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181B1 -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 - Google Patents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181B1
KR102248181B1 KR1020210024812A KR20210024812A KR102248181B1 KR 102248181 B1 KR102248181 B1 KR 102248181B1 KR 1020210024812 A KR1020210024812 A KR 1020210024812A KR 20210024812 A KR20210024812 A KR 20210024812A KR 102248181 B1 KR102248181 B1 KR 102248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torage space
space forming
unit
form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식
Original Assignee
신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식 filed Critical 신동식
Priority to KR102021002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은,내부수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절곡구조에 의해 절첩되어 내부수납부의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의 감쌈개폐부; 상기 감쌈개폐부 내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내부수납부; 상기 감쌈개폐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지정된 특정 카드 한 장만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외부수납부; 상기 감쌈개폐부가 절첩될 때 내부수납부와 접촉하는 면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의 절첩상태를 고정하는 결속고정부; 상기 감쌈개폐부 내부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금속성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의 전파차폐부; 및 상기 외부수납부와 감쌈개폐부 사이에 장착되고, 외부수납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의 전파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 가능한 카드를 다수 수용할 수 있는 카드지갑에 있어서, 수납된 카드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될 수 있는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Card Wallet Having A Structure To Prevent Duplicate Card Recognition}
본 발명은 카드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 요금결제방법의 하나로서 교통카드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는 결제가 신속히 이루어지고, 환승 시 요금이 연계되어 결제되는 이유로 교통비를 현금으로 계산할 때보다 현저하게 교통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보통은 지갑 내에 다수의 IC 카드를 수납하고, 다수의 IC 카드와 함께 신분증이나, 교통카드와 같은 기능을 추가한 멤버 쉽 카드 등을 다수의 카드 수납 포켓이 형성된 지갑 내부에 함께 정렬하여 수납한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상황에서 대중교통 시설을 이용할 시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카드를 지갑에서 따로 꺼내어 사용을 하는 번거로운 방식보다는, 다수의 여러 가지 카드가 수납되어 있는 지갑을 그대로 교통카드 결제기에 근접시켜 결재하는, 신속함과 편리한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렇듯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다수의 카드를 수납하고 지갑을 교통카드결제기에 근접시켰을 경우 다수의 IC 카드가 카드결제기에서 발생되는 결제 신호에 거의 동시에 반응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카드에 의해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재차 사용하고자 하는 교통카드를 단독으로 재 근접시켜야 하는 불편한 상황이 발생되기도 하고, 결제는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카드에 의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카드 내의 칩과 유도코일은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에 의해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동작이 개시되어 IC 카드의 특성을 악용하려는 의도를 가진 이들에 의해서 불법 복제되거나 정보를 수집 당하는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보도된 자료 가운데 피해를 입은 사례들을 통하여 잘 알 수 있다. 이에, 카드사용이 잦은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사실들은 매우 불편하고 불안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6806호 (공개일자: 2019년02월19일)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태그 가능한 카드를 다수 수용할 수 있는 카드지갑에 있어서, 수납된 카드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될 수 있는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지갑은, RFID 태그 가능한 카드를 다수 수용할 수 있는 카드지갑에 있어서, 내부수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절곡구조에 의해 절첩되어 내부수납부의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의 감쌈개폐부; 상기 감쌈개폐부 내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내부수납부; 상기 감쌈개폐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지정된 특정 카드 한 장만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외부수납부; 상기 감쌈개폐부가 절첩될 때 내부수납부와 접촉하는 면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의 절첩상태를 고정하는 결속고정부; 상기 감쌈개폐부 내부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금속성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의 전파차폐부; 및 상기 외부수납부와 감쌈개폐부 사이에 장착되고, 외부수납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의 전파흡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쌈개폐부는, 상기 내부수납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1면; 상기 내부수납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서로 연결하고, 감쌈개폐부의 절곡구조를 형성하는 제3면;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쌈개폐부는, 상기 제1면과 제3면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의 절곡구조에 의해 절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며, 제1면과 제3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내부에 장착되고, 실링부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침투하는 전파를 차단하는 추가전파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납부는, 상기 감쌈개폐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다수의 수납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납부는, 상기 감쌈개폐부의 내측면 중 일부 면적에 장착되어, 소정 높이만큼 신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수납 구조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납부는, 상기 감쌈개폐부의 내측면 중 일부 면적에 장착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납입구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이 결속된 구조의 제1수납공간 형성부; 상기 제1수납공간 형성부의 일측면에 