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550B1 -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550B1
KR102246550B1 KR1020200173552A KR20200173552A KR102246550B1 KR 102246550 B1 KR102246550 B1 KR 102246550B1 KR 1020200173552 A KR1020200173552 A KR 1020200173552A KR 20200173552 A KR20200173552 A KR 20200173552A KR 102246550 B1 KR102246550 B1 KR 10224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etachable
hole
ro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광재
노수래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to KR102020017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01C21/32Structuring or format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5Road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1Data obtained from two or more sources, e.g. prob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맵핑시스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 위치정보모듈, 자료검색모듈, 위치영상모듈 및 도로대장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현장에서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와 사진 정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감쇠부와 유체완충부를 이용하여 정보부의 데이터 수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PRECISE ROAD MAP SYSTEM FOR CONSTRUCTING RAOD LEDGER USING RESULT MEASURED BY MOBILE MAPPING SYSTEM}
본 발명은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는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 등의 교통을 처리하는 기본적인 시설일 뿐만 아니라 상하수도, 가스, 전기 등의 공공시설을 수용하는 시설로서 도시생활을 영위함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 주변에 많은 시설물들이 구축되고 있다. 도로나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시설물(이하, 도로 시설물이라 함)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항상 도로 주변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유지 관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로의 관리청은 도로에 관한 사항을 기록, 보존하기 위한 도면과 조서로 이루어진 도로대장을 작성하여 관리하였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도로대장을 전산화하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대장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종래 도로대장은 측량기술자가 현장에서 직접 측량, 조사하고 사진을 촬영하는 등의 현장 작업 후, 내부 작업을 통해 수작업으로 도로대장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측량기술자는 도로대장을 구축할 대상지역을 파악하고(S11), 대상지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현장을 조사한다(S12).
자료 수집 및 현장 조사 결과, 대상지역에 대한 종이 도로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종이 도로대장을 스캐닝하고 벡터라이징하며(S13), 비도형 자료(속성 정보)를 입력하여(S14)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S15).
대상지역에 대한 준공도면이 있는 경우에는 준공도면을 도로대장 도면(500m)으로 재편집하고 도로대장에 맞는 레이어로 재분류하며(S16), 비도형 자료(속성 정보)를 입력하여(S17)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S15).
대상지역에 대한 도로대장과 준공도면이 모두 없는 경우에는 측량기술자가 대상지역을 직접 측량하고(S18), 비도형 자료(속성 정보)를 입력하여(S19)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S15).
데이터베이스 구축시(S15), 도형 데이터베이스, 속성 데이터베이스, 이미지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구축한다. 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종평면도, 용지도, 지하매설물도, 구조물일반도 등이 저장된다. 속성 데이터베이스에는 도로대장 총괄, 주요시설물 제원, 기하구조조서, 안전시설조서 등이 저장된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는 구조물 사진 및 상세도가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S15)을 통해 대상지역에 대한 도로대장이 완성된다(S20). 이러한 도로대장은 검수되거나 현지 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도로대장은 2차원의 설계도면, 지형도, 지적도, 항공사진 등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종단면도, 평면도, 횡단면도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도로대장만을 통해 도로의 총괄적인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도로대장은 모든 자료의 수집과 현장 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모든 작업들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도로가 신설, 확장, 포장 덧씌우기 등 변경되거나 도로 시설물이 신설, 폐기될 때마다 이를 실시간에 업데이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와 사진 정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쇠부와 유체완충부를 이용하여 정보부의 데이터 수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절대위치, 차량의 경사도, 차량과 임의의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및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를 취득하고, 차량과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정보,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 및 차량의 경사도를 결합한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바일맵핑시스템; 도로 시설물에 관한 연속지적도, 지형도, 위치도, 표준횡단면도, 종평면도, 용지도, 횡단면도 및 매설물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면정보를 저장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 도로 시설물에 관한 제원, 기하구조조서, 토공 및 배수조서, 안전시설조서 및 부대시설조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도면정보를 검색하는 위치정보모듈;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검색하는 자료검색모듈; 위치정보모듈에서 획득한 도면정보, 자료검색모듈에서 획득한 속성정보 및 모바일맵핑시스템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 시설물에 관한 위치영상을 획득하는 위치영상모듈; 및 위치정보모듈에서 획득한 도면정보, 자료검색모듈에서 획득한 속성정보 및 위치영상모듈에서 획득한 위치영상을 결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도로대장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맵핑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면에 결합되는 탈착부; 탈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감쇠부; 감쇠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유체완충부;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승강부; 및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서 상기 탈착부는, 차량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탈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베이스; 탈착베이스의 탈착공간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커버; 및 탈착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탈착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탈착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베이스는, 탈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탈착공간의 후단에 함몰 형성되는 연장홈; 탈착공간의 상단 후방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탈착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한 