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786Y1 - 본인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본인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786Y1
KR200304786Y1 KR20-2002-0033276U KR20020033276U KR200304786Y1 KR 200304786 Y1 KR200304786 Y1 KR 200304786Y1 KR 20020033276 U KR20020033276 U KR 20020033276U KR 200304786 Y1 KR200304786 Y1 KR 200304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data
seal
petitioner
certif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창희
Original Assignee
한국타피컴퓨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피컴퓨터(주) filed Critical 한국타피컴퓨터(주)
Priority to KR20-2002-0033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감증명서 발급시 인감 신청인의 지문을 통하여 신원을 인증한 후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도록 하여 신원이 인증되지 않은 인감 신청인에게 인감증명서가 잘못 발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감사고 방지용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는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행정청의 민원실에 설치되어 민원인들에게 인감증명서를 제공하며, 인감증명서 발급과정에서 민원인들로부터 생체지문과 주민등록증상에 표시된 지문데이터를 입력받고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에 등록된 해당 민원인의 지문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들을 상호 대조하여 일치되는 경우에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여 인감증명서를 출력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획득되는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인감증명서 발급에 따른 인감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민원을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인 확인장치 { System for Certifying One's Identity }
본 고안은 본인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인감증명서 발급시 인감 신청인의 지문을 통하여 신원을 인증한 후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도록 하여 신원이 인증되지 않은 인감 신청인에게 인감증명서가 잘못 발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감사고 방지용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감증명이란 행정청이 민원인이 현재 사용하고 인영(印影)이 행정청에 신고된 인감(印鑑)과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인감증명은 부동산거래나 공증증서 작성시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인감증명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민원인이 본인의 신분증과 인감으로 등록된 인영을 제시하여야 하며, 행정청은 이러한 민원인의 신분증과 인영으로 민원인의 신원 및 인감을 확인한 후 인감증명서를 발급하게 된다. 또한, 민원인이 대리인인 경우에는 대리인의 신분증과 해당 인감증명을 받고자 하는 사람의 인감이 날인된 위임장을 행정청에 제시하여 인감증명을 발급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는 과정은 행정청의 담당자가 육안으로 신분증에 표시된 민원인의 사진과 민원인의 외모를 비교하여 판단하고 해당 민원인이 제시하는 인영과 등록된 인감을 육안으로 비교하여 인감증명서를 발급하기 때문에, 담당자의 실수나 민원인의 신분증 및 인감의 위조로 인하여 인감증명 발급시 정당하지 않은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가 발급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러한 인감증명은 비중이 큰 개인의 신용이나 금전적인 거래에 사용되기 때문에, 잘못된 인감증명에 따른 문제점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그 파급효과가 더욱 클 수밖에 없었으며, 인감사고 발생 이후에도 잘못된 인감사고의 추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인감증명서 발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감증명을 위한 민원인의 신원 인증시 민원인의 지문을 통하여 신원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잘못된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가 발급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원인증과정에서 획득된 민원인의 지문 및 인감신청 내역을 저장하여 이후 인감사고 발생시 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감사고 방지용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는 인감증명을 신청하는 민원인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신분증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분증리더기와, 민원인의 생체지문을 스캔하여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문입력기가 구비된 민원인 정보입력장치와;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장치와; 주민의 지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신분증리더기로부터 전송되는 신분증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분증데이터판독부와, 상기 지문입력기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체지문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체지문판독부와,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를 통하여 획득된 주민등록번호에 해당되는 민원인의 지문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장치를 통하여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상기 생체지문판독부를 통하여 획득된 생체지문데이터와 대조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여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는 민원인 신원인증부와,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를 통하여 민원인의 신원이 인증되면 인감증명데이터베이스에서 민원인이 신청한 인감증명 데이터를 인출하여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인감증명서발급부가 구비된 인감증명발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는 상기 신분증리더기로부터 전송되는 신분증 스캔 데이터에 지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지문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는 상기 생체지문판독부에 의해 획득된 생체지문데이터가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에 의해 획득된 지문데이터와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전송된 지문데이터와 모두 일치되는 경우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여 신원인증데이터를 상기 인감증명서발급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에는 민원인의 화상을 촬영하여 민원인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촬영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감증명발급기에는 상기 화상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민원인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를 획득하는 화상이미지판독부와,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에 의해 신원이 인증된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화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장치가 적용된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전체적인 네트워크 연결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장치가 적용된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장치가 적용된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를 통하여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장치가 적용된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를 통하여 대리인에게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인 확인장치가 적용된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 110 : 램(RAM)
120 : 롬(ROM) 130 : 네트워크장치
140 : 입력장치 150 : 출력장치
160 : 인터페이스장치 170 : 중앙처리장치
180 : 인감증명발급기 181 : 신분증데이터판독부
182 : 생체지문판독부 183 : 화상이미지판독부
184 : 민원인 신원인증부 185 : 인감증명서발급부
186 : 데이터베이스 186a :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
186b : 인감증명데이터베이스 190 : 민원인 정보입력장치
191 : 신분증리더기 192 : 지문입력기
193 : 화상카메라 200 :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
