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638B1 -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638B1
KR102249638B1 KR1020190095730A KR20190095730A KR102249638B1 KR 102249638 B1 KR102249638 B1 KR 102249638B1 KR 1020190095730 A KR1020190095730 A KR 1020190095730A KR 20190095730 A KR20190095730 A KR 20190095730A KR 102249638 B1 KR102249638 B1 KR 102249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shelf
power
power suppl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059A (ko
Inventor
양윤선
Original Assignee
양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선 filed Critical 양윤선
Priority to KR102019009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638B1/ko
Priority to US17/630,047 priority patent/US11986093B2/en
Priority to EP20849170.4A priority patent/EP4011242B1/en
Priority to PCT/KR2020/008904 priority patent/WO2021025303A1/ko
Priority to CN202080054606.7A priority patent/CN114175419B/zh
Priority to JP2022507397A priority patent/JP7297195B2/ja
Publication of KR2021001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7Horizontal rails as suspension means in a cantilever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ide walls of the ladder type
    • A47B57/3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ide walls of the ladder type with hooks on the shelf supports to engage the rungs of the lad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4Connecting locations formed by flush moun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02G5/025Supporting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는, 선반 전원공급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뛰어나며, 가변적인 현장 상황에 맞게 간단하고 확장성 있는 전원공급 시공이 가능하며 전원공급 장치의 탈착과 부착이 손쉽게 이뤄질 수 있는 전원이 공급되는 선반 거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는, 상면이 개방된 ㄷ자의 레일 형상으로 구성된 트랙; 트랙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내부에 트랙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개방된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에 따라 가로지르는 봉이 설치되어 선반을 거치하고 지지하는 선반거치대; 트랙의 일단 또는 타단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파워공급기; 및 선반거치대의 봉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트랙에 장착되며 선반에 전원을 연결하는 트랙커넥터;를 포함하되, 트랙은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도체가 구비되고, 선반거치대의 내부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 상단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꺾여 형성된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Detachable Type Power Supply Shelf H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선반거치대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뛰어나며, 현장 상황에 맞는 간단하고 가변적인 공정을 통해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전원공급 장치가 탈부착식으로 구성되어 확장성 있게 전원공급 시설을 운용할 수 있는 선반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는, 거치대 내측에 전도체가 내장된 트랙이 구비되고, 트랙의 일단 또는 타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공급기가 부착되며, 선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가 선반거치대의 커넥터삽입부의 임의의 위치에 삽입되면 전원이 연결되어 선반에 조명 점등과 같은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트랙은 거치대 내부에 탈착과 부착이 자유로워 거치대 시공 후에 필요에 따라 전원공급 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며,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외부 노출부위가 적어 미관이 향상되며, 그 설치방법이 간단하여 기 설치된 선반거치대에도 손쉽게 적용 가능한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제품이나 작품의 전시 및 진열 등을 위해 사용되는 선반에 있어서, 최근에는 단순한 전시, 진열의 기능뿐 아니라 시각적 전시 효과를 높이기 위해 조명 등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여 전기가 공급되는 선반이 제공되고 있다.
