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225A -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225A
KR20160028225A KR1020140117020A KR20140117020A KR20160028225A KR 20160028225 A KR20160028225 A KR 20160028225A KR 1020140117020 A KR1020140117020 A KR 1020140117020A KR 20140117020 A KR20140117020 A KR 20140117020A KR 20160028225 A KR20160028225 A KR 20160028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ard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원
박창기
Original Assignee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225A/ko
Publication of KR2016002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신분 확인 장치에 있어서, 신분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생성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생성한 지문 정보 등과 같은 생체정보에 대해 별도의 외부 단말의 도움 없이도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와 직접 연동하거나 또는 내부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신분 확인 및 신분증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신분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분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생성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생성한 지문 정보 등과 같은 생체정보에 대해 별도의 외부 단말의 도움 없이도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와 직접 연동하거나 또는 내부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신분 확인 및 신분증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민등록증, 면허증 등과 같은 신분증은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신분증이 위조되는 경우 개인 또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위와 같은 신분증의 위조의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일반적인 사진부착 관계를 배제시킨 형태로서 신분증 표면에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와 신상정보(신분증번호, 주소, 기타 지문 등)를 일체로 인쇄하여 사진교체 내지 문자조작에 의한 신분증의 위조를 어렵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얼굴 이미지와 신상정보를 일체화한 신분증의 경우에도 일반인들이 육안으로 식별하기 곤란할 정도의 정교한 위/변조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상에서 육안으로는 근본적으로 신분증의 위/변조 유무를 판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금융기관 또는 투표소 등에서의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을 이용한 사용자 본인 확인 시 신분증의 위조를 보다 신뢰성있게 판별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04-0076757호(공개일자 2004년 09월 0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신분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생성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생성한 지문 정보 등과 같은 생체정보에 대해 별도의 외부 단말의 도움 없이도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와 직접 연동하거나 또는 내부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신분 확인 및 신분증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신분 확인 장치로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신분증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생체정보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서명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서명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표시부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신분증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외부 인증 서버와 접속하는 인증 서버 중계부와, 상기 신분증 정보에 대해 상기 외부 인증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거나, 내부 인증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신분 인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신분증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정상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인증 서버 중계부를 통해 상기 신분증 정보를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와 상기 신분증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인증 서버 중계부를 통해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와 상기 내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당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인증 정보는, 선거구별 등록된 선거인 명부 정보이며, 상기 선거인 명부 정보에는 상기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인증 정보는, 상기 신분확인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신분확인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 인증부에서 상기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의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인쇄장치를 통해 기설정된 특정 목적의 용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신분확인 장치내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신분확인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장치는, 용지를 인쇄할 수 있는 모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지는 선거를 위한 투표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분 확인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신분증을 인증하는 외부 인증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인증 대상이 되는 상기 신분증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 판별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에 대한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의 위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을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정보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와 상기 신분증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상기 외부 인증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분 확인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와 내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당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분이 정당한 사용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특정 목적의 용지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인증 정보는, 선거구별 등록된 선거인 명부 정보이며, 상기 선거인 명부 정보에는 상기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분증이 앞면 또는 뒷면에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문자로 기록된 형태의 일반 신분증인 경우 상기 신분증을 스캔한 상기 신분증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신분증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이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형태의 전자 신분증인 경우 상기 전자 신분증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신분증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지는 선거를 위한 투표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분 확인 장치에 있어서, 신분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생성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생성한 지문 정보 등과 같은 생체정보에 대해 별도의 외부 단말의 도움 없이도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와 직접 연동하거나 또는 내부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신분 확인 및 신분증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입력부의 사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입력부가 몸체와 결합된 사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입력부에 신분증을 투입하는 사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진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입력부를 이용한 지문 입력 사진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명 입력 요청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에서 신분증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에서 신분 확인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의 사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신분 확인 장치(100)는 인증 서버 중계부(102), 신분증 입력부(104), 생체정보 입력부(106), 표시부(108), 메모리부(110), 제어부(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 확인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증 서버 중계부(10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외부 인증 서버(1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 중계부(102)는 신분 인증부(105)와 연동을 통한 신분증의 위조 여부 판별이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신분증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외부 인증 서버(150)와 접속하여 인증이 필요한 신분증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신분 인증부(10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외부 인증 서버(150)는 내국인 또는 외국인에 대해 등록된 주민등록번호 등의 식별정보와 지문 정보 등을 이용하여 신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관공서 등의 기관 내 설치된 서버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신분확인장치(100)는 예를 들어 신분 확인이 필요한 금융 기관 또는 선거인 명부 확인이 필요한 투표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수행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분확인 시 외부 인증 서버(150)와 통신망을 통해 직접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인증 서버 중계부(102) 등의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컴퓨터 단말장치와의 연결 없이도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인증 서버(150)는 주민등록번호, 이름 등의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 정보가 정상 정보인지를 검사할 수 있는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신분 확인 요청된 신분증에 대한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주민등록번호 등의 식별정보와 지문 정보 등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도 있다.
