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334B1 -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334B1
KR102248334B1 KR1020190078746A KR20190078746A KR102248334B1 KR 102248334 B1 KR102248334 B1 KR 102248334B1 KR 1020190078746 A KR1020190078746 A KR 1020190078746A KR 20190078746 A KR20190078746 A KR 20190078746A KR 102248334 B1 KR102248334 B1 KR 10224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environment
photosynthesis
photosynthesis rate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900A (ko
Inventor
손정익
정대호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3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Greenhous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환경센서,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단순곱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1 계산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2 계산부 및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FvCB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3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실 환경 제어기 및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METHOD FOR VERTICAL ENVIRONMENT CONTROL IN GREENHOUSES USING SPATIAL LEAF PHOTOSYNTHETIC RATE MODELS}
본 발명은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온실 내의 수직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에서 환경 제어를 위해 센서를 설치하여 수집하는 환경 요인에는 온도와 습도,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 풍향, 풍속, 함수율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 요인은 온실 내부의 작물이 어떤 상태에 놓여있는지 표현하는 직접적인 지표가 아니며, 간접적인 방식으로 작물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는 방법에 불과한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여러 작물의 광합성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그 중 광합성 모델과 관련하여서는 여러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광합성 속도를 표현하는 정교한 여러 모델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광합성 속도는 작물의 생체 정보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수확량을 늘리는 데 있어서 일차적으로 확인해야 할 생체 정보에 해당하며, 광합성을 통해 작물의 체내에 축적되는 동화 산물은 작물 체내에서 이동과 재배치를 거치며 최종적으로 작물의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환경 요인의 직접적인 지표인 엽 광합성 속도에 기반한 환경 관리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8077호(2013.12.2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물의 위치(높이)별 엽 광합성 속도에 기반하여 작물 생장 공간의 환경을 관리 및 제어하는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물의 위치(높이)별 엽 광합성 속도에 기반하여 작물 생장 공간의 환경을 관리 및 제어하는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환경센서,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단순곱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1 계산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2 계산부 및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FvCB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3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실 환경 제어기 및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는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곱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1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은 광도의 변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로부터 복합 환경요인에 의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2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FvCB 모델은 온도,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및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3
여기서, P는 제3 엽 광합성 속도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4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5
는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7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8
) 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09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1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3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5
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Rubisco의 Michaelis-Menten 상수(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7
는 산소 농도(mmol/mol)),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8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19
)임.
상기 카르복실화 용량은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0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1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3
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4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5
)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6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7
는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29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1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3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5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6
)임.
상기 전자전달 속도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7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8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39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0
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1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3
는 광이용효율(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5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6
에 대한 광반응 곡률(무차원)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는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환경 관리 방법은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환경센서가 작물의 위치별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온실 환경 제어기가 제1 엽 광합성 속도,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환경제어장치가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 계산부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단순곱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제2 계산부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제3 계산부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FvCB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는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곱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7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은 광도의 변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로부터 복합 환경요인에 의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8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FvCB 모델은 온도,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및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49
여기서, P는 제3 엽 광합성 속도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0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1
는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2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3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4
) 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5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7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59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1
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Rubisco의 Michaelis-Menten 상수(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3
는 산소 농도(mmol/mol)),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4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5
)임.
상기 카르복실화 용량은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6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7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69
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0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1
)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2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3
는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5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7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79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1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2
)임.
상기 전자전달 속도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3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4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5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6
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7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89
는 광이용효율(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1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2
에 대한 광반응 곡률(무차원)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가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이로부터 계산된 제1 엽 광합성 속도,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한다. 따라서,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고, 이로부터 작물의 생장 환경을 제어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작물의 엽 광합성 속도는 작물의 생장과 관련된 환경 요인의 직접적인 지표이므로 이에 기반하여 환경을 제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작물의 생장 환경을 제어하고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의 온실 환경 제어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의 온실 환경 제어기에서 계산한 작물의 위치(높이)별 엽 광합성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의 (a) 제1 계산부 (b)제2 계산부 (c) 제3 계산부에 의해 측정된 같은 위치의 엽 광합성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의 온실 환경 제어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은 환경센서(100), 온실 환경 제어기(200), 환경제어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센서(1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환경센서(100)들은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는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는 광도, 이산화탄소 및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센서(100)는 필요한 경우 전원부, 저장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환경센서(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취득된 상기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취득된 상기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환경센서(100)들에 연결된 대용량 저장소이거나 또는, 상기 환경센서(100) 내부에 배치된 소용량 저장소일 수 있다.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광합성 속도란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고정(또는 산소발생) 속도를 말한다.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측정된 상기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일정 간격의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온실 내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작물의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작물의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는 위치(높이)별로 설치된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취득된 상기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위치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위치별로 작물에게 필요한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물의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위치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제1 계산부(210), 제2 계산부(220) 및 제3 계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계산부(210)는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단순곱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곱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수식을 단순 곱 형태로 이어 붙여 복합 환경 요인에 의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상기 제1 계산부(210)는 회귀 계수들을 추정하여 상기 단순곱 모델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3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상기 제2 계산부는(220)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직각 쌍곡선 모델이란 광합성의 광반응과 암반응을 나누어 각각에 대하여 화학 반응식을 생성하고,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모델이며, 광도와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에 따라서 엽 광합성 속도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은 상기 직각 쌍곡선 모델에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를 추가하여 광도의 변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로부터 복합 환경요인에 의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2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4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상기 제3 계산부(230)는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FvCB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FvCB 모델은 온도,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및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5
