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066B1 -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 Google Patents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066B1
KR102248066B1 KR1020210001131A KR20210001131A KR102248066B1 KR 102248066 B1 KR102248066 B1 KR 102248066B1 KR 1020210001131 A KR1020210001131 A KR 1020210001131A KR 20210001131 A KR20210001131 A KR 20210001131A KR 102248066 B1 KR102248066 B1 KR 10224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axophone
push button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섭
Original Assignee
(주) 재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재화산업 filed Critical (주) 재화산업
Priority to KR102021000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자의 체형에 맞추어 너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양 어깨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축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형성된 회전안내홈 및 색소폰스트링의 타단부를 결속하도록 연결된 스트링스토퍼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회전안내홈을 따라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허브의 외경에 각도조절면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연주자의 양측 어깨 너비에 맞추어 거는 한 쌍의 숄더홀더; 상기 한 쌍의 숄더홀더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상기 양측 허브의 각도조절면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상기 바디의 배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주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체스트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푸시버튼을 눌러서 연주자의 어깨 너비에 맞도록 한 쌍의 숄더홀더의 회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고, 한 쌍의 숄더홀더를 평행하게 회전시켜서 부피의 감소를 통해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SHOULDER HOLDER FOR SAXOPHONE}
본 발명은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색소폰 연주자의 체형에 맞추어 너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양 어깨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색소폰은 원뿔형 관에 끝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고 구멍은 키(key)로 막혀 있으며 리드(reed)가 한 장인 악기로서, 부드럽고 감미로운 음을 내어 경음악이나 취주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소폰은 다른 악기에 비하여 중량이 크므로, 근래에는 연주자가 착용한 스트랩으로 색소폰의 아랫관(breech)을 받치거나 스트랩의 단부에 고리를 연결하여 색소폰을 지지한 상태로 연주하고 있다.
여기서, 아랫관은 나팔 모양의 벨(bell)을 목과 몸체(body)에 연결하는 굽은 부분이다.
색소폰 스트랩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6054호(공개일자 2011년05월04일) ‘색소폰 스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스트랩은 연주자의 목 양측과 뒷 부분에 걸어서 착용하므로, 경추에 무리가 될 뿐만 아니라 연주자의 키나 몸무게 등의 체형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연주 시 자세가 불편하여 제대로 연주를 할 수 없고 장시간 연주 시 신체에 무리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색소폰 스트랩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7071호(등록일자 2020년11월30일) ‘색소폰 어깨 스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연주자의 양측 어깨에 각각 걸어서 복부까지 연장되도록 익스텐션 스트랩을 갖는 숄더행거, 상기 양측 익스텐션 스트랩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행거베이스, 상기 행거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색소폰의 아랫관을 받치도록 서포트를 갖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 위치를 단속하는 단속부재, 상기 숄더행거의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램프, 상기 색소폰에서 발생된 음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음량감지센서, 상기 음량감지센서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램프를 점멸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색소폰 어깨 스트랩”을 기술의 요지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숄더행거가 고정되어 있어서 연주자의 어깨 너비에 맞도록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색소폰의 무게가 어느 한 어깨에 가중되어 장시간 연주 시 신체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종래기술은 숄더행거와 행거베이스가 접히거나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부피가 커지므로 휴대성이 떨어지고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6054호(공개일자 2011년05월04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7071호(등록일자 2020년11월3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소폰 연주자의 어깨 너비에 맞추어 좌우 폭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편안한 연주를 도모하며 부피를 감소시켜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축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형성된 회전안내홈 및 색소폰스트링의 타단부를 결속하도록 연결된 스트링스토퍼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회전안내홈을 따라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허브의 외경에 각도조절면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연주자의 양측 어깨 너비에 맞추어 거는 한 쌍의 숄더홀더; 상기 한 쌍의 숄더홀더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상기 