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231A -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231A
KR20110071231A KR20090127738A KR20090127738A KR20110071231A KR 20110071231 A KR20110071231 A KR 20110071231A KR 20090127738 A KR20090127738 A KR 20090127738A KR 20090127738 A KR20090127738 A KR 20090127738A KR 20110071231 A KR20110071231 A KR 20110071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ossless
range
lossless mode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훈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2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231A/ko
Priority to US12/883,735 priority patent/US20110150072A1/en
Priority to JP2010209579A priority patent/JP4927207B2/ja
Publication of KR2011007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간의 효율적인 전환이 가능한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영상의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시간적 예측 및 공간적 예측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예측값과 상기 입력영상의 차분인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예측부;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잔차 신호에 대하여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변환/양자화부; 상기 변환/양자화부를 거친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엔트로피 코딩부; 상기 엔트로피 코딩부에서 생성된 비트량과 양자화 계수(QP) 값을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 및 현재 QP 값과 상기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대한 상기 모드 정보를 변환/양자화부로 전달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가 제공되며, 이에 의하면 무손실모드의 양자화 계수 범위를 지정하여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간의 전환에 소요되는 비트량을 줄일 수 있다.
부호화, 복호화, 손실, 무손실, 전환

Description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간의 효율적인 전환이 가능한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H.264/AVC는 ITU-T의 비디오 코딩 전문가 그룹(VCEG, Video Coding Experts Group)과 ISO/IEC의 동화상 전문가 그룹(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공동작업으로 만들어진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표준으로, 매우 높은 데이터 압축률을 가지는 디지털 비디오 코덱 표준이다.
H.264/AVC는 손실/무손실 동영상 부호화/복호화를 모두 지원하고 있어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를 한 슬라이스 내에서 공존하게 부호화/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H.264/AVC 표준은 한 슬라이스 내에서 각 매크로 블록들이 독립적으로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로 부호화/복호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화 대상이 되는 화면(10) 중 사용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가 관심을 가지거나 정보의 손실이 없어야 하는 중요영역(12)에 대해서는 무손실모드로 부호화/복호화하고, 그 외 영역(14)에 대해서는 손실모드로 부호화/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의 H.264에서는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의 전환시 바이패스 플래그(qpprime_y_zero_transform_bypass_flag)와 양자화 계수(QP)를 사용하였다. 바이패스 플래그가 1로 세팅되고 QP 값이 0일 때 무손실모드로 부호화/복호화가 수행되며, 그 외의 경우, 즉 QP 값이 0이 아니거나 QP 값이 0이더라도 바이패스 플래그가 1로 세팅되지 않은 경우에는 손실모드로 부호화/복호화가 수행된다.
도 2는 H.264에서의 무손실모드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손실모드 부호화 장치는 예측부(22), 변환/양자화부(24), 엔트로피 코딩부(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손실모드 부호화 장치는 정보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 변환(Transform)과 양자화(Quantization) 과정을 수행하는 변환/양자화부(22)를 건너뛴다.
즉, 예측부(22)에서의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 혹은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 이후 생성되는 잔차 신호(residual signal)에 대하여 변환과 양자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엔트로피 코딩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한다.
손실모드 부호화에서는 QP 값에 비례하여 비트율과 화질이 결정된다. H.264에서는 0~51 값의 52단계 QP 범위를 사용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QP 값이 작으면 고비트율/고화질의 부호화와 복호화가 가능하며, 반대로 QP 값이 크면 저비트율/저화질의 부호화와 복호화가 수행된다.
H.264에서의 무손실 부호화와 초고화질(near-lossless)에 해당하는 QP 0~3에서의 손실 부호화의 압축률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 수행을 위한 실험 조건과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실험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78773218-PAT00001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YUV 4:2:0, QCIF에서 4CIF까지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실험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는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112009078773218-PAT00002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QP 0~3에 해당하는 손실 부호화는 무손실 부호화에 비해 압축율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무손실 부호화에 비해 압축율이 떨어지는 손실 압축을 수행하기 보다는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이 압축율 뿐만 아니라 화질을 고려한 부호화 효율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보다 효율적인 부호화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손실 부호화시 QP가 4 이상에서 부호화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화면 내에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고 있을 때 손실모드에서 무손실모드로의 전환은 QP 4 이상에서 QP 0으로 그 값이 변경될 필요가 있다.
