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832B1 -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832B1
KR102247832B1 KR1020180143470A KR20180143470A KR102247832B1 KR 102247832 B1 KR102247832 B1 KR 102247832B1 KR 1020180143470 A KR1020180143470 A KR 1020180143470A KR 20180143470 A KR20180143470 A KR 20180143470A KR 102247832 B1 KR102247832 B1 KR 10224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mage
window
mobile devic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850A (ko
Inventor
박만석
Original Assignee
박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석 filed Critical 박만석
Priority to KR102018014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8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06K9/00087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신분증 소지자의 정확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은, 모바일 기기가: 지문창 내에 지문이 인쇄된 신분증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지문창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 이미지 적합성을 만족하는 경우, 지문창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지문 스캔모듈로부터 신분증의 소지자의 지문을 스캔한 지문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지문 촬영 이미지와 지문 스캔 이미지 사이의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Method for verifying personal identity of ID card}
본 발명은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분증(ID, identity document)은 개인의 신상 또는 신원 정보를 증명하는 문서이다. 대한민국의 신분증으로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학생증, 청소년증, 장애인증 등이 있는데, 주민등록증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민등록증은 전면에 얼굴 사진과 생년월일이 함께 표시되어 있어, 술이나 담배를 구입하려는 청소년을 제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청소년보호법에 따르면, 청소년을 대상으로 술과 같은 청소년유해약물의 판매 및 제공 등이 금지되어 있으며, 청소년유해약물을 판매하는 자는 그 상대방의 나이 및 본인 여부를 확인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반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또한, 식품위생법은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는 영업장에 대해 행정처분을 규정하고 있는데, 1회 위반시 영업정지 2개월, 2회 위반시 영업정지 3개월, 3회 위반시 영업허가취소 또는 영업소 페쇄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엄격한 환경 속에서, 일부 청소년의 경우 신분증을 위조, 변조하거나 타인의 신분증을 도용하여 술이나 담배를 구입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술집에 손님으로 들어온 청소년이 외모가 닮은 친언니 신분증을 제시하거나 신분증에서 얼굴 사진 부분이 퇴색되어 있는 경우, 판매자는 신분증만으로 정확한 신원확인을 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청소년이 신분증을 위조, 변조 또는 도용하더라도 현행 청소년보호법와 식품위생법은 판매자에게만 처벌과 행정처분을 가하기 때문에 판매자 입장에서는 좀 더 정확하게 신원확인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신분증 소지자의 정확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은, 신분증 신원확인 모바일 앱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가: 지문창 내에 지문이 인쇄된 신분증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지문창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적합성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지문창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지문 스캔모듈로부터 상기 신분증의 소지자의 지문을 스캔한 지문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와 상기 지문 스캔 이미지 사이의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분증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화면 상에 상기 지문창 이미지가 배치될 가이드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창에 대한 상기 지문창 이미지의 면적 비율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창 이미지의 모서리들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좌표계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좌표계 사이의 틀어진 각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창 이미지 중 마주보는 두 변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지문창 이미지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지문창 이미지 중 나머지 두 변이 상기 평행한 두 변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지문창 이미지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창 이미지의 각 변의 비율이 상기 지문창의 각 변의 비율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지문창 이미지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스캔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스캔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지문인식 장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에 의하면, 현장에서 신분증 소지자로부터 직접 스캔한 지문 스캔 이미지와, 신분증 상의 지문을 모바일 기기로 촬영한 지문 촬영 이미지 간의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기 때문에 신분증을 위조, 변조 또는 도용에 대한 염려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이러한 패턴 유사도 비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모바일 기기로 촬영된 지문 촬영 이미지의 정확도이다.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려면 지문의 단점, 분기점, 코어, 델타 등과 같은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 간의 위치와 간격 등을 비교하여 지문 정합(fingerprint matching)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만일 모바일 기기를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 신분증을 촬영할 경우 지문 촬영 이미지도 약간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게 되어 정확한 지문 정합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이미지 적합성 검증과 지문 촬영 이미지의 보정을 통해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변환함으로써 정확한 패턴 유사도를 비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신분증의 일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와 신분증 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이미지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신분증은 개인의 신상 또는 신원 정보를 증명하는 문서로서, 예를 들어 주민등록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일면에 지문이 인쇄된 임의의 신분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시스템(1)은 신분증 소지자의 지문을 현장에서 직접 스캔하는 지문 스캔모듈(20)과, 신분증 소지자가 제시하는 신분증을 촬영하는 모바일 기기(100)와, 신원확인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10)를 포함한다.
