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950B1 -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950B1
KR102249950B1 KR1020190120042A KR20190120042A KR102249950B1 KR 102249950 B1 KR102249950 B1 KR 102249950B1 KR 1020190120042 A KR1020190120042 A KR 1020190120042A KR 20190120042 A KR20190120042 A KR 20190120042A KR 102249950 B1 KR102249950 B1 KR 10224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tube
catheter
wi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420A (ko
Inventor
박광보
김상헌
고인범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9012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9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61M2027/004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with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ut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75Gall bladder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는, 전단부는 피그테일(pigtail) 형상을 가지며, 전단부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액홀이 형성되는 튜브, 신체 내부의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해 튜브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스텐트 및 튜브와 스텐트의 제어를 위해 튜브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튜브의 중공에는 스텐트와 연결되어 스텐트의 팽창을 제어하는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DRAINAGE CATHETER WITH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관의 협착으로 원활하지 않은 담즙의 흐름을 체내 또는 체외로까지 배출이 가능하며, 좁아진 협착 부위를 스텐트로 확장하여 치료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 이식(liver transplantation)에 따른 문합된 담관 부위의 협착(stenosis)은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이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시술 재료로서 카테터가 이용된다. 종래에는 협착 부위에 스텐트(stent)를 삽입하고 다시 빼는 시술을 시행하거나 18 Fr(French Size: 프렌치사이즈)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굵은 배액용 카테터를 담관의 협착 부위에 장시간 삽입해 두는 방식으로 치료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들은 치료를 위한 카테터의 삽입 과정 및 삽입 이후 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은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사람마다 협착 부위가 다르거나 신체구조 상 총 담관의 위치 자체가 다를 수 있으므로, 협착 부위로의 정확한 타켓팅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카테터 자체를 움직여야 하므로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의 불편함 및 사용 상의 번거로움이 커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6539호 (2011.05.3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테터의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스텐트가 결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합병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담도계 협착 부위의 확장 및 배액을 통한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카테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스텐트의 구조, 동작 방식 등이 담도계 협착 부위의 확장을 통한 치료에 최적화된 카테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는, 전단부는 피그테일(pigtail) 형상을 가지며, 전단부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액홀이 형성되는 튜브, 신체 내부의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해 튜브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스텐트 및 튜브와 스텐트의 제어를 위해 튜브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튜브의 중공에는 스텐트와 연결되어 스텐트의 팽창을 제어하는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가 결합된 튜브의 일 영역은 나머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는 니티놀(nitinol)을 이용한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의 일 부분은 튜브의 일 영역에 감겨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는 와이어에 작용하는 인장력(tensile force) 또는 회전력(torque)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작유닛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조작유닛과 연결된 와이어에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스텐트가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작유닛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조작유닛과 연결된 와이어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스텐트의 일 부분이 튜브의 일 영역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배액용 카테터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경피경간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통해 카테터가 삽입되는 부위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합병증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와 일체로 결합된 스텐트를 통해 담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카테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의 부담을 줄이고, 시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의 사용양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른 스텐트의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른 스텐트의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구조를 나타낸 (a) 평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의 사용양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는 피부를 통과하여 협착이 있는 담관의 부위까지 삽관됨으로써 협착 부위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카테터의 전단부는 경피경간을 통해서(i.e. 피부와 간을 통과하여) 간담도의 총담관 내부의 일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다. 카테터의 전단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스텐트(20)는 전단부의 위치에 따라 총담관 근방의 협착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치료의 타켓이 되는 지점으로 정확히 스텐트(20)가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텐트(20)가 확장되어 총담관 근방의 협착 지점은 확장될 수 있으며, 확장 이후 치료를 위해 카테터의 전단부에서는 치료액이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는, 전단부는 피그테일(pigtail) 형상을 가지며, 전단부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액홀(11)이 형성되는 튜브(10), 신체 내부의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해 튜브(10)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스텐트(20) 및 튜브(10)와 스텐트(20)의 제어를 위해 튜브(10)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본체부(30)를 포함하되, 튜브(10)의 중공에는 스텐트(20)와 연결되어 스텐트(20)의 팽창을 제어하는 와이어(4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배액홀(11)은 삽입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그테일 형상으로 감겨있는 전단부의 안쪽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액홀(11)을 통해서만 치료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튜브(10)의 