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051B1 -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051B1
KR102247051B1 KR1020190120786A KR20190120786A KR102247051B1 KR 102247051 B1 KR102247051 B1 KR 102247051B1 KR 1020190120786 A KR1020190120786 A KR 1020190120786A KR 20190120786 A KR20190120786 A KR 20190120786A KR 102247051 B1 KR102247051 B1 KR 10224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value
urine
ratio
rg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8092A (ko
Inventor
안상천
나희정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051B1/ko
Priority to JP2022518763A priority patent/JP7324548B2/ja
Priority to PCT/KR2020/013271 priority patent/WO2021066484A1/ko
Publication of KR2021003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92A/ko
Priority to KR1020210053518A priority patent/KR102581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b)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다.

Description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IMPLE URINALYSI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간단하게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변검사와 달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소변스트립에 소변이 뭍은 즉시 검사결과를 생성하고, 기존의 검사결과 생성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소변검사란 소변의 색이나 혼탁도 등의 물리적 성상을 검사하고, 소변으로 배출되는 여러 종류의 노폐물을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검사를 뜻한다.
결과가 숫자로 표현되는 종래의 정량검사 방식의 경우 소변채취 현장에서 그 정량값을 확인하지 못하고 검사실로 소변검체를 이송한 다음 검사절차를 거쳐야 하기에 검체이송 및 결과수신까지 하루 이상의 시간이 필요로 한다.
그에 따라,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개체에 대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각종 질병의 유무를 선별(screening)해야 하는 직장검진, 학생검진에서는 정량검사 대비 정확성과 신뢰도가 미치지 못하더라도 소변채취 현장에서 바로 검사결과의 확인이 필요(POCT: Point of Care Testing)로 검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소변검사의 한 방식으로 소정의 영역에 각 성분별 시료가 구비된 소변검사 스트립에 소변을 뭍혀 각 시료가 변화하는 색상을 통해 소변검사를 수행하는 방식이 개발 되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표준비색표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변이 뭍은 소변검사 스트립을 각 검사 영역별 색상을 표준비색표의 색상과 육안판독을 수행하거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소변검사는 비침습적방법으로 수검자의 고통없이 간편하게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소변검사는 특정 요소, 즉 섭취한 음수량, 이뇨작용이 있는 음식, 의약품 섭취 여부 등에 따라 배출되는 소변량의 편차가 심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농축된 축뇨, 희석된 묽은 소변의 효과로 소변검사 스트립과 같은 spot urine(단위뇨)의 검체는 소변량에 따른 실제 농도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는 한계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373호(제목: 뇨, 혈액, 타액, 생체분비물 등의 체액으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멀티리더기, 공고일: 2013.10.29.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손쉽고 정확하게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소변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섭취한 음수량, 이뇨작용이 있는 음식, 의약품 섭취 여부 등에 따라 배출되는 소변량의 편차에 의해 검사의 결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b)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비율값은 표준비색표로부터 추출되는 RGB값을 기초로, 비중의 패드 영역에서 발현될 수 있는 색상에 대비한 검사항목의 패드영역의 색상들 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a)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복수의 건강 상태에 따라 각 검사 항목의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에 관한 제 2 RGB값들을 산출하고, 각각의 제2 RGB값과 비중의 패드 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에 관한 RGB값 간의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각 검사 항목별로 복수의 제2 비율값을 포함하는 RGB 비율표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비율값은 기 설정된 범위의 마진범위를 갖고, 제 1 비율값의 마진범위가 제 2 비율값의 마진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d) 검사 항목에 대응하여 산출된 수치를 기초로, 각 검사항목에 관한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중 RGB값은 검사 항목 중 크레아티닌의 농도에 대한 RGB값으로 대체하여 제 1 비율값 및 제 2 비율값을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각 검사 항목의 패드 영역에서 발현할 수 있는 색상에 대한 RGB값의 절대적인 수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각 검사 항목의 패드 영역에서 발현될 수 있는 RGB값의 종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소변검사의 피검사자는 사람 또는 동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a)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RGB값을 보정하기 위해, 표준비색표의 색상을 촬영하여 제 2 RGB값을 산출될 수 있다.