양측 허브의 각도조절면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상기 바디의 배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주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체스트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양측 허브의 각도조절면을 동시에 단속하도록 디텐트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버튼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푸시버튼과 상기 버튼가이드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버튼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긴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의 승강을 안내하여 상기 푸시버튼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버튼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숄더홀더는, 상기 바디의 회전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경에 각도절면이 구비된 암, 상기 암의 상단부에서 연주자의 가슴 위까지 연장되도록 완만히 만곡된 익스텐션부, 상기 익스텐션부에서 급격히 만곡되게 형성되어 연주자의 어깨에 거는 홀더부를 포함하여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허브의 외경에는, 상기 회전안내홈으로 안내되어 평행하게 회전된 상기 숄더홀더를 록킹시키기 위해 디텐트에 마찰되도록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버튼을 눌러서 연주자의 어깨 너비에 맞도록 한 쌍의 숄더홀더의 회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고, 한 쌍의 숄더홀더를 평행하게 회전시켜서 부피의 감소를 통해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배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 구성들이 분해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 구성들이 분해된 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디의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런트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푸시버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도 7에서 숄더홀더의 록킹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는, 회전축(131)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형성된 회전안내홈(130) 및 색소폰스트링(200)의 일단부를 결속하도록 연결된 스트링스토퍼(140)를 갖는 바디(100), 바디(100)의 회전안내홈(130)을 따라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회전축(131)에 각각 결합되는 양측 허브(310)의 외경에 각도조절면(311)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연주자의 양측 어깨 너비에 맞추어 거는 한 쌍의 숄더홀더(300), 한 쌍의 숄더홀더(300)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양측 허브(310)의 각도조절면(311)을 단속하는 단속부재(400), 바디(100)의 배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주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체스트서포트(5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본 발명의 중심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바디(10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둘레의 좌우 양측에 회전안내홈(130)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스트링스토퍼(140)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된다. 바디(100)의 상부 중앙에는 스트링스토퍼(14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트링스토퍼(140)의 좌우 양측에는 두 개의 스트링홀(141)이 형성되어 색소폰스트링(200)의 결속스트링(210) 상단부가 관통된 후 매듭으로 결속된다.
여기서, 색소폰스트링(200)은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링크플레이트(210), 링크플레이트(210)의 구멍으로 관통되어 색소폰과 바디(100)를 결속하는 결속스트링(210)을 포함한다. 결속스트링(210)의 하단은 연결고리(230)를 통해 색소폰에 걸어서 결속하고, 상단은 스트링스토퍼(140)의 스트링홀(141)로 관통시킨 후 매듭을 지어서 결속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0)는 원판 형상의 프런트케이스(110)와 리어케이로 대별된다. 프런트케이스(110)와 리어케이스(120) 사이의 좌우 양측에는 회전안내홈(130)이 형성되고, 양측 회전안내홈(130)에는 전후 방향으로 중심을 이루도록 회전축(131)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양측 회전안내홈(130) 사이의 하부 중앙에는 버튼레일(150)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푸시버튼(410)의 승강을 안내하고, 버튼레일(150)의 중앙에는 버튼가이드(151)가 구비되어 푸시버튼(41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며, 버튼가이드(151)의 하부에는 스프링서포트(142)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한다.
또한, 리어케이스(120)의 배면에는 핀홀(122)이 형성된 케이스브래킷(12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체스트서포트(500)의 서포트브래킷(510)이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된다.
숄더홀더(300)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연주자의 양측 어깨 너비에 맞추어 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숄더홀더(300)는 회전안내홈(130)을 따라 안내되도록 회전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경에 각도조절면(311)이 형성된 허브(310)를 갖는 암(320)과, 암(320)의 상다부에서 가슴 위까지 연장되도록 완만히 만곡된 익스텐션부(330)와, 익스텐션부(330)에서 급격히 만곡되게 연결되어 연주자의 어깨에 거는 홀더부(340)를 포함하여, 좌우 대칭되는 구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암(320)의 하단부에는 회전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310)가 구비되고, 허브(310)의 외경 일측에는 평평한 각도조절면(3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디텐트(411)의 마찰에 의해 회전 각도가 단속되며, 허브(310)의 외경 타측에는 평평한 노치(312)가 형성되어 디텐트(411)의 마찰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다.