지문 스캔모듈(20)은 신분증 소지자로부터 직접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모바일 기기(1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지문 스캔모듈(20)은 모바일 기기(100)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문 스캔모듈(20)은 모바일 기기(100)에 내장되고 물리적으로 결합된 지문인식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스캔모듈(20)은 모바일 기기(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지문의 융선과 골 간의 정전용량의 차이로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신분증을 촬영하여 지문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지문 스캔모듈(20)로부터 수신한 지문 스캔 이미지와 비교하여 신원확인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이다.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휴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단말기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접속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네비게이션 단말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스마트장치, PDA 등이 있다. 모바일 기기(100)의 내부 메모리에는 이러한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분증 신원확인 모바일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신분증 신원확인 모바일 앱은 외부 플랫폼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00)에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고, 모바일 기기(100)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디폴트로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신원확인 결과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는 신원확인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며,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신원확인 이력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신원확인 결과 데이터로부터 내역을 조회하여 모바일 기기(100)로 전송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신분증의 일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와 신분증 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이미지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입력부(110), 적합성 검증부(112), 이미지 보정부(114), 통신부(116), 패턴 비교부(118) 및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입력기를 포함하고, 출력부(120)는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UI/UX, 응용 소프트웨어의 UI/UX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는 수단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입력수단의 기능을 함께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10)는 외부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신분증에 인쇄된 지문과, 이를 둘러싼 지문창을 촬영한다. 그리고 출력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촬영한 지문 촬영 이미지 및 지문창 이미지를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지문의 패턴 유사도에 대한 비교 결과를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분증(30)의 일면은 주소 정보 영역(32)와 지문창(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소 정보 영역(32)에는 신분증 소유자의 주소 변경 내역 및 일자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지문창(34)에는 신분증 소유자의 지문(36), 예를 들어 오른쪽 엄지 지문이 인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문창(34)은 모서리가 라운딩처리가 된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신분증(30)의 타면은 신분증 소유자의 성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발급처, 발급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 내에 설치된 신분증 신원확인 모바일 앱이 실행되면,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102)에는 가이드창(104)와 저장 버튼(106)이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10)가 신분증(30)을 촬영하는 동안 가이드창(104)에는 신분증을 촬영한 이미지가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창(104) 내에 지문 촬영 이미지(136)와 지문창 이미지(134)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좋다. 저장 버튼(106)은 초기에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가이드창(104) 내의 지문창 이미지(134)가 소정의 이미지 적합성을 통과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저장 버튼(106)이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저장 버튼(106)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가이드창(104) 내의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를 모바일 기기(100) 내에 저장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창(104) 내의 지문창 이미지(134)가 소정의 이미지 적합성을 통과한 경우 자동으로 모바일 기기(100)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이미지 적합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적합성 검증부(112)는 입력부(110)에서 촬영한 지문 촬영 이미지(136)의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적합성 검증부(112)는 지문창 이미지(134)를 이용하여 지문 촬영 이미지(136)의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고 이를 만족하는 경우 저장 버튼(106)을 활성화하거나 파일로 저장한다. 이미지 적합성 검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첫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신분증(30)에 인쇄된 지문(36)은 지문창(34) 내에 배치되어 있는데, 모바일 기기(100)가 신분증(30)을 촬영하는 동안 화면(102) 상에 지문창 이미지(134)가 배치될 가이드창(104)이 표시된다. 적합성 검증부(112)는 가이드창(104)에 표시된 지문창 이미지(134)를 인식하고 가이드창(104)에 대한 지문창 이미지(134)의 면적 비율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이미지 적합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적합성 검증부(112)는 지문창 이미지(134)의 면적이 가이드창(104)의 면적의 95% 이상인 경우에만 이미지 적합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지문창 이미지(134)의 면적 비율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지문 촬영 이미지(136)의 크기도 지나치게 작아지기 때문에 추후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둘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적합성 검증부(112)는 지문창 이미지(134)의 모서리들(A, B, C, D)의 위치좌표를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 적합성을 추가로 검증한다. 신분증(30)에 대한 좌표계를 XYZ 좌표계라 할 때, XY평면은 신분증(30)이 놓여진 평면이라 볼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에 대한 좌표계를 X'Y'Z' 좌표계라 할 때, X'Y'평면은 모바일 기기(100)가 놓여진 평면 또는 모바일 기기(100)의 화면(102)이 이루는 평면이라 볼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약간 기울여 신분증(30)를 촬영하는 경우, 신분증(3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와 모바일 기기(10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는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고, 화면(102)에 표시된 지문창 이미지(도 5의 134)도 약간 기울어진 형태로 표시된다. 적합성 검증부(112)는 지문창 이미지(134)의 모서리들(A, B, C, D)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신분증(3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와 모바일 기기(10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 사이의 틀어진 각도를 연산하고 이 틀어진 각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만 이미지 적합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X축과 X'축 간의 각도, Y축과 Y'축 간의 각도 및 Z축과 Z'축 간의 각도가 10도 이하인 경우에만 이미지 적합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신분증(3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와 모바일 기기(10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 사이의 틀어진 각도가 제2 임계값보다 클 경우, 지문 촬영 이미지(136)가 지나치게 기울어진 형태로 왜곡되게 표시되기 때문에 추후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적 비율과 좌표계의 틀어진 각도를 이용한 이미지 적합성이 만족되는 경우, 저장 버튼(106)이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여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를 저장하거나,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분증(3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와 모바일 기기(10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 모두 어느 정도 이미지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부(114)는 이러한 이미지 왜곡을 상쇄하기 위해 지문창 이미지(134)를 이용하여 지문 촬영 이미지(136)를 보정한다. 이미지 보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첫째, 도 7을 참조하면, 지문창 이미지(134) 중 마주보는 두 변(AD, BC)이 일정한 각도(θ1)를 이루는 경우, 이미지 보정부(114)는 이들 두 변(AD, BC)이 평행하게 되도록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를 함께 보정한다.