결속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제2수납공간 형성부; 및 상기 제2수납공간 형성부의 일측면에 결속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추가수납공간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공간 형성부는, 감쌈개폐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이고, 상기 제2수납공간 형성부는, 제1수납공간 형성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이며, 상게 추가수납공간 형성부는, 제2수납공간 형성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공간 형성부는, 제1수납공간 형성부의 일측면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봉제선에 의해 결속되고, 한 쌍의 봉제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굴곡되어 제2수납공간 형성부의 벌어지는 구조를 구현하고, 상기 추가수납공간 형성부는, 제2수납공간 형성부의 일측면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봉제선에 의해 결속되고, 한 쌍의 봉제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굴곡되어 추가수납공간 형성부의 벌어지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공간 형성부, 제2수납공간 형성부 및 추가수납공간 형성부 각각의 벌어지는 부분의 측면에는 전파차폐부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파흡수부는, 상기 감쌈개폐부의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외부면에 링크구조의 결속힌지 및 결속레일이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링크결속부; 상기 링크결속부의 결속힌지에 일단부가 결속되는 제1링크; 상기 링크결속부의 결속레일에 일단부가 결속되고, 제2링크와 링크결속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부재가 내장되고, 타측면에 외부수납부를 탑재하는 수납부거치대; 및 상기 링크결속부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내부로 진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링크결속부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2링크의 일단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드지갑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감쌈개폐부, 내부수납부, 외부수납부, 결속고정부, 전파차폐부 및 전파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RFID 태그 가능한 카드를 다수 수용할 수 있는 카드지갑에 있어서, 수납된 카드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될 수 있는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지갑에 따르면, 내부에 전파차폐부가 내장되는 특정 구조의 제1면,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는 감쌈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카드지갑 내부에 수납되는 다수의 카드를 외부 전파에 의해 인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의도적으로 외부 단말기를 카드지갑에 접근시켜 수납된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해킹하거나 빼돌려 범죄에 활용되지 못하도록 방어할 수 있으며, 카드 지갑 사용자의 피해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지갑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실링부재 및 추가전파차폐부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카드지갑을 절첩시킨 상태에서 측면 방향으로 노출되는 부분까지 실링하여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전파를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보안성을 향상시킨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지갑에 따르면, 감쌈개폐부의 내측면 중 일부 면적에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소정 높이만큼 신축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된 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공간에 카드를 수납하는 과정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카드지갑을 절첩하여 카드지갑의 전체 부피를 손쉽게 최소화할 수 있어,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지갑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링크결속부, 제1링크, 제2링크, 연자성 페라이트 부재가 내장된 수납부거치대 및 푸쉬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푸쉬버튼을 눌러 카드지갑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카드를 이격시켜 외부단말기에 인식시킬 수 있어, 수납된 카드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될 수 있는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드지갑을 펼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드지갑을 펼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카드지갑을 펼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100)은, 특정 구조의 감쌈개폐부(110), 내부수납부(120), 외부수납부(130), 결속고정부(140), 전파차폐부(150) 및 전파흡수부(160)를 구비함으로써, RFID 태그 가능한 카드를 다수 수용할 수 있는 카드지갑에 있어서, 수납된 카드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될 수 있는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100)의 감쌈개폐부(110)는, 내부수납부(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절곡구조에 의해 절첩되어 내부수납부(120)의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내부수납부(120)는, 감쌈개폐부(11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수납부(120)는, 감쌈개폐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다수의 수납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외부수납부(130)는, 감쌈개폐부(11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지정된 특정 카드 한 장만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결속고정부(140)는, 감쌈개폐부(110)가 절첩될 때 내부수납부(120)와 접촉하는 면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110)의 절첩상태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전파차폐부재(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쌈개폐부(11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감쌈개폐부(11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금속성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전파흡수부(160)는, 외부수납부(130)와 감쌈개폐부(110)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수납부(13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는, 높은 저항과, 높은 투자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자기장을 금속으로부터 멀리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즉, 높은 투자율을 갖는 자기 시트(magnetic sheet)를 전파흡수부(16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파흡수부(160)는, 자기장을 집중시키고, 인식시키고자 하는 카드의 인식 거리를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전파흡수부(160)는, 페라이트 분말과 레진(resin)을 혼합하여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레진이 혼합된 페라이트 복합재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물성을 가진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쌈개폐부(110)는, 특정 구조의 제1면(111), 제2면(112) 및 제3면(1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제1면(111), 제2면(112) 및 제3면(133)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절곡구조의 제3면(113)을 이용하여 내부수납부(12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첩될 수 있다. 