또한, (a) 단계는 소변검사 스트립의 촬영을 수행할 시, 소변검사 스트립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변검사 스트립의 촬영 시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 이하인 경우 촬영 환경의 개선을 요청하는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 단계는 검사 이미지의 화질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거나, 검사 이미지 상의 소변검사 스트립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이면, 재촬영을 요청하는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d) 단계 이후, 특정 사용자의 제 1 RGB값과 기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제 1 RGB값의 오차를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의 검사 결과에 대한 비교값을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생성하고,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고,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되,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소변이 묻는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한 검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소변이 묻는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한 검사 이미지를 수신하고,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고,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되,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항에 의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손쉽고 간편하게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소변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회사가 제조한 소변 스트립마다 동일한 검사항목을 품고 있더라도, 사용자가 소변을 뭍힌 후에 발현되는 색상들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게 되어, 어느 회사의 소변 스트립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한 사람에 대한 건강검사결과라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회사의 소변 스트립을 사용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검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섭취한 음수량, 이뇨작용이 있는 음식, 의약품 섭취 여부 등에 따라 배출되는 소변량의 편차에 의해 검사의 결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를 보정하여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표준비색표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GB값에 기초하여 비율값을 대조하기 위한 테이블의 예시가 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소변 스트립(200) 및 서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소변검사를 위해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을 사용자 단말(100)로 촬영하여 검사이미지를 생성하고,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각 검사항목 별로 제 1 RGB값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패드 영역은 소변스트립(200)에 구비되어 소변에 포함된 성분별 검사를 위한 시약이 발려져 있는 영역을 뜻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시약은 각각의 표준 색상을 가지며, 소변과 반응하면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는 것이다. 제 1 RGB값은 이러한 변색된 패드 영역의 색상에 대한 RGB값을 추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상기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여기서, 비중은 사구체에서 단백질을 걸러내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검사항목으로서, 기존의 소변스트립의 경우, 단순히 비중이라는 항목을 신장질환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때, 표준비색표는 소변검사를 위해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소변검사 스트립(200)에서 산출한 제 1 RGB값을 표준비색표에서 산출되는 RGB값과 직접 비교하지 않는 이유는 피검사자의 몸 상태에 따라 소변의 농도가 달라지는 등의 외부 요인이 작용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도 소변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중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을 제 1 RGB값 및 표준비색표에서 산출된 RGB값과 나누어 비율값을 생성한 후 비교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중을 기준으로 소변검사를 보정하는 이유는 종래에 판매되는 소변검사 스트립에서 비중의 항목은 대부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것이다.
추가 실시예로서, 비중 RGB값을 대신하여 검사 항목 중 크레아티닌의 농도에 대한 RGB값으로 비중 RGB값을 대체하여, 제 1 비율값 및 제 2 비율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크레아티닌에 대한 검사항목이 소변스트립에 구비되어 있어, 크레아티닌에 대한 RGB값 측정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크레아티닌에 대한 측정된 RGB값은 별도 분석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소변검사를 수행하는 단말을 뜻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변검사의 대상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피검사자는 사람 또는 동물 중 어느 하나로서 검사의 대상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200)을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검사 이미지에서 각 검사항목 별 RGB값인 제 1 RGB값을 생성한다. 표준비색표를 통해 기 생성한 제 2 RGB값과 비중 RGB값과의 비율을 제1 RGB값과 검사이미지 상의 비중에 대한 RGB값의 비율과 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변검사 스트립(200)은 일 면에 다양한 색상의 검사용 시약이 발려져 소변이 묻은 경우 검사용 시약의 색상이 사용자의 건강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변색되어 사용자가 건강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알리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소변검사 스트립(200)은 스틱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소변검사 스트립(200)이 검사 항목에 따른 색상과 소변과 반응하여 시약의 색상이 변화한다면 그 형태가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을 대신하여 소변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검사 이미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검사 이미지에서 제 1 RGB값을 추출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표준비색표를 통해 기 생성한 제 2 RGB값과 비중 RGB값 및 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선택적 실시예로,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외되고, 사용자 단말(100) 및 소변검사 스트랩(200)만을 통해 발명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3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데이터베이스(140) 색상추출 모듈(150) 및 시료 검사 모듈(160)을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시스템에서 서버(300)가 제외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통신 모듈(110)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메모리(120)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소변검사를 위해 촬영한 검사 이미지 및 기 저장된 표준비색표에 대응하는 제 2 RGB값, 검사 결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가 올바르게 소변검사 스트립(200)의 색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사전에 표준비색표를 촬영하여 색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보정 결과에 대한 설정값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소변검사를 위해 촬영한 검사 이미지 및 기 저장된 표준비색표에 대응하는 제 2 RGB값, 검사 결과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색상추출 모듈(150)은 검사 이미지 또는 표준비색표에 포함된 패드 영역에서 발현할 수 있는 색상에서 RGB값을 추출하기 위한 모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색상추출 모듈(150)은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검사 이미지나 외부에서 수신한 검사 이미지로부터 RGB값을 추출하거나, 기 입력받은 표준비색표에서 RGB값을 추출할 수 있다.
