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253B1 -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253B1
KR102248253B1 KR1020200177445A KR20200177445A KR102248253B1 KR 102248253 B1 KR102248253 B1 KR 102248253B1 KR 1020200177445 A KR1020200177445 A KR 1020200177445A KR 20200177445 A KR20200177445 A KR 20200177445A KR 102248253 B1 KR102248253 B1 KR 10224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sless
encoding
energy
b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349A (ko
Inventor
주기현
오은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4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17Lossless audio signal coding; Perfect reconstruction of coded audio signal by transmission of coding err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using subband decompos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32Quantisation or dequantisation of spectral compon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32Quantisation or dequantisation of spectral components
    • G10L19/035Scalar quant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무손실 부호화방법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손실 부호화 모드 결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무손실 부호화 모드 결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를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Energy lossless-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udi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energy lossless-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udi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잡도의 증가 및 복원된 음질의 열화없이, 한정된 비트 범위에서 오디오 스펙트럼의 에너지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소요되는 비트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실제 스펙트럼 성분을 부호화하는데 소요되는 비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와 이를 채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시 실제의 스펙트럼 성분 이외에 에너지와 같은 부가정보가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부가정보의 부호화에 할당되는 비트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실제의 스펙트럼 성분의 부호화에 할당되는 비트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경우, 특히 낮은 비트율에서 한정된 비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해당 비트 범위에서 최상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잡도의 증가 및 복원된 음질의 열화없이, 한정된 비트 범위에서 오디오 스펙트럼의 에너지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소요되는 비트수를 감소시키는 반면 실제 스펙트럼 성분을 부호화하는데 소요되는 비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오디오 부호화방법,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잡도의 증가 및 복원된 음질의 열화없이, 한정된 비트 범위에서 오디오 스펙트럼의 에너지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소요되는 비트수를 감소시키는 반면 실제 스펙트럼 성분을 부호화하는데 소요되는 비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장치, 오디오 부호화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오디오 부호화방법,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혹은 오디오 복호화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장치, 오디오 부호화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장치 혹은 오디오 복호화장치를 채용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부호화방법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손실 부호화 모드 결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무손실 부호화 모드 결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를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부호화방법은, 시간영역의 오디오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스펙트럼 계수로부터 주파수 밴드 단위로 얻어지는 에너지를 양자화하는 단계;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표현하는 비트수와 상기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결과 발생하는 비트수를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상기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 중 하나로 이용하여 무손실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밴드 단위로 부호화를 위한 비트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비트에 근거하여 상기 스펙트럼 계수를 양자화 및 무손실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복호화방법은,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손실 부호화 모드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로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무손실 부호화 모드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양자화 계수를 유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로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손실 복호화방법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무손실 부호화 모드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로 복호화하거나, 유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로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무손실 복호화된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역양자화하고, 에너지 역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밴드 단위로 복호화를 위한 비트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얻어지는 스펙트럼 계수를 무손실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무손실 복호화된 스펙트럼 계수를 상기 할당된 비트에 근거하여 역양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무한범위 양자화계수를 팩토리얼 펄스 코딩방식 이외에 허프만 부호화방식으로도 부호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한범위 양자화계수의 부호화에 사용되는 비트수를 절감하여 스펙트럼 부호화에 더 많은 비트수를 할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무손실 부호화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무손실 복호화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블럭도이다.