300 : 관리서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본인 확인장치가 적용된 인감증명서 발급기의 전체적인 네트워크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본인 확인장치가 적용된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중앙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 연결되어,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로부터 주민들의 지문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는 주민등록증 발급시 확보되는 주민들의 지문정보를 보관하는 행정청의 데이터베이스서버로서, 현재 우리 나라는 과천정부청사에서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를 관리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는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행정청의 민원실, 예를 들면 동사무소나 구청 등의 민원실에 설치되어 인감증명서 발급 담당자의 관리에 의해 민원인들에게 인감증명서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감증명서 발급과정에서 민원인들로부터 생체지문과 주민등록증상에 표시된 지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해당 민원인의 지문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상호 대조하여 일치되는 경우에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여 인감증명서를 출력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컴퓨터 구조인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10)과, 롬(ROM ; Read Only Memory)(120)과, 네트워크장치(130)와, 입력장치(140)와, 출력장치(150)와, 인터페이스장치(160)와, 중앙처리장치(170)와, 인감증명발급기(180) 등의 하드웨어 장치와 상기의 하드웨어 장치를 구동시키고 컴퓨터를 운영시키는 운영체제 등의 소프트웨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에는 민원인의 신분증을 스캔하는 신분증리더기(191)와, 민원인의 생체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입력기(192)와, 민원인의 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화상카메라(193)를 포함하는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네트워크장치(130)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중앙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장치로서 랜이나 모뎀 등의 하드웨어 장치와 이를 구동시키는 통신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장치(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통상의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장치(150)는 인감증명 발급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신원이 인증된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를 출력하는 프린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160)는 외부의 주변장치와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17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160)에는 데이터 통신 방식에 따라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통신버스를 사용하는 통신포트가 존재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인터페이스장치(160)는 USB 통신포트를 통하여 외부의 정보입력장치(19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의 신분증리더기(191)는 민원인의 신분증을 스캔하는 카드 리더기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분증리더기(191)는 민원인의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문자정보와 지문정보를 광학방식을 이용하여 양면 스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약, 민원인의 신분증이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의 지문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신분증이라면 상기 신분증리더기(191)는 민원인의 지문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정보를 스캔하여 신분증 스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장치(16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지문입력기(192)는 민원인의 생체지문을 직접 스캔하는 장치로서 광학방식으로 민원인의 생체지문을 스캔하여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장치(16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화상카메라(193)는 민원인의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이 화상카메라(193)에 의해 촬영된 민원인 화상 이미지는 인터페이스장치(160)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 인감증명발급기(180)는 상술한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로부터 민원인의 정보를 입력받아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고, 신원이 인증된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를 발급해주는 프로그램이 구비된 기억장치로서, 이 인감증명발급기(180)에는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와, 생체지문판독부(182)와, 화상이미지판독부(183)와. 민원인 신원인증부(184)와, 인감증명서발급부(185)와, 데이터베이스(18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는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의 신분증리더기(191)로부터 전송되는 신분증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민원인의 신분증에 기재된 문자데이터와 지문데이터를 판독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는 신분증리더기(191)의 양면 스캔에 의해 전송되는 신분증 스캔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할하고 처리하여 해당 민원인의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문자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민원인의 주민등록증상에 표시된 지문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생체지문판독부(182)는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의 지문입력기(192)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생체지문판독부(182)는 상기 지문입력기(192)에 의해 스캔된 민원인의 생체지문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미지 처리하여 지문의 특징점이 포함된 생체지문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화상이미지판독부(183)는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의 화상카메라(193)로부터 전송되는 민원인의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하여 민원인 화상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상술한 생체지문판독부(182)와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에 의해 획득된 생체지문데이터 및 주민등록증상의 지문데이터와,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해당 민원인의 지문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로부터 획득된 민원인의 주민등록번호를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전송하여 해당 민원인의 지문데이터를 요청하고,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로부터 해당 민원인의 등록 지문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상기 획득된 지문데이터들의 특징점을 각각 추출하여 상호 대조함으로써 일치되는지를 파악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가 주민등록증상의 지문데이터와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 모두와 일치되는 경우에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게 된다. 만약,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에서 민원인의 신분증에 기재된 지문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즉 민원인의 신분증이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으로 지문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민원인 신분인증부(184)는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만을 대조하여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신원이 인증되는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화상데이터 및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데이터를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186a)에 등록하여, 인감증명서 발급 이후 발생될 수 있는 인감사고에 대비하게 된다.