쌍의 가이드홈의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규제홈;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본체는, 탈착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홈에서 활주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부; 탈착본체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연장홈에 수용될 수 있는 탈착연장부; 탈착본체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이탈방지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돌출스토퍼; 및 한 쌍의 가이드부의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어 한 쌍의 위치규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위치규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서 상기 유체완충부는, 감쇠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수용부; 유체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하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하판; 유체하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회전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 중공이 형성된 링 형태의 유체회전판; 유체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상판; 유체상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공급부; 유체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체회전판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유체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유체회전부; 및 유체수용부와 유체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며 일방향밸브를 구비하는 유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하판의 상면에는 하판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하판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의 상면에는 회전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회전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유체공급부로부터 상판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회전연통홈, 회전관통홀, 하판연통홈 및 하판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서 상기 승강부는,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승강케이스; 하단이 승강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로드; 승강로드에 삽입되어 승강로드의 외측면과 승강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의 상하이동판;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스토퍼;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스토퍼; 상부스토퍼의 하면과 상하이동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탄성부; 하부스토퍼의 상면과 상하이동판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탄성부; 승강로드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관통홀; 및 승강케이스와 연결되어 승강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관통홀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부스토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횡관통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부스토퍼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횡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횡관통홀; 및 승강로드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횡관통홀와 제2횡관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종관통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모바일맵핑시스템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와 영상(사진 및 동영상) 정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대장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대장의 구축 후 도로관련 전문가 또는 비전문가인 일반인 모두가 정확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보다 시각적인 도로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분석 및 표준화를 통한 도로정보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KLIS 연계 및 활용을 통하여 행정업무 및 개발사업 계획 수립이 가능하고, 향후 도로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하여 비상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즉각적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감쇠부와 유체완충부를 이용하여 정보부의 데이터 획득시 안정성을 현저히 높이고, 승강부를 이용하여 정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대장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맵핑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맵핑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3차원 영상데이터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 의해 구축된 도로대장의 검색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베이스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완충부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맵핑시스템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은 모바일맵핑시스템(200),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220),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230), 위치정보모듈(240), 자료검색모듈(250), 위치영상모듈(260) 및 도로대장관리모듈(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바일맵핑시스템(200)은 차량(300)에 장착되어 차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절대위치, 차량의 경사도, 차량과 임의의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및 평면 좌표,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 및 색상정보를 취득하고, 차량과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정보와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와 차량의 경사도를 결합한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모바일맵핑시스템(200)은 탈착부(400), 감쇠부(500), 유체완충부(600), 승강부(700) 및 정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바일맵핑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정보부(210)는, 차량의 절대위치를 계측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211), 차량의 경사도를 계측하는 타이어인코더(212), 차량과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를 계측하고 도로 시설물의 평면 좌표를 취득하는 레이저스캐너(213),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를 취득하고 도로 시설물의 평면 좌표의 색상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214) 및 차량의 절대위치에 따라 차량과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및 평면 좌표와 도로 시설물의 영상 및 색상정보와 차량의 경사도를 결합하고 중첩영역을 보정한 후 저장하는 컴퓨터시스템(2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의 절대위치 및 각속도 및 타이어의 회전속도와, 차량과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및 도로 시설물의 평면 좌표와, 상기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 및 평면 좌표의 색상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고정도 3차원 정보라 한다.