도 8은 유한 범위의 에너지 양자화계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100)는 변환부(110), 에너지 양자화부(120),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부(130), 비트할당부(140), 스펙트럼 양자화부(150), 스펙트럼 무손실 부호화부(160) 및 다중화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화부(170)는 옵션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비트 패킹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무손실 부호화된 에너지 데이터와 무손실 부호화된 스펙트럼 데이터가 별도의 비트스트림을 형성하여 저장 혹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스펙트럼 양자화 과정 이후 혹은 이전, 에너지값을 이용하여 정규화(normalization)를 수행하는 정규화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는 음악 혹은 음성, 혹은 음악과 음성의 혼합신호를 나타내는 사운드 등의 미디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디오 신호로서 지칭하기로 한다. 오디오 부호화장치(100)로 입력되는 시간 도메인의 오디오 신호는 다양한 샘플링 레이트를 가질 수 있고, 샘플링 레이트별로 스펙트럼을 양자화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의 밴드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무손실 부호화가 수행되는 양자화된 에너지의 개수가 변동될 수 있다. 샘플링 레이트의 예로는, 8kHz, 16kHz, 32kHZ, 48kHz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샘플링 레이트 및 타겟 비트율이 결정된 시간 도메인의 오디오 신호는 변환부(11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변환부(110)는 시간 도메인의 오디오 신호, 예를 들면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오디오 스펙트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간/주파수 도메인 변환은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등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변환부(110)로부터 얻어지는 오디오 스펙트럼의 변환계수들, 예를 들면 MDCT 계수들은 에너지 양자화부(120) 및 스펙트럼 양자화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에너지 양자화부(120)는 변환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변환계수들로부터, 주파수 밴드 단위로 에너지값을 획득할 수 있다. 주파수 밴드는 오디오 스펙트럼의 샘플들을 그루핑한 단위로서, 임계대역을 반영하여 균일 혹은 비균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비균일한 경우, 한 프레임에 대하여 시작 샘플에서부터 마지막 샘플에 이르기까지 주파수 밴드에 포함되는 샘플의 개수가 점점 증가하도록 주파수 밴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비트율을 지원하는 경우, 서로 다른 비트율에서 대응하는 각 주파수 밴드에 포함되는 샘플의 갯수가 동일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 프레임에 포함되는 주파수 밴드의 개수 혹은 주파수 밴드에 포함되는 샘플의 개수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에너지값은 주파수 밴드에 포함되는 변환계수들의 엔벨로프를 나타낼 수 있으며, 평균 진폭, 평균 에너지, 파워 혹은 norm 값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밴드는 파라미터 밴드 혹은 스케일 팩터 밴드를 의미할 수 있다.
k번째 주파수 밴드의 에너지 E(k)는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0137443042-pat00001
여기서, S(l)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의미하며, start 및 end는 각각 현재 주파수 밴드의 시작 샘플 및 마지막 샘플을 의미한다.
에너지 양자화부(120)는 획득된 에너지에 대하여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양자화를 수행하여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k번째 주파수 밴드의 에너지 E(k)를 양자화 스텝 사이즈로 나누고 반올림을 수행하여 정수로 변환함으로써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에너지 양자화부(120)는 에너지에 대하여 양자화 경계(boundary)를 두지 않고 무한 범위의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갖도록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양자화 계수는 에너지 양자화 인덱스로 표현 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원래의 에너지 값이 20.2 이고, 양자화 스텝 사이즈가 2 라고 가정한 경우, 양자화된 값은 20 이며 양자화 인덱스 및 양자화 계수는 10 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밴드에 대하여, 현재 밴드의 양자화 계수와 이전 밴드의 양자화 계수와의 차이 즉, 델타값에 대하여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한 범위의 무손실 부호화를 적용하는 경우, 에너지 양자화 계수 또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이전 밴드와의 차이값 즉 델타값을 입력으로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유한 범위의 무손실 부호화를 사용하는 경우,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델타값을 입력으로 활용하게 되는데, 입력값에 특정값을 더한 값을 활용하여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첫번째 밴드의 값은 이전 밴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델타값을 적용하지는 않고, 상기 더해지는 특정값 대신에 다른 값을 빼서 무손실 부호화의 입력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부(130)는 에너지 양자화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한 범위의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프레임 단위로 제1 무손실 부호화모드와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손실 부호화 모드는 무한 범위의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제2 무손실 부호화 모드는 유한 범위의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양자화부(120)로부터 제공되는 각 주파수 밴드에 대한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주파수 밴드간 양자화 델타값을 구하고, 양자화 델타값에 대하여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무손실 부호화 결과 얻어지는 에너지 데이터는 제1 혹은 제2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저장 혹은 전송될 수 있다.
비트할당부(140)는 에너지 양자화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에너지 역양자화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비트할당부(140)는 타겟 비트율에 따른 전체 비트수에 대하여, 각 주파수 밴드 단위로 에너지 역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마스킹 임계치를 계산하고, 마스킹 임계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 밴드의 지각적 부호화에 필요한 할당 비트수를 정수단위 혹은 소수점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트할당부(140)는 각 주파수 밴드 단위로 구해진 에너지 역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허용 비트수를 추정하여 비트를 할당하고, 할당 비트수가 허용 비트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값이 큰 주파수 밴드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각 주파수 밴드의 에너지값에 대하여 각 주파수 밴드의 지각적 중요도에 따라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지각적으로 중요한 주파수 밴드에 더 많은 비트가 할당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지각적 중요도는 일예로 ITU-T G.719 에서와 같은 심리음향 가중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스펙트럼 양자화부(150)는 변환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변환계수들에 대하여, 각 주파수 밴드 단위로 결정된 할당 비트수를 이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하고, 스펙트럼 양자화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스펙트럼 무손실 부호화부(160)는 스펙트럼 양자화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스펙트럼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무손실 부호화 알고리즘의 일예로서, 팩토리얼 펄스 코딩(Factorial Pulse Coding, 이하 FPC라 약함)을 사용할 수 있다. FPC 부호화에 따르면, 할당된 비트수 범위내에서 펄스의 위치, 펄스의 크기, 및 펄스의 부호와 같은 정보가 팩토리얼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PC 부호화 결과 얻어지는 FPC 데이터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저장 혹은 전송될 수 있다.
