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509B1 -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509B1
KR102629509B1 KR1020230104538A KR20230104538A KR102629509B1 KR 102629509 B1 KR102629509 B1 KR 102629509B1 KR 1020230104538 A KR1020230104538 A KR 1020230104538A KR 20230104538 A KR20230104538 A KR 20230104538A KR 102629509 B1 KR102629509 B1 KR 10262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ty
encryption code
card
point information
fea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성
Original Assignee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정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정권성 filed Critical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7Processing image or video features in feature spaces; using data integration or data reduction,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or self-organising maps [SOM];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10/80Fusion, i.e. combining data from various sources at the sensor level, preprocessing level, feature extraction level or classification level
    • G06V10/806Fusion, i.e. combining data from various sources at the sensor level, preprocessing level, feature extraction level or classification level of extracted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95Pattern authentication; Markers therefor; Forgery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06V40/171Local features and components; Facial parts ; Occluding parts, e.g. glasses; Geometrical relation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자의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제2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IDENTIFICATION METHOD USING TWO-DIMENSIONAL CODE}
본 발명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부당이득을 취하기 위해 신분을 위장하는 것과 연계된 불법 행위들을 색출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되고 있지만, 신분 위장 방법은 간단한데 비해 신문 위장을 간파하기 시스템을 갖추고 활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다.
예를 들어,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를 포함하여 특정인과 닮은 꼴인 사람이 특정인의 신분증을 이용해 사칭하는 불법 행위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를 색출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또한, 별도로 신원정보 및 안면정보 등의 기밀정보를 수집/관리하는 방법을 통해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에 중요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춰야 하며, 보안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고 하더라도 기관 등의 요청에 따라 제공된 데이터가 폐기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등 여러 방향으로 악용될 여지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면특징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생성 및 제공하여 이차원코드가 프린팅되는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하고, 특정 장소에서 촬영되는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신분증의 이차원코드 스캔을 통해 디코딩된 안면특징정보와 함께 분석하여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현장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자의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제2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며, 신분확인자단말은 현장에서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를 스캔하고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을 확인함으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원확인이 가능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현장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자의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여 제3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가 위조되었다고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며, 신분확인자단말은 현장에서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를 스캔하고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고 비교하는 방식으로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의 위변조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분증의 위변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3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가 위조되었다고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현장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자의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제2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여 제3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1특징점정보 내지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 및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며, 신분확인자단말은 현장에서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를 스캔하고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 및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비교하는 방식으로,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일치 여부 및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분증의 위변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3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내지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 및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증생성요청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며,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생성요청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이 포함하는 제2암호화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매칭식별자를 이용해 수신한 제2암호화코드와 대응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조회하는 단계; 서로 대응되는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를 결합하여 신원정보 및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된 제3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3암호화코드를 디코딩하여 신원정보 및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 및 신원정보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는 서로 오버랩되어 신규패턴으로 구성되는 제3암호화코드를 형성하며,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에 인코딩된 정보는 제3암호화코드에 의해서만 디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영역이 제1디코딩판별영역으로 구성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의 오버랩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제3암호화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허용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일부영역이 제2디코딩판별영역으로 구성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되, 제1디코딩판별영역 및 제2디코딩판별영역이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디코딩허용패턴을 형성하도록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2암호화코드의 전체영역을 제1암호화코드의 전체영역 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2암호화코드의 전체영역 중 제1암호화코드를 오버랩하기 위한 오버랩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오버랩영역 중 제1디코딩판별영역이 오버랩되는 제2디코딩판별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무데이터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암호화코드의 오버랩영역 위치는 제2암호화코드가 생성될 때마다 무작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인의 신분 확인이 필요할 경우, 특정인의 안면을 촬영하여 획득한 안면이미지 및 신분증으로부터 획득한 안면의 특징점정보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용이하게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경찰관과 같은 신분확인자가 검문자의 얼굴과 신분증의 사진을 육안으로 비교 확인하기 때문에 동일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신분증이 포함하는 제1특징점정보 및 현장에서 촬영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획득한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여 안면인식을 수행하므로, 동일인 여부 판별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신분증을 생성한지 오래된 신분증소지자의 경우에는 나이가 들거나 안경과 같은 악세서리 착용 등으로 인해 신분증 생성 당시에 비해서 외모가 많이 변형되어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에도 동일인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신분증에는 