시료 검사 모듈(160)은 검사 이미지에서 추출된 제 1 RGB값과 표준비색표에서 추출된 제 2 RGB값을 비중 RGB값으로 보정 후 비교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200)을 사용자 단말(100)로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생성한다(S310).
소변검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표준비색표와 제2 RGB값은 사전에 미리 산출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소변검사 스트립(200)의 촬영을 수행할 시, 사용자 단말(100)은 소변검사 스트립(200)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디케이터가 가이드 하는 위치에 소변검사 스트립(200)을 두고 촬영하면, 검사 항목 및 RGB값의 추출에 용이한 검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소변검사 스트립(200)의 촬영 시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 이하인 경우 촬영 환경의 개선을 요청하는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도 검사 이미지의 화질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거나, 검사 이미지 상의 소변검사 스트립(20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을 요청하는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계(S310)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검사 이미지로부터 각 검사항목의 패드영역에 대한 제 1 RGB값을 생성한다(S320).
추가 실시예로, 검사 이미지 또는 제 1 RGB값을 다른 사용자 단말(100)이나 서버(300) 수신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S31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한다(S330).
이때, 제 2 비율값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준비색표로부터 추출되는 RGB값을 기초로, 비중의 패드영역에서 발현될 수 있는 색상에 대비한 검사항목의 패드영역의 색상들 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복수의 건강 상태에 따라 각 검사 항목의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에 관한 제 2 RGB값들을 산출하고, 각각의 제2 RGB값과 비중의 패드 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에 관한 RGB값 간의 비율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검사 항목별로 복수의 제2 비율값을 포함하는 RGB 비율표를 구축하는 작업을 단계(S310) 이전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 1 및 제 2 비율값은 기 설정된 범위의 마진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계(S330)에서는 제 1 비율값의 마진범위가 제 2 비율값의 마진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가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단계(S330) 이후에는 검사 항목에 대응하여 산출된 수치를 기초로, 각 검사항목에 관한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로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검사 결과로 산출된 수치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의 건강상태가 정상/비정상인지에 대한 결과를 O/X와 같은 간단한 기호나 "정상"/"비정상"과 같은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하여 비전문가에게 너무 많은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발생되는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건강에 대해 비정상 판정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검사가 불확실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메시지(예를 들어, 비정상 의심 메시지 등)와 함께 재검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특정 사용자의 제 1 RGB값과 기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제 1 RGB값의 오차를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의 검사 결과에 대한 비교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A라는 인물의 검사 이미지에서 추출된 아스코르빈산의 RGB값과 B라는 인물의 검사 이미지에서 추출한 아스코르빈산의 RGB값의 대조를 통해 어떤 인물의 아스코르빈산의 수치가 더 낮은지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GB값에 기초하여 비율값을 대조하기 위한 테이블의 예시가 될 수 있다. RGB값은 R값, G값, B값 각각이 따로 수치를 갖는 것으로 구성되나, 도5의 표는, RGB값이 R값, G값, B값의 평균값 1개 또는 대표값 1개를 기준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작성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에서 비중 패드 영역(510), 아스코르빈산 패드 영역(520) 및 비율 테이블(530)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비중 패드 영역(510) 및 아스코르빈산 패드 영역(520)은 표준비색표에 포함되어 피검사자의 소변과 반응하여 나타낼 수 있는 표의 모음이 될 수 있다.
이때, 각 검사 항목마다 발현될 수 있는 색상의 개수가 다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편적인 검사 항목에 포함되는 비중 패드 영역(510)을 검사의 기준으로 하게 된다.
비율 테이블(530)은 아스코르빈산이 가질 수 있는 비중 대비 제 2 비율값을 뜻하게 된다.
예컨대, 제 1 열은 아스코르빈산이 가질 수 있는 4개의 격자가 될 수 있으며, 제 2 열은 각 격자가 가지는 표준색상의 RGB값(제 2 RGB값)이 되는 것이다. 예시에서는 이를 각각 10, 20, 30, 40으로 가정하여 표현하였다.