신분증 입력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신분증을 입력받는 경우 해당 신분증으로부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이러한 신분증은 앞면 또는 뒷면에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문자로 기록된 형태의 일반 신분증과,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형태의 전자 신분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반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자 신분증은 RFID를 이용한 RFID 카드 신분증 또는 IC 칩을 이용한 스마트 IC 카드 신분증 등이 될 수 있다.
즉, 신분증 입력부(104)는 일반 신분증을 위한 제1 입력부(104-1)와 전자 신분증을 위한 제2 입력부(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04-1)는 신분증이 앞면 또는 뒷면에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문자로 기록된 형태의 일반 신분증인 경우, 해당 일반 신분증을 입력받아 신분증을 스캔한 후, 스캔된 신분증의 이미지 정보를 신분증 정보로 생성한다.
이러한 제1 입력부(104-1)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신분증을 내부로 인입시키는 로딩부와 로딩부에 의해 내부로 로딩된 신분증을 스캔하여 신분증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스캔부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04-2)는 신분증이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형태의 전자 신분증인 경우, 해당 전자 신분증에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읽어들여 신분증 정보로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의 신분증 입력부(104) 중 제1 입력부(104-1)의 사진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특히 제1 입력부(104-1)를 몸체로부터 해제시켜 내부의 구성이 드러나도록 한 것으로, 신분증을 내부로 로딩시키는 롤러(roller) 등으로 구성되는 로딩부(202)와, 스캔부(204)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분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면 또는 뒷면에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문자로 기록된 형태의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등의 일반 신분증일 수 있다.
도 3은 신분증 입력부(104) 중 제1 입력부(104-1)가 몸체와 결합된 사진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1 입력부(104-1)에 주민등록증 또는 자동차면허증 등과 같은 일반 신분증(400)이 투입될 수 있다.
생체정보 입력부(106)는 신분 확인 필요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 등과 같은 생체정보를 입력한다. 즉, 생체정보 입력부(106)는 신분 확인 장치(100)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진 예시도인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04-1)의 반대편에 표시부(108)와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 입력부(106)는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의 지문을 접촉시키는 경우 지문을 스캔하여 스캔된 지문정보를 사용자의 생체정보로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08)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서명을 입력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와 같은 서명 요청에 응답하여 터치펜(touch pen) 등으로 화면상에 서명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서명된 서명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08)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서명을 터치 펜 등을 통해 입력받기 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되는 서명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서명은 투표소에서 신분증과 생체정보를 통해 신분 확인된 사용자가 실제로 투표를 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부가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표시부(108)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서명을 입력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터치 펜 등을 통해 자신의 이름 등과 같은 서명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서명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표시부(108)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분증이 위조된 것인 경우에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 등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메모리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100)의 동작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이 탑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은 주민등록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식별번호가 위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개발된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분 확인 장치(100)에서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결 없이도 자체적으로 신분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내부 인증 정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내부 인증 정보(111)는 예를 들어 선거구별 등록된 선거인 명부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선거인 명부 정보에는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분 확인이 가능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2)는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동작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신분 확인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신분 확인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신분증이 입력되고, 지문 정보 등의 생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신분증 입력부(104)와 생체정보 입력부(106)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신분증 정보와 사용자의 지문 정보 등과 같은 생체정보를 수신 받도록 한다. 