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51B1 -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 Google Patents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551B1
KR102249551B1 KR1020190096715A KR20190096715A KR102249551B1 KR 102249551 B1 KR102249551 B1 KR 102249551B1 KR 1020190096715 A KR1020190096715 A KR 1020190096715A KR 20190096715 A KR20190096715 A KR 20190096715A KR 102249551 B1 KR102249551 B1 KR 10224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automatic
cleaning
cleaner
automatic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447A (ko
Inventor
김규헌
Original Assignee
김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헌 filed Critical 김규헌
Priority to KR102019009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4Floor-sweep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7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Exhaust-air treatment, e.g. air purificat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전면으로 조명등(11)과 카메라(12)를 구비하고, 하방으로 청소브러쉬(13)와 이동롤러(14)를 구비하여 청소하는 자동청소기(10); 상기 자동청소기(10)의 구성과 유무선으로 연결하고,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휴대폰(21)과 조이스틱(22)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제어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청소기를 집이나 외부에서 휴대폰이나 별도의 조이스틱을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 경광등, 보조커버와 같은 음향효과와 시각효과의 구성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거나 재미를 향상시키는 심미감의 효과까지 제공한다.

Description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Automatic cleaner with enhanced aesthetics and manual control}
본 발명은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청소기를 집이나 외부에서 휴대폰이나 별도의 조이스틱을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 경광등, 보조커버와 같은 음향효과와 시각효과의 구성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거나 재미를 향상시키는 심미감의 효과까지 제공하는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로봇청소기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로봇청소기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주행바퀴구동용의 모터를 구동시켜 청소구역을 주행하면서 흡입모터를 구동시켜 청소부위의 이물질을 강한 흡입력으로 흡입하여 청소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청소구역을 주행하면서 몸체의 전면부에 설치된 적외선센서의 발광부를 통해 적외광을 발생한 다음, 장애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광을 수광부를 통해 수광하여 장애물의 존재유무를 판별하며, 청소구역내에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이 감지되면 주행방향을 전환하여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청소구역을 청소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주행바퀴구동용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엔코더를 통해 주행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주행바퀴의 회전수를 통해 주행거리를 판별하고, 판별된 주행거리 등의 데이터에 의해 청소진행상황을 판단하여 청소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행바퀴구동용의 모터 및 흡입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 청소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02316호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동작을 수행하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주행금지구역 및 청소구역 등을 구획하는 경계에 부착 설치되는 금속테이프와, 주행방향에 대해 근접된 위치의 금속성분을 탐지하는 금속감지부 및, 로봇청소기를 주행시키며 청소를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금속감지부를 통해 금속성분이 탐지되면 주행방향을 전환시켜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된 로봇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로 구성된 기술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청소구역 및 주행금지구역 등의 경계에 부설된 금속테이프의 위치가 근접센서에 의해 탐지되어 로봇청소기가 청소구역을 벗어나거나 주행금지구역으로 진행하려 할 때 주행방향이 전환됨으로써, 금속테이프를 부설하는 간편한 작업에 의해 청소구역 및 주행금지구역이 구획 설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에 따르면 자동설정에 따라 청소구역과 주행금지구역이 제한되어 있어 깨끗한 청소를 수행하기 어렵고, 사물인터넷에 따른 사용자와 제품간의 연계성을 찾아볼 수 없어 사물과의 연동으로 흥미유발, 재미향상에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제품의 외형 또한 초기형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시각적인 장식미를 포함하여 다양한 심미감의 효과까지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2316호 "로봇청소기 및 그 구동제어방법"(등록일자: 2000.01.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청소기에 휴대폰이나 별도의 조이스틱을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 경광등, 보조커버와 같은 음향효과와 시각효과의 구성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거나 재미를 향상시키는 심미감의 효과까지 제공하는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전면으로 조명등과 카메라를 구비하고, 하방으로 청소브러쉬와 이동롤러를 구비하여 청소하는 자동청소기; 및 상기 자동청소기의 구성과 유무선으로 연결하고,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휴대폰과 조이스틱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청소기는 상단으로 방향제, 공기청정기, 제습기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면 중앙으로 좌우회전과 전후개폐가 가능한 보조브러쉬를 더 구비하여 청소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며, 외면상에 자동차, 로봇형상과 같은 보조커버를 더 구비하여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휴대폰과 조이스틱 상에 디스플레이, 조작버튼을 통해 자동청소기를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청소기는 일면으로 스피커, 경광등을 더 구비하여 음향효과와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청소기를 집이나 외부에서 휴대폰이나 별도의 조이스틱을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 경광등, 보조커버와 같은 음향효과와 시각효과의 구성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거나 재미를 향상시키는 심미감의 효과까지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청소기의 구성을 사시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청소기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청소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에 관하여 제안하며, 자동청소기(10), 제어수단(2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원발명에서 설명하는 자동청소기(10)는 기존제품에서의 청소작업 이외에 다양한 구성과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진보성에서 그 차별성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리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청소기(10)는 전면으로 조명등(11)과 카메라(12)를 구비하고, 하방으로 청소브러쉬(13)와 이동롤러(14)를 구비하여 청소한다. 