다중화부(170)는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에너지 데이터와 스펙트럼 무손실 부호화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스펙트럼 데이터를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오디오 복호화장치(200)는 역다중화부(210),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부(220), 에너지 역양자화부(230), 비트 할당부(240), 스펙트럼 무손실 복호화부(250), 스펙트럼 역양자화부(260) 및 역변환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부호화장치(100)에서와 마찬가지로 역다중화부(210)옵션으로 구비되며, 비트 언패킹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스펙트럼 역양자화 과정 이후 혹은 이전, 에너지값을 이용하여 역정규화(normalization)를 수행하는 역정규화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역다중화부(210)는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부호화된 에너지 데이터는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부(220)로, 부호화된 스펙트럼 데이터는 스펙트럼 무손실 복호화부(250)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부(220)는 부호화된 에너지 데이터에 대하여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하여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 역양자화부(230)는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이용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에너지 역양자화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역양자화부(230)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곱하여 에너지 역양자화 계수를 얻을 수 있다.
비트 할당부(240)는 에너지 역양자화부(230)로부터 제공되는 에너지 역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 밴드 단위로, 정수 혹은 소수점 단위의 비트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값이 큰 주파수 밴드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샘플별로 비트를 할당한다. 즉, 우선적으로 최대 에너지값을 갖는 주파수 밴드에 대하여 샘플당 비트를 할당하고, 해당 주파수 밴드의 에너지값을 소정 단위만큼 감소시켜 다른 주파수 밴드에 비트를 할당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주어진 프레임에서 사용가능한 전체 비트수가 모두 소진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비트할당부(240)의 동작은 오디오 부호화장치(100)의 비트할당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스펙트럼 무손실 복호화부(250)는 부호화된 스펙트럼 데이터에 대하여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하여 스펙트럼 양자화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스펙트럼 역양자화부(260)는 스펙트럼 무손실 복호화부(250)로부터 제공되는 스펙트럼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각 주파수 밴드 단위로 결정된 할당 비트수를 이용하여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스펙트럼 역양자화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역변환부(250)는 스펙트럼 역양자화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스펙트럼 역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역변환을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장치(300)는 모드 결정부(310), 제1 무손실 부호화부(330) 및 제2 무손실 부호화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손실 부호화부(350)는 상위비트 부호화부(351)와 하위비트 부호화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모드 결정부(310)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한 부호화 모드를 제1 무손실 부호화모드와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무손실 부호화모드로 결정된 경우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제1 무손실 부호화부(3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로 결정된 경우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제2 무손실 부호화부(350)로 제공할 수 있다. 모드 결정부(310)는 한 프레임내의 모든 주파수 밴드에서 에너지 양자화 계수가 특정 비트, 예를 들어 N 비트(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표현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밴드에서 특정 비트로 표현될 수 없는 경우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부호화 모드를 무한 무손실 부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제1 무손실 부호화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모든 주파수 밴드에서 특정 비트로 표현될 수 있는 경우,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부호화 모드를 무한 무손실 부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제1 무손실 부호화모드와 유한 무손실 부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프레임에서 모든 밴드에 대하여 상위비트의 양자화계수를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의 복수개의 모드로 부호화하고, 부호화 결과 사용된 가장 적은 비트와 제1 무손실 부호화모드의 수행 결과 사용된 비트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재차 제1 무손실 부호화모드와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모드 결정 결과에 대응하여,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1 비트의 제1 부가정보(D0)가 생성되어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모드 결정부(310)는 부호화모드가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로 결정된 경우, N 비트의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N0 비트의 상위비트와 N1 비트의 하위비트로 분리하여 제2 무손실 부호화부(35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N0는 N-N1으로, N1은 N-N0로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은 6, N0는 5, N1은 1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무손실 부호화부(330)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FPC를 수행할 수 있다. FPC는 델타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주파수 밴드간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차이값들을 부호와 절대값으로 분리하고, 부호는 절대값이 0이 아닌 경우 전송하고, 절대값은 펄스를 스택한 것으로 표현하여 각 주파수 밴드별로 몇 개의 펄스들이 스택되어 있는지를 표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2 무손실 부호화부(350)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로 분리하여, 상위비트에 대해서는 허프만 부호화방식 혹은 비트패킹방식을 적용하고, 하위비트에 대해서는 비트패킹방식을 적용하여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위비트 부호화부(351)는 N0 비트로 표현되는 상위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2N0개의 심볼을 구성하고, 허프만 부호화방식 혹은 비트패킹방식 중 적은 비트가 소요되는 방식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상위비트 부호화부(351)는 M 종류의 부호화 