또한, 신분 인증부(105)에서의 신분증 위조 판별 결과 또는 신분확인 결과에 따라 신분증 위조 여부 또는 신분 확인 결과를 표시부(108)에 표시시키거나 인쇄부(116)를 제어하여 신분 확인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특정 목적의 용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용지는 신분확인장치(100)가 설치된 곳이 투표소인 경우 예를 들어 투표 용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인쇄부(116)는 신분 확인 장치(100)내 내장된 라벨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를 포함하여 용지를 인쇄할 수 있는 모든 인쇄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의 인쇄장치(160)와 연동되는 신분 확인 장치(100)내 인쇄 드라이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증 입력부(104)와 생체정보 입력부(106)를 통해 인증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와 생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거나, 신분증 정보와 내부 인증 정보(111)와의 비교를 통해 내부적으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신분 인증부(105)는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한 신분증 위조 여부 판별에 있어서,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150)와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신분확인장치(100)내 인증 서버 중계부(102)를 통해 외부 인증 서버(150)와 접속한 후, 인증이 필요한 신분증 정보를 외부 인증 서버(150)로 전송하여 신분증의 위조 여부 판별을 요청하고, 외부 인증 서버(150)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인증 서버(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국인 또는 외국인에 대해 등록된 주민등록번호 등의 식별정보와 지문 정보 등을 이용하여 신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관공서 등의 기관 내 설치된 서버일 수 있으며, 신분확인장치(100)로부터 신분증 위조 판별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예를 들어 내부에 탑재된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분증이 위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그 결과를 신분확인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분 인증부(105)는 내부 인증 정보(111)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분 확인에 있어서, 내부 인증 정보(111)를 이용하여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결 없이 신분확인장치(100)내에서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내부 인증 정보(111)는 예를 들어 투표소 등에서 선거구에 속한 정당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선거관리 기관 등으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상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외장 메모리 장치(114)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내부 인증 정보(111)는 예를 들어 선거구별 등록된 선거인 명부 정보가 될 수 있고, 선거인 명부 정보에는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분 확인 가능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신분 인증부(105)는 사용자의 신분증 입력과 지문 입력 등과 같은 동작에 따라 생성한 신분증 정보와 생체정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이 메모리부(110)에 미리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 인증 서버(150)와 연동하지 않고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분증의 위조 여부에 대한 판별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식별정보의 정상 여부를 검사한 후, 식별정보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증 정보를 통해 신분증의 위조 여부 판별 검사과정에서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검사된 경우에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신분증이 위조된 것인지 여부를 다시 한번 검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신분 인증부(105)는 생체정보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와 신분증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신분 인증부(105)는 생체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확인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생체정보를 외부 인증 서버(150)로 전송하여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요청하고,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확인 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은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신분 확인 장치가 인증 서버 중계부(102)를 포함하여 외부 인증 서버(150)와 직접 접속이 가능하므로,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 시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접속 화면 등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과 접속 화면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1000)이 제공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에서 신분증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분증 입력부(104)중 제1 입력부(104-1)를 통해 주민등록증 등의 일반 신분증이 입력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제2 입력부(104-2)를 통해 전자 신분증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는 신분 확인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 확인 장치(100)의 신분중 입력부(104) 중 제1 입력부(104-1)로 신분증을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분 확인 대상이 되는 사용자에 의해 신분증이 투입되는 경우, 제1 입력부(104-1)는 신분증 입력을 감지한다(S800).
이어, 제1 입력부(104-1)는 로딩부(202) 등을 이용하여 신분증을 신분 확인 장치(100)의 내부로 로딩시킨 후, 스캔부(204) 등을 이용하여 로딩된 신분증의 앞면 및 뒷면을 스캔하여 스캔된 신분증의 이미지 정보를 신분증 정보로써 생성한다(S802). 이때, 이와 같이 생성된 신분증 정보는 신분 인증부(105)로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위와 같이 신분증을 입력한 후에는 다시 신분 확인 장치(100)의 생체정보 입력부(106)에 도 6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 등의 지문을 접촉시켜 지문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문이 접촉되는 경우, 생체정보 입력부(106)는 접촉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고(S804), 스캔된 지문 정보를 사용자의 생체정보로 생성한다(S806). 이때, 이와 같이 생성된 생체정보는 신분증 정보와 마찬가지로 신분 인증부(105)로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생체정보로써 지문 정보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증 입력부(104)와 생체정보 입력부(106)를 통해 인증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와 생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808).
이때, 신분 인증부(105)는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한 신분증 위조 여부 판별에 있어서,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150)와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신분확인장치(100)내 인증 서버 중계부(102)를 통해 외부 인증 서버(150)와 접속한 후, 인증이 필요한 신분증 정보를 외부 인증 서버(15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요청하고, 외부 인증 서버(150)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분 인증부(105)는 외부 인증 서버(150)로부터 신분증 위조 여부에 대한 검사결과를 수신하여 신분증이 위조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S810) 표시부(108)를 통해 신분증이 위조되었음을 표시시킨다(S816).
한편, 신분증 정보를 통해서는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신분 인증부(105)는 보다 확실한 신분증 위조 여부의 검사를 위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신분증이 위조된 것인지 여부를 다시 한번 검사할 수도 있다(S812).