자동청소기(10)는 기본적인 작동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과 유사성이 존재하는 부분도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전면으로 조명등(11)과 카메라(12)를 구비하고, 청소기의 하방으로 바닥을 청소하는 청소브러쉬(13)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이동롤러(14)를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조명등(11)과 카메라(12)는 후술하는 제어수단(20)과 연계하여 수동으로 작동하는데 필요한 구성에 해당한다. 조명등(11)은 바닥을 기준하여 자동청소기(10)가 출입하기 힘들거나 청소하기 어려운 공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조명기구로 사용한다. 구비하는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무선작동을 위하여 LED모듈을 적용하는 것이 저전력으로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성능대비 높은 효율성을 제공한다. 카메라(12)는 사용자의 눈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제어수단(20)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동청소기(10)를 이동하면서 주변으로 청소작업을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자동청소기(10)는 일면으로 스피커(15), 경광등(16)을 더 구비하여 음향효과와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청소기(10)의 일면으로는 음향장치인 스피커(15), 시각장치인 경광등(16)을 더 구비하여 사용이 가능한데, 스피커(15)에서 표현하는 소리로는 사람, 동물, 기계 자연을 포함한 주변에서 들을 수 있거나 인위적으로 만든 인공음, 효과음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소리에 따른 청각의 음향효과로 인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를 향상하는데 도움을 준다. 경광등(16) 또한 음향장치인 스피커(15)처럼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할 수 있어 사용자, 주변인 모두에게 흥미와 재미를 제공하는 심미감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 스피커(15)와 경광등(16)을 연계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소리와 시각적인 표현을 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자동청소기(10)는 정면 중앙으로 좌우회전과 전후개폐가 가능한 보조브러쉬(17)를 더 구비하여 청소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청소기(10)의 하방에 구비하는 기본구성인 청소브러쉬(13) 이외에 정면 중앙으로 보조브러쉬(17)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때 보조브러쉬(17)는 기본구성인 청소브러쉬(13)가 지원할 수 없는 사각지대의 공간을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구성이다. 보조브러쉬(17)는 자동청소기(10)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제어수단(20)을 통해 정면 중앙에서 전후로 출입하는 개폐기능과 사각지대를 최대한 청소하도록 좌우로 회전하는 기능까지 포함하여 청소브러쉬(13)가 작업하는 공간을 제외한 사각지대의 청소공간을 확대하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자동청소기(10)는 상단으로 방향제(18a), 공기청정기(18b), 제습기(18c)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청소기(10)의 커버 상단으로는 방향제(18a), 공기청정기(18b), 제습기(18c)와 같은 냄새, 공기, 먼지, 습기를 제거하거나 정화하는 장치를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냄새, 공기, 먼지, 습기를 제거하거나 정화작업까지 함께 수행하여 동시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자동청소기(10)는 외면상에 자동차, 로봇형상과 같은 보조커버(19)를 더 구비하여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청소기(10)의 시각효과를 높이는 또 다른 방법으로 외면상에 자동차, 로봇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을 가진 보조커버(19)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기본 외형인 커버상에 보조커버(19)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흥미유발을 통한 심미감의 시각효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20)은 상기 자동청소기(10)의 구성과 유무선으로 연결하고,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휴대폰(21)과 조이스틱(22) 중 택일하여 사용한다. 제어수단(20)은 자동청소기(10)가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과 유무선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휴대폰(21)이나 별도의 조이스틱(22) 중 택일하여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구성이다. 유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고, 휴대폰(21), 조이스틱(22) 중 원하는 제어수단(20)을 택일하여 자동청소기(10)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청소할 수 있다. 자동청소기(10)의 전용으로 사용하는 제어수단(20)을 사용하거나 어플과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유무선 장치에 연결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외에도 휴대폰(21)은 집이 아닌 외부에서도 어플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수단에 의해 자동청소기(10)를 원격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20)은 휴대폰(21)과 조이스틱(22) 상에 디스플레이(23), 조작버튼(24)을 통해 자동청소기(10)를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20)인 휴대폰(21)과 조이스틱(22)을 사용한 자동청소기(10)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디스플레이(23), 조작버튼(24)을 통해 자동청소기(10)를 유무선 상태에서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휴대폰(21)과 조이스틱(22)에 디스플레이(23)와 조작버튼(24)을 한 쌍으로 각각 구비한 상태에서 청소기의 작동상황을 카메라(12)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자동청소기(10)에 구비하는 조명등(11), 청소브러쉬(13), 이동롤러(14), 스피커(15), 경광등(16), 보조브러쉬(17), 방향제(18a), 공기청정기(18b), 제습기(18c) 중 원하는 구성을 조작버튼(24)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또한, 자동청소기(10)를 휴대폰(21) 또는 조이스틱(22)을 이용하여 집이 아닌 외부에서도 어플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수단에 의해 원격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청소기를 집이나 외부에서 휴대폰이나 별도의 조이스틱을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피커, 경광등, 보조커버와 같은 음향효과와 시각효과의 구성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거나 재미를 향상시키는 심미감의 효과까지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자동청소기 11: 조명등
12: 카메라 13: 청소브러쉬
14: 이동롤러 15: 스피커
16: 경광등 17; 보조브러쉬
18a: 방향제 18b: 공기청정기
18c: 제습기 19: 보조커버
20: 제어수단 21: 휴대폰
22: 조이스틱 23: 디스플레이
24: 조작버튼

