015-01-28 | 부전전자 주식회사 | 장방형 수직 선형 엑츄에이터 |
WO2016194762A1 (ja) * | 2015-05-29 | 2016-12-08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リニア振動モータ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34259B2 (en) * | 2009-12-03 | 2012-03-1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inear vibrator |
KR101004879B1 (ko) * | 2010-05-25 | 2010-12-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선형 진동자 |
KR101163612B1 (ko) | 2010-12-01 | 2012-07-09 | 자화전자(주) | 선형 진동 발생장치 |
KR101583641B1 (ko) * | 2014-08-07 | 2016-01-08 | (주)하이소닉 | 햅틱 액추에이터 |
CN204993010U (zh) | 2015-08-18 | 2016-01-20 |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 一种振动马达和电子设备 |
CN205081656U (zh) | 2015-10-16 | 2016-03-09 |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 线性振动电机 |
KR102026901B1 (ko) * | 2017-08-25 | 2019-11-04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코일의 단선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
-
2017
- 2017-10-25 KR KR1020170139536A patent/KR1019523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0-22 US US16/166,322 patent/US10892674B2/en active Active
- 2018-10-24 CN CN201811246707.5A patent/CN10971387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858B1 (ko) * | 2013-10-02 | 2015-01-28 | 부전전자 주식회사 | 장방형 수직 선형 엑츄에이터 |
WO2016194762A1 (ja) * | 2015-05-29 | 2016-12-08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リニア振動モータ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7028A (ko) * | 2019-01-10 | 2020-07-20 | 주식회사 이엠텍 | 액추에이터 |
KR102167417B1 (ko) | 2019-01-10 | 2020-10-19 | 주식회사 이엠텍 | 액추에이터 |
KR20210076621A (ko) * | 2019-12-16 | 2021-06-24 | 자화전자(주) |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선형 진동발생장치 |
KR102354173B1 (ko) | 2019-12-16 | 2022-01-24 | 자화전자(주) |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선형 진동발생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892674B2 (en) | 2021-01-12 |
CN109713870B (zh) | 2020-12-04 |
CN109713870A (zh) | 2019-05-03 |
US20190123628A1 (en) | 2019-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95422B2 (ja) | 振動モーター | |
US10742104B2 (en) | Linear vibrating motor with transverse cross structure | |
US8242642B2 (en) | Vibration actuator | |
US10536064B2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US10315221B2 (en) | Vibration motor | |
US9966827B2 (en) | Flat linear vibration motor with two vibrators and two resonant frequencies | |
CN105207440A (zh) | 磁平衡导向线性振动马达 | |
US10170965B2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US20130099602A1 (en) | Linear vibrator | |
KR101952301B1 (ko) |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 |
KR101478992B1 (ko) | 수평 진동 모터 | |
US20180229270A1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CN106712434B (zh) | 线性振动马达 | |
US9954425B2 (en) | Linear vibrating motor | |
US10141825B2 (en) | Vibration motor | |
US10003245B2 (en) | Linear vibrating motor | |
US10992215B2 (en) | Vibration motor | |
KR101321729B1 (ko) | 모바일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 |
KR101028498B1 (ko) | 듀얼 모드 진동기 | |
KR100410969B1 (ko) | 다기능 액츄에이터 | |
KR20130000826U (ko) | 선형 진동발생 장치 | |
CN205583977U (zh) | 线性振动马达 | |
CN216672828U (zh) | 振动装置 | |
KR102037777B1 (ko) | 진동 모터 | |
KR101028497B1 (ko) | 듀얼 모드 진동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