모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M-1)개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와 1개의 비트패킹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이 4인 경우, 상위비트의 부호화모드를 나타내는 2 비트의 제2 부가정보(D1)가 생성되어 제1 부가정보(D0)와 함께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하위비트 부호화부(353)는 N1 비트로 표현되는 하위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비트패킹방식을 적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이 Nb개의 주파수 밴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체 N1×Nb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하위비트 데이터를 부호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무손실 부호화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 무손실 부호화부(400)는 상위비트 부호화부(410)와 제2 비트패킹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비트 부호화부(410)는 복수개,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1, 413, 415), 및 제1 비트패킹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허프만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 예로 들어 제1 내지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1, 413, 415)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호화 허용 비트수를 고려하여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2 무손실 부호화부(400)는 하나의 프레임에 존재하는 모든 주파수 밴드에 대하여, 델타 코딩이 사용되는 경우 현재 주파수 밴드와 이전 주파수 밴드간의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차이값이 특정 비트 예를 들어 6 비트로 표현될 수 있어야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주파수 밴드의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차이값이 6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64 가지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무손실 부호화부(도 3의 330)을 통하여 무손실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상위비트 부호화부(410)는 제1 내지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1, 413, 415), 및 제1 비트패킹부(417) 중에서 모드 결정부(도 3의 310)에서 이미 결정된 가장 적은 비트의 허프만 모드를 그대로 각 밴드의 상위비트 부호화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 프레임의 모든 대역에 대하여 동일한 무손실 부호화모드가 적용되고, 따라서 에너지에 대한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동일한 비트값이 각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1, 413, 415)는 컨텍스트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허프만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허프만 부호화부(411)는 컨텍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허프만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2 허프만 부호화부(413)는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허프만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컨텍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주파수 밴드의 양자화 델타값을 허프만 부호화함에 있어서, 이전 주파수 밴드의 양자화 델타값을 컨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전 주파수 밴드의 양자화 델타값 중 상위비트 예를 들어 5 비트로 표현된 값을 컨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다.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5)는 컨텍스트를 사용하지 않으나 제1 허프만 부호화부(411)와 비교하여 좀 더 적은 개수의 심볼로 허프만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비트패킹부(417)는 상위비트 데이터를 그대로 부호화하여, 예를 들어 5 비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위비트 부호화부(410)에 있어서, 제1 혹은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상위비트의 부호화 모드와 상관없이, 비교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위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5)와 제1 비트패킹부(417)에 의한 부호화 결과를 비교하고, 가장 적은 비트가 소요된 부호화모드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모든 대역에 대하여 제2 무손실 부호화모드가 적용되는 한편, 상위비트 부호화에는 서로 다른 허프만 부호화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은 프레임 단위로 동작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M=4 즉, 상위비트 데이터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가 4가지인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4가지는 도 4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1, 413, 415)와 제1 비트패킹부(417)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510 단계에서는 입력되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무한 무손실 부호화 알고리즘인 FPC를 수행하고, FPC에서 사용된 비트(ebits)를 계산할 수 있다. 510 단계는 후술하는 580 단계 이전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520 단계에서는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를 위하여 입력되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차이값을 확인하여, 제1 혹은 제2 무손실 부호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모든 주파수 밴드에 대하여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차이값이 특정 비트로 표현되는 경우 제2 무손실 부호화 모드인 허프만 부호화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밴드에서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차이값이 특정 비트로 표현되지 않는 경우 제1 무손실 부호화 모드인 FPC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즉, 허프만 부호화가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580 단계에서는 해당 프레임에 대하여 FPC에서 사용된 비트(ebits)에,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모드를 나타내는 제1 부가정보에 해당하는 1 비트를 추가하여 제1 무손실 부호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530 단계에서는 허프만 부호화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위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M가지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를 수행하고, 각 부호화 모드에 대하여 사용된 비트 h0bits 내지 h(M-1)bits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h0bits 는 제1 허프만 부호화 모드를 적용한 경우 사용된 비트이고, h(M-1)bits는 제M 허프만 부호화 모드를 적용한 경우 사용된 비트를 의미한다.
540 단계에서는 h0bits 내지 h(M-1)bits를 비교하여 가장 작은 비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제2 부가정보를 표현하는 2 비트를 부가하여 상위비트에 대한 무손실 부호화비트(hbits)를 계산할 수 있다.