부연하면, 각도조절면(311)은 디텐트(411)와 마찰되는 포인트(point)에 따라 숄더홀더(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디텐트(411)와 각도조절면(311)이 접촉되는 적어도 어느 일면은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논슬립(non slip)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도조절면(311)에는 디텐트(411)가 걸려서 숄더홀더(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둘 이상의 걸림홈(도시생략)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익스텐션부(330)와 홀더부(340)는 연주자의 신체 굴곡에 따라 완만히 휘어지며 소정의 내구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숄더홀더(300)는 단속부재(400)의 해제 작동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된 후 마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숄더홀더(300)는 단속부재(400)의 록킹 작동에 의해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단속부재(4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숄더홀더(300)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단속 기능을 한다.
단속부재(400)는 양측 허브(310)의 각도조절면(311)을 동시에 단속하도록 디텐트(411)가 구비되어 바디(100)의 버튼레일(15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푸시버튼(410), 푸시버튼(410)을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푸시버튼(410)과 버튼레일(150)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재(42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푸시버튼(410)의 상부 양측에는 디텐트(411)가 구비되어 허브(310)의 각도조절면(311)을 단속하고, 하부 양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스프링홀(412)이 구비되어 탄성부재(420)로 구현되는 코일스프링이 결합되며,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슬릿(413)이 형성되어 바디(100)의 버튼가이드(151)를 따라 승강될 때에 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탄성부재(420)는 푸시버튼(410)을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압축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된다. 코일스프링의 하부는 푸시버튼(410)의 스프링홀(412)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바디(100)의 스프링서포트(142)에 지지된다.
즉, 코일스프링은 도 7에서와 같이 푸시버튼(410)을 상승시켜 디텐트(411)가 각도조절면(311)의 단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숄더홀더(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 후 도 6에서와 같이 푸시버튼(41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체스트서포트(500)는 바디(100)의 배면에 틸팅(tilting)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주자의 가슴을 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체스트서포트(500)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연주자의 가슴을 지지하는데, 이러한 체스트서포트(500)의 전면에는 핀홀(511)이 형성된 서포트브래킷(510)이 구비되어 바디(100)의 케이스브래킷(121)에 축핀(520)으로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체스트서포트(500)는 볼 조인트(ball joint)를 통해 바디(100)의 후면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체스트서포트(500)의 배면은 연주자의 가슴을 지지할 때에 편안함을 느끼도록 쿠션(cushion)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푸시버튼(410)을 손으로 눌러서 허브(310)의 각도조절면(311)을 단속한 디텐트(411)를 해제한다.
이어서, 양측 숄더홀더(30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연주자의 어깨 너비에 맞도록 회전 각도를 조절한 후 푸시버튼(410)에서 손을 떼면 탄성부재(420)에 의해 푸시버튼(410)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다음, 숄더홀더(300)의 홀더부(340)를 연주자의 어깨에 걸은 후 결속스트링(210)의 상단부를 스트링스토퍼(140)의 스트링홀(141)로 넣어서 매듭을 지어 결속한다.