선반에 전기의 공급을 하기 위해서는 콘센트로부터 전원 케이블을 선반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이기는 하나, 미관 상 좋지 않고 전기를 끌어오기 위한 별도의 노동력과 장치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나 현장 설비가 종료된 이후 차후에 전원 공급의 필요성일 제기되는 경우 기존 시설의 해체와 재시공을 물론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원공급 시설과의 위치 문제 등으로 아예 전원 공급이 불가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선반의 측면에 위치한 선반 거치대에 전기선을 내장하여 원하는 곳에 플러그를 꽂고 전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선이 내장된 기존 방식의 선반 거치대의 경우, 현장의 전원공급 위치 등의 조건이 상이한 것에 관한 고려 없이 일률적으로 통전장치가 내장되어있고 실제 현장에서는 전원 케이블과의 거리나 위치 등이 맞지 않아 사용이 어렵거나 불필요한 위치에 구비되어 비용만 증가하고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거치대 내측에 전도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선반 설치 시 전기시설 병행 작업이 어려우며, 따라서 공장에서 내장된 형태로 시공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현장상황에 따른 가변적인 시공방식이 적용되기 어려워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게다가 선반 구조체에 전기 설비가 기 완료된 이후에는 추후 필요에 따라 전기 공급장치를 차단하고자 해도 내장된 전기시설을 제거하는 것이 아예 불가하거나, 또는 가능하더라도 그 방법이 매우 어려워 많은 시간과 노동력 및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2473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선반의 측면 갈고리가 거치되어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거치대의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레일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면에 전도체를 구비한 트랙을 장착하고, 트랙의 일단과 타단에는 파워공급기를 연결하여 트랙의 전도체에 전원을 공급하며, 선반에 전기를 공급하는 트랙커넥터를 선박거치대의 봉과 봉 사이의 임의의 공간을 통해 삽입하여 트랙에 접속하여 파워공급기의 전원을 통전하여 선반에 전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트랙은 선반거치대의 내부에 탈착과 부착이 간단한 방법으로 손쉽게 이뤄질 수 있어 전원 공급이 필요한 선반에 대해 현장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케이블이 외부로 길게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뛰어나며 그 설치방법이 간단하여 기 설치된 선반거치대에도 손쉽게 적용 가능한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는, 상면이 개방된 ㄷ자의 레일 형상으로 구성된 트랙; 트랙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내부에 트랙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개방된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에 따라 가로지르는 봉이 설치되어 선반을 거치하고 지지하는 선반거치대; 트랙의 일단 또는 타단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파워공급기; 및 선반거치대의 봉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트랙에 장착되며 선반에 전원을 연결하는 트랙커넥터;를 포함하되, 트랙은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도체가 구비되고, 선반거치대의 내부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 상단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꺾여 형성된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반거치대는, 내부 측면과 하면에 트랙이 접하며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트랙수용부; 내측 양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하부로는 트랙의 헤드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봉 사이에 형성되어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트랙커넥터는, 일단은 육면체의 형상으로써 트랙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커넥터바디; 타단은 트랙의 전류를 선반에 연결하는 선반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파워공급기는, 일단은 트랙에 수용되는 형상으로써 트랙에 삽입되는 파워바디; 타단은 전원을 공급받는 파워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바디는, 트랙과 접하는 측면에 구비되어 전도체와 접하여 통전하는 커넥터전극; 및 헤드에 맞물려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커넥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바디는, 일측은 트랙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파워헤드; 타측은 파워헤드보다 넓게 형성되어 트랙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파워테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파워헤드는, 전도체와 접하는 측면 부위에 복수로 구비되는 파워전극; 상단 양 모서리에 헤드에 대응되는 홈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헤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육면체의 형상으로써 내부에 선반거치대를 수용하는 형상의 거치대수용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프레임은, 선반거치대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위에 돌출되어 지지하는 탄성고정부; 탄성고정부에 인접하여 나사로 결합되어 선반거치대를 고정하는 나사결합부; 및 내측면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선반에 전원 공급 시 케이블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길게 연장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고 깔끔한 인테리어로 구성할 수 있다.
둘째, 선반 설치를 위한 작업현장에서 선반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 현장의 다양하고 특수한 변수에 관계없이, 전도체가 내장된 트랙을 이용하여 손쉽게 통전시킬 수 있어 작업공정이 간소화되고 노동력이 감소하며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트랙 내측면에 깊게 내장된 전도체를 통해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통전시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기합선 등의 우려가 현격히 줄어들며 안전하다.
넷째, 선반거치대의 내부에 전도체를 구비한 트랙이 구성되므로 외부에서 전혀 눈에 띄지 않도록 전원공급시설이 갖추어질 수 있어 선반에 전시되는 작품 또는 제품의 인테리어 효과가 높다.
다섯째, 선반거치대 내부에 전도체를 구비한 트랙의 탈착과 부착 공정이 간단하여, 전기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트랙을 장착하고, 전기가 필요 없는 곳에서는 손쉽게 트랙을 제거할 수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를 이용한 선반의 활용도가 높다.