QP 값의 차이가 크면 이를 표현해주는 mb_qp_delta 값을 부호화하기 위한 비트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므로 기존의 H.264에서의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의 전환 방법이 비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압축 효율 면에서 비효율적인 QP 범위를 사용하고 있어 동영상 부호화시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간의 전환 방법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무손실모드의 양자화 계수 범위를 지정하여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간의 전환에 소요되는 비트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새로운 양자화 계수 범위를 사용할 수 있는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 내에서 콘텐츠 제공자 혹은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정보 손실이 있으면 안되는 일부 중요영역에 대해서는 무손실모드로, 그 외 영역은 손실모드로 부호화 또는/및 복호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과 원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하면서도 압축률 면에서 효율적인 동영상 부호화 또는/및 복호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영상의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시간적 예측 및 공간적 예측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예측값과 상기 입력영상의 차분인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를 생성하는 예측부;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잔차 신호에 대하여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변환/양자화부; 상기 변환/양자화부를 거친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엔트로피 코딩부; 상기 엔트로피 코딩부에서 생성된 비트량과 양자화 계수(QP) 값을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 및 현재 QP 값과 상기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대한 상기 모드 정보를 변환/양자화부로 전달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엔트로피 코딩부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에서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대한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는 부호화 과정에서 각 QP 별로 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과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비교하여,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넘어서는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는 비트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개념을 이용 하여 비트율-왜곡 비용이 무손실모드보다 큰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이 속하는 슬라이스 혹은 프레임에 대하여 무손실모드 및 하나 이상의 QP 값에 의한 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 후 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변환/양자화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상기 모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제거함으로써 QP 테이블을 새롭게 재정의하고,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대하여 손실모드의 QP 범위를 재정렬하고, 상기 재정렬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 및 잔차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엔트로피 디코딩(entropy decoding)하는 엔트로피 디코딩부;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와 상기 비트스트림의 QP 값을 비교하 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상기 모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잔차 신호에 대하여 역변환 및 역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역변환/역양자화부; 및 상기 역변환/역양자화부를 거친 잔차 신호에 공간적 보상 및 시간적 보상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 예측값을 더하여 복원영상을 생성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복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원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영상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는 부호화 장치에서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은, 상기 입력영상의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시간적 예측 및 공간적 예측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예측값과 상기 입력영상의 차분인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잔차 신호에 대하여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양자화 단계를 거친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트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비트량과 양자화 계수(QP) 값을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현재 QP 값과 상기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대한 상기 모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대한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단계는, 부호화 과정에서 각 QP 별로 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과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비교하여,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넘어서는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단계는, 비트율-왜곡 최적화 개념을 이용하여 비트율-왜곡 비용이 무손실모드보다 큰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단계는 상기 매크로 블록이 속하는 슬라이스 혹은 프레임에 대하여 무손실모드 및 하나 이상의 QP 값에 의한 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 후 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상기 변환/양자화 단계 및 상기 엔트로피 코딩 단계를 최종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제거함으로써 QP 테이블을 새롭게 재정의하고,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대하여 손실모드의 QP 범위를 재정렬하고, 상기 재정렬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 및 잔차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복호화를 수행하여 복원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 장치에서의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방법은, 상기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와 상기 비트스트림의 QP 값을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잔차 신호에 대하여 역변환 및 역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단계; 및 상기 역변환/역양자화 단계를 거친 잔차 신호에 공간적 보상 및 시간적 보상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 예측값을 더하여 복원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손실모드의 양자화 계수 범위를 지정하여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간의 전환에 소요되는 비트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새로운 양자화 계수 범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내에서 콘텐츠 제공자 혹은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정 보 손실이 있으면 안되는 일부 중요영역에 대해서는 무손실모드로, 그 외 영역은 손실모드로 부호화 또는/및 복호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과 원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하면서도 압축률 면에서 효율적인 동영상 부호화 또는/및 복호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P 범위 재정렬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 부(110), 변환/양자화부(120), 엔트로피 코딩부(130),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 모드 결정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100)는 입력영상에 대하여 부호화를 수행함에 있어서 실제 잔차 신호를 부호화하는 매크로 블록보다 상위 계층(예를 들어, 슬라이스 계층)에서 무손실모드로 부호화할 QP 범위를 지정하여 매크로 블록 계층에서 QP 값이 지정된 QP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무손실모드로 부호화하고 QP 값이 지정된 QP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실모드로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 출력한다. 따라서,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의 전환시 QP 차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주어 이에 해당하는 비트량을 줄여 줄 수 있다.