여기서, P는 제3 엽 광합성 속도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6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7
는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임.
상기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4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8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099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0
) 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1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3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5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7
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Rubisco의 Michaelis-Menten 상수(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09
는 산소 농도(mmol/mol)),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0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1
)임.
상기 카르복실화 용량은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다음의 수학식 5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2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3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5
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6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7
)임.
상기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6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8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19
는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1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3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5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7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8
)임.
상기 전자전달 속도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7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9067147773-pat00129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0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1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2
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3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5
는 광이용효율(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7
Figure 112019067147773-pat00138
에 대한 광반응 곡률(무차원)임.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도가 작물의 광포화점 이상이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작물의 이산화탄소 포화점 이상인 경우, 세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한 광합성 속도가 낮다면 가온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도가 작물의 광포화점 이상이며, 온도가 작물의 온도제어기준치 섭씨 -5도 이상이고 섭씨 +5도 이내인 경우, 세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한 광합성 속도가 낮다면 이산화탄소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작물의 이산화탄소 포화점 이상이며, 온도가 작물의 온도제어기준치 섭씨 -5도 이상이고 섭씨 +5도 이내인 경우, 세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한 광합성 속도가 낮다면 차광막을 열어 광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포화점, 작물의 온도제어기준치는 시스템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위치별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가 낮은 경우 온도를 높이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짙게 하며, 광도를 높이도록 해당 위치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위치별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가 높은 경우 온도를 낮추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옅게 하며, 광도를 낮추도록 해당 위치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300)가 제어하는 온실 내의 환경은 작물 생장 공간(온실)의 광도,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일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작물 생장 공간(온실)의 환경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서로 상이한 수직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환경제어장치일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다양한 환경제어기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이산화탄소 공급기, 히터, 냉방기, 조명 또는 햇빛 가림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은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며, 카테고리만 상이할 뿐 도 1 및 도 2의 환경 제어 시스템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환경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작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각 단계의 연관성만을 추가 기술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은 작물의 위치별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0),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작물의 위치별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0)에서는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상기 환경센서(100)가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는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는 광도, 이산화탄소 및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물의 위치별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0)에서는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취득된 상기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작물의 위치별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0)에서는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취득된 상기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가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광합성 속도란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고정(또는 산소발생) 속도를 말한다.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가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측정된 상기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가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가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가 일정 간격의 작물의 위치(높이)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온실 내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작물의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작물의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는 위치(높이)별로 설치된 상기 환경센서(100)에서 취득된 상기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위치별로 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위치별로 작물에게 필요한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물의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위치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는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S210),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S220) 및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S210)에서는 상기 제1 계산부(210)는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단순곱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곱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수식을 단순 곱 형태로 이어 붙여 복합 환경 요인에 의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S210)에서는 상기 제1 계산부(210)는 회귀 계수들을 추정하여 상기 단순곱 모델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는 상기 수학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2 계산부는(220)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직각 쌍곡선 모델이란 광합성의 광반응과 암반응을 나누어 각각에 대하여 화학 반응식을 생성하고,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모델이며, 광도와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에 따라서 엽 광합성 속도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은 상기 직각 쌍곡선 모델에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를 추가하여 광도의 변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로부터 복합 환경요인에 의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일 수 있다.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는 상기 수학식 2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3 계산부(230)는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FvCB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FvCB 모델은 온도,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및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는 상기 수학식 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상기 수학식 4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화 용량은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상기 수학식 5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상기 수학식 6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전달 속도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상기 수학식 7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의 동작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위치별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가 낮은 경우 온도를 높이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짙게 하며, 광도를 높이도록 해당 위치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는 위치별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가 높은 경우 온도를 낮추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옅게 하며, 광도를 낮추도록 해당 위치의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200)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300)가 제어하는 온실 내의 환경은 작물 생장 공간(온실)의 광도,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일 수 있다. 상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작물 생장 공간(온실)의 환경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S300)에서는 서로 상이한 수직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환경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다양한 환경제어기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환경제어장치(300)는 이산화탄소 공급기, 히터, 냉방기, 조명 또는 햇빛 가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환경센서
200: 온실 환경 제어기
300: 환경 제어 장치