한편, 상기 정보부(210)는 차량의 관성을 계측하는 관성계측기(IMU, 216)를 더 포함하여, GNSS(211)가 구동되지 않는 동안에 차량의 절대위치를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스캐너(213)는 각각이 다른 각도 구간을 스캐닝하는 다수의 개별 레이저스캐너로 이루어져, 차량을 중심으로 360도 전방향에서의 차량과 도로 시설물 사이의 거리 계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214)는 각각이 다른 각도 구간의 영상을 촬영하는 다수의 개별 카메라로 이루어져, 차량을 중심으로 360도 전방향에서의 도로 시설물에 대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수의 개별 레이저스캐너에서 스캐닝된 다수의 거리 계측 정보와, 다수의 개별 카메라에서 촬영된 다수의 영상 데이터는 중첩영역이 존재하는데, 컴퓨터시스템(215)은 이러한 중첩영역을 후처리를 통해 보정한다.
아울러, 레이저스캐너(213)는 임의의 도로 시설물에 대해 이산적인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데, 컴퓨터시스템(215)은 이러한 이산적으로 획득된 거리 정보를 후처리를 통해 선형적으로 보정한다.
상기 타이어인코더(212)는 차량의 좌우측 경사도 및 도로의 경사도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220)는 도로 시설물에 관한 연속지적도, 지형도, 위치도, 표준횡단면도, 종평면도, 용지도, 횡단면도, 매설물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230)는 도로 시설물에 관한 제원, 기하구조조서, 토공 및 배수조서, 안전시설조서, 부대시설조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위치정보모듈(240)은 모바일맵핑시스템(200)으로부터 획득된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220)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도면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자료검색모듈(250)은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위치영상모듈(260)은 위치정보모듈(240)에서 획득한 도면정보와 자료검색모듈(250)에서 획득한 속성정보 및 모바일맵핑시스템(200)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 시설물에 관한 위치영상(도로 시설물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도로대장관리모듈(270)은 위치정보모듈(240)에서 획득한 도면정보와 자료검색모듈(250)에서 획득한 속성정보와 위치영상모듈(260)에서 획득한 위치영상을 결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하고 관리한다.
상기 도로대장관리모듈(270)은 위치정보모듈(240)에서 획득한 도면정보와 자료검색모듈(250)에서 획득한 속성정보로부터 도로 시설물을 시뮬레이션하고, 위치영상모듈(260)에서 위치영상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도로 시설물의 변경 여부를 도출하여 도로대장에 반영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맵핑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3차원 영상데이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 의해 구축된 도로대장의 검색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맵핑시스템(200)에 의해 획득된 3차원 영상데이터로부터 도로의 횡단거리, 도로 시설물의 높이와 폭 및 도로의 종단거리를 측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에 의해 구축된 도로대장의 검색화면은 기본메뉴화면, 노선검색화면, 도면검색화면, 시설물사진조회화면, 동영상조회화면 및 시설물속성조회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맵핑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의 구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바일맵핑시스템(200)이 적용된 차량(300)이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맵핑시스템(200)은 차량의 절대위치, 차량의 경사도, 차량과 임의의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및 평면 좌표,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 및 색상정보를 취득하고, 차량과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정보와 도로 시설물의 영상 데이터와 차량의 경사도를 결합한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위치정보모듈(240)은 모바일맵핑시스템(200)으로부터 획득된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220)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도면정보를 검색하고, 자료검색모듈(250)은 모바일맵핑시스템(200)으로부터 획득된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위치영상모듈(260)은 위치정보모듈(240)에서 획득한 도면정보와 자료검색모듈(250)에서 획득한 속성정보 및 모바일맵핑시스템(20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 시설물에 관한 위치영상을 획득한다.