Claims (6)

  1.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전면으로 조명등(11)과 카메라(12)를 구비하고, 하방으로 청소브러쉬(13)와 이동롤러(14)를 구비하여 청소하는 자동청소기(10); 및
    상기 자동청소기(10)의 구성과 유무선으로 연결하고,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휴대폰(21)과 조이스틱(22)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제어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청소기(10)는 상단으로 방향제(18a), 공기청정기(18b), 제습기(18c)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면 중앙으로 좌우회전과 전후개폐가 가능한 보조브러쉬(17)를 더 구비하여 청소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며, 외면상에 자동차, 로봇형상과 같은 보조커버(19)를 더 구비하여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제어수단(20)은 휴대폰(21)과 조이스틱(22) 상에 디스플레이(23), 조작버튼(24)을 통해 자동청소기(10)를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청소기(10)는 일면으로 스피커(15), 경광등(16)을 더 구비하여 음향효과와 시각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96715A 2019-08-08 2019-08-08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KR10224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715A KR102249551B1 (ko) 2019-08-08 2019-08-08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715A KR102249551B1 (ko) 2019-08-08 2019-08-08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447A KR20210017447A (ko) 2021-02-17
KR102249551B1 true KR102249551B1 (ko) 2021-05-06

Family

ID=7473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715A KR102249551B1 (ko) 2019-08-08 2019-08-08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5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966B1 (ko) * 2015-07-17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16A (ko) 1998-06-18 2000-01-15 배길성 로봇청소기 및 그 구동제어방법
KR100501558B1 (ko) * 2002-07-23 2005-07-18 안명선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청소기
KR101499966B1 (ko) * 2008-09-22 2015-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구동 방법
KR101325669B1 (ko) * 2011-08-03 2013-11-05 (주)한국하이텍 무선통신 기반의 복합 청소기
KR102320204B1 (ko) * 2014-09-24 202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966B1 (ko) * 2015-07-17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447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4155C1 (ru) Робот-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его система
USD543492S1 (en) Billet lower control arm
CN201086970Y (zh) 多功能智能清洁器
JP6068824B2 (ja) 自走式電子機器
USD494900S1 (en) Hood for an automobile
JP2007147217A (ja) ロボット
JP6922357B2 (ja) 空気清浄装置
AU2004201288A1 (en) Robot cleane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and system thereof
EP1696296A3 (en)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KR20180073760A (ko) 공기청정기
EP1935308A3 (en) Cleaning Robot with Corner Cleaning Unit
US11464374B2 (en) Robot cleaner
JP2008212195A (ja) 電気掃除機
JP2006007368A (ja) 自走式掃除機
WO2006127332A8 (en) Fan noise control apparatus
JP7112903B2 (ja) 電気掃除機
KR102249551B1 (ko) 심미감 향상과 수동제어를 겸비한 자동청소기
CN111026162A (zh) 自跟随清洁机器人
AU2002254762A1 (en) Spillage control safety floor matting
JP2013230198A (ja) 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USD533955S1 (en) Ceiling fan light kit
USD557396S1 (en) Air cleaner for car
CN211844603U (zh) 方向柱总成及采用其的自跟随清洁机器人
JP2009161323A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天井照明装置
KR100548894B1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