즉, 신분 인증부(105)는 생체정보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와 신분증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신분 인증부(105)는 생체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확인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생체정보를 외부 인증 서버(150)로 전송하여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요청하고,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 위와 같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신분증 위조 판별 과정에서도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S814), 신분 인증부(105)는 해당 사용자에 대해 신분증이 인증이 위조 되지 않았음을 표시시켜(S818) 후속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후속 작업이라함은 신분확인 장치(100)가 투표소 등에 설치된 경우 신분증 인증과 사용자 신분 확인에 따른 투표 용지 출력 등의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분 확인 장치에서 신분 확인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신분 확인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 확인 장치(100)의 신분중 입력부(104) 중 제1 입력부(104-1)로 신분증을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분 확인 대상이 되는 사용자에 의해 신분증이 투입되는 경우, 제1 입력부(104-1)는 신분증 입력을 감지한다(S900).
이어, 제1 입력부(104-1)는 로딩부(202) 등을 이용하여 신분증을 신분 확인 장치(100)의 내부로 로딩시킨 후, 스캔부(204) 등을 이용하여 로딩된 신분증의 앞면 및 뒷면을 스캔하여 스캔된 신분증의 이미지 정보를 신분증 정보로써 생성한다(S902). 이때, 이와 같이 생성된 신분증 정보는 신분 인증부(105)로 인가될 수 있다.
이어,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증 입력부(104)와 생체정보 입력부(106)를 통해 인증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거나, 신분증 정보와 내부 인증 정보(111)와의 비교를 통해 내부적으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게 된다(S904).
이때, 신분 인증부(105)는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한 신분증 위조 여부 판별에 있어서,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150)와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신분 확인 장치(100)내 인증 서버 중계부(102)를 통해 외부 인증 서버(150)와 접속한 후, 인증이 필요한 신분증 정보를 외부 인증 서버(15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요청하고, 외부 인증 서버(150)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증 정보와 내부 인증 정보(111)와의 비교를 통해 내부적으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신분 인증부(105)는 내부 인증 정보(111)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분 확인에 있어서, 내부 인증 정보(111)를 이용하여 외부 인증 서버(150)와의 연결 없이 신분확인장치(100)내에서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내부 인증 정보(111)는 예를 들어 신분 확인 장치(100)가 투표소 등에 설치되어 정당한 선거인에 대한 신분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선거구별 등록된 선거인 명부 정보가 될 수 있고, 선거인 명부 정보에는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분 확인 가능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정보와 내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당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이어, 신분 인증부(105)는 외부 인증 서버(150)로부터 신분증 위조 여부에 대한 검사결과를 수신하여 신분증이 위조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S906) 표시부(108)를 통해 신분증이 위조되었음을 표시시킨다(S908).
이와 달리,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신분 인증부(105)는 내부 인증 정보(111)를 이용해 확인된 사용자의 신분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정당한 선거권을 가진 사용자임을 확인한다.
이어, 신분 인증부(105)는 신분확인이 이루어진 사용자로부터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서명을 입력 받아(S912, S916) 지문 또는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S914, S918), 지문 또는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 인쇄부(116) 등을 제어하여 특정 목적의 용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9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분 인증부(105)가 지문 또는 서명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지문과 서명을 동시에 입력 받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입력 정보가 모두 정상인 경우에 기설정된 후속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계속해서 신분 인증부(105)가 신분 확인된 사용자에 대해 지문 또는 서명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아 후속 동작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엄지 손가락 등의 지문을 접촉시켜 지문정보 등의 생체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으며, 또는 표시부(108)상 구현된 터치 스크린상에 터치 펜 등으로 서명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분 인증부(105)는 사용자가 지문 입력을 선택한 경우 생체 정보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를 수신하여(S912) 지문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S914), 지문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 인쇄부(116) 등을 제어하여 특정 목적의 용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920).
또한, 신분 인증부(105)는 사용자가 서명 입력을 선택한 경우 표시부(108)상 구현된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입력된 서명 정보를 수신하여(S916)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느지 여부를 검사하고(S918),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 인쇄부(116) 등을 제어하여 특정 목적의 용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920).