다음, 도로대장관리모듈(270)은 위치정보모듈(240)에서 획득한 도면정보와 자료검색모듈(250)에서 획득한 속성정보와 위치영상모듈(260)에서 획득한 위치영상을 결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한다. 이때, 도로대장관리모듈(270)은 위치정보모듈(240)에서 획득한 도면정보와 자료검색모듈(250)에서 획득한 속성정보로부터 도로 시설물을 시뮬레이션하고, 위치영상모듈(260)에서 위치영상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도로 시설물의 변경 여부를 도출하여 도로대장에 반영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베이스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맵핑시스템(200)은, 차량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부(400), 감쇠부(500), 유체완충부(600), 승강부(700) 및 정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부(400)는 차량(300)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탈착공간(411)이 형성되는 탈착베이스(410), 탈착베이스의 탈착공간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ㄹ커버(420) 및 탈착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탈착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탈착본체(430)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베이스(4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탈착본체(4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탈착공간(411)이 형성된다. 탈착공간(411)은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탈착공간(411)의 좌우 양측에는 길이방향(전후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홈(412)이 함몰된다. 이러한 가이드홈(412)을 따라 탈착본체(430)는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탈착공간(411)의 후단에는 연장홈(413)이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탈착공간(411)의 상단 후방에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414)가 탈착공간(411)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탈착공간(411)을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탈착공간(411)은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며 탈착커버(420)가 회동되는 전방부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며 이탈방지부(414)가 돌출되는 후방부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홈(412)의 후단에는 한 쌍의 위치규제홈(415)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탈착공간(411)의 상단 중앙 부분에는 한 쌍의 커버고정홈(416)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커버고정홈(416)은 탈착커버(420)의 측부에 돌출 형성된 커버고정부(421)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탈착커버(420)가 탈착공간(411)의 상단을 폐쇄하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탈착본체(430)는 탈착베이스(410)의 탈착공간(4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탈착공간(411)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탈착본체(430)의 좌우 양측에는 길이방향(전후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부(43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31)는 가이드홈(412)에 삽입되어 전후로 활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본체(430)는 노볼락계 비닐에스테르 수지와 비스페놀 A계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배합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전제로서 탄산칼슘 12~52 중량부, 충전제로서 수산화알루미늄 8~48중량부, 경화제 3~9 중량부 및 이형제로서 지방산염 1~4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조성물로 형성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탈착본체(430)를 구성하면, 경량이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높아서 내부에 보이드, 크랙이 적고 또한 내수성, 내식성, 내약품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탈착본체(430)를 구성할 경우, 그 무게가 가벼워서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탈착본체(430)의 후단에는 탈착연장부(432)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탈착연장부(432)는 연장홈(413)에 삽입될 수 있다. 탈착연장부(432)가 연장홈(413)에 삽입됨에 따라 탈착본체(43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탈착본체(430)의 상부면에는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스토퍼(433)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스토퍼(433)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414)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이탈방지부(414)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즉, 돌출스토퍼(433)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414) 사이의 공간에 딱 들어맞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탈착커버(420)가 탈착공간(411)의 상단을 폐쇄하였을 때 탈착본체(430)가 전후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431)의 후단에는 한 쌍의 위치규제부(434)가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위치규제부(434)는 위치규제홈(41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탈착본체(430)의 전후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홈(412)의 후단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위치규제부(434)가 위치규제홈(415)에 삽입되는 절도감(딸깍이는 느낌)을 통해 탈착본체(430)의 이동 완료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후방향 이동을 어느정도 보조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탈착본체(43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탈착커버(420)가 오픈된 상태에서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로 삽입시킨다. 그 다음 한 쌍의 가이드부(431)가 가이드홈(4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후방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후방부로 완전히 이동시켜 한 쌍의 위치규제부(434)가 위치규제홈(415)에 삽입되고 탈착연장부(432)가 연장홈(413)에 삽입되면, 탈착커버(420)를 닫아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탈착본체(430)는 탈착베이스(410) 내부에 안착되어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탈착본체(430)를 탈착베이스(4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커버(420)를 열어 탈착공간(411)의 전방부가 오픈되도록 하고,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다음,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를 통해 분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탈착베이스(410), 탈착본체(430) 및 탈착커버(420)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만으로 탈착본체(430)가 탈착베이스(410)에 고정되거나 탈착베이스(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날씨,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정보부(2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유롭게 분리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쇠부(500)는, 중앙에 삽입공간(51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감쇠케이스(510), 감쇠케이스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다수의 감쇠홀(512), 다수의 감쇠홀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감쇠탄성부(520) 및 감쇠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어 감쇠탄성부가 감쇠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감쇠잠금부(5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쇠케이스(510)의 내부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레일(513)이 설치되고, 이러한 레일(513)에는 다수의 탄성링(514)이 활주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다수의 탄성링(514)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오므라들거나 펼쳐질 수 있다.