550 단계에서는 상위비트의 무손실 부호화에 사용된 비트(hbits)에 하위비트의 무손실 부호화에 사용된 비트(lbits)를 더하여 전체 비트의 허프만 부호화에 사용된 비트(tbits)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하위비트가 1 비트이고,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주파수 밴드가 20개인 경우 lbits 는 20 비트이다.
560 단계에서는 550 단계에서 계산된 전체 비트의 허프만 부호화에 사용된 비트(tbits)와 510 단계에서 계산된 FPC에서 사용된 비트(ebits)를 비교하고, 즉 허프만 부호화에서 사용된 비트(tbits)가 FPC에서 사용된 비트(ebits)보다 작은 경우, 상위비트에 대하여 제2 무손실 부호화 즉 허프만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70 단계에서는 560 단계에서 상위비트에 대하여 제2 무손실 부호화 즉 허프만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허프만 부호화에서 사용된 비트(tbits)에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모드를 나타내는 제1 부가정보에 해당하는 1 비트를 추가하여 제2 무손실 부호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580 단계에서는 520 단계에서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허프만 부호화가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560 단계에서 상위비트에 대하여 제1 무손실 부호화 즉 FPC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FPC에서 사용된 비트(ebits)에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모드를 나타내는 제1 부가정보에 해당하는 1 비트를 추가하여 제1 무손실 부호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장치(600)는 모드 판단부(610), 제1 무손실 복호화부(630) 및 제2 무손실 복호화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손실 복호화부(650)는 상위비트 복호화부(651)와 하위비트 복호화부(65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모드 판단부(610)는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제1 부가정보(D0) 및 제2 부가정보(D1)로부터 에너지 데이터와 상위비트 데이터의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제1 부가정보(D0)를 체크하여, 제1 무손실 부호화 모드인 경우 에너지 데이터를 제1 무손실 복호화부(610)로, 제2 무손실 부호화 모드인 경우 에너지 데이터를 제2 무손실 복호화부(6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무손실 복호화부(630)는 모드 판단부(610)로부터 제공된 에너지 데이터에 대하여 FPC를 이용하여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무손실 복호화부(650)에 있어서 상위비트 복호화부(651)는 모드 판단부(610)로부터 제공된 에너지 데이터의 상위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제2 부가정보(D1)를 체크하여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하위비트 복호화부(653)는 모드 판단부(610)로부터 제공된 에너지 데이터의 하위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무손실 복호화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2 무손실 복호화부(700)는 상위비트 복호화부(710)와 제2 비트언패킹부(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비트 복호화부(710)는 복수개,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허프만 복호화부(711, 713, 715) 및 제1 비트언패킹부(7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허프만 복호화부(711, 713, 715)와 제1 비트언패킹부(717)는 도 4의 제1 내지 제3 허프만 부호화부(411, 413, 415)와 제1 비트패킹부(417)에 대응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상위비트 복호화부(710)의 제1 내지 제3 허프만 복호화부(711, 713, 715) 및 제1 비트언패킹부(717)는 제2 부가정보(D1)에 따라서 모드 판단부(610)로부터 제공된 에너지 데이터의 상위비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무손실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1=00인 경우 상위비트 데이터는 제1 허프만 복호화부(711)로, D1=01인 경우 상위비트 데이터는 제2 허프만 복호화부(713)로, D1=10인 경우 상위비트 데이터는 제3 허프만 복호화부(711)로 제공되어 허프만 테이블을 이용한 무손실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D1=11인 경우 상위비트 데이터는 제1 비트언패킹부(717)로 제공되어 비트언패킹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비트언패킹부(719)는 에너지 데이터의 하위비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비트언패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유한 범위 즉, 특정 비트로 표현될 수 있는 에너지 양자화계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N은 6, N0는 5, N1은 1인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위 5 비트는 허프만 부호화방식으로, 하위 1 비트는 비트패킹방식으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900)는 통신부(910)와 부호화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용도에 따라서,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부(9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900)는 마이크로폰(9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부(950)와 마이크로폰(970)은 옵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900)는 임의의 복호화모듈(미도시), 예를 들면 일반적인 복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복호화모듈 혹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호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모듈(930)은 멀티미디어 기기(9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미도시)와 함께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부(9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와 부호화된비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거나, 복원된 오디오와 부호화모듈(930)의 부호화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910)는 무선 인터넷, 무선 인트라넷, 무선 전화망, 무선 랜(LA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FD, Wi-Fi Direct), 3G(Generation), 4G(4 Genera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전화망, 유선 인터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호화모듈(930)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910) 혹은 마이크로폰(970)을 통하여 제공되는 시간 도메인의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의 오디오 스펙트럼으로 변환하고, 주파수 도메인의 오디오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고, 무손실 부호화 모드 결정 결과에 대응하여,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하거나,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결정함에 있어서 델타 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주파수 밴드의 에너지 양자화 계수 차이값이 소정 비트로 표현되는지에 따라서,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주파수 밴드의 에너지 양자화 계수 차이값이 소정 비트로 표현되더라도,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결과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로 부호화한 결과에 따라서,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와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에너지 