여섯째, 트랙이 구비된 선반거치대를 복수로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벽체 매립형 뿐 아니라 독립된 기둥형으로써 선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전시 및 진열의 인테리어 구성 시 확장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선반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선반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는 전기 도체가 구비되어 전기를 운반하는 트랙(100), 트랙(100)을 수용하고 선반의 갈고리가 거치되어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거치대(200), 트랙(100)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파워공급기(300), 및 트랙(100)의 전원을 선반의 조명부재 등 전자기기에 연결하는 트랙커넥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랙(100)은 상면이 개방된 ‘ㄷ’자의 레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랙(100)은 후술하는 선반거치대(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상과 길이로 구성된다.
트랙(100)의 내측 양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도체(110)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며, 전도체(110)는 외부전원과 선반과의 전기의 통전을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트랙(100)의 양 측면 상단에 구성되는 헤드(120)는 트랙(100)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꺾인 형상으로 구성된다.
트랙(100)의 헤드(120)는 트랙(100) 내측을 향하며, 동시에 하단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체(110)는 트랙(100)의 내측면에 구성되되 하부로는 내측 바닥면 모서리로부터 상부로는 헤드(120)의 구부러진 안쪽 영역까지 구비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도체(110)는 상부가 헤드(120)로 감싸지는 형상으로 고정되어 트랙(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전도체(110)는 트랙(100)의 양쪽 내측면에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헤드(120) 또한 트랙(100)의 양측면 상단에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체(11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선반의 조명부재 등 전자기기에 전기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트랙(100)은 전도체(110)를 통한 전기의 통전을 위해 구비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전도체(110)는 내측 일면은 양극으로, 내측 타면은 음극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전도체(110)는 트랙(100) 내부에 깊숙하게 위치하고 헤드(120)로 감싸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에 전도체(110)가 구성되었을 때 전기합선 등의 우려가 적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반거치대(200)는 봉(210), 트랙수용부(220), 커넥터삽입부(230) 및 돌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반거치대(200)는 선반의 갈고리가 거치되어 선반을 지지하고, 트랙(10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선반거치대(200)는 벽체에 설치된 판넬의 측면에 구비되며, 판넬의 전면에 설치되는 선반의 측면 갈고리가 걸려서 거치되어 선반을 지지하는 것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선반거치대(200)는 트랙(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트랙(100)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내부에 트랙(100)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트랙수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수용부(220)는 선반거치대(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트랙(10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써, 선반거치대(200)의 내부 측면과 하면에 트랙(100)과 접하면서 트랙(100)을 감싸며 맞물리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반거치대(200)의 개방된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에 따라 봉(210)이 설치되어 전술한 선반의 측면 갈고리가 거치될 수 있다.
선반거치대(200)의 봉(210)과 봉(2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트랙커넥터(400)가 삽입되는 커넥터삽입부(230)로써, 선반거치대(200)의 외부로부터 트랙커넥터(400)가 선반거치대(200)의 내부에 장착된 트랙(100)과 결합될 수 있는 통로로써의 공간을 제공한다.
선반거치대(200)의 내측 양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40)는 트랙(100)의 헤드(120)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헤드(120)와 유사하고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랙(100)이 선반거치대(200)에 삽입되었을 때 돌출부(240) 하부의 공간에 장착이 되어지며, 돌출부(240)는 트랙(100)의 헤드(120)를 위에서 접하며 누르는 형상으로 상호 결합이 된다.
트랙(100)은 선반거치대(200)의 측면에서 트랙수용부(220)를 향하여 돌출부(240) 하단에 맞추어 선반거치대(200)의 끝에서부터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트랙(100)은 선반거치대(200)의 측면에서 트랙수용부(220)를 향하여 봉(210)과 돌출부(240) 사이의 공간에 비스듬히 전체가 삽입된 후 일단의 헤드(120)를 먼저 돌출부(240) 하단에 밀어넣어 맞춘 후, 방향을 수평하게 틀면서 타단의 헤드(120) 부위를 눌러 돌출부(240) 하단에 결합되게 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선반거치대(200)의 트랙수용부(220)에 트랙(100)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부착이 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응용하여 간단하게 탈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선반 시공 시 전기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선반거치대(200)에 트랙(100)을 밀어넣어 장착하여 사용하고, 반대로 전기 공급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기 설치된 트랙(100)을 선반거치대(200)에서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공장에서 선반거치 구조체를 사전 제작 시 전기공급을 위한 배선작업이 이루어진 채 출하될 필요가 없으며, 불필요한 설비나 노동력,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파워공급기(300)는 트랙(100)의 일단 또는 타단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파워공급기(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바디(310), 파워케이블(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워바디(310)는 파워헤드(311), 파워테일(312)을 포함하며, 파워헤드(311)는 파워전극(311a), 헤드홈(31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워바디(310)는 트랙(100)에 삽입되며 트랙(100)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파워공급기(300)의 일단에 구성되며, 파워공급기(300)의 타단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파워케이블(320)로 구성된다.