제1면(111)은 내부수납부(120)의 일측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제2면(112)은 내부수납부(120)의 타측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3면(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111)과 제2면(112)을 서로 연결하고, 감쌈개폐부(110)의 절곡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전파차폐부(150)가 내장되는 특정 구조의 제1면(111), 제2면(112) 및 제3면(113)을 포함하는 감쌈개폐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카드지갑 내부에 수납되는 다수의 카드를 외부 전파에 의해 인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의도적으로 외부 단말기를 카드지갑에 접근시켜 수납된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해킹하거나 빼돌려 범죄에 활용되지 못하도록 방어할 수 있으며, 카드 지갑 사용자의 피해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쌈개폐부(110)는, 특정 구조의 실링부재(114) 및 추가전파차폐부(11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114)는, 제1면(111)과 제3면(113)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감쌈개폐부(110)의 절곡구조에 의해 절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며, 제1면(111)과 제3면(113)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실링부재(114) 및 추가전파차폐부(115)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카드지갑을 절첩시킨 상태에서 측면 방향으로 노출되는 부분까지 실링하여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전파를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보안성을 향상시킨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카드지갑을 펼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100)의 내부수납부(120)는, 감쌈개폐부(110)의 내측면 중 일부 면적에 장착되어, 소정 높이만큼 신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수납 구조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수납부(120)는, 특정 구조의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 및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는, 감쌈개폐부(110)의 내측면 중 일부 면적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납입구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이 결속된 구조일 수 있다.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는,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의 일측면에 결속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는,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일측면에 결속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쌈개폐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이다.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는,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게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는,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는,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의 일측면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봉제선(S)에 의해 결속되고, 한 쌍의 봉제선(S)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굴곡되어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벌어지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는,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일측면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봉제선(S)에 의해 결속되고, 한 쌍의 봉제선(S)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굴곡되어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의 벌어지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 및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 각각의 벌어지는 부분의 측면에는 전파차폐부(15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쌈개폐부(110)의 내측면 중 일부 면적에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소정 높이만큼 신축되어 내부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된 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공간에 카드를 수납하는 과정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카드지갑을 절첩하여 카드지갑의 전체 부피를 손쉽게 최소화할 수 있어,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100)은, 특정 구조의 링크결속부(161), 제1링크(162), 제2링크(163),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부재(160), 수납부거치대(164), 탄성부재(166) 및 푸쉬버튼(16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구조는 사용자에 의해 푸쉬버튼(165)를 눌러 카드가 수납된 외부수납부(130)의 위치를 카드지갑(100)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외부수납부(130)에 수납된 카드만 외부 단말기로부터 인식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구조는 외부수납부(130)를 카드지갑(100)의 외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시키며, 이때 이격 거리(D)는, 두 개의 카드가 이중 인식되지 않는 최소 거리인 2 내지 3 cm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결속부(16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쌈개폐부(110)의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외부면에 링크구조의 결속힌지 및 결속레일이 형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제1링크(162)와 제2링크(163)는 링크결속부(161)와 수납부거치대(174)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링크구조의 기구적 변형을 이용하여 카드지갑(100)의 외부면으로부터 수납부거치대(174)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162)의 타단은 수납부거치대(164)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고, 제1링크(162)의 일단은 링크결속부(161)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이때, 제1링크(162)의 일단은 푸쉬버튼(165)에 의해 눌려 슬라이딩되어 위치변경될 수 있다. 또한, 푸쉬버튼(165)을 누르지 않을 경우, 탄성부재(166)에 의해 제1링크(1620의 일단은 원래의 위치로 회귀하게 된다.