실제로 소변검사 스트립(200)의 시약은 표준비색표의 아스코르빈산 패드 영역(520)처럼 색상이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으며,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구간의 색이 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열과 같이 실제 제 2 RGB값은 기 설정된 마진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비중 패드 영역(510)은 7개의 격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중값의 차이는 0.005로 가정되어 있다. 그에 따라, 비중의 각 격자별 RGB값으로 나누면, 노란 음영의 영역과 같이 각 아스코르빈산의 격자값이 RGB값의 비율 테이블(530)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실재 마진 범위 안에 제 1 RGB값이 속하면, 해당 건강 상태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마진값이 커지는 경우 비율 테이블 내의 각 제 2 비율값의 범위가 넓어져 서로 다른 제 2 비율값의 범위가 겹쳐지는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제 1 비율값이 상기 겹쳐지는 구간에 속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단계(S330)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중복된 결과값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제 2 비율값은 비중에 기초하여 산출되었으나, 비중 외에 크레아티닌을 포함한 다른 성분을 이용하여 산출된 다른 제 2 비율값과의 비교를 통해, 제 1 비율값이 상기의 겹쳐지지 않는 구간에 속할 수 있도록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R값, G값, B값 각각에 대응하는 제 2 비율값을 복수로 산출하고, 그에 대한 제 1 비율값의 비교를 통해 검사 결과의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일 예일뿐이며, 다른 방법으로도 보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뿐, 도면에 기재된 수치나 색상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소변검사 스트랩
300: 서버

Claims (18)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상기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율값은 상기 표준비색표로부터 추출되는 RGB값을 기초로, 비중의 패드 영역에서 발현될 수 있는 색상에 대비한 검사항목의 패드영역의 색상들 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복수의 건강 상태에 따라 각 검사 항목의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에 관한 제 2 RGB값들을 산출하고, 각각의 제2 RGB값과 비중의 패드 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에 관한 RGB값 간의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각 검사 항목별로 복수의 제2 비율값을 포함하는 RGB 비율표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율값은 기 설정된 범위의 마진범위를 갖고, 상기 제 1 비율값의 마진범위가 상기 제 2 비율값의 마진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가 산출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검사 항목에 대응하여 산출된 수치를 기초로, 상기 각 검사항목에 관한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검사 결과로 제공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 RGB값은 상기 검사 항목 중 크레아티닌의 농도에 대한 RGB값으로 대체하여 상기 제 1 비율값 및 제 2 비율값을 산출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검사 항목의 패드 영역에서 발현할 수 있는 색상에 대한 RGB값의 절대적인 수치는 서로 다른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검사 항목의 패드 영역에서 발현될 수 있는 RGB값의 종류가 서로 다른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의 피검사자는 사람 또는 동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상기 RGB값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표준비색표의 색상을 촬영하여 제 2 RGB값을 산출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소변검사 스트립의 촬영을 수행할 시, 상기 소변검사 스트립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제공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 스트립의 촬영 시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 이하인 경우 촬영 환경의 개선을 요청하는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검사 이미지의 화질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거나, 상기 검사 이미지 상의 소변검사 스트립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이면,
    재촬영을 요청하는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특정 사용자의 제 1 RGB값과 기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제 1 RGB값의 오차를 기초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의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한 비교값을 산출하는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5.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하여 검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고, 상기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상기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되, 상기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16.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소변이 묻는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한 검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상기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것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17.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소변이 묻는 소변검사 스트립을 촬영한 검사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검사 이미지에서 소변검사 스트립의 각 검사 항목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RGB값을 추출하여 제 1 RGB값을 생성하고, 상기 검사 항목 중 비중(specific gravity)의 패드 영역에서 추출된 비중 RGB값과 제 1 RGB값을 통해 제 1 비율값을 생성하고, 표준비색표를 통해 산출된 비중과 각 검사항목 간의 비율인 제 2 비율값과 상기 제 1 비율값을 대비하여 각 검사항목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되, 상기 표준비색표는 각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패드영역이 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상들을 정의한 것인,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18. 제 1 항에 의한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190120786A 2019-09-30 2019-09-30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4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86A KR102247051B1 (ko) 2019-09-30 2019-09-30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2518763A JP7324548B2 (ja) 2019-09-30 2020-09-28 小便検査を行うための装置及び方法