파워바디(310)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되 일측과 타측이 폭과 높이가 다르게 층을 이루는 구조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워바디(310)의 일측은 파워헤드(311)로써 트랙(100) 내부에 맞추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파워테일(312)로써 파워헤드(311)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파워바디(310)가 트랙(100)에 삽입되는 형상을 위쪽에서 목측 시 파워헤드(311)는 상단이 되고 파워테일(312)은 하단이 되며, 파워테일(312)의 후면 방향으로 파워케이블(320)이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파워헤드(311)는 트랙(100)의 내부로 삽입되고, 파워테일(312)은 트랙(100)의 외부에 걸치며 위치한다.
즉 파워바디(310)는 파워헤드(311)의 길이만큼 트랙(100)의 내부와 접하며 파워테일(312)의 길이만큼 트랙(100)의 외부로 노출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파워헤드(311)의 양 측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파워전극(31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워헤드(311)가 트랙(100)에 삽입되면 복수의 파워전극(311a)은 트랙(100)의 전도체(110)에 접하여 전기적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외부전원이 파워케이블(320)을 따라 파워바디(310)를 거쳐 트랙(100)에 공급될 수 있다.
파워전극(311a)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양극과 음극으로 구분되어 전극이 형성된다.
파워전극(311a)은 양 측면에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도체(110)와의 접점을 늘림으로써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한 전기공급의 차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파워헤드(311)는 트랙(100)과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상단 양 모서리에 홈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헤드홈(31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홈(311b)은 트랙(100)의 헤드(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구비되며, 트랙(100)과의 결합력 향상 뿐 아니라 결합 후 쉽게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헤드홈(311b)을 통해 파워공급기(300)는 트랙(100)에 원활히 결합되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트랙커넥터(400)는 트랙(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반의 조명부재 등 전자기기에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한다.
트랙커넥터(400)는 선반거치대(200)의 커넥터삽입부(230)를 통해 선반거치대(200)의 외부에서 선반거치대(200)의 내부에 수용된 트랙(100)에 장착된다.
트랙커넥터(400)는 선반거치대(200)에 구성된 다수의 커넥터삽입부(230) 중 연결하고자 하는 선반과 가장 인접하고 미관 상 좋은 위치에 설정된 커넥터삽입부(230)를 선택하여 삽입될 수 있다.
트랙커넥터(400)가 임의의 커넥터삽입부(230)를 통해 트랙(100)과 결합되더라도 트랙(100) 내측면에는 전도체(1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트랙(100)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되었으므로 원활하게 통전될 수 있다.
한편 트랙커넥터(400)는 커넥터바디(410)와 선반케이블(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바디(410)는 커넥터돌기(412)와 커넥터전극(4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바디(410)는 트랙커넥터(400)의 일단에 구성되며 전면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써 트랙(100)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후면은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선반케이블(420)은 트랙커넥터(400)의 타단에 구성되며 커넥터바디(410)의 구부러진 형태의 후면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로써 선반의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트랙커넥터(400)가 트랙(100)에 결합되면 파워공급기(300)를 통해 공급된 외부전원이 트랙(100)의 전도체(110)를 따라 흐르고, 다시 커넥터바디(410)를 통해 선반케이블(420)로 통전되어 선반의 전자기기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커넥터바디(410)의 양 측면에는 트랙(100)과 접촉하는 부위에 전기를 통전할 수 있는 커넥터전극(4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원활하고 안정적인 전기공급을 위하여 커넥터바디(410)가 트랙(100)과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커넥터바디(410)의 양 측면에는 탄성을 지닌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돌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돌기(412)로 인해 커넥터바디(410)는 트랙(100)에 결합하여 끼워진 후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원활한 통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선반거치대(200)가 벽면에 설치된 판넬의 측면에 구비되며, 판넬의 전면에 설치되는 선반의 측면 갈고리가 선반거치대(200)의 임의의 봉(210)에 장착되어 선반을 지지한다.