수납부거치대(164)는, 제1링크(162)와 제2링크(163)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부재가 내장되며, 타측면에 외부수납부(130)를 탑재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푸쉬버튼(16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결속부(161)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내부로 진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66)에 의해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링크결속부(16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2링크(163)의 일단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링크결속부(161), 제1링크(162), 제2링크(163), 연자성 페라이트 부재가 내장된 수납부거치대(164) 및 푸쉬버튼(165)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푸쉬버튼(165)을 눌러 카드지갑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카드를 이격시켜 외부단말기에 인식시킬 수 있어, 수납된 카드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중복되어 인식되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카드만 외부 단말기에 인식될 수 있는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카드지갑
110: 감쌈개폐부
111: 제1면
112: 제2면
113: 제3면
114: 실링부재
115: 추가전파차폐부
120: 내부수납부
121: 제1수납공간 형성부
122: 제2수납공간 형성부
123: 추가수납공간 형성부
130: 외부수납부
140: 결속고정부
150: 전파차폐부
160: 전파흡수부
161: 링크결속부
162: 제1링크
163: 제2링크
164: 수납부거치대
165: 푸쉬버튼
166: 탄성부재
S: 봉제선

Claims (5)

  1. RFID 태그 가능한 카드를 다수 수용할 수 있는 카드지갑에 있어서,
    내부수납부(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절곡구조에 의해 절첩되어 내부수납부(120)의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의 감쌈개폐부(110);
    상기 감쌈개폐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내부수납부(120);
    상기 감쌈개폐부(110)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지정된 특정 카드 한 장만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외부수납부(130);
    상기 감쌈개폐부(110)가 절첩될 때 내부수납부(120)와 접촉하는 면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110)의 절첩상태를 고정하는 결속고정부(140);
    상기 감쌈개폐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11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금속성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의 전파차폐부(150); 및
    상기 외부수납부(130)와 감쌈개폐부(110) 사이에 장착되고, 외부수납부(13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배치되며,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의 전파흡수부(160);
    를 포함하고,
    상기 감쌈개폐부(110)는,
    상기 내부수납부(120)의 일측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1면(111);
    상기 내부수납부(120)의 타측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2면(112);
    상기 제1면(111)과 제2면(112)을 서로 연결하고, 감쌈개폐부(110)의 절곡구조를 형성하는 제3면(113);
    상기 제1면(111)과 제3면(113)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감쌈개폐부(110)의 절곡구조에 의해 절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며, 제1면(111)과 제3면(113)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실링부재(114); 및
    상기 실링부재(114)의 내부에 장착되고, 실링부재(11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침투하는 전파를 차단하는 추가전파차폐부(1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지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납부(120)는,
    상기 감쌈개폐부(110)의 내측면 중 일부 면적에 장착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납입구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이 결속된 구조의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
    상기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의 일측면에 결속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 및
    상기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일측면에 결속되고,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는, 감쌈개폐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이고,
    상기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는,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이며,
    상게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는,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축되어 벌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지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는,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의 일측면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봉제선(S)에 의해 결속되고, 한 쌍의 봉제선(S)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굴곡되어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벌어지는 구조를 구현하고,
    상기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는,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의 일측면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봉제선(S)에 의해 결속되고, 한 쌍의 봉제선(S)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굴곡되어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의 벌어지는 구조를 구현하고,
    상기 제1수납공간 형성부(121), 제2수납공간 형성부(122) 및 추가수납공간 형성부(123) 각각의 벌어지는 부분의 측면에는 전파차폐부(150)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지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흡수부(160)는,
    상기 감쌈개폐부(110)의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외부면에 링크구조의 결속힌지 및 결속레일이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링크결속부(161);
    상기 링크결속부(161)의 결속힌지에 일단부가 결속되는 제1링크(162);
    상기 링크결속부(161)의 결속레일에 일단부가 결속되고, 제2링크(163)와 링크결속되는 제2링크(163);
    상기 제1링크(162)와 제2링크(163)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부재가 내장되고, 타측면에 외부수납부(130)를 탑재하는 수납부거치대(164); 및
    상기 링크결속부(161)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내부로 진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66)에 의해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링크결속부(16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2링크(163)의 일단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푸쉬버튼(16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지갑.