예측부(110)는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해서 입력영상의 화면 내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한 공간적 예측, 예를 들면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을 수행하거나 프레임간의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한 시간적 예측, 예를 들면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을 수행하고, 입력영상과 예측값의 차분인 잔차 신호를 생성한다.
인트라 예측은 공간적 예측 방식으로, 동일한 영상 내에 현재 블록 내 화소에 대하여 주변 블록들의 화소를 이용하여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한다. 공간 영역의 방향성을 이용한 다수의 예측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실제 부호화 대상인 잔차 신호를 최소화하여 압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예측 블록과 원 블록간의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또는 SATD(Sum of Absolute Transform Difference)를 계산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모드를 최적의 예측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움직임 추정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비디오에서 각 객체 혹은 처리 단위 블록이 시간상 앞뒤 프레임에서 어느 위치로 움직였는지를 추정(Estimation)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면, 매크로 블록 단위로 현재 압축하고자 하는 매크로 블록과, 앞뒤 여러장의 프레임의 주변 매크로 블록과의 각 픽셀간의 명도(Luminance)차이를 최소로 하는 블록을 검색하여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를 결정하게 된다.
변환/양자화부(120)는 후술할 모드 결정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잔차 신호에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거나 혹은 그 수행을 생략한다.
엔트로피 코딩부(130)는 변환/양자화부(120)의 출력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트량을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에 전달한다. 그리고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로부터 전달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는 엔트로피 코딩부(130)에서 전달된 비트량과 QP 값을 고려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고, 모드 결정부(140)로 전달한다. 또한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30)에도 전달한다.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방법에 의하면, 부호화 과정에서 매크로 블록을 각 QP 별로 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과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고려하여 무손실모드의 비트량을 넘어서는 손실모드의 QP들을 모두 무손실모드 QP 범위 로 지정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무손실모드에서의 평균 비트량이 100이다. 따라서, 평균 비트량이 100을 넘어서는 손실모드의 QP들, QP 0~3은 무손실모드 QP 범위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의하면, 비트율-왜곡 최적화(RDO, Rate-Distortion Optimization) 개념을 이용할 수 있다. 손실모드의 비트량은 무손실모드의 비트량보다 작지만 손실 압축에서는 원본영상과 복원영상 사이의 왜곡(Distortion)이 존재하므로, 비트율-왜곡 비용(RDcost)가 무손실모드보다 큰 QP들에 대해서 무손실모드 QP 범위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QP 4의 경우 비트량은 98로 무손실모드의 비트량 100보다 작지만, 무손실모드의 경우 왜곡이 전혀 없고 QP 4의 경우 왜곡이 존재하므로, 왜곡을 고려한 QP 4의 RDcost는 무손실모드의 RDcost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QP 4에 대해서도 무손실모드의 QP 범위로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 QP별 비트량과 무손실모드의 비트량은 이전에 부호화하였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현재 슬라이스의 부호화시 하나의 매크로 블록이 부호화될 때마다 해당 매크로 블록이 부호화된 QP 값에 해당하는 평균 비트량을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해당 매크로 블록이 무손실모드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무손실 모드의 비트량을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에 의하면, 현재 프레임 혹은 슬라이스에 대하여 다양한 모드로 부호화해보고 그 중 최적의 부호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재 슬라이스에 대해서 무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하 고(단계 S1), QP 0 내지 QP N까지 하나 이상의 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다(단계 S2 내지 S4). 각 QP별 비트량과 무손실모드의 비트량을 구하여 비교한 후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고(단계 S5), 최종적으로 현재 슬라이스를 무손실 영역과 손실 영역에 대하여 무손실모드와 손실모드로 나누어 부호화할 수 있다(단계 S6).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는 상술한 것과 같은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에서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는 현재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 혹은 후순의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에서 사용할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무손실 QP 범위 결정 방법에 의하면, 현재의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에 대하여 무손실모드 및 하나 이상의 QP에 대한 손실모드로 다중으로 부호화해보는 경우 현재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의 최종적인 부호화(도 5의 단계 S6에 도시된 손실/무손실 영역에 따른 부호화)시 고려할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드 결정부(140)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로부터 전달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와 현재 QP 값을 비교하여, 현재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무손실모드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손실모드로 결정하고, 이를 변환/양자화부(120)에 전달한다.