설치된 복수의 선반거치대(200) 중 전기를 공급하여 선반에 조명부재 등 전자기기에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매설된 선반거치대(200)를 선택한다.
트랙(100)을 선반거치대(200)의 측면에 형성된 트랙수용부(220)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때 트랙(100)은 트랙수용부(220)를 향하고, 트랙(100)의 헤드(120)를 돌출부(240) 하단에 맞추어 선반거치대(200)의 끝에서부터 삽입하여 밀어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트랙(100)을 트랙수용부(220)를 향하여 봉(210)과 돌출부(240) 사이의 공간에 비스듬히 측면으로 전체를 삽입한 후 일단의 헤드(120)를 먼저 돌출부(240) 하단에 밀어넣어 맞춘 후, 방향을 수평하게 틀면서 타단의 헤드(120) 부위를 눌러 돌출부(240) 하단에 결합되게 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로써 트랙(100)의 헤드(120)가 트랙수용부(220)의 돌출부(240) 하단과 접하면서 트랙(100)은 선반거치대(200)에 안정적이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결합된다.
다음으로 트랙(10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파워공급기(300)를 트랙(100)에 삽입한다.
파워공급기(300)의 파워케이블(320)은 사용하고자 하는 인접한 외부전원에 연결하고, 파워바디(310)를 트랙(100)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파워바디(310)의 파워헤드(311)는 헤드홈(311b)이 트랙(100)의 헤드(120)에 맞춰 끼워지면서 원활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고, 파워테일(312)에 의해 트랙(100)의 외부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파워바디(310)가 트랙(100)의 안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파워헤드(311)의 양측면에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된 각각 복수개의 파워전극(311a)은 트랙(10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된 전도체(110)의 양극과 음극에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파워공급기(300)의 헤드홈(311b)이 트랙(100)의 헤드(120)에 강하게 맞물리면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파워공급기(300)가 트랙(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전기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제 전기를 공급하여 조명부재 등의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선반에 연결되어 있는 트랙커넥터(400)를 트랙(100)과 연결한다.
이를 위해 트랙커넥터(400)의 커넥터바디(410)를 선반거치대(200)의 봉(210)과 봉(210) 사이에 형성된 커넥터삽입부(230) 중 가장 인접하고 미관 상 양호한 곳을 선택하여 삽입한다.
커넥터바디(410)는 선반거치대(200) 내부에 안착된 트랙(100)에 결합되고, 커넥터바디(410)의 양 측면에 구비된 커넥터전극(411)이 트랙(100)의 전도체(110)와 접촉하면서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커넥터바디(410)의 양 측면에는 탄성력을 가진 복수개의 커넥터돌기(412)가 구성되어 커넥터바디(410)와 트랙(100)의 분리를 방지하여 상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커넥터바디(410)에 연결된 전기는 선반케이블(420)을 통해 선반의 전자기기에 공급이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트랙커넥터(400)의 일 부위 또는 선반의 전자기기의 일 부위에 상기 통전되는 전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반의 전자기기에 전기가 공급이 되면서 사용자는 조명 등 전기적인 효과를 가진 선반을 간단한 방법으로 깔끔한 외관을 유지하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랙(100)이 장착된 선반거치대(200)에 있어 추후 전기공급이 필요 없을 경우 파워공급기(300) 및 트랙커넥터(400)를 분리하여 전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100)의 선반거치대(200) 장착 과정의 역순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트랙(100)을 선반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트랙(100)이 공장에서 선반거치대(200) 내에 장착되어 출시된 경우에도 상기 과정을 통해 작업현장 또는 전시현장에서 손쉽게 트랙(100)을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선반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트랙커넥터(400)를 선반거치대(200) 및 트랙(100)으로부터 분리하고, 원하는 위치에 선반이 고정된 이후에 트랙커넥터(400)를 인접한 임의의 위치에 있는 트랙(100)에 장착하여 항상 동일하고 깔끔한 형상으로 추가 작업 없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의 프레임(5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의 프레임(500)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프레임(500)이 추가로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의 중복설명은 생략하며 추가 구성요소인 프레임(50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10)는, 육면체의 형상으로써 내부에 선반거치대(200)를 수용하는 형상의 거치대수용부(510)를 복수로 구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500)은 내부에 거치대수용부(510)와 인접한 공간에 탄성고정부(520), 나사결합부(530) 및 중공부(5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치대수용부(510)는 프레임(500) 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선반거치대(200)의 트랙수용부(220)가 각각 외부를 향하여 위치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넥터삽입부(230)의 하부 폐쇄면이 상호 마주하는 형상으로써, 프레임(500)의 일측과 타측면에 각각 트랙수용부(220)가 반대방향에서 형성되게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5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트랙커넥터(400)가 상호 반대방향에서 삽입되는 형상을 가진다.
