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635B1 -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635B1
KR102248635B1 KR1020180047635A KR20180047635A KR102248635B1 KR 102248635 B1 KR102248635 B1 KR 102248635B1 KR 1020180047635 A KR1020180047635 A KR 1020180047635A KR 20180047635 A KR20180047635 A KR 20180047635A KR 102248635 B1 KR102248635 B1 KR 10224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space
discharge pipe
fluid discharge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840A (ko
Inventor
한무영
김충일
박현주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7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6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저장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물양장을 이용하여 빗물을 저장 및 기포로 정화한 후 이를 용수로 사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양장과, 물양장 내에 형성된 빗물 저장 공간, 빗물 저장 공간 내를 구획하는 격벽, 및 외부의 빗물을 빗물 저장 공간 내로 유입시키되 기포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기포 발생 장치는 유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프와, 유체 배출관에 연결된 기체 유입관, 유체 배출관 내에 구비된 다공판, 및 유체 배출관 내에 구비된 충돌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양장을 빗물 저장 공간으로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없이 빗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판에 의해 유체 배출관의 기액 혼합물을 회전시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lighters wharf}
본 발명은 빗물 저장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물양장을 이용하여 빗물을 저장 및 기포로 정화한 후 이를 용수로 사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양장은 선박이 안전하게 접안하여 화물 및 여객을 처리할 수 있도록 부두의 바다 방향이 수직으로 형성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양장은 일반적으로 선박의 접안에만 이용되는 구조물이며, 다른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296호(2011.06.2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을 제거할 수 있는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물양장과, 물양장 내에 형성된 빗물 저장 공간, 빗물 저장 공간 내를 구획하는 격벽, 및 외부의 빗물을 빗물 저장 공간 내로 유입시키되 기포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기포 발생 장치는 유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프와, 유체 배출관에 연결된 기체 유입관, 유체 배출관 내에 구비된 다공판, 및 유체 배출관 내에 구비된 충돌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양장을 빗물 저장 공간으로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없이 빗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판에 의해 유체 배출관의 기액 혼합물을 회전시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 발생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 발생 장치에서 다공판과 충돌 돌기가 구비된 유체 배출관 영역을 도시한 개략 투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 발생 장치에서 다공판의 개략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양장(LW)과, 물양장(LW) 내에 형성된 빗물 저장 공간(SP), 빗물 저장 공간(SP) 내를 구획하는 격벽(PW), 및 외부의 빗물을 빗물 저장 공간(SP) 내로 유입시키되 기포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물양장(LW)은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 및 여객을 처리할 수 있도록 부두의 바다 방향에 수직하게 쌓은 구조물이다. 이러한 물양장(LW)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본 발명은 이를 빗물 저장 공간(SP)으로 이용한다.
빗물 저장 공간(SP)은 외부, 예를 들어, 산비탈 등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한다. 빗물 저장 공간(SP)에는 빗물 저장 공간(SP)을 구획하는 격벽(PW)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PW)은 빗물 저장 공간(SP)을 구획하여 정화가 필요한 빗물을 저장하는 공간과 정화된 빗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격벽(PW)을 월류하여 정화된 빗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이동한 빗물을 외부로 배출되어 용수로 사용한다. 또한, 빗물 저장 공간(SP) 외부의 빗물을 정화가 필요한 빗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며, 이는 기포 발생 장치에 의해 유입될 수 있다. 즉, 빗물 저장 공간(SP) 외부와 내부는 기포 발생 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기포 발생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관(100)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 배출관(200)으로 배출시키는 펌프(P)와, 유체 배출관(200)에 연결된 기체 유입관(300), 유체 배출관(200) 내에 구비된 다공판(400), 및 유체 배출관(200) 내에 구비된 충돌 돌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체 유입관(100)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산비탈 또는 후술될 빗물 수집 스크린(R)에서 수집되어 빗물 저장 공간(SP)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다.
유체 유입관(100)은 외부에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름이 일정한 관 형태이다. 이러한 유체 유입관(100)은 펌프(P)와 연결되며, 펌프(P)에 의해 외부의 유체가 유체 유입관(100)으로 유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 발생 장치에서 다공판과 충돌 돌기가 구비된 유체 배출관 영역을 도시한 개략 투영 사시도이다.
기체 유입관(300)은 후술될 유체 배출관(200)에 기체, 예를 들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체 배출관(200) 내에서 유체와 기체가 혼합된 기액 혼합물을 회전시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이에 따라, 기체 유입관(300) 외부의 공기가 유체 배출관(200) 내로 자연적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유체 배출관(200)은 펌프(P)에 의해 유체 유입관(100)으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유체 배출관(200) 역시 관의 형태이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다공판(400)과 충돌 돌기(500)가 구비되는 영역의 지름이 그 전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 배출관(200)의 전체적인 지름은 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다공판(400)과 충돌 돌기(500)가 구비되는 영역으로 갈수록 유체 배출관(200)의 지름이 유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공판(400)과 충돌 돌기(500)가 구비되는 영역의 유체 배출관(200)의 지름은 일정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영역의 유체 배출관(200)은 유선형이 아닌 중공의 원뿔기둥 형상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 발생 장치에서 다공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다공판(400)은 유체 배출관(200)의 지름이 감소되는 영역 내에 구비되어 유체 배출관(200)으로 유입되는 기액 혼합물을 회전시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다공판(400)에는 기액 혼합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홀이 형성된다. 회전홀은 다공판(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원형 띠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회전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400)의 전체 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회전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해당 측벽의 경사를 타고 기액 혼합물이 유체 배출관(20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홀은 그 형성 위치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측벽이 경사진 형상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판(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서로 이격된 2개의 다공판(400), 즉, 제1 다공판(410)과 제2 다공판(420)을 예시한다. 또한, 이에 따라, 제1 다공판(410)은 제1 다공판 본체(411)에 다수개의 제1 회전홀(412)이 형성되며, 제2 다공판(420)은 제2 다공판 본체(421)에 다수개의 제2 회전홀(422)이 형성된다. 다수개의 다공판(400)은 유체 배출관(200)의 지름이 감소하기 때문에 그 지름이 서로 상이하다.
충돌 돌기(500)는 다공판(400)을 통과하여 와류가 발생된 기액 혼합물이 충돌되도록 하여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충돌 돌기(500)는 다공판(400)의 후단, 유체 배출관(200)의 내부에 돌기 형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물양장(LW)의 상부에 빗물 수집 스크린(R)을 설치하고 빗물 수집 스크린(R)을 통해 수집되는 빗물을 물양장(LW) 내부의 빗물 저장 공간(SP)으로 유입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양장을 빗물 저장 공간으로 이용하여 공간의 제약없이 빗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판에 의해 유체 배출관의 기액 혼합물을 회전시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유체 유입관 200: 유체 배출관
300: 기체 유입관 400: 다공판
410: 제1 다공판 411: 제1 다공판 본체
412: 제1 회전홀 420: 제2 다공판
421: 제2 다공판 본체 422: 제2 회전홀
500: 충돌 돌기 P: 펌프
LW: 물양장 PW: 격벽
SP: 빗물 저장 공간 R: 빗물 수집 스크린