이때, 이와 같은 용지는 신분 확인 장치(100)가 설치된 곳이 투표소인 경우 예를 들어 투표 용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지문 또는 서명의 정상 입력 여부는 예를 들어 투표소에서 신분 확인된 사용자가 실제로 투표를 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부가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특정 목적의 용지의 출력을 수행하는 인쇄부(116)는 신분 확인 장치(100)내 내장된 인쇄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라벨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등과 같이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의 인쇄장치(160)와 연동되는 신분 확인 장치(100)내 인쇄 드라이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인쇄장치(160)는 라벨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를 포함하여 용지를 인쇄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분 확인 장치에 있어서, 신분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생성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생성한 지문 정보 등과 같은 생체정보에 대해 별도의 외부 단말의 도움 없이도 통신망상 외부 인증 서버와 직접 연동하거나 또는 내부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신분 확인 및 신분증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2 : 인증 서버 중계부 104 : 신분증 입력부
104-1 : 제1 입력부 104-2 : 제2 입력부
105 : 신분 인증부 106 : 생체정보 입력부
108 : 표시부 110 : 메모리부
111 : 내부 인증 정보 112 : 제어부
114 : 외부 메모리 장치 116 : 인쇄부
150 : 외부 인증 서버 160 : 인쇄장치

Claims (25)

  1.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신분증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생체정보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서명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서명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표시부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신분증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외부 인증 서버와 접속하는 인증 서버 중계부와,
    상기 신분증 정보에 대해 상기 외부 인증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거나, 내부 인증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신분 인증부
    를 포함하는 신분 확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신분증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신분증 위조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정상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인증 서버 중계부를 통해 상기 신분증 정보를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와 상기 신분증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인증 서버 중계부를 통해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와 상기 내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당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증 정보는,
    선거구별 등록된 선거인 명부 정보이며, 상기 선거인 명부 정보에는 상기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증 정보는,
    상기 신분확인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신분확인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부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부에서 상기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의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인쇄장치를 통해 기설정된 특정 목적의 용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확인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신분확인 장치내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신분확인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용지를 인쇄할 수 있는 모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선거를 위한 투표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장치.
  16. 신분 확인 장치에서 신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신분증을 인증하는 외부 인증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인증 대상이 되는 상기 신분증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 판별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에 대한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의 위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을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분 확인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정보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와 상기 신분증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분증이 위조된 것임을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상기 외부 인증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방법.
  19. 신분 확인 장치에서 신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와 내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당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분 확인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분이 정당한 사용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특정 목적의 용지를 출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분확인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증 정보는,
    선거구별 등록된 선거인 명부 정보이며, 상기 선거인 명부 정보에는 상기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방법.
  22. 제 16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분증이 앞면 또는 뒷면에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문자로 기록된 형태의 일반 신분증인 경우 상기 신분증을 스캔한 상기 신분증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신분증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증이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형태의 전자 신분증인 경우 상기 전자 신분증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신분증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방법.
  24. 제 16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선거를 위한 투표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 확인 방법.
KR1020140117020A 2014-09-03 2014-09-03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KR20160028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20A KR20160028225A (ko) 2014-09-03 2014-09-03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20A KR20160028225A (ko) 2014-09-03 2014-09-03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25A true KR20160028225A (ko) 2016-03-11

Family

ID=5558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020A KR20160028225A (ko) 2014-09-03 2014-09-03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2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85B1 (ko) * 2020-03-10 2020-07-06 엔비에스랩(주) 모드별 신분 확인용 하이브리드 모바일단말, 그리고 모드별 신분 확인용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532234B1 (ko) * 2022-10-31 2023-05-15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선거용 본인 확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57A (ko) 2003-02-26 2004-09-03 한국조폐공사 신분증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57A (ko) 2003-02-26 2004-09-03 한국조폐공사 신분증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85B1 (ko) * 2020-03-10 2020-07-06 엔비에스랩(주) 모드별 신분 확인용 하이브리드 모바일단말, 그리고 모드별 신분 확인용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532234B1 (ko) * 2022-10-31 2023-05-15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선거용 본인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6247B1 (e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rfid-enabled identity document and gesture challenge-response protocol
US9946865B2 (en) Document authentication based on expected wear
EP3417392B1 (en) Method, system, device and software programme product for the remote authorization of a user of digital services
JP6439501B2 (ja) 承認システム及び承認プログラム
US81612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issuing an authorization document
KR20170011305A (ko)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21542A1 (en) Authentication device including template validation and related methods
JP5659505B2 (ja) 真贋判定装置及び真贋判定方法
KR20160028225A (ko)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JP2004343236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AU20232030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an identity document
JP2013190934A (ja) 窓口認証システム、窓口認証サーバー、プログラムおよび窓口認証方法
KR20150124091A (ko) 신분 확인 장치 및 방법
JP7163573B2 (ja) 登録システム
KR101897960B1 (ko) 사용자 식별 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단말
JP682831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31730A (ja) 認証方法
JP5143511B2 (ja) 電子申請および検証システム、電子申請用サーバ、並びに電子申請および検証方法
JP4675164B2 (ja) Idカード再発行システム
KR200304786Y1 (ko) 본인 확인장치
KR20110130661A (ko) 스캔 단말기, 스캔 이미지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6304A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