상기 인감증명서발급부(185)는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를 통하여 신원이 인증된 민원인의 인감증명서를 인감증명데이터베이스(186b)에서 인출하고 이를 출력장치(150)를 통하여 출력하여 해당 민원인에게 제공하는 출력제어수단이다. 상기 인감증명데이터베이스(186b)에는 주민들이 인감신고 시 등록하는 인감이 등록되어 있다.
이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 민원인의 신분증이 주민등록증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를 통하여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인감증명 발급을 담당하는 담당자는 인감증명서를 신청하는 민원인으로부터 주민등록증을 제공받아 신분증리더기(191)에 삽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신분증리더기(191)는 주민등록증을 양면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인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00).
신분증리더기(191)에 의해 생성된 주민등록증의 스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장치(160)를 통하여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로 전송되고,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는 스캔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문자이미지와 지문이미지를 분리하고, 이미지 처리 및 분석을 통하여 민원인의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문자데이터와 지문데이터를 획득한다(단계 S110).
상기 단계에서 획득된 민원인의 주민등록번호는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로 전송되고,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해당 주민등록번호를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전송하여 주민등록번호에 해당되는 민원인의 지문데이터를 요청한다(단계 S120).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는 수신된 주민등록번호에 해당되는 민원인의 등록 지문데이터를 인출하여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해당 민원인의 등록 지문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단계 S130).
한편, 지문입력기(192)는 인감신청 민원인의 생체지문을 스캔하여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40). 상기 지문입력기(192)에 의해 생성된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장치(160)를 통하여 생체지문판독부(182)로 전송되고, 생체지문판독부(182)는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의 이미지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생체지문데이터를 획득한다(단계 S150).
또한, 상기 생체지문데이터 획득과정과 병행하여 화상카메라(193)는 민원인의 화상 이미지를 촬영하여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 S141), 촬영된 화상 이미지는 화상이미지판독부(183)로 전송되어 이미지 처리됨으로써 민원인의 화상데이터가 획득된다(단계 S151).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민원인의 생체지문, 주민등록증상의 지문,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 데이터가 모두 획득되면,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상기 지문데이터들의 지문 특징점을 각각 추출한다(단계 S160). 지문에는 땀샘이 융기되어 일정한 흐름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모양은 개개인마다 서로 다르고 평생동안 변하는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개인의 지문을 특징하는 다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각 지점의 특징점을 다른 지문의 동일한 지점의 특징점과 비교하면 동일인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지문의 특징점 수를 많이 확보할 수록 보다 정밀한 판단이 가능하데, 이러한 경우에는 각 지문의 특징점 대조에 따라 처리시간이 지연되고 복잡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의 특징점 확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상기 단계를 통하여 지문데이터들의 특징점이 각각 추출되면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의 특징점을 주민등록증상의 지문데이터와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의 특징점과 각각 대조하게 된다(단계 S170).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생체지문데이터의 각 특징점이 동일 지점의 주민등록증상의 지문데이터와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의 특징점과 모두 일치되는 경우에 해당 민원인이 동일인으로 판단하여 신원을 인증하게 된다.