다수의 탄성링(514)은 삽입공간(511)에 삽입된 유체완충부(600)가 전후좌우로 강하게 흔들릴 때 레일(513)을 따라 활주하며 서로 부딪혀서 유체완충부(6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감쇠홀(512)은 4개의 감쇠홀이 한 세트를 이루어 감쇠케이스(510)의 전후좌우 4방향에 형성된다. 한 세트를 이루는 4개의 감쇠홀(512)은 상하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러한 감쇠홀(512)을 가릴 수 있도록 감쇠잠금부(530)가 종방향으로 결합된다. 감쇠잠금부(530)는 통상적인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쇠탄성부(520)는, 감쇠홀(5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막대 형태의 감쇠삽입부(521), 일단이 감쇠삽입부에 결합되며 탄성을 가지는 감쇠스프링(522) 및 감쇠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는 감쇠커버(523)를 포함한다.
감쇠탄성부(520)는 선택적으로 감쇠홀(512)에 삽입되거나 감쇠홀(5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16개의 감쇠홀(512) 중 원하는 감쇠홀에만 감쇠탄성부(520)를 삽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쇠부(500)의 전체적인 완충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감쇠삽입부(521)는 금속 등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감쇠홀(512)의 내부 끝단에는 영구자석(51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감쇠탄성부(520)를 감쇠홀(512)에 삽입하였을 때 감쇠삽입부(521)는 자연스럽게 감쇠홀(512)의 내부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감쇠커버(523)는 감쇠홀(51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감쇠케이스(510)에 종방향으로 결합된 감쇠잠금부(530)가 감쇠커버(523)를 가로막음에 따라 감쇠탄성부(520)가 감쇠홀(5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후술되는 유체완충부(600)를 삽입공간(511)에 삽입하였을 때 감쇠부(500)가 유체완충부(600)를 전후좌우에서 감싸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유체완충부(60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정보부(2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상황이나 각 부품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다수의 감쇠홀(512) 중 원하는 감쇠홀에만 감쇠탄성부(520)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완충부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완충부(600)는 감쇠부(500)의 삽입공간(511)에 삽입되며, 유체공급부(610),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유체회전부(640), 유체하판(650), 유체수용부(660) 및 유체연결부(670)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공급부(610)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체공급홀(611)이 천공된다.
상기 유체공급부(610)의 상부면은 고무 등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유체공급부(610)의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700)가 상하로 흔들리면 내부의 유체가 압력에 의해 유체공급홀(6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유체상판(620)은 유체공급부(6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판관통홀(62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상판(62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판관통홀(621)은 유체공급홀(6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유체회전판(630)은 유체상판(6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회전관통홀(63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회전판(630)의 중앙 부분에는 중공(633)이 형성되어 유체회전판은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유체회전판(630)의 상면에는 회전관통홀(631)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회전연통홈(632)이 함몰 형성된다. 유체회전판(630)은 회전 가능하므로 상판관통홀(621)로부터 하부로 전달된 유체는 회전관통홀(631)을 통해 바로 아래로 전달되거나, 또는 회전연통홈(632)을 통해 회전관통홀(631)로 전달된 후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유체하판(650)은 유체회전판(6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하판관통홀(65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하판(65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유체하판(650)의 상면에는 하판관통홀(651)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하판연통홈(652)이 함몰 형성된다.
유체회전판(630)이 회전 가능하므로 회전관통홀(631)을 통해 하부로 전달된 유체는 하판관통홀(651)을 통해 바로 아래로 전달되거나, 또는 하판연통홈(652)을 통해 하판관통홀(651)로 전달된 후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유체회전부(640)는 유체회전판(630)의 중공(633)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하판(650)의 상면에 결합되어 유체회전판(630)을 회전시킨다. 상기 유체회전부(640)는 유체회전모터(641) 및 유체회전기어(642)로 구성되는데, 유체회전기어(642)의 직경은 중공(63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체회전모터(641)는 모바일맵핑시스템의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으며, 유체회전모터(641)가 작동함에 따라 유체회전기어(642)가 회전하여 유체회전판(630)이 유체회전부(64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유체수용부(660)는 유체하판(650)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유체수용부(660)의 상부면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유체수용홀(661)이 천공된다.