전단부의 끝은 폐쇄되는 반면, 치료액이 투입되도록 튜브(10)의 후단부의 끝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텐트(20)는 튜브(10)의 전단부의 후방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스텐트(20)는 2개의 와이어(40)의 전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텐트(20)는 튜브(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와이어(40)와는 달리 튜브(10)의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텐트(20)와 연결되는 와이어(40)의 개수는 스텐트(20)의 구조 또는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튜브(10) 및 스텐트(20)와는 달리 사용자의 파지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지 않고 신체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30)를 통해 사용자는 튜브(10)로의 치료액 주입, 스텐트(20)의 팽창 등과 같은 튜브(10)와 스텐트(20)의 동작 및 기능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40)의 개수에 맞추어 본체부(30)에 구비된 조작유닛(31)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와이어(40)가 움직이게 되고, 와이어(40)의 전단부와 연결된 스텐트(20)가 팽창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담관 협착증 환자의 시술을 담당한 주치의 등을 포함하는 임상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40)의 움직임에 따른 스텐트(20)의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20)가 결합된 튜브(10)의 일 영역은 나머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튜브(10)의 삽관에 따른 부작용 및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스텐트(20)로 인해 튜브(10)의 직경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에서는 스텐트(20)가 팽창되기 전(i.e. 튜브(10)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 스텐트(20)를 포함하는 튜브(10)의 전체 직경이 스텐트(20)가 위치하지 않는 튜브(10)의 전체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20)가 결합된 튜브(10)의 일 영역의 직경을 l1, 나머지 영역의 직경을 l2 라고 하면, 도 3의 (a)와 같이 l1 은 l2 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텐트(20)는 l2 와 l1 의 차이만큼의 두께를 가지므로, 튜브(10)의 일 영역에 결합된 스텐트(20)를 포함하는 튜브(10)의 전체 직경은 l2 로 모두 동일하게 통일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와 같이 형성되는 튜브(10)의 일 영역에 결합된 스텐트(20)는 안정적으로 협착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협착 부위에 도달한 스텐트(20)는 와이어(40)의 움직임에 따라 팽창되고, 팽창된 스텐트(20)는 도 3의 (b)와 같이 l2 이상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협착 부위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20)는 니티놀(nitinol)을 이용한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니티놀은 형상기억합금의 일종으로 니켈(Ni)과 티탄(Ti)을 섞은 비자성 합금을 말한다. 즉, 니티놀은 메커니컬 메모리(mechanical memory)를 가지므로,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형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는 순간 최초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니티놀을 이용하여 스텐트(20)를 제작하면, 튜브(10)가 삽입될 시에는 와이어(40)를 이용하여 스텐트(20)를 수축시켜 튜브(10)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튜브(10)가 삽입된 이후에는 스텐트(20)를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i.e. 스텐트(20)를 팽창시킴으로써), 협착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니티놀을 이용한 메쉬 구조로 형성된 스텐트(20)의 일측은 튜브(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와이어(40)를 연결됨으로써 스텐트(20)의 팽창이 제어될 수 있다. 와이어(40)가 튜브(10)의 후단부 방향으로 당겨지면, 와이어(40)에 작용하는 인장력(tensile force)에 의해 스텐트(20)가 튜브(10)의 후단부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수축 변형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이 튜브(10)의 후단부 방향으로 당겨지던 와이어(40)가 느슨해지면, 스텐트(2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스텐트(20)는 자가 팽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4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제어됨으로써, 스텐트(20)의 팽창 또는 수축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30)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와이어(4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유닛(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작유닛(31)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조작유닛(31)과 연결된 와이어(40)에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스텐트(20)가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유닛(31)은 와이어(40)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도 4의 (a)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 또는 도 4의 (b)와 같이 피벗 회전 방식을 통해 와이어(40)의 인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방식의 조작유닛(31)이 사용자에 의해 튜브(10)의 전단부를 향해 이동하면, 조작유닛(31)의 후방에 연결된 와이어(40)가 당겨짐으로써 튜브(10)의 후단부를 향한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스텐트(20)가 당겨짐으로써 스텐트(20)는 수축될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딩 방식의 조작유닛(31)이 사용자에 의해 튜브(10)의 후단부를 향해 이동하면, 조작유닛(31)의 후방에 연결된 와이어(40)가 느슨해지면서 튜브(10)의 후단부를 향한 인장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인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스텐트(20)에 작용하는 외력 또한 제거됨으로써, 수축되었던 스텐트(20)는 팽창되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피벗 회전 방식의 조작유닛(31)이 사용자에 의해 튜브(10)의 전단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40)가 조작유닛(31)의 중심축에 감겨짐으로써 튜브(10)의 후단부를 향한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스텐트(20)가 당겨짐으로써 스텐트(20)는 수축될 수 있다. 반대로 피벗 회전 방식의 조작유닛(31)이 사용자에 의해 튜브(10)의 후단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40)가 조작유닛(31)의 중심축에서 풀어짐으로써 튜브(10)의 후단부를 향한 인장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인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스텐트(20)에 작용하는 외력 또한 제거됨으로써, 수축되었던 스텐트(20)는 팽창되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40)의 움직임에 따른 스텐트(20)의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20)의 일 부분은 튜브(10)의 일 영역에 감겨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20)의 절반이 말린 상태로 튜브(10)의 일 영역에 맞닿아 금속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즉, 금속부재를 중심으로 스텐트(20)의 일부는 감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튜브(10)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금속부재와 와이어(40)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와이어(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40)와 일체로 연결된 금속부재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금속부재와 스텐트(20)의 일 부분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텐트(20)가 금속부재에 감겨 수축될 수 있다. 