이름, 주민번호 및 사진과 같은 신원정보가 포함되는데, 신분증위조범이 신분증의 사진을 위조하는 경우 신분증위조범의 신원이 신분증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고 여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의 정보만 확보할 수 있다면, 해당 이차원코드와 대응되는 신원정보를 전송받아 신분증을 소지한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신분증 위조 여부를 간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차원코드를 암호화코드의 형태로 생성하여 복제 및 무단 생성이 어려우므로, 신분증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코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의 실시예로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는 사용주체에 따라 신분증소지자단말, 서비스단말, 서비스서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와 같은 용어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에 관한 것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통신부', '통신모듈'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이차원코드 및 컬러코드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방법은 코드인코딩모듈, 코드디코딩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신분확인집행자가 이용하는 신분확인자단말, 서비스사업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경찰과 같은 신분확인자가 신분확인자단말을 통해 안면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신분증소지자가 소지한 신분증에는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된 이차원코드가 프린팅된다. 여기에서, 제1특징점정보는 신분증을 생성할 당시 촬영된 제1안면이미지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제1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안면구성요소들이 갖는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이며, 신분증소지자의 고유생체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코, 입과 같은 안면구성요소간 떨어진 거리 비율, 턱선의 각도, 귀의 높이, 뼈의 돌출정도 등이 제1특징점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의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면, 상술한 제1특징점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후 신분증소지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여 서로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2특징점정보 또한 제1특징점정보가 포함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정보들을 포함하므로, 특징점정보 간의 비교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저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신분확인자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신분확인자단말은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집행자가 운용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운전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찰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구성된다.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를 스캔한다(S200). 여기에서, 이차원코드의 스캔 또한 신분확인자단말을 통해 직접 수행되거나 신분확인자단말과 네트워크연결되는 별도의 스캔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차원코드를 디코딩하여 이차원코드에 포함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한다(S210). 여기에서, 제1특징점정보는 신분증을 생성할 당시 촬영된 제1안면이미지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제1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안면구성요소들이 갖는 특징점을 추출한 것이다.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제2안면이미지를 생성한다(S220). 여기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은 신분확인자단말이 직접 수행할 수 있으며, 신분확인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별도의 촬영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제2특징점정보를 획득한다(S230). 여기에서, 제2특징점정보는 제1특징점정보와 서로 비교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식 또는 항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40). 여기에서, 안면인식 과정에서 일부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고려하여 매칭정확도 기준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 특징점정보의 일치도가 98% 이상인 경우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구성된다.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 정보를 수신한다(S300).
이차원코드를 디코딩하여 이차원코드에 포함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한다(S310).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한다(S320).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제2특징점정보를 획득한다(S330).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40).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는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여 신분확인자가 이를 통해 신분확인을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신분증 생성 시 이용된 제1안면이미지와 현장에서 촬영한 신분증소지자의 제2안면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이므로, 신분확인자가 신분증소지자가 제시하는 신분증의 도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분확인자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신분확인자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숭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전파불모지에서도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제3안면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여 제3안면이미지를 생성하고,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며,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3안면이미지를 수신하고,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며,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상술한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신분증 생성 시 이용된 제1안면이미지와 신분증의 신분확인용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제3안면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이므로, 신분증소지자가 제시하는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현장에서 촬영하여 생성되는 제2안면이미지 및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제3안면이미지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안면이미지를 이용함에 따른 상술된 단계 및 제3안면이미지를 이용함에 따른 상술된 단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특징점정보 내지 제3특징점정보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신분증 생성 시 이용된 제1안면이미지, 현장에서 촬영한 신분증소지자의 제2안면이미지 및 신분확인용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제3안면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이므로, 신분증소지자가 제시하는 신분증의 도용 여부 및 위조 여부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신분증소지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제1안면이미지를 수신한다.
(2) 수신한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신분증소지자의 제1특징점정보를 획득한다.
(3) 생성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이차원코드를 생성한다.
(4) 이차원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1안면이미지는 사용자가 신분증을 생성하기 위해 전달하는 자신의 안면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수신된 제1안면이미지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 등에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저장된 제1안면이미지를 함께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이용한 제1특징점정보 및 제1안면이미지에 부여된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통해서 제1특징점정보가 추출된 제1안면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조회한 제1안면이미지를 신분확인자단말로 함께 전송함으로써, 신분확인자가 신분증의 위조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은 서비스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아래와 같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한다(S400). 여기에서, 신분증생성요청자의 신원정보는 서비스서버로 직접 제공될 수 있으며, 또 다른 경로 또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서비스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신분증생성요청자의 신원정보는 제1암호화코드의 형태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1암호화코드는 후술되는 별도의 디코딩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디코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보안성을 갖게 된다.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한다(S410).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한다(S420).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한다(S430).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한다(S440).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한다(S450).