양자화 계수에 대하여 결정된 무손실 부호화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는 FPC에 의해 수행되고,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는 허프만 부호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유한 범위 무손실 부호화 모드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로 나누어 부호화가 수행되며, 상위비트는 복수개의 허프만 테이블을 사용하거나 비트패킹에 의해 부호화가 수행되고, 상위비트의 부호화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위비트는 비트패킹에 의해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저장부(950)는 부호화 모듈(930)에서 생성되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950)는 멀티미디어 기기(900)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70)은 사용자 혹은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부호화모듈(93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호화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1000)는 통신부(1010)와 복호화모듈(10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결과 얻어지는 복원된 오디오신호의 용도에 따라서,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0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1000)는 스피커(1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부(1050)와 스피커(1070)는 옵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1000)는 임의의 부호화모듈(미도시), 예를 들면 일반적인 부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부호화모듈 혹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호화모듈(1030)은 멀티미디어 기기(10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미도시)와 함께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부(10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과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거나 복호화 모듈(1030)의 복호화결과 얻어지는 복원된 오디오 신호와 부호화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010)는 도 9의 통신부(9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복호화 모듈(1030)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010)를 통하여 제공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에너지 양자화 계수의 무손실 부호화 모드를 판단하고, 무손실 부호화 모드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무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로 복호화하거나, 유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로 복호화할 수 있다. 무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는 FPC에 의해 수행되고, 유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는 허프만 복호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한 범위 무손실 복호화 모드는 에너지 양자화 계수를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로 나누어 복호화가 수행되며, 상위비트는 복수개의 허프만 테이블을 사용하거나 비트언패킹에 의해 복호화가 수행되고, 하위비트는 비트언패킹에 의해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저장부(1050)는 복호화 모듈(1030)에서 생성되는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050)는 멀티미디어 기기(1000)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스피커(1070)는 복호화 모듈(1030)에서 생성되는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모듈과 복호화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1100)는 통신부(1110), 부호화모듈(1120)과 복호화모듈(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비트스트림 혹은 복호화 결과 얻어지는 복원된 오디오신호의 용도에 따라서, 오디오 비트스트림 혹은 복원된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1100)는 마이크로폰(1150) 혹은 스피커(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모듈(1120)과 복호화모듈(1130)은 멀티미디어 기기(11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미도시)와 함께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도 9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900)의 구성요소 혹은 도 10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1000)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기기(900, 1000, 1100)에는, 전화, 모바일 폰 등을 포함하는 음성통신 전용단말, TV,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방송 혹은 음악 전용장치, 혹은 음성통신 전용단말과 방송 혹은 음악 전용장치의 융합 단말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900, 1000, 1100)는 클라이언트, 서버 혹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배치되는 변환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기기(900, 1000, 1100)가 예를 들어 모바일 폰인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키패드 등과 같은 유저 입력부, 유저 인터페이스 혹은 모바일 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모바일 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폰은 촬상 기능을 갖는 카메라부와 모바일 폰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기기(900, 1000, 1100)가 예를 들어 TV인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키패드 등과 같은 유저 입력부, 수신된 방송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TV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는 TV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명령, 혹은 데이터 파일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코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10 ... 모드결정부 330 ... 제1 무손실 부호화부
350 ... 제3 무손실 부호화부 351 ... 상위비트 부호화부
353 ... 하위비트 부호화부

Claims (6)

  1. 프레임 내 밴드들의 엔벨로프의 차분 양자화 인덱스들과 소정 수치 범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분 양자화 인덱스들을 부호화하기 위한 제 1 무손실 부호화방식과 제 2 무손실 부호화방식 중 상기 제 2 무손실 부호화방식의 이용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손실 부호화방식의 이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무손실 부호화방식에 포함된 복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 각각의 비트 소요량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어느 하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와 상기 제 1 무손실 부호화방식의 비트 소요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 또는 상기 제 1 무손실 부호화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차분 양자화 인덱스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는 이전 밴드의 차분 양자화 인덱스를 현재 밴드의 컨텍스트로 이용하여 상기 현재 밴드의 차분 양자화 인덱스를 부호화하는 허프만 부호화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에서는 상기 차분 양자화 인덱스들을 나타내는 비트들 중 일부가 허프만 코딩되는 무손실 부호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는 프레임 단위로 수행되는 무손실 부호화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양자화 인덱스는 신호의 에너지와 관련되는 무손실 부호화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로 상기 차분 양자화 인덱스들이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제 2 무손실 부호화방식이 선택되었다는 정보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허프만 부호화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손실 부호화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 부호화방법은,