기존의 H.264에서 사용하는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 전환은 바이패스 플래그가 1로 세팅되고 QP 값이 0일 때에만 무손실모드로, 그 외의 경우에는 손실모드로 결정되는 방법이었다. 하자만, 이 경우 무손실모드보다 압축율이 떨어지는 QP 영역 에서 손실모드로 부호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의 전환시 QP 차이를 크게 주어야 하므로 이에 해당하는 비트량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실제 잔차 신호가 부호화되는 매크로 블록보다 상위 계층에서 결정하고, 결정된 범위의 QP에 대해서는 무손실모드로 부호화함으로써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의 전환시 QP 차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주어 이에 해당하는 비트량을 줄여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100)에서, 예를 들어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0~n으로 지정한 경우를 가정하면, 기존의 H.264에서 채택하는 방법에서는 QP (n+1)로 손실모드 부호화를 진행하다가 무손실모드로 전환시 QP 값 0을 주어야 하므로 QP 값 차이는 n+1이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QP 값 n을 주면 되므로 이에 해당하는 QP 값 차이는 1이 되어 모드 전환시 소요되는 비트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드 결정부(140)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150)에서 전달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QP 테이블을 새롭게 재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0~3으로 지정한 경우에, 후순의 슬라이스 혹은 프레임에 대해서는 QP 값이 0~3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변환 및 양자화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QP 테이블에서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속하는 QP 값은 제거하여 QP 범위의 단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0~51의 값을 가지는 기존의 H.264에서의 QP 범위 대신에 4~51을 가지는 QP 범위를 사용함으로써 계산량이나 비트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본 QP 값(Original value) 4~51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0~47로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값(Rearrangement value)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 역변환/역양자화부(220), 보상부(230),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240), 모드 결정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20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복호화를 수행함에 있어서 실제 잔차 신호를 복호화하는 매크로 블록보다 상위 계층(예를 들어, 슬라이스 계층)에서 입력된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여, 매크로 블록 계층에서 QP 값이 결정된 QP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무손실모드로 복호화하고 QP 값이 지정된 QP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실모드로 복호화하여 복원영상을 생성 출력한다. 따라서, 손실모드와 무손실모드의 전환시 QP 차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주어 이에 해당하는 비트량을 줄여 줄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entropy decoding)하여 역변환/역양자화부(220)에는 잔차 신호를 전달하고,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240)에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전달한다.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24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에서 전달된 무 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무손실모드의 QP 범위를 결정한다.
모드 결정부(250)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240)에 의해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와 현재 QP 값을 비교하여 손실모드 또는 무손실모드를 결정하고, 이를 역변환/역양자화부(220)에 전달한다.
부호화 장치(100)의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240)는 QP 별 비트량과 무손실모드의 비트량을 고려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지만, 복호화 장치(200)의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240)는 단지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정보(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해당하는 비트)를 복호화하여 무손실모드의 QP 범위를 결정한다.
역변환/역양자화부(220)는 모드 결정부(250)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로부터 전달된 잔차 신호에 역변환 및 역양자화를 수행하거나 그 수행을 생략한다.
보상부(230)는 역변환/역양자화부(220)를 거친 잔차 신호에 공간적 보상 또는/및 시간적 보상에 따른 예측값을 더하여 복원영상을 생성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부호화 장치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부호화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화 장치는 입력된 입력영상에 대하여 공간적 또는/및 시간적 예측을 통 해 산출된 예측값과 입력영상의 차분인 잔차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310).
잔차 신호에 대하여 QP 값에 따라 결정된 모드(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에 상응하는 모드 정보에 따라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거나 그 수행을 생략한다(단계 S320). 손실모드인 경우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며, 무손실모드인 경우 그 수행을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변환/양자화부를 거친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단계 S330).