신분증이 포함하는 제2암호화코드 정보를 수신한다(S500).
매칭식별자를 이용해 저장된 제1암호화코드 중 입력된 제2암호화코드와 대응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조회한다(S510).
서로 대응되는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를 결합하여 신원정보 및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된 제3암호화코드를 생성한다(S520).
여기에서,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는 서로 오버랩되어 신규패턴으로 구성되는 제3암호화코드를 형성하며,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에 인코딩된 정보는 제3암호화코드에 의해서만 디코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암호화코드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더라도 코드에 인코딩된 정보가 탈취당하는 등의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제2암호화코드 또한 각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에 노출되어 있더라도 안면관련 신체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암호화코드를 디코딩하여 신원정보 및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한다(S530).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한다(S540).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한다(S550).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560).
이후,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 및 신원정보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여 신분확인자가 신분확인을 완료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신분증소지자가 신분증의 제2암호화코드를 제외한 부분을 위변조한 경우,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된 신원정보에 의해 신분증 위변조 사실이 밝혀질 수 있다.
또한, 신분증소지자가 신분증의 제2암호화코드를 위변조한 경우, 위변조된 제2암호화코드와 서로 대응되는 제1암호화코드가 도출되지 않아 신원확인이 불가하다는 알림이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신분증소지자가 신분증을 도용한 경우, 불일치 판정된 안면분석결과가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코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암호화코드(10) 및 제2암호화코드(20)는 아래의 과정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먼저, 일부영역이 제1디코딩판별영역으로 구성되는 제1암호화코드(10)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1암호화코드(10) 및 제2암호화코드(20)의 오버랩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제3암호화코드(30)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허용패턴(D)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일부영역이 제2디코딩판별영역으로 구성되는 제2암호화코드(20)를 생성하되, 제1디코딩판별영역 및 제2디코딩판별영역이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디코딩허용패턴(D)을 형성하도록 생성한다.
제1암호화코드(10)의 제1디코딩판별영역과 제2암호화코드(20)의 제2디코딩판별영역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 아무런 의미가 없는 영역으로 존재하지만, 서로 오버랩됨에 따라서 디코딩허용패턴(D)을 형성하는 경우 디코딩요건을 충족시키게 됨으로써, 서비스서버가 제3암호화코드를 디코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암호화코드(20)는 아래의 더 구체적인 과정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7의 좌측과 같이, 제2암호화코드(20)의 전체영역을 제1암호화코드(10) 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제2암호화코드(20)의 전체영역 중 제1암호화코드(10)를 오버랩하기 위한 오버랩영역(21)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오버랩영역(21) 중 제1암호화코드(10)의 제1디코딩판별영역이 오버랩되는 제2디코딩판별영역(23)을 제외한 영역을 무데이터영역(22)으로 설정한다. 무데이터영역(22)에는 제1암호화코드(10)의 제1디코딩판별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정보 등 제1암호화코드(10)에 인코딩된 정보들이 온전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3암호화코드(30)를 생성하여도 제1암호화코드(10)의 코드데이터가 제2암호화코드(20)의 코드데이터와 결합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1암호화코드(10) 및 제2암호화코드(20)에 인코딩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추가적인 복호화 과정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3암호화코드(30) 생성 방법을 통해 제1 및 제2암호화코드에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하면서도, 코드 디코딩 용이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암호화코드(20)의 오버랩영역(21) 위치는 제2암호화코드(20)가 생성될 때마다 무작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오버랩영역(21)의 크기 및 형태 또한 무작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한되지 않는 암호화코드 결합에 대한 경우의 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생성된 모든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가 1대1로 매칭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랩영역(21)은 서로 떨어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떨어진 각 영역 또한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현장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자의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제2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며,
    신분확인자단말은 현장에서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를 스캔하고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을 확인함으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원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분증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한 것과 동일한 것인: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2.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분증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한 것과 동일한 것인: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3. 현장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자의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여 제3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가 위조되었다고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며,
    신분확인자단말은 현장에서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를 스캔하고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고 비교하는 방식으로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의 위변조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분증의 위변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분증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한 것과 동일한 것인: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4.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3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3특징점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가 위조되었다고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분증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한 것과 동일한 것인: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5. 현장에서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신분확인자의 신분확인자단말이: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제2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를 촬영하여 제3안면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1특징점정보 내지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 및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이며,