    상기 제 2 무손실 부호화방식의 이용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무손실 부호화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차분 양자화 인덱스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손실 부호화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177445A 2011-10-21 2020-12-17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248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9942P 2011-10-21 2011-10-21
US61/549,942 2011-10-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380A Division KR102194557B1 (ko) 2011-10-21 2020-01-20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349A KR20200143349A (ko) 2020-12-23
KR102248253B1 true KR102248253B1 (ko) 2021-05-04

Family

ID=4814157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09A KR102070429B1 (ko) 2011-10-21 2012-10-22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0200007380A KR102194557B1 (ko) 2011-10-21 2020-01-20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0200177445A KR102248253B1 (ko) 2011-10-21 2020-12-17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09A KR102070429B1 (ko) 2011-10-21 2012-10-22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20200007380A KR102194557B1 (ko) 2011-10-21 2020-01-20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20130110522A1 (ko)
EP (1) EP2767977A4 (ko)
JP (2) JP6088532B2 (ko)
KR (3) KR102070429B1 (ko)
CN (3) CN107025909B (ko)
MX (1) MX2014004797A (ko)
TW (2) TWI585749B (ko)
WO (1) WO20130586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4649C1 (ru) 2011-06-01 2012-10-20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EP3624119B1 (en) 2011-10-28 2022-02-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CN111179946B (zh) * 2013-09-13 2023-10-13 三星电子株式会社 无损编码方法和无损解码方法
US10468033B2 (en) 2013-09-13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lossless coding method and apparatus, signal coding method and apparatus, energy lossless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3614381A1 (en) * 2013-09-16 2020-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encoding method and device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device
RU2750644C2 (ru) * 2013-10-18 2021-06-3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Кодирование и декодирование положений спектральных пиков
BR112016020988B1 (pt) * 2014-03-14 2022-08-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e codificador para codificação de um sinal de áudio, e,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CN107077855B (zh) * 2014-07-28 2020-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信号编码方法和装置以及信号解码方法和装置
PL3163571T3 (pl) * 2014-07-28 2020-05-1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Kodowanie sygnału dźwiękowego
MY180423A (en) 2014-07-28 2020-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6122612A1 (en) 2015-01-30 2016-08-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ectral reflectance compression
WO2016162283A1 (en) * 2015-04-07 2016-10-13 Dolby International Ab Audio coding with range extension
US10511858B2 (en) * 2016-07-13 2019-12-17 Ati Technologies Ulc Bit packing for delta color compression
JP7159537B2 (ja) * 2017-06-28 2022-10-2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159539B2 (ja) * 2017-06-28 2022-10-2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228908B2 (ja) * 2020-07-07 2023-02-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0678A1 (en) * 2006-02-24 2009-01-29 France Telecom Method for Binary Coding of Quantization Indices of a Signal Envelope, Method for Decoding a Signal Envelope and Corresponding Coding and Decoding Module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4269A (en) * 1995-04-17 1999-03-16 Merging Technologies Lossless compression/decompression of digital audio data
US6064954A (en) * 1997-04-03 2000-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Digital audio signal coding
US6466912B1 (en) * 1997-09-25 2002-10-15 At&T Corp. Perceptual coding of audio signals employing envelope uncertainty
US6691084B2 (en) * 1998-12-21 2004-02-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mode variable rate speech coding
JP4610087B2 (ja) * 1999-04-07 2011-01-12 ドルビー・ラボラトリーズ・ライセンシング・コーポレーション 損失のない符号化・復号へのマトリックス改良
US6978236B1 (en) * 1999-10-01 2005-12-20 Coding Technologies Ab Efficient spectral envelope coding using variable time/frequency resolution and time/frequency switching
US20020016161A1 (en) * 2000-02-10 2002-0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of speech encoded parameters
US7299190B2 (en) * 2002-09-04 2007-11-20 Microsoft Corporation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for audio