둘째, 1차 보정을 거치면 지문창 이미지(134)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지문창 이미지(134) 중 나머지 두 변(AB, CD)는 평행한 두 변(AD, BC)의 수직선에 대해 일정한 각도(θ2, θ3)를 이루게 된다. 이미지 보정부(114)는 지문창 이미지(134) 중 나머지 두 변(AB, CD)이 평행한 두 변(AD, BC)에 수직이 되도록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를 함께 보정한다.
셋째, 2차 보정을 거치면 지문창 이미지(134)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이미지 보정부(114)는 지문창 이미지(134)의 각 변의 비율이 신분증(30) 상의 지문창(34)의 각 변의 비율과 동일하게 되도록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를 함께 보정한다. 예를 들어, 만일 지문창(34)이 정사각형 형상인 경우, 3차 보정을 거친 지문창 이미지(134)도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
통신부(116)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지문 스캔모듈(20) 및 서비스 서버(1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신분증 소지지가 지문 스캔모듈(20)을 이용하여 직접 본인의 지문을 스캔하면, 통신부(116)는 지문 스캔모듈(20)로부터 지문 스캔 이미지를 수신한다. 만일 지문 스캔모듈(20)이 모바일 기기(100)에 내장된 지문인식센서인 경우 지문 스캔 이미지는 별도의 통신부를 거치지 않고 모바일 기기(100)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패턴 비교부(118)는 보정된 지문 촬영 이미지(136)와 지문 스캔 이미지 사이의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여 신원확인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패턴 비교부(118)는 지문 촬영 이미지(136)와 지문 스캔 이미지 각각에서 지문의 단점(ending), 분기점(bifurcation), 코어(core), 델타(delta) 등과 같은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 간의 위치와 간격 등을 비교하여 지문 패턴 유사도를 판단한다. 패턴 비교부(118)는 만일 특징점들의 유사도가 소정의 비율 이상이면 두 지문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 비교결과를 출력부(120)에 표시한다. 또한 패턴 비교부(118)는 비교결과, 즉 신원확인 결과 데이터를 통신부(116)를 거쳐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만일 지문 스캔모듈(20)이 모바일 기기(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장치이고, 지문 스캔모듈(20)을 이용해 스캔된 지문 스캔 이미지에 대해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는 지문 인식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신분증 신원확인 모바일 앱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 비교부(118)는 지문 인식 SDK를 이용하여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신분증 신원확인 모바일 앱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100)가, 지문창(34) 내에 지문(36)이 인쇄된 신분증(30)을 촬영한다(S10).
모바일 기기(100)는 촬영된 지문창 이미지(134)를 이용하여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한다(S20). 이미지 적합성은 가이드창(104)에 대한 지문창 이미지(134)의 면적 비율, 그리고 지문창 이미지(134)의 모서리들(A, B, C, D)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신분증(3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와 모바일 기기(100)에 대한 좌표계(X'Y'Z' 좌표계) 사이의 틀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미지 적합성을 만족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지문창 이미지(134)를 이용하여 지문 촬영 이미지(136)를 보정한다(S30).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00)는 지문창 이미지(134) 중 마주보는 두 변이 평행하게 되도록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에 대해 1차 보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모바일 기기(100)는 지문창 이미지(134) 중 나머지 두 변이 상기 평행한 두 변에 수직이 되도록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에 대해 2차 보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모바일 기기(100)는 지문창 이미지(134)의 각 변의 비율이 지문창(34)의 각 변의 비율과 동일하게 되도록 지문창 이미지(134) 및 지문 촬영 이미지(136)에 대해 3차 보정을 수행한다.