    신분확인자단말은 현장에서 신분증에 포함된 이차원코드를 스캔하고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확인용이미지 및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비교하는 방식으로,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일치 여부 및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분증의 위변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분증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한 것과 동일한 것인: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6.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신분증이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이차원코드에 인코딩된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이 포함하는 신분확인용이미지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3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3안면이미지로부터 제3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내지 제3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 및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소지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분증은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아래의 단계를 통해 생성한 것과 동일한 것인: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7.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가:
    신분증생성요청자단말로부터 신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매칭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신원정보에 포함되는 제1안면이미지로부터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에 부여된 매칭식별자와 동일한 매칭식별자를 제2암호화코드에 부여하는 단계; 및
    제2암호화코드를 포함하는 신분증이 생성되도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칭식별자는
    암호화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 가능하도록 부여되며,
    특징점정보는
    안면이미지에 포함되는 각 안면구성요소의 특징점을 데이터화한 안면템플릿으로서, 신분증생성요청자의 안면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생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이 포함하는 제2암호화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매칭식별자를 이용해 수신한 제2암호화코드와 대응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조회하는 단계;
    서로 대응되는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를 결합하여 신원정보 및 제1특징점정보가 인코딩된 제3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3암호화코드를 디코딩하여 신원정보 및 제1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신분확인자단말로부터 신분증소지자의 안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2안면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안면이미지로부터 제2특징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특징점정보 및 제2특징점정보를 비교하고, 특징점의 매칭정도를 분석하여, 신분증과 신분증소지자의 신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신원일치여부 판별결과 및 신원정보를 신분확인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는
    서로 오버랩되어 신규패턴으로 구성되는 제3암호화코드를 형성하며,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에 인코딩된 정보는 제3암호화코드에 의해서만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일부영역이 제1디코딩판별영역으로 구성되는 제1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암호화코드 및 제2암호화코드의 오버랩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제3암호화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허용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일부영역이 제2디코딩판별영역으로 구성되는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되, 제1디코딩판별영역 및 제2디코딩판별영역이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디코딩허용패턴을 형성하도록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2암호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2암호화코드의 전체영역을 제1암호화코드의 전체영역 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2암호화코드의 전체영역 중 제1암호화코드를 오버랩하기 위한 오버랩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오버랩영역 중 제1디코딩판별영역이 오버랩되는 제2디코딩판별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무데이터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암호화코드의 오버랩영역 위치는 제2암호화코드가 생성될 때마다 무작위로 설정되는,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KR1020230104538A 2023-08-10 2023-08-10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KR10262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538A KR102629509B1 (ko) 2023-08-10 2023-08-10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538A KR102629509B1 (ko) 2023-08-10 2023-08-10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509B1 true KR102629509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538A KR102629509B1 (ko) 2023-08-10 2023-08-10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5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63Y1 (ko) * 2002-07-31 2002-10-31 김상훈 위변조 방지용 얼굴인식 여권/비자 발급 및 공항 심사 방법
KR20210062747A (ko) * 2016-06-03 2021-05-3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증강 현실 아이덴티티 검증
KR20230049942A (ko) * 2021-10-07 2023-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얼굴 기반 모바일 신분증 검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63Y1 (ko) * 2002-07-31 2002-10-31 김상훈 위변조 방지용 얼굴인식 여권/비자 발급 및 공항 심사 방법
KR20210062747A (ko) * 2016-06-03 2021-05-3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증강 현실 아이덴티티 검증
KR20230049942A (ko) * 2021-10-07 2023-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얼굴 기반 모바일 신분증 검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6865B2 (en) Document authentication based on expected wear
US102103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verified identity documents
US9396383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verifying a signatory of a document
US10320807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he authenticity and verification of photographic identity documents
KR101626880B1 (ko) 비대면 실명확인 온라인 신분증 식별 및 인식 시스템 및 방법
ES2858553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compartir electrónicamente documentos privados usando punteros
JP2022512123A (ja) 身元情報認証方法、装置及びサーバ
KR101703714B1 (ko)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079952B1 (ko) 얼굴 인식 출입 방법 및 장치
US2021000655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face recognition
AU2017221747A1 (en) Method, system, device and software programme product for the remote authorization of a user of digital services
US1099077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biometric verification
KR20170001864A (ko)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748136B1 (ko)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디지털 이미지 판단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2629509B1 (ko)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KR102646405B1 (ko) 안면과 지문을 이용한 신분증명 방법
TW202230173A (zh) 認證系統、認證方法、及程式產品
JP679488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98968A (zh) 一种基于电子公证系统的内网电子文书签署方法及系统
JP7100774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2208332U (zh) 一种人证核验装置
RU2787577C2 (ru) Подпи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писания
CN109299945B (zh) 一种基于生物识别算法的身份验证的方法及装置
KR20220018361A (ko)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KR200304786Y1 (ko) 본인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