만약,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의 각 특징점이 주민등록증상의 지문데이터와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의 동일지점 특징점과 모두 일치되면(단계 S180), 해당 민원인이 인감증명을 받을 수 있는 정당한 민원인으로 인증하게 된다. 민원인의 신원이 인증되면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이 후 발생될 수 있는 인감사고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과정에서 획득된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화상데이터를 해당 민원인의 주민등록번호 등의 신상정보와 함께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186a)에 등록한 후(단계 S190), 인감증명서발급부(185)로 민원인의 신원인증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신원인증부(184)로부터 신원인증데이터를 전송받은 인감증명서발급부(185)는 인감증명데이터베이스(186b)에 등록된 해당 민원인의 인감증명 데이터를 인출하여 출력장치(150)의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를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감증명서 발급이 종료된다(단계 S200).
만약, 상기 과정에서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의 각 특징점이 주민등록증상의 지문데이터와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의 동일지점 특징점과 모두 일치되지 않으면,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해당 민원인이 인감증명을 받을 수 없는 정당하지 못한 민원인으로 판단하여 출력장치(150)의 모니터상에 오류메세지를 출력하고 인감증명 발급을 중단하게 된다(단계 S181).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민원인이 본인의 인감을 신청하는 경우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여 정당한 민원인에게 인감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으며, 인감증명서가 발급되는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화상데이터 및 주민등록번호를 저장하여 인감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민원인의 신분증으로서 지문이 표시되어 있는 주민등록증을 적용하였지만, 이는 반드시 주민등록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신분증으로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 공공기관에 의해 발급된 신분증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신분증에 민원인의 지문이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의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를 상호 대조함으로써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게 된다.
인감증명 신청의 경우 본인이 아닌 대리인을 통하여 인감증명을 신청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게 되는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를 통하여 대리인에게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인을 통하여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전체적인 과정은 상술한 민원인 본인의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대리인을 통한 인감증명서의 발급과정에서는 인감이 등록된 인감 본인이 아닌 대리인의 주민등록증상의 지문데이터를 획득하고(단계 S300, S310),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에 등록된 대리인의 지문데이터를 획득하며(단계 S320, S330), 대리인의 생체지문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획득하여(단계 S340, S350, S341, S351), 상기 획득된 대리인의 지문데이터들을 상호 대조하여 대리인의 신원을 인증하고(단계 S360, S370, S280), 신원이 인증된 대리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화상데이터 및 주민등록번호를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186a)에 등록한 후(단계 S390), 대리인에게 해당 민원인의 인감증명서를 제공하게 된다(단계 S300).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가 동일한 행정청의 민원실에 다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다수개의 인감증명서 발급단말기(100)는 관리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인감증명 발급단말기의 전체적인 네트워크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서버(300)와 연결되며,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 연결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하부에 구축된 다수의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를 관리하게 되는데, 이 관리서버(300)는 다수의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를 각각 식별하여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이 관리서버(300)에는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와 인감증명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내부에 구비되어,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민원인 또는 대리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화상데이터 및 주민등록번호를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에서 요청하는 민원인의 인감증명 데이터를 해당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않고도 관리서버(300)를 통하여 인감증명에 관한 업무가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를 사용하면 민원인이 해당 지역의 행정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타 지역의 행정청에서 인감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다.