선반거치대(200)는 거치대수용부(510)에 삽입되어 프레임(500)에 장착된다.
이때 선반거치대(200)가 프레임(500) 내부에서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가진 강질의 탄성고정부(520)가 복수로 구비된다.
탄성고정부(520)는 선반거치대(200)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부위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탄성고정부(520)는 선반거치대(200)를 프레임(500)의 일단 또는 타단에서 측면으로 밀어넣어 장착할 때, 선반거치대(200)의 상단 테두리에 의해 돌출 부위가 아래로 휘어지듯 소정의 각도로 꺾이게 된다.
따라서 탄성고정부(520)가 가지는 강한 탄성복원력은 선반거치대(200)의 상단 테두리를 위로 밀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로 이해 선반거치대(200)는 양 측면에서 탄성고정부(520)가 강하게 잡아주는 역할에 의해 안정적으로 프레임(500) 내부에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상태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탄성고정부(520)의 인접한 측면에는 나사결합부(53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나사결합부(530)는 탄성고정부(520)가 휘어진 방향에 인접하여 형성된 공간에 나사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나사결합부(530)는 선반거치대(200)에 의해 밀려 휘어진 나사를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원래의 위치로 밀어주듯이 나사가 결합되어 위치한다.
이로 인해 탄성고정부(520)의 양 측면에는 선반거치대(200)의 상단 테두리와 나사결합부(530)가 각각 위치하여 상호 힘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강한 결합력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5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거치대수용부(510)와 탄성고정부(520) 및 나사결합부(530)를 제외한 공간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중공부(540)가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540)는 프레임(500)의 재질적 특성과 선반거치대(200)의 구비로 인해 증가할 수 있는 프레임(500)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500)에 구성된 거치대수용부(510)에는 선반거치대(200)가 장착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선반거치대(200)에는 트랙(100)이 장착되고 파워공급기(300)가 결합되며 트랙커넥터(40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거치대(200)의 봉(210)에 선반의 갈고리가 결합되어 거치가 된 상태에서 프레임(5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동시에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프레임(5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르게 독립된 기둥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벽체에 매설된 형태가 아니라 선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임의의 공간에 선반거치대(200)와 트랙(100)이 구성된 프레임(500)을 바닥면으로부터 세우고, 파워공급기(300)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선반거치대(200)의 봉(210) 중 임의의 봉(210)을 선택하여 전시 또는 진열목적에 맞게 선반을 거치하여 장착하고, 선반에 연결된 트랙커넥터(400)를 선반거치대(200)에 삽입하여 트랙(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과정을 통해서, 독립된 기둥 형태의 프레임(500)의 양단으로 설치된 다수의 선반에서도 조명 등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100 : 트랙
110 : 전도체
120 : 헤드
200 : 선반거치대
210 : 봉
220 : 트랙수용부
230 : 커넥터삽입부
240 : 돌출부
300 : 파워공급기
310 : 파워바디
311 : 파워헤드
311a : 파워전극
311b : 헤드홈
312 : 파워테일
320 : 파워케이블
400 : 트랙커넥터
410 : 커넥터바디
411 : 커넥터전극
412 : 커넥터돌기
420 : 선반케이블
500 : 프레임
510 : 거치대수용부
520 : 탄성고정부
530 : 나사결합부
540 : 중공부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ㄷ자의 레일 형상으로 구성된 트랙;
    트랙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내부에 트랙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개방된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에 따라 가로지르는 봉이 설치되어 선반을 거치하고 지지하는 선반거치대;
    트랙의 일단 또는 타단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파워공급기; 및
    선반거치대의 봉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트랙에 장착되며 선반에 전원을 연결하는 트랙커넥터;를 포함하되,
    트랙은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도체가 구비되고, 선반거치대의 내부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 상단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꺾여 형성된 헤드;를 더 포함하고,