Claims (20)

  1.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작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환경센서;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단순곱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1 계산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2 계산부 및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FvCB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제3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실 환경 제어기; 및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시스템.
    Figure 112021002452527-pat00238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는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곱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인 환경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은 광도의 변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로부터 복합 환경요인에 의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인 환경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시스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0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7. 제1항에 있어서, FvCB 모델은 온도,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및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시스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1

    여기서, P는 제3 엽 광합성 속도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2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3
    는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4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5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6
    ) 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7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49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1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3
    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Rubisco의 Michaelis-Menten 상수(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5
    는 산소 농도(mmol/mol)),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6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7
    )임.
    상기 카르복실화 용량은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시스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8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59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1
    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2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3
    )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4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5
    는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7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69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1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3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4
    )임.
    상기 전자전달 속도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시스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5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6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7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8
    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79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1
    는 광이용효율(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3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4
    에 대한 광반응 곡률(무차원)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는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하는 환경 관리 시스템.
  11.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환경센서가 작물의 위치별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온실 환경 제어기가 제1 엽 광합성 속도,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환경제어장치가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의 동작 제어에 따라서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 계산부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단순곱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제2 계산부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제3 계산부가 상기 측정된 환경에 대한 정보로부터 FvCB 모델을 이용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방법.
    Figure 112021002452527-pat00239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위치는 상기 작물의 서로 상이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곱 모델은 단일 환경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엽 광합성 속도를 곱하여 복합 환경 요인에 대한 제1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인 환경 관리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직각 쌍곡선 모델은 광도의 변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로부터 복합 환경요인에 의한 제2 엽 광합성 속도를 계산하는 모델인 환경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방법.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6

    여기서, P는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max는 최대 엽 광합성 속도(μmolCO2·m-2·s-1)이고,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μmolm-2·s-1)이고, a ~ e는 회귀계수(무차원)이고, Ci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μmolmol-1)이고, Tl은 엽온(℃)이고, R은 호흡 속도(μmolCO2·m-2·s-1)임.
  17. 제11항에 있어서, FvCB 모델은 온도,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및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방법.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7

    여기서, P는 제3 엽 광합성 속도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8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89
    는 전자 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0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1
    는 루비스코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2
    ) 이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3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5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7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199
    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Rubisco의 Michaelis-Menten 상수(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0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1
    는 산소 농도(mmol/mol)),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2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3
    )임.
    상기 카르복실화 용량은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방법.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4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5
    는 특정 광도에서의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7
    는 최대 카르복실화 용량(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8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09
    )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0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1
    는 전자전달 제한 구간의 광합성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2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3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4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5
    는 세포 내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7
    는 이산화탄소 보상점(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19
    는 호흡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0
    )임.
    상기 전자전달 속도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이고,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며, 상기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환경 관리 방법.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1