PCT/KR2020/013271 WO2021066484A1 (ko) 2019-09-30 2020-09-28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10053518A KR102581512B1 (ko) 2019-09-30 2021-04-26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86A KR102247051B1 (ko) 2019-09-30 2019-09-30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18A Division KR102581512B1 (ko) 2019-09-30 2021-04-26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92A KR20210038092A (ko) 2021-04-07
KR102247051B1 true KR102247051B1 (ko) 2021-04-30

Family

ID=7533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86A KR102247051B1 (ko) 2019-09-30 2019-09-30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24548B2 (ko)
KR (1) KR102247051B1 (ko)
WO (1) WO2021066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144B1 (ko) 2021-10-13 2024-04-16 주식회사 라온헬스랩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36834A (ko) *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 리틀캣 배변 패드를 이용한 반려 동물 건강 진단 시스템
KR102538426B1 (ko) * 2023-01-12 2023-05-31 (주) 주노바이오메디 소변을 이용한 질병 검출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정보 검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302B1 (ko) 2014-07-02 2015-08-28 주식회사 씨스퀘어 요화학 분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1552B2 (ja) * 1992-09-03 2002-07-15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尿成分測定装置
EP1952162A2 (en) 2005-10-24 2008-08-06 Manawatu Biotech Investments Ltd. (Mbil) Ovulation cycle monitoring and management
JP4793074B2 (ja) 2006-04-20 2011-10-12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分析装置及び測定方法
KR101323373B1 (ko) 2011-07-26 2013-10-29 김수동 뇨, 혈액, 타액, 생체분비물 등의 체액으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멀티리더기
KR20130086690A (ko) * 2012-01-26 2013-08-05 김성현 휴대용 장치에서 구동되는 비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색 분석 방법
JP6212303B2 (ja) 2013-06-28 2017-10-11 景博 内田 糖尿病マーカーの測定方法
KR101572226B1 (ko) * 2014-04-01 2015-11-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플리케이션 기반 소변검사용 스트립 및 소변 검사 방법
KR101617354B1 (ko) * 2014-05-27 2016-05-0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 검사장치 및 측정방법
KR102199462B1 (ko) * 2014-11-04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X2017012095A (es) 2015-03-23 2018-09-21 Wellmetris Llc Dispositivo para urinalisis habilitado para smartphone, software, y plataforma de analisis.
JP6691403B2 (ja) 2015-03-23 2020-04-28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尿検体中の分析対象物量の予測方法
KR101898594B1 (ko) * 2016-10-07 2018-09-13 주식회사 에코메트론 소변분석용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소변분석 방법
JP7127288B2 (ja) 2018-02-01 2022-08-30 凸版印刷株式会社 呈色反応観察補助システム、呈色反応観察補助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302B1 (ko) 2014-07-02 2015-08-28 주식회사 씨스퀘어 요화학 분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24548B2 (ja) 2023-08-10
JP2022549315A (ja) 2022-11-24
WO2021066484A1 (ko) 2021-04-08
KR20210038092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1633B2 (en) Quantifying color changes of chemical test pads induced by specific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analytes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US96073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specific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analytes
KR102247051B1 (ko)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916117A1 (en) Quantifying color changes of chemical test pads induced by specific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analytes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CN106546581B (zh) 试纸检测卡智能检测系统以及试纸检测卡智能分析方法
US10251602B2 (en) Health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Reid et al. The Drooling Impact Scale: a measure of the impact of drooling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nch Measurement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cats: methods and advantages over routine markers of renal function
JP7228585B2 (ja) 分析測定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60274104A1 (en) Test method for determinging biomarkers
US20200209044A1 (en) Capacitive measurement device with minimized sensitivity to manufacturing variability and environmental changes
JPWO2020141346A5 (ko)
WO2018225356A1 (ja) 試験値出力プログラム、試験値出力方法及び試験値出力装置
US20210208081A1 (en) Analysis of urine test strips with mobile camera analysys and providing recommendation by customising data
Velikova et al. Smartphone‐based analysis of biochemical tests for health monitoring support at home
KR20130086690A (ko) 휴대용 장치에서 구동되는 비색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색 분석 방법
KR20210048474A (ko)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667452A (zh) 确定体液中分析物的浓度的方法
Finch et al. Development of an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formula in cats
CN107194189A (zh) 临床检验信息处理系统及方法
Adams et al. Smartphone-based analysis of urine reagent strips is inaccurate for assessing underhydration
EP4279905A1 (en) Method of individualizing analyte value ranges used to categorize a concentration of an analyte
Coughlan et al. Spatial cognition is associated with levels of phosphorylated-tau and β-amyloid in clinically normal older adults
CN110353707A (zh) 准直器边界检测方法的训练方法和系统
CN112305245B (zh) 样本分析方法及样本分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