    육면체의 형상이며, 내부에는 선반거치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으로써 거치대수용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형성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프레임은, 선반거치대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위에 돌출되어 지지하는 탄성고정부; 탄성고정부에 인접하여 나사로 결합되어 선반거치대를 고정하는 나사결합부; 및 내측면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선반거치대는,
    내부 측면과 하면에 트랙이 접하며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트랙수용부;
    내측 양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하부로는 트랙의 헤드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봉 사이에 형성되어 트랙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트랙커넥터는,
    일단은 육면체의 형상으로써 트랙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커넥터바디;
    타단은 트랙의 전류를 선반에 연결하는 선반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파워공급기는,
    일단은 트랙에 수용되는 형상으로써 트랙에 삽입되는 파워바디;
    타단은 전원을 공급받는 파워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커넥터바디는,
    트랙과 접하는 측면에 구비되어 전도체와 접하여 통전하는 커넥터전극; 및 헤드에 맞물려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커넥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파워바디는,
    일측은 트랙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파워헤드; 타측은 파워헤드보다 넓게 형성되어 트랙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파워테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파워헤드는, 전도체와 접하는 측면 부위에 복수로 구비되는 파워전극; 상단 양 모서리에 헤드에 대응되는 홈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헤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5. 삭제
KR1020190095730A 2019-08-06 2019-08-06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KR102249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30A KR102249638B1 (ko) 2019-08-06 2019-08-06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US17/630,047 US11986093B2 (en) 2019-08-06 2020-07-08 Shelf holding structur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power supply
EP20849170.4A EP4011242B1 (en) 2019-08-06 2020-07-08 Shelf holding structur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power supply
PCT/KR2020/008904 WO2021025303A1 (ko) 2019-08-06 2020-07-08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CN202080054606.7A CN114175419B (zh) 2019-08-06 2020-07-08 装拆式供电搁板支撑结构体
JP2022507397A JP7297195B2 (ja) 2019-08-06 2020-07-08 脱付着式電源供給の棚置き構造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30A KR102249638B1 (ko) 2019-08-06 2019-08-06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059A KR20210017059A (ko) 2021-02-17
KR102249638B1 true KR102249638B1 (ko) 2021-05-07

Family

ID=7450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730A KR102249638B1 (ko) 2019-08-06 2019-08-06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6093B2 (ko)
EP (1) EP4011242B1 (ko)
JP (1) JP7297195B2 (ko)
KR (1) KR102249638B1 (ko)
CN (1) CN114175419B (ko)
WO (1) WO2021025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4945B1 (en) * 2020-07-07 2022-10-11 Willie Henderson Catheter canal
CN113809606A (zh) * 2021-06-15 2021-12-17 上特展示(厦门)股份有限公司 供电轨道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472B1 (ko) * 2010-09-08 2011-07-29 고재영 선반 조명부재가 내설된 선반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8267B1 (ko) * 1973-07-19 1976-05-07 Technilec Sarl
US5690415A (en) * 1995-11-29 1997-11-25 Stylmark, Inc. Display light
US6296498B1 (en) * 2000-01-25 2001-10-02 Universal Electric Corporation Busbar connector for plug-in busways
KR20010100583A (ko) * 2000-05-04 2001-11-14 양경호 콘센트가 부설된 매립형 상품진열기구
JP2002165679A (ja) 2000-12-05 2002-06-11 Tetsuya Tomita 展示装置
WO2003053192A1 (de) * 2001-12-08 2003-07-03 Rittal Gmbh & Co. Kg Rahmenprofil
JP3791475B2 (ja) 2002-08-27 2006-06-28 松下電工株式会社 棚板の取り付け構造