KR1020210024812A 2021-02-24 2021-02-24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 KR102248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12A KR102248181B1 (ko) 2021-02-24 2021-02-24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12A KR102248181B1 (ko) 2021-02-24 2021-02-24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181B1 true KR102248181B1 (ko) 2021-05-04

Family

ID=7591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812A KR102248181B1 (ko) 2021-02-24 2021-02-24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1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798U (ja) * 2007-06-13 2007-08-23 有限会社イイナ 財布
JP2008301932A (ja) * 2007-06-06 2008-12-18 Maxell Seiki Kk パスケース
KR200447574Y1 (ko) * 2009-07-06 2010-02-11 조영서 전자파 선택 차단용 지갑
KR200472517Y1 (ko) * 2013-04-16 2014-05-07 유정무 전자파 차폐용 카드 수납 지갑
KR20190016806A (ko) 2017-08-09 2019-02-19 김태훈 카드지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1932A (ja) * 2007-06-06 2008-12-18 Maxell Seiki Kk パスケース
JP3134798U (ja) * 2007-06-13 2007-08-23 有限会社イイナ 財布
KR200447574Y1 (ko) * 2009-07-06 2010-02-11 조영서 전자파 선택 차단용 지갑
KR200472517Y1 (ko) * 2013-04-16 2014-05-07 유정무 전자파 차폐용 카드 수납 지갑
KR20190016806A (ko) 2017-08-09 2019-02-19 김태훈 카드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9425B2 (en) Radio frequency shielding
US9524458B2 (en) Switchable epassport including shielding
US10503940B2 (en) Secure passport reading
US8496183B2 (en) Non-contact IC card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non-contact IC card holder
US11347949B2 (en) Cellular device including inductive antenna
CN113596222A (zh) 卡收纳型后壳
GB2528316A (en) RFID card wallet
KR102248181B1 (ko) 카드중복인식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카드지갑
JP2008301932A (ja) パスケース
JP3548750B2 (ja) 非接触媒体保護ケースおよび導電性シールドカード
JP4370841B2 (ja) カードホルダー
US10650199B2 (en) Passport including metallic fibers
US10956689B2 (en) Passport including RFID shielding
US11295095B2 (en) Secure reading of passport RFID tags
WO2007055295A1 (ja) Idカードホルダー及びカードのスキミング防止構造
JP2007015700A (ja) 携帯用収納ケース
US9990574B2 (en) Holder for RFID enabled cards
JP3113192U (ja) カード用防護体
US10417462B2 (en) Passport including readability states
US10592709B2 (en) Passport shield
US10417463B2 (en) Passport RFID readability
US11170185B2 (en) State dependent passport reading
JP2007199888A (ja) カードのスキミング防止構造
WO2006134807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スキミング防止装置
WO2007000950A1 (ja) 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