한편 모바일 기기(100)는 지문 스캔모듈(20)로부터 신분증 소지자의 지문을 직접 스캔한 지문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고(S40), 보정된 지문 촬영 이미지와 스캔된 지문 스캔 이미지 사이의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한다(S50). 모바일 기기(100)는 지문 패턴 유사도의 비교결과를 화면 상에 출력하고(S60), 그 결과 데이터 또는 결과 이력을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한다(S70).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기기(100)가 신분증을 촬영하여 지문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지문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문 스캔 이미지를 수신한 후 지문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두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신분증 신원확인 시스템
10: 서비스 서버
20: 지문 스캔모듈
30: 신분증
32: 주소 정보 영역
34: 지문창
36: 지문
100: 모바일 기기
102: 화면
104: 가이드창
106: 저장 버튼
110: 입력부
112: 적합성 검증부
114: 이미지 보정부
116: 통신부
118: 패턴 비교부
120: 출력부
134: 지문창 이미지
136: 지문 촬영 이미지

Claims (6)

  1. 신분증 신원확인 모바일 앱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가:
    지문창 내에 지문이 인쇄된 신분증을 촬영하여 상기 지문창 및 상기 지문에 각각 대응하는 지문창 이미지 및 지문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문창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문 패턴 유사도 비교에 적합한지 여부에 관한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적합성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지문창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지문 스캔모듈로부터 상기 신분증의 소지자의 지문을 스캔한 지문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와 상기 지문 스캔 이미지 사이의 지문 패턴 유사도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창 이미지 중 마주보는 두 변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지문창 이미지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지문창 이미지 중 나머지 두 변이 상기 평행한 두 변에 수직이 되도록 상기 지문창 이미지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창 이미지의 각 변의 비율이 상기 지문창의 각 변의 비율과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지문창 이미지 및 상기 지문 촬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을 촬영하는 동안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화면 상에 상기 지문창 이미지가 배치될 가이드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창에 대한 상기 지문창 이미지의 면적 비율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창 이미지의 모서리들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좌표계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좌표계 사이의 틀어진 각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스캔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스캔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지문인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KR1020180143470A 2018-11-20 2018-11-20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KR10224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70A KR102247832B1 (ko) 2018-11-20 2018-11-20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70A KR102247832B1 (ko) 2018-11-20 2018-11-20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850A KR20200058850A (ko) 2020-05-28
KR102247832B1 true KR102247832B1 (ko) 2021-05-04

Family

ID=7092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470A KR102247832B1 (ko) 2018-11-20 2018-11-20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031A (ko) * 2020-12-21 202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생체 정보 획득 방법
US11776300B2 (en) 2020-12-21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thereof
CN113625895A (zh) * 2021-07-02 2021-11-09 北京极豪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图案校正方法及遮挡装置
KR102571711B1 (ko) * 2021-10-13 2023-08-29 우효천 신원 증명 기능이 구비된 개인 정보 등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765A (ko) * 2002-08-23 2004-02-27 주식회사 바이오비젼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850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832B1 (ko)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JP7274532B2 (ja) 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登録および認証するための方法、顔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認証するための方法
US10043089B2 (en)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al identification
US8090351B2 (en) Geographical location authentication method
US11595380B2 (e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RFID-enabled identity document and gesture challenge-response protocol
JP6409082B2 (ja) ノンストップ顔認証システム
US20130151419A1 (en) Merchant Verification of In-person Electronic Transactions
JP6163239B1 (ja) 認証システム
JP2013206232A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
CN109978552B (zh) 一种基于身份证信息的支付处理方法、装置及设备
TWI745891B (zh) 認證系統、認證終端、使用者終端、認證方法、及程式產品
US20240193997A1 (en) Ticket issuing system, and ticket checking apparatus
CN110084608A (zh) 刷脸支付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296925B1 (en) Document data processing including image-based tokenization
JP2013190934A (ja) 窓口認証システム、窓口認証サーバー、プログラムおよび窓口認証方法
KR102232720B1 (ko) 이동 데이터 단말기용 인증 시스템
US11600130B2 (en) Vali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documents
KR200283571Y1 (ko) 휴대용 신원확인장치
KR101266415B1 (ko) 전자결제 승인 시스템
JP682831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28225A (ko)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JP5891898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7194941A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システム
US202303254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and feedback
KR20150124091A (ko)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