마지막으로 색소폰스트링(200)의 연결고리(230)를 색소폰에 걸면, 연주자는 연주할 준비가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푸시버튼(410)을 눌러서 연주자의 어깨 너비에 맞도록 한 쌍의 숄더홀더(300)의 회전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숄더홀더(300)를 하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키면 단속부재(400)의 디텐트(411)가 노치(312)에 접촉되어 숄더홀더(300)가 정지되므로, 길쭉한 형태로 부피를 감소시켜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바디 110 : 프런트케이스
120 : 리어케이스 130 : 회전안내홈
131 : 회전축 140 : 스트링스토퍼
150 : 버튼레일 151 : 버튼가이드
152 : 스프링서포트 200 : 색소폰스트링
210 : 링크플레이트 220 : 결속스트링
230 : 연결고리 300 : 숄더홀더
310 : 허브 311 : 각도조절명
312 : 노치 320 : 암
330 : 익스텐션부 340 : 홀더부
400 : 단속부재 410 : 푸시버튼
411 : 디텐트 412 : 스프링홀
413 : 가이드슬릿 420 : 탄성부재
500 : 체스트서포트

Claims (5)

  1. 회전축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형성된 회전안내홈 및 색소폰스트링의 일단부를 결속하도록 연결된 스트링스토퍼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회전안내홈을 따라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허브의 외경에 각도조절면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연주자의 양측 어깨 너비에 맞추어 거는 한 쌍의 숄더홀더;
    상기 한 쌍의 숄더홀더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상기 양측 허브의 각도조절면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상기 바디의 배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주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체스트서포트;
    를 포함하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양측 허브의 각도조절면을 동시에 단속하도록 디텐트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버튼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을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푸시버튼과 상기 버튼가이드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긴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의 승강을 안내하여 상기 푸시버튼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버튼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숄더홀더는,
    상기 바디의 회전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경에 각도조절면이 구비된 암, 상기 암의 상단부에서 연주자의 가슴 위까지 연장되도록 완만히 만곡된 익스텐션부, 상기 익스텐션부에서 급격히 만곡되게 형성되어 연주자의 어깨에 거는 홀더부를 포함하여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경에는,
    상기 회전안내홈으로 안내되어 평행하게 회전된 상기 숄더홀더를 록킹시키기 위해 디텐트에 마찰되도록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KR1020210001131A 2021-01-05 2021-01-05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KR10224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31A KR102248066B1 (ko) 2021-01-05 2021-01-05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131A KR102248066B1 (ko) 2021-01-05 2021-01-05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066B1 true KR102248066B1 (ko) 2021-05-04

Family

ID=7591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31A KR102248066B1 (ko) 2021-01-05 2021-01-05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152B1 (ko) * 2021-05-17 2022-09-20 (주) 재화산업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054A (ko) 2009-10-28 2011-05-04 조용득 색소폰 스트랩
KR101307694B1 (ko) * 2012-08-20 2013-09-11 이길원 색소폰 착용 장치
KR20140034121A (ko) * 2010-12-13 2014-03-19 질빈 엠. 얀치츠 관악기용 운반장치
KR102187071B1 (ko) 2019-09-10 2020-12-04 김남섭 색소폰 어깨 스트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054A (ko) 2009-10-28 2011-05-04 조용득 색소폰 스트랩
KR20140034121A (ko) * 2010-12-13 2014-03-19 질빈 엠. 얀치츠 관악기용 운반장치
KR101307694B1 (ko) * 2012-08-20 2013-09-11 이길원 색소폰 착용 장치
KR102187071B1 (ko) 2019-09-10 2020-12-04 김남섭 색소폰 어깨 스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152B1 (ko) * 2021-05-17 2022-09-20 (주) 재화산업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066B1 (ko)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US6252150B1 (en) Guitar fulcrum
US6581812B2 (en) Ergonomic guitar strap
JP6103561B2 (ja) 木管楽器用サポートシステム
US4137812A (en) Device for continuous pitch variation of stringed instruments
CA2260188A1 (en) Sound reverberator mounted in a sound box of a string musical instrument
JP3774666B2 (ja) 弦楽器用トレモロ装置
CN106205566A (zh) 鼓的踏板装置
US8188354B2 (en) Support device for a guitar or other musical instrument
US7655853B1 (en) Weight-relieving device for a woodwind instrument
EP1312071A1 (en) Stabilizing device for small brass musical instruments
EP2335238B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tring musical instrument
KR102187071B1 (ko) 색소폰 어깨 스트랩
KR102445152B1 (ko)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
US4248125A (en) Support for violin or similar string instrument
JP6747703B1 (ja) バイオリン属用補助器
US20060065683A1 (en) Shoulder strap
US579735A (en) Support for drums
US5767428A (en) Drum pedal support
KR100999719B1 (ko) 색소폰 넥 스트랩
EP0603135B1 (fr) Appareil thérapeutique destiné à la mobilisation passive et active de l'épaule selon le principe de la poulie-thérapie
KR20200001467A (ko) 악기 지지구
TW201636995A (zh) 木管樂器用支持系統
JP3236426U (ja) 管楽器用フィンガーストラップ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