스텐트(20)가 완전히 수축되었을 경우, 튜브(10)의 일 영역에 결합된 스텐트(20)를 포함하는 튜브(10)의 전체 직경은 l2 일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와이어(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40)와 일체로 연결된 금속부재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금속부재와 스텐트(20)의 일 부분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금속부재에 감겨있던 스텐트(20)의 일 부분이 풀어짐에 따라 스텐트(20)는 팽창할 수 있다. 다만, 스텐트(20)의 팽창 또는 수축을 결정하는 와이어(40)의 회전 방향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30)의 구조를 나타낸 (a) 평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와이어(40)에 작용하는 회전력(torque)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유닛(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작유닛(31)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조작유닛(31)과 연결된 와이어(40)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스텐트(20)의 일 부분이 튜브(10)의 일 영역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유닛(31)은 와이어(40)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도 6과 같은 회전 방식을 통해 와이어(4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조작유닛(31)은 사용자에 의해 본체부(3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작유닛(31)의 중심축 상에 와이어(4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조작유닛(31)이 본체부(3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조작유닛(31)의 중심축과 연결된 와이어(40)가 본체부(30)의 수평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작유닛(31)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40) 자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스텐트(20) 역시 회전함으로써 스텐트(20)는 수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조작유닛(31)은 와이어(40) 각각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와이어(40)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본체부(30)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0)의 개수가 2개라면, 조작유닛(31)도 와이어(40)의 위치 및 개수에 맞추어 본체부(30)의 상하단에 각각 하나씩(i.e. 총 2개) 형성될 수 있다. 각 조작유닛(31)은 개별적으로 컨트롤될 수 있으므로, 조작유닛(31)과 와이어(40)를 통해 연결된 스텐트(20) 역시 각각 개별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튜브 11: 배액홀
20: 스텐트 30: 본체부
31: 조작유닛 40: 와이어

Claims (7)

  1.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에 있어서,
    전단부는 피그테일(pigtail)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단부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액홀이 형성되는 튜브;
    신체 내부의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해 상기 튜브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스텐트; 및
    상기 튜브와 스텐트의 제어를 위해 상기 튜브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중공에는 상기 스텐트와 연결되어 상기 스텐트의 팽창을 제어하는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회전력(torque)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유닛과 연결된 와이어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텐트의 일 부분이 상기 튜브의 일 영역에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가 결합된 튜브의 일 영역은 나머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니티놀(nitinol)을 이용한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일 부분은 상기 튜브의 일 영역에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20042A 2019-09-27 2019-09-27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KR10224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042A KR102249950B1 (ko) 2019-09-27 2019-09-27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042A KR102249950B1 (ko) 2019-09-27 2019-09-27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420A KR20210037420A (ko) 2021-04-06
KR102249950B1 true KR102249950B1 (ko) 2021-05-11

Family

ID=7547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042A KR102249950B1 (ko) 2019-09-27 2019-09-27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9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87B1 (ko) 2010-05-27 2011-03-15 변기현 사전확장 벌룬 및 스텐트 벌룬이 일체로 구비된 카테터
US20190000653A1 (en) 2013-03-15 2019-01-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deliv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484A (en) * 1988-07-25 1990-05-01 Cordis Corporation Mesh balloon catheter device
JP2012501803A (ja) 2008-09-10 2012-01-26 イーブイ3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ステント配備を有するステントおよびカテーテル
KR101109696B1 (ko) * 2009-01-22 2012-01-31 신경민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KR20110001551U (ko) * 2009-08-07 2011-02-15 이치영 벌룬 확장 배액용 카테터
US10028854B2 (en) * 2012-02-02 2018-07-24 Covidien Lp Stent retaining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87B1 (ko) 2010-05-27 2011-03-15 변기현 사전확장 벌룬 및 스텐트 벌룬이 일체로 구비된 카테터
US20190000653A1 (en) 2013-03-15 2019-01-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deli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420A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3027B2 (en) Instrument for maintaining inner diameter of tubular organs and catheter provided with said instrument
JP6034507B2 (ja) 血栓フィルター及びその使用方法
US6645239B1 (en) Flexible and self-expandable stent and inserting device for such stents
EP0380666B1 (en) Tool for securing inner diameter of inner cavity of tubular organ
EP1951150B1 (en) Stent with anchoring portion
US5902266A (en) Method for delivering a liquid solution to the interior wall surface of a vessel
US6790223B2 (en) Delivering a uretheral stent
JP4463477B2 (ja) 完全閉塞用ガイドワイヤ装置
EP1885288B1 (en) Drainage stent and associated method
EP3065675B1 (en) Endoluminal device
CA2984633C (en) Shaped delivery sheath and methods
EP2939640A1 (en) Highly flexible stent
US20170367856A1 (en) Stent
US20100179633A1 (en) Tissue Penetration Device and Method
JP2020508088A5 (ko)
JPH05200121A (ja) 狭窄を拡張するための装置
JP2003527939A (ja) 回収可能な自己膨張式の分流器
JP6317826B2 (ja)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504466A (ja) 眼内レンズ注入器
KR20200016190A (ko) 확장 보조 전달 와이어에 의한 스텐트 전달
KR102249950B1 (ko)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WO2016025820A1 (en) Locking mechanism
JPH01119266A (ja) 体腔の内径確保用装置
EP4037609A1 (en) Vascular prosthesis
KR102222395B1 (ko) 벌룬의 확장이 가능한 배액용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