Claims (3)

  1. 물양장과,
    상기 물양장 내에 형성된 빗물 저장 공간,
    상기 빗물 저장 공간 내를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빗물 저장 공간 내로 외부의 빗물을 유입시키되 기포를 이용하여 빗물을 정화하는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 발생 장치는,
    유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 배출관을 통해 상기 빗물 저장 공간 내의 빗물에 배출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체 배출관에 연결된 기체 유입관,
    상기 유체 배출관 내에 구비된 다공판, 및
    상기 유체 배출관 내에 구비된 충돌 돌기를 포함하는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상기 충돌 돌기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며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다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다공판에는 다수개가 원형 띠 형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회전홀이 형성된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KR1020180047635A 2018-04-25 2018-04-25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KR10224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35A KR102248635B1 (ko) 2018-04-25 2018-04-25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35A KR102248635B1 (ko) 2018-04-25 2018-04-25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840A KR20190123840A (ko) 2019-11-04
KR102248635B1 true KR102248635B1 (ko) 2021-05-06

Family

ID=6857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635A KR102248635B1 (ko) 2018-04-25 2018-04-25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7389B (zh) * 2021-06-04 2023-04-07 上海汇蓬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强化曝气生态修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8691A (zh) * 2015-05-07 2015-08-05 东南大学 带排水箱涵的直立式码头岸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13Y1 (ko) 2009-12-16 2012-05-16 오창준 빗물 저장조의 구조
KR101671410B1 (ko) * 2015-02-24 2016-11-01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빗물과 잡배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재이용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8691A (zh) * 2015-05-07 2015-08-05 东南大学 带排水箱涵的直立式码头岸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840A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55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separation
CN101721842B (zh) 一种消泡装置
US10989228B2 (en) Non-clogging airlift pumps and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the same
JP4706664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微細気泡発生方法
US11414328B2 (en) Water treating equipment providing coalescence and flotation within a single vessel
JP2016028806A (ja) 散気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2011131117A (ja) マイクロバブル濃縮装置及び生成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
KR102248635B1 (ko) 물양장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CN201572547U (zh) 一种消泡装置
JP2015083302A (ja) 排出ノズ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排出ノズル装置を用いた流体の分配方法および処理方法
CN112755594B (zh) 一种气液分离器
KR102305212B1 (ko) 기포 발생 장치
JP6905586B2 (ja) 嫌気性浄化装置用の脱ガス装置
JP2015155092A (ja) エマルジョン解乳化装置及び解乳化方法
KR102211491B1 (ko) 조류 제거 선박
JP3776909B2 (ja) 気泡発生装置
WO2018037504A1 (ja) 不純物除去方法
RU2542320C1 (ru)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JP4088578B2 (ja) 排ガス処理塔
WO2014006865A1 (ja) 気体溶解装置
JP6670684B2 (ja) 気液分離装置及び気液分離方法
JP2008086454A (ja) 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JP2010269299A (ja) 気体溶解装置
KR20160010035A (ko) 습식 집진기
JP2017209618A (ja) 散気装置および散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