DE20314260U1 (de) * 2003-09-15 2003-11-13 Visplay International Ag, Muttenz Profilschiene und damit erstellte Präsentationsvorrichtung
US20060209537A1 (en) * 2005-03-17 2006-09-21 Stylmark, Inc. Display assembly with low voltage powered lighting
US20080043456A1 (en) * 2006-08-15 2008-02-21 Bernardini Allen J Shelf light bracket connector system
ES1068230Y (es) * 2008-06-06 2008-12-16 Fayos Angel Perales Enchufes con escobillas y patillas de deslizamiento por guias electricas para instalaciones del hogar, comercio o industria
WO2010054430A1 (en) * 2008-11-14 2010-05-20 Gesswein, Andreas Klaus Vertical mounting system
KR101052473B1 (ko) 2010-09-08 2011-07-29 고재영 선반 조명부재를 내설한 벽체 매립형 선반 고정장치
DE102012202148A1 (de) * 2012-02-13 2013-08-14 Trilux Gmbh & Co. Kg Lichtbandsystem
US9098823B2 (en) * 2013-02-12 2015-08-04 Powerwall, Inc. Shelf power system
KR20140105244A (ko) * 2013-02-21 2014-09-01 김병국 찬넬 콘센트 와 플러그를 구성한 찬넬 지주장치
DE202013101760U1 (de) * 2013-04-24 2014-07-28 Dwd Concepts Gmbh Vorrichtung zur Stromversorgung von an einem Regal anzuordnenden Stromverbrauchern
CN105402653B (zh) * 2015-12-18 2019-04-26 漳州立达信灯具有限公司 柜体灯
KR101927608B1 (ko) * 2017-02-16 2018-12-10 김병국 마무리 캡을 구성한 찬넬용 라인콘센트
US20180283668A1 (en) * 2017-03-31 2018-10-04 Sensio America, LLC Modular power system for cabinets
CN107202272B (zh) * 2017-04-19 2023-07-07 赛尔富电子有限公司 一种货架取电头及其货架取电系统
CN109965607B (zh) * 2019-04-28 2024-05-03 苏州市华仓塑料有限公司 一种轨道供电展架板
CN112484001A (zh) * 2020-11-30 2021-03-12 赛尔富电子有限公司 一种嵌入式货架取电系统
US12068594B2 (en) * 2021-05-04 2024-08-20 Walmart Apollo, Llc Adjustable power shelf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472B1 (ko) * 2010-09-08 2011-07-29 고재영 선반 조명부재가 내설된 선반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86093B2 (en) 2024-05-21
US20220273099A1 (en) 2022-09-01
CN114175419B (zh) 2024-08-23
JP2022544113A (ja) 2022-10-17
CN114175419A (zh) 2022-03-11
WO2021025303A1 (ko) 2021-02-11
JP7297195B2 (ja) 2023-06-26
EP4011242B1 (en) 2023-12-27
EP4011242A4 (en) 2022-11-30
EP4011242C0 (en) 2023-12-27
KR20210017059A (ko) 2021-02-17
EP4011242A1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3756B2 (en) Rack system having an electrical supply
US10542828B2 (en) Modular wall assembly for a cosmetic fixture system
US7122744B2 (en) Profiled rail and accessories used as a suspension device
KR102249638B1 (ko) 탈부착식 전원공급 선반거치 구조체
DK2220965T3 (en) Carrier profile rail and presentation system with one
US7311434B2 (en) Movable lighting apparatus
CN105795792B (zh) 一种商品展示装置
US20150036326A1 (en) Modular shelf illumination system for gondola display
CN107528184B (zh) 一种独立式取电装置及使用该取电装置的货架
KR10166281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조립식 진열대
US10646058B2 (en) Retail display system with power supply interface
US10334751B2 (en) Electronics rack post with integrated power and data supply
GB2255820A (en) Illuminated display shelving system
US10516254B2 (en) Electronics rack with integrated batteries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JP2005512655A (ja) フレーム成形材
KR20090006203A (ko) 가구
KR20140105244A (ko) 찬넬 콘센트 와 플러그를 구성한 찬넬 지주장치
EP3242982B1 (en) Modular wall system and panel element for use in such a system
JP2007060879A (ja) 分電盤
KR20230159221A (ko) 전극 브라켓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JP2011238591A (ja) 照明設備
JP3161027U (ja) 照明設備
JP2001135949A (ja) 配線収納装置
CN109888544B (zh) 一种模块化的货架内置取电连接系统
JP2012074374A (ja) コネクタを最適配置でき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