단계 S330에서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하는 경우 생성된 비트량과 QP 값을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한다(단계 S340).
단계 S340a에서는 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과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고려하여 무손실모드의 비트량을 넘어서는 손실모드의 QP들을 모두 무손실모드 QP 범위로 지정할 수 있다.
단계 S340b에서는 비트율-왜곡 최적화 개념을 이용하여 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이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넘어서지 않더라도 비트율-왜곡 비용(RDcost)이 무손실모드보다 큰 QP들에 대해서 무손실모드 QP 범위로 지정할 수 있다.
단계 S340c에서는 현재의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에 대하여 무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와, 하나 이상의 QP 값에 따른 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40을 통해 무손실모드 QP 범위가 결정된 경우, 부호화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에 대한 QP 값에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로 결정한다(단계 S350). QP 값이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무손실모드로,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실모드로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후순의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이 부호화 대상이 되거나 혹은 단계 S310 내지 S330을 거친 현재의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이 부호화 대상이 될 수 있다.
모드 결정시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제거함으로써 QP 테이블을 새롭게 재정의하고,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52). 또한,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대하여 손실모드의 QP 범위를 재정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의 슬라이스 또는 프레임이 부호화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단계 S350에서 결정된 모드에 따라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을 재수행하여 최종적인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40에서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해당하는 정보는 엔트로피 코딩을 통해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36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복호화 장치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복호화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호화 장치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하여 잔차 신호와 무손 실모드 QP 범위 정보로 분리한다(단계 S410).
무손실모드 QP 정보를 이용하여 무손실모드의 QP 범위를 결정하며(단계 S420),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와 현재 QP 값을 비교하여 모드(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한다(단계 S430).
결정된 모드에 따라 잔차 신호에 대한 역변환 및 역양자화를 수행하거나 그 수행을 생략한다(단계 S440).
역변환/역양자화부를 거친 잔차 신호에 대하여 공간적 또는/및 시간적 보상을 통한 예측값을 더하여 복원영상을 생성 출력한다(단계 S450).
상술한 부호화 방법 또는/및 복호화 방법은 각각 부호화 장치 또는/및 복호화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이 구현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H.264에서의 무손실모드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P 범위 재정렬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방법의 순서도.

Claims (24)

  1. 입력영상의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시간적 예측 및 공간적 예측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예측값과 상기 입력영상의 차분인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를 생성하는 예측부;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잔차 신호에 대하여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변환/양자화부;
    상기 변환/양자화부를 거친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엔트로피 코딩부;
    상기 엔트로피 코딩부에서 생성된 비트량과 양자화 계수(QP) 값을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 및
    현재 QP 값과 상기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대한 상기 모드 정보를 변환/양자화부로 전달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코딩부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에서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대한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는 부호화 과정에서 각 QP 별로 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과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비교하여,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넘어서는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는 비트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개념을 이용하여 비트율-왜곡 비용이 무손실모드보다 큰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이 속하는 슬라이스 혹은 프레임에 대하여 무손실모드 및 하나 이상의 QP 값에 의한 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 후 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변환/양자화부는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상기 모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 또는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제거함으로써 QP 테이블을 새롭게 재정의하고,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대하여 손실모드의 QP 범위 를 재정렬하고, 상기 재정렬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0.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 및 잔차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엔트로피 디코딩(entropy decoding)하는 엔트로피 디코딩부;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와 상기 비트스트림의 QP 값을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상기 모드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잔차 신호에 대하여 역변환 및 역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역변환/역양자화부; 및
    상기 역변환/역양자화부를 거친 잔차 신호에 공간적 보상 및 시간적 보상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 예측값을 더하여 복원영상을 생성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복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2. 