상기 유체연결부(670)는 유체수용부(660)와 유체공급부(61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되어 아래로 전달된 유체는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되어 있다가, 유체연결부(670)를 통해 다시 유체공급부(6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유체연결부(670)의 중앙 부분에는 일방향밸브(671)가 결합된다. 상기 일방향밸브(671)는 유체공급부(610)의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700) 및 정보부(21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려서 유체공급부(610) 내부의 유체 압력이 높아지고 유체가 아래로 전달될 때, 유체연결부(670)를 통해 전달되지 않고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및 유체하판(65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유체는 유체공급부(610),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유체하판(650) 및 유체수용부(660)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회전판(630)이 유체회전부(6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유체공급부(610)로부터 유체수용부(660)로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상황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예시로 도시한 것과 같이,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180도를 이루도록 회전(최장거리)되었을 때,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판관통홀(621), 회전연통홈(632), 회전관통홀(631), 하판연통홈(652) 및 하판관통홀(6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0도를 이루도록 동일축상에 배치(최단거리)되었을 때,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판관통홀(621), 회전관통홀(631) 및 하판관통홀(6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된다.
만약,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0도 초과 180도 미만을 이루도록 회전(중간거리)된다면, 유체의 이동 거리 역시 이에 맞추어 가변된다.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가해지는 주파수는 유체의 이동 거리에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다. 즉, 고주파수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짧게 설정하여야 하고, 저주파수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길게 설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회전판(630)을 회전시켜 유체의 이동 거리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환경이나 가해지는 진동 등을 고려하여 최상의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700)는 승강케이스(710), 승강로드(720), 상하이동판(730), 상부스토퍼(721), 하부스토퍼(722), 상부탄성부(740), 하부탄성부(741), 로드관통홀(750) 및 유압펌프(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케이스(710)는 유체완충부(6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승강케이스(7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드(720)는 하단이 승강케이스(7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다. 승강로드(720)는 내부가 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승강로드(720)의 상단에는 정보부(210)가 결합된다.
상기 상하이동판(730)은 승강로드(720)에 삽입되어 승강로드(720)의 외측면과 승강케이스(7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판(730)의 내측면 직경은 승강로드(720)의 외측면 직경과 동일하고, 상하이동판(730)의 외측면 직경은 승강케이스(710)의 내측면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상부스토퍼(721)는 승강로드(720)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스토퍼(722)는 승강로드(720)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부스토퍼(721)와 하부스토퍼(722) 사이에 상하이동판(73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상부탄성부(740)는 상부스토퍼(721)의 하면과 상하이동판(73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탄성부(741)는 하부스토퍼(722)의 상면과 상하이동판(73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하이동판(730)은 상부탄성부(740)와 하부탄성부(741)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스토퍼(721) 및 하부스토퍼(722)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로드관통홀(750)은 승강로드(7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드관통홀(750)은, 승강로드(72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부스토퍼(7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횡관통홀(751), 승강로드(72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부스토퍼(722)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횡관통홀(751)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횡관통홀(752) 및 승강로드(720)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횡관통홀(751)와 제2횡관통홀(752) 사이를 연결하는 종관통홀(75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평상시 상부스토퍼(721)와 상하이동판(7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제1횡관통홀(751)이 배치되고, 하부스토퍼(722)와 상하이동판(7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제2횡관통홀(752)이 배치되므로 승강케이스(710) 내부의 유체는 위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압펌프(760)는 승강케이스(710)의 일측에 형성된 상부주입구(711) 및 하부주입구(712)와 연결되어 승강케이스(7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76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주입구(712)를 통해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승강케이스(710) 하부의 유체 압력이 승강케이스(71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하이동판(730)은 상부탄성부(740)의 탄성력을 이겨내며 상부로 이동하여 제1횡관통홀(751)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판(730)이 더 상부로 이동하면, 상하이동판(730)의 상부면은 상부스토퍼(721)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승강로드(720)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상부주입구(711)를 통해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승강케이스(710) 상부의 유체 압력이 승강케이스(71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하이동판(730)은 하부탄성부(741)의 탄성력을 이겨내며 하부로 이동하여 제2횡관통홀(752)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판(730)이 더 하부로 이동하면, 상하이동판(730)의 하부면은 하부스토퍼(722)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승강로드(720)는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승강로드(720)의 높낮이가 결정되면, 유압펌프(760)는 상부주입구(711)와 하부주입구(712)를 통해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승강케이스(710) 상부의 유체 압력과 승강케이스(71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하이동판(730)은 상부스토퍼(721)와 하부스토퍼(722) 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횡관통홀(751) 및 제2횡관통홀(752)은 모두 오픈되어 있으므로 승강케이스(710) 내부의 유체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유체의 이동에 의해 어느 정도 완충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00 : 모바일맵핑시스템 210 : 정보부