이는 상기 각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다른 지역의 인감증명 발급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타 지역의 민원인이 인감증명 발급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3과 도4의 과정을 통하여 먼저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한 후, 민원인의 인감이 등록되어 있는 지역의 행정청 민원실에 구축된 인감증명 발급단말기(100) 또는 관리서버(300)에 해당 민원인의 인감증명 데이터를 요청하고 전송받아 출력함으로써 해당 민원인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감증명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는 인감증명 신청 민원인의 생체지문과 주민등록상의 지문과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에 등록된 지문을 상호 대조하여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한 후 인감증명서를 발급함으로써, 민원인의 신원을 정확하게 인증할 수 있어 인감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감증명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는 인감증명서가 발급되는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화상데이터 및 주민등록번호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여, 이후 해당 인감증명서 발급에 따른 인감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민원인을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인감증명 발급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타 지역에 구비된 다른 인감증명 발급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으로, 민원인이 본인의 인감이 등록된 해당 지역을 행정청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도 인감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타 지역에서 인감증명서를 신청하고 발급 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민원인이 신청하는 인감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인감증명을 신청하는 민원인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신분증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분증리더기(191)와, 민원인의 생체지문을 스캔하여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문입력기(192)가 구비된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와;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장치(160)와;
    주민의 지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장치(130)와;
    중앙처리장치(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장치(160)를 통하여 신분증리더기(191)로부터 전송되는 신분증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와, 상기 지문입력기(192)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지문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체지문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체지문판독부(183)와,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를 통하여 획득된 주민등록번호에 해당되는 민원인의 지문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장치(130)를 통하여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상기 생체지문판독부(182)를 통하여 획득된 생체지문데이터와 대조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여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는 민원인 신원인증부(184)와,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를 통하여 민원인의 신원이 인증되면 인감증명데이터베이스(186b)에서 민원인이 신청한 인감증명 데이터를 인출하여 출력장치(150)로 출력하는 인감증명서발급부(185)가 구비된 인감증명발급기(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사고 방지용 인감증명서 발급 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는 상기 신분증리더기(191)로부터 전송되는 신분증 스캔 데이터에 지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지문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184)는 상기 생체지문판독부(182)에 의해 획득된 생체지문데이터가 상기 신분증데이터판독부(181)에 의해 획득된 지문데이터와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지문데이터와 모두 일치되는 경우 민원인의 신원을 인증하여 신원인증데이터를 상기 인감증명서발급부(185)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사고 방지용 인감증명서 발급 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인 정보입력장치(190)에는 민원인의 화상을 촬영하여 민원인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촬영부(193)가 구비되고,
    상기 인감증명발급기(180)에는 상기 화상촬영부(193)를 통하여 촬영된 민원인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를 획득하는 화상이미지판독부(183)와, 상기 민원인 신원인증부(184)에 의해 신원이 인증된 민원인의 생체지문데이터와 화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인감발급데이터베이스(186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사고 방지용 인감증명서 발급 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장치(130)는
    상기 행정청의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300)와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300)의 중계를 통하여 지문데이터베이스서버(200)와 다른 지역에 위치된 인감증명 발급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사고 방지용 인감증명서 발급 단말기의 본인 확인장치.
KR20-2002-0033276U 2002-11-07 2002-11-07 본인 확인장치 KR200304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76U KR200304786Y1 (ko) 2002-11-07 2002-11-07 본인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76U KR200304786Y1 (ko) 2002-11-07 2002-11-07 본인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786Y1 true KR200304786Y1 (ko) 2003-02-19

Family

ID=4940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276U KR200304786Y1 (ko) 2002-11-07 2002-11-07 본인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7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0009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защищенной биометрическ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US7725732B1 (en) Object authentication system
KR100486062B1 (ko) 생측정 증명
US7953670B2 (en) Biometrically secured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 card reader device
US7454624B2 (en) Match template protection within biometric security systems
JP4111810B2 (ja) 個人認証端末、個人認証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30115475A1 (en) Biometrically enhanced digital certificates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US2010017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eless biometric identification with user selection
US20050077351A1 (en) Secure photo carrying identification device, as well as mean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such an identification device
US20080005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eless biometric identification
JP6897953B2 (ja) 入場受付端末、入場受付方法、入場受付プログラム、および入場受付システム
WO2003007527A2 (en) Biometrically enhanced digital certificates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JP2015525409A (ja) 高安全性生体認証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1612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issuing an authorization document
US8392721B2 (en) Method and system to electronically identify and verify an individual presenting himself for such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Thirumal et al. EVMFFR: Electronic Voting Machine with Fingerprint and Facial Recognition
KR20030052194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 및 사용자 인증방법
JP2002024831A (ja) 指紋認証装置及び指紋認証システム
TIWARI et al. Secure online voting system using visual cryptography
KR200304786Y1 (ko) 본인 확인장치
US20200204377A1 (en) Digital notarization station that uses a biometric identification service
Hastings et al. Quantifying assurance of knowledge based authentication
KR102646405B1 (ko) 안면과 지문을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KR102629509B1 (ko)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JP7203435B2 (ja) 本人確認サーバ、本人確認方法、本人確認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002

Effective date: 20090204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1002

Effective date: 200902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