입력영상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는 부호화 장치에서의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의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시간적 예측 및 공간적 예측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예측값과 상기 입력영상의 차분인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를 생성하는 단계;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잔차 신호에 대하여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양자화 단계를 거친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트스트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비트량과 양자화 계수(QP) 값을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현재 QP 값과 상기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대한 상기 모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호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대한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호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단계는, 부호화 과정에서 각 QP 별로 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과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비교하여, 무손실모드 부호화시 소요되는 평균 비트량을 넘어서는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단계는, 비트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개념을 이용하여 비트율-왜곡 비용이 무손실모드보다 큰 손실모드의 하나 이상의 QP가 무손실모드 QP 범위에 포함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 결정 단계는 상기 매크로 블록이 속하는 슬라이스 혹은 프레임에 대하여 무손실모드 및 하나 이상의 QP 값에 의한 손실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 후 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한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상기 변환/양자화 단계 및 상기 엔트로피 코딩 단계를 최종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제거함으로써 QP 테이블 을 새롭게 재정의하고,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재정의된 QP 테이블에 대하여 손실모드의 QP 범위를 재정렬하고, 상기 재정렬된 QP 테이블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2.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 및 잔차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복호화를 수행하여 복원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 장치에서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entropy decoding)하는 단계;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무손실모드 QP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무손실모드 QP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무손실모드 QP 범위와 상기 비트스트림의 QP 값을 비교하여 손실모드 혹은 무손실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된 잔차 신호에 대하여 역변환 및 역양자화를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단계; 및
    상기 역변환/역양자화 단계를 거친 잔차 신호에 공간적 보상 및 시간적 보상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 예측값을 더하여 복원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호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영상은 손실모드 영역과 무손실모드 영역이 공존하는 H.264/AVC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4. 제2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90127738A 2009-12-21 2009-12-21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10071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7738A KR20110071231A (ko) 2009-12-21 2009-12-21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2/883,735 US20110150072A1 (en) 2009-12-21 2010-09-16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10209579A JP4927207B2 (ja) 2009-12-21 2010-09-17 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7738A KR20110071231A (ko) 2009-12-21 2009-12-21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231A true KR20110071231A (ko) 2011-06-29

Family

ID=4415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7738A KR20110071231A (ko) 2009-12-21 2009-12-21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50072A1 (ko)
JP (1) JP4927207B2 (ko)
KR (1) KR2011007123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6026A1 (ko) * 2011-11-04 2013-05-10 주식회사 팬택 양자화 계수 부/복호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WO2013058634A3 (ko) * 2011-10-21 2013-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20180061407A (ko) * 2013-07-09 2018-06-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화 장치, 화상 복호화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190091181A (ko) * 2018-01-26 2019-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US11991347B2 (en) 2018-01-26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317A (ko) * 2008-03-05 200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41903B1 (ko) * 2008-10-16 2014-09-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참조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036932B2 (en) * 2010-06-21 2015-05-19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data
KR101853998B1 (ko) * 2011-03-09 2018-05-02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동화상 복호화 장치
JPWO2012120908A1 (ja) * 2011-03-09 2014-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方法
KR101572535B1 (ko) * 2011-06-30 2015-11-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합성 비디오에서의 무손실 코딩 및 관련 시그널링 방법
WO2013003805A2 (en) * 2011-06-30 2013-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Fast encoding method for lossless coding
US9516349B2 (en) 2011-07-12 2016-12-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Pixel-based intra prediction for coding in HEVC
US9338458B2 (en) * 2011-08-24 2016-05-10 Mediatek Inc.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bypassing processing of residual values and/or buffering of processed residual values
US11184623B2 (en) 2011-09-26 2021-11-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lossless coding mode in video coding
PL231161B1 (pl) * 2011-10-17 2019-01-31 Kt Corp Sposób dekodowania sygnału wideo
US10390046B2 (en) * 2011-11-07 2019-08-20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significant coefficient information in transform skip mode
US9344722B2 (en) * 2011-11-18 2016-05-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canning of prediction residuals in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JP5761007B2 (ja) * 2011-12-20 2015-08-1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EP2805493A1 (en) * 2012-01-17 2014-11-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In-loop filtering for lossless coding mode in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US9521410B2 (en) * 2012-04-26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Quantization parameter (QP) coding in video coding
US9077965B2 (en) * 2012-10-12 2015-07-07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lossy image compression through source quantization and lossless compression kernel, and rel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decompression
CN105556962B (zh) * 2013-10-14 2019-05-24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发送用于视频系统的无损模式的信号的方法