220 :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 230 :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
240 : 위치정보모듈 250 : 자료검색모듈
260 : 위치영상모듈 270 : 도로대장관리모듈
300 : 차량 400 : 탈착부
410 : 탈착베이스 411 : 탈착공간
412 : 가이드홈 413 : 연장홈
414 : 이탈방지부 415 : 위치규제홈
416 : 커버고정홈 420 : 탈착커버
421 : 커버고정부 430 : 탈착본체
431 : 가이드부 432 : 탈착연장부
433 : 돌출스토퍼 434 : 위치규제부
500 : 감쇠부 510 : 감쇠케이스
511 : 삽입공간 512 : 감쇠홀
513 : 레일 514 : 탄성링
515 : 영구자석 520 : 감쇠탄성부
521 : 감쇠삽입부 522 : 감쇠스프링
523 : 감쇠커버 530 : 감쇠잠금부
600 : 유체완충부 610 : 유체공급부
611 : 유체공급홀 620 : 유체상판
621 : 상판관통홀 630 : 유체회전판
631 : 회전관통홀 632 : 회전연통홈
633 : 중공 640 : 유체회전부
641 : 유체회전모터 642 : 유체회전기어
650 : 유체하판 651 : 하판관통홀
652 : 하판연통홈 660 : 유체수용부
661 : 유체수용홀 670 : 유체연결부
671 : 일방향밸브 700 : 승강부
710 : 승강케이스 711 : 상부주입구
712 : 하부주입구 720 : 승강로드
721 : 상부스토퍼 722 : 하부스토퍼
730 : 상하이동판 740 : 상부탄성부
741 : 하부탄성부 750 : 로드관통홀
751 : 제1횡관통홀 752 : 제2횡관통홀
753 : 종관통홀 760 : 유압펌프

Claims (1)

  1. 차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절대위치, 차량의 경사도, 차량과 임의의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및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를 취득하고, 차량과 도로 시설물과의 거리 정보, 도로 시설물의 영상데이터 및 차량의 경사도를 결합한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바일맵핑시스템;
    도로 시설물에 관한 연속지적도, 지형도, 위치도, 표준횡단면도, 종평면도, 용지도, 횡단면도 및 매설물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면정보를 저장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
    도로 시설물에 관한 제원, 기하구조조서, 토공 및 배수조서, 안전시설조서 및 부대시설조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정보를 저장한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도면정보를 검색하는 위치정보모듈;
    도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속성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도로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검색하는 자료검색모듈;
    위치정보모듈에서 획득한 도면정보, 자료검색모듈에서 획득한 속성정보 및 모바일맵핑시스템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 시설물에 관한 위치영상을 획득하는 위치영상모듈; 및
    위치정보모듈에서 획득한 도면정보, 자료검색모듈에서 획득한 속성정보 및 위치영상모듈에서 획득한 위치영상을 결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도로대장관리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맵핑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면에 결합되는 탈착부; 탈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감쇠부; 감쇠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유체완충부;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승강부; 및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차량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탈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베이스; 탈착베이스의 탈착공간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커버; 및 탈착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탈착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탈착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베이스는,
    탈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탈착공간의 후단에 함몰 형성되는 연장홈; 탈착공간의 상단 후방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탈착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한 쌍의 가이드홈의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규제홈;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본체는,
    탈착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홈에서 활주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부; 탈착본체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연장홈에 수용될 수 있는 탈착연장부; 탈착본체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이탈방지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돌출스토퍼; 및 한 쌍의 가이드부의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어 한 쌍의 위치규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위치규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완충부는,
    감쇠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수용부; 유체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하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하판; 유체하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회전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 중공이 형성된 링 형태의 유체회전판; 유체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상판; 유체상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공급부; 유체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체회전판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유체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유체회전부; 및 유체수용부와 유체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며 일방향밸브를 구비하는 유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하판의 상면에는 하판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하판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의 상면에는 회전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회전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유체공급부로부터 상판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회전연통홈, 회전관통홀, 하판연통홈 및 하판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는,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승강케이스; 하단이 승강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로드; 승강로드에 삽입되어 승강로드의 외측면과 승강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의 상하이동판;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스토퍼;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스토퍼; 상부스토퍼의 하면과