KR100571824B1 (ko) * 2003-11-26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정보 삽입된 mpeg-4 오디오 bsac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695125B1 (ko) * 2004-05-28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03205B1 (ko) * 2005-07-15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비트율 오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7974713B2 (en) * 2005-10-12 2011-07-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emporal and spatial shaping of multi-channel audio signals
US20080059201A1 (en) * 2006-09-03 2008-03-06 Chih-Hsiang Hsiao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Improving the Processing of MP3 Decoding and Encoding
KR101346358B1 (ko) * 2006-09-18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역폭 확장 기법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US20080071550A1 (en) 2006-09-18 200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encode and decode audio signal by using bandwidth extension technique
JP4823001B2 (ja) * 2006-09-27 2011-11-24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
US7953595B2 (en) * 2006-10-18 2011-05-31 Polycom, Inc. Dual-transform coding of audio signals
JP2008107615A (ja) * 2006-10-26 2008-05-08 Yamaha Corp データ圧縮装置
US7756350B2 (en) * 2006-11-13 2010-07-13 Global Ip Solutions, Inc. Lossless encoding and decoding of digital data
CN101290771B (zh) * 2007-04-20 2011-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先进音频编码器的比特消耗控制方法
KR101355376B1 (ko) 2007-04-30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주파수 영역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89750B1 (ko) * 2007-05-17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신호의 무손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US8576096B2 (en) * 2007-10-11 2013-11-05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complexity combinatorial coding of signals
JP4888335B2 (ja) * 2007-10-25 2012-02-29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8515767B2 (en) 2007-11-04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 for encoding/decoding of codebook indices for quantized MDCT spectrum in scalable speech and audio codecs
WO2010028299A1 (en) * 2008-09-06 2010-03-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Noise-feedback for spectral envelope quantization
KR101485339B1 (ko) 2008-09-29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손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622950B1 (ko) * 2009-01-28 201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6890A (ko)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텍스트 기반의 산술 부호화 장치 및 방법과 산술 복호화 장치 및 방법
ES2453098T3 (es) * 2009-10-20 2014-04-0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Códec multimodo de audio
KR20110060181A (ko) * 2009-11-30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손실/준무손실 영상 압축 장치 및 방법
KR20110071231A (ko) * 2009-12-21 2011-06-29 엠텍비젼 주식회사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2681734B1 (en) * 2011-03-04 2017-06-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st-quantization gain correction in audio coding
RU2464649C1 (ru) * 2011-06-01 2012-10-20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EP2830055A1 (en) * 2013-07-22 2015-01-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Context-based entropy coding of sample values of a spectral envelope
JP6385433B2 (ja) * 2013-10-18 2018-09-05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ール・フェルデルング・デル・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アインゲトラーゲネル・フェライン オーディオ信号のスペクトルのスペクトル係数のコード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0678A1 (en) * 2006-02-24 2009-01-29 France Telecom Method for Binary Coding of Quantization Indices of a Signal Envelope, Method for Decoding a Signal Envelope and Corresponding Coding and Decoding Modul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R. QUACKENBUSH. et al. Noiseless coding of quantized spectral components in MPEG-2 Advanced Audio Coding. IEEE 1997 Workshop on Applications of Signal Processing to Audio and Acoustics. 19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88532B2 (ja) 2017-03-01
US20210090581A1 (en) 2021-03-25
TW201724087A (zh) 2017-07-01
MX2014004797A (es) 2014-09-22
CN106941003A (zh) 2017-07-11
US20130110522A1 (en) 2013-05-02
US10878827B2 (en) 2020-12-29
US10424304B2 (en) 2019-09-24
JP6438056B2 (ja) 2018-12-12
US20190355367A1 (en) 2019-11-21
WO2013058634A3 (ko) 2013-06-13
KR20200010539A (ko) 2020-01-30
US11355129B2 (en) 2022-06-07
JP2015502561A (ja) 2015-01-22
CN107025909A (zh) 2017-08-08
CN104025190A (zh) 2014-09-03
EP2767977A4 (en) 2015-04-29
KR102194557B1 (ko) 2020-12-23
TWI671736B (zh) 2019-09-11
CN107025909B (zh) 2020-12-29
CN106941003B (zh) 2021-01-26
US20150221315A1 (en) 2015-08-06
TW201324500A (zh) 2013-06-16
JP2017126073A (ja) 2017-07-20
WO2013058634A2 (ko) 2013-04-25
TWI585749B (zh) 2017-06-01
KR20130044193A (ko) 2013-05-02
CN104025190B (zh) 2017-06-09
EP2767977A2 (en) 2014-08-20
KR102070429B1 (ko) 2020-01-28
KR20200143349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253B1 (ko)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JP6585753B2 (ja) 無損失符号化装置及び無損失復号化装置
KR102512359B1 (ko)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신호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신호 복호화방법 및 장치
TW201738881A (zh) 音訊解碼方法、裝置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