    여기서,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2
    는 특정 광도에서의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3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4
    는 최대 전자전달 속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5
    ), PAR은 광합성 유효 광량 자속 밀도(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6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7
    는 광이용효율(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8
    ),
    Figure 112019067147773-pat00229
    Figure 112019067147773-pat00230
    에 대한 광반응 곡률(무차원)임.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온실 환경 제어기가 상기 제1 엽 광합성 속도, 상기 제2 엽 광합성 속도 및 상기 제3 엽 광합성 속도로부터 온실 내의 환경제어장치의 동작을 수직 방향으로 차등적 제어하는 환경 관리 방법.
KR1020190078746A 2019-07-01 2019-07-01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46A KR102248334B1 (ko) 2019-07-01 2019-07-01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46A KR102248334B1 (ko) 2019-07-01 2019-07-01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00A KR20210002900A (ko) 2021-01-11
KR102248334B1 true KR102248334B1 (ko) 2021-05-06

Family

ID=7412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46A KR102248334B1 (ko) 2019-07-01 2019-07-01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3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7B1 (ko) 2010-09-13 2012-01-19 손영배 높낮이 조절되는 발광부를 가지는 화분
JP2014150759A (ja) * 2013-02-08 2014-08-25 Atsushi Kano 施設栽培の環境制御システム
JP2015065912A (ja)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植物成長および運用コストシミュレーションに基づいた植物工場環境制御システム
WO2018056071A1 (ja) 2016-09-23 2018-03-29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JP2018117539A (ja) 2017-01-23 2018-08-02 ヤンマー株式会社 二酸化炭素施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08748B2 (en) * 2009-02-02 2014-09-18 Priva Bv Control system for the climate in a spatial environment for organisms, spatial environment adapted thereto, control system and program therefor
KR101348077B1 (ko) 2012-08-14 2014-01-03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식물의 잎 호흡 및 광합성량 측정용 자동 공기수집 챔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7B1 (ko) 2010-09-13 2012-01-19 손영배 높낮이 조절되는 발광부를 가지는 화분
JP2014150759A (ja) * 2013-02-08 2014-08-25 Atsushi Kano 施設栽培の環境制御システム
JP2015065912A (ja)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植物成長および運用コストシミュレーションに基づいた植物工場環境制御システム
WO2018056071A1 (ja) 2016-09-23 2018-03-29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JP2018117539A (ja) 2017-01-23 2018-08-02 ヤンマー株式会社 二酸化炭素施肥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온실재배 어윈 망고의 위치 별 2변수 엽 광합성 모델 개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00A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075B1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CN103598025B (zh) 一种田间原位连续低丰度13co2同位素标记装置及方法
JP2018156693A (ja) 計測機器の異常判定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農業設備の環境制御システム
JP6506444B2 (ja) 二酸化炭素施用システム、二酸化炭素制御装置、二酸化炭素施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33984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greenhouses
JP2017524349A (ja) 人工光植物育成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CN111915062B (zh) 水分利用率与光合速率协同的温室作物需水调控方法
KR102248334B1 (ko) 작물 위치별 엽 광합성 속도 분포 모델을 이용한 수직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91952B1 (ko) 화분 인큐베이터 및 화분 인큐베이터에 식재된 화분을 관리하는 방법
CN103402477A (zh) 恒温箱组件以及控制湿度速率的相关控制装置
Hoque et al. An automated greenhous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sensors and solar power
CN104996199B (zh) 一种高效二氧化碳施肥装置及施肥方法
CN104656713A (zh) 基于单片机的养鸡场环境监控系统
CN105511528A (zh) 一种以温度优先的温室环境控制方法
US110197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lecular air control in a grow pod
CN109102420B (zh) 一种基于调控效益优先的二维联合调控目标区域的获取方法
CN116430930A (zh) 一种林场环境平衡调节设备
JP6573849B2 (ja) 農業用ハウス内環境制御装置
CN205920024U (zh) 一种适用于植物或土壤的含水量自动测量装置
CN117223549A (zh) 一种基于蘑菇房内菌菇生长代谢状况的气候控制系统及方法
JPWO2018021142A1 (ja) 二酸化炭素施用支援装置及び二酸化炭素施用支援プログラム
KR101187473B1 (ko) 축사 환기부 제어용 콘트롤러
JP2016182092A (ja) 植物栽培装置
CN110031092A (zh) 测定装置
RU2400968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ным режимом в теплиц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