KR102257379B1 (ko) 2014-07-22 202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인코딩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하는 비디오 인코딩 방법
KR101533441B1 (ko) * 2015-01-26 2015-07-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참조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33435B1 (ko) * 2015-01-26 2015-07-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참조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FR3038196A1 (fr) 2015-06-29 2016-12-30 B<>Com Procede de codage d'une image numerique, procede de decodage, dispositifs et programmes d'ordinateurs associes
US11190810B2 (en) 2018-01-26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mpressing image data using quantization parameter and entropy tables
US10819965B2 (en) * 2018-01-26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processing device
KR20200065367A (ko) 2018-11-30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프레임 버퍼 컴프레서
CN114902666A (zh) * 2019-10-28 2022-08-12 Lg电子株式会社 使用自适应颜色变换的图像编码/解码方法和装置以及发送比特流的方法
CN111464812B (zh) * 2020-04-17 2022-06-10 重庆京像微电子有限公司 编码解码的方法、系统、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CN117121485A (zh) * 2021-04-12 2023-11-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编解码方法与系统、及视频编解码器
WO2023101423A1 (ko) * 2021-11-30 2023-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상 신호의 주기성에 기반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4390153B (zh) * 2021-12-02 2023-07-11 中南大学 一种秘密信息的无损传输、隐藏、读取方法及计算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208A (ja) * 1992-07-31 1994-02-25 Canon Inc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4042597B2 (ja) * 2002-03-28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533043B2 (ja) * 2004-08-25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4418736B2 (ja) * 2004-11-15 2010-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0813963B1 (ko) * 2005-09-16 2008-03-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동영상의 무손실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749660B2 (en) * 2006-01-09 2017-08-29 Matthias Narroschke Adaptive coding of a prediction error in hybrid video coding
US20080225947A1 (en) * 2007-03-13 2008-09-18 Matthias Narroschke Quantization for hybrid video coding
JP2009038740A (ja) * 2007-08-03 2009-02-19 Panasonic Corp 画像符号化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634A3 (ko) * 2011-10-21 2013-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무손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에너지 무손실 복호화방법 및 장치, 및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US10424304B2 (en) 2011-10-21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lossless-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udi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energy lossless-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udi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0878827B2 (en) 2011-10-21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lossless-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udi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energy lossless-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udi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1355129B2 (en) 2011-10-21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lossless-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udi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energy lossless-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udi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3066026A1 (ko) * 2011-11-04 2013-05-10 주식회사 팬택 양자화 계수 부/복호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11202091B2 (en) 2011-11-04 2021-12-14 Facebook, Inc. Method for encoding/decoding a quantization coefficient, and apparatus using same
KR20180061407A (ko) * 2013-07-09 2018-06-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화 장치, 화상 복호화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190091181A (ko) * 2018-01-26 2019-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US11991347B2 (en) 2018-01-26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7207B2 (ja) 2012-05-09
JP2011130410A (ja) 2011-06-30
US20110150072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7207B2 (ja) 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11405636B2 (en) Conditional signalling of reference picture list modification information
KR101997604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31545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A2828556C (en) Quantized pulse code modulation in video coding
TWI535269B (zh) 執行視訊寫碼之運動向量預測
US20050013500A1 (en) Intelligent differential quantization of video coding
JP7343669B2 (ja) Vvcにおける色変換のための方法及び機器
KR101955374B1 (ko) 고속 코딩 단위(Coding Unit) 모드 결정을 통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13524669A (ja) 高効率な動画像符号化のためのスーパーブロック
KR101973571B1 (ko) 영상 변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45785A (ko) 메모리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복호화 장치
KR20090095317A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7409212B (zh) 使用变换系数的逐渐更新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及设备
KR101462637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60131962A (ko) 각기 다수의 매크로블록을 포함하는 예측 및 비예측 화상을이용하여 화상 시퀀스를 인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43058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81300B1 (ko) 시간 상관도에 기반한 고속 영상 부호화 방법
KR20140081681A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30085088A (ko)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의 고속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953B1 (ko) 카메라 영상의 복호화 정보 기반 영상 재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재부호화 시스템
KR20160053848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17854A (ko) 적응적 오프셋 필터 적용 방법 및 장치
Norouzi et al. Implementation of Hybrid MC/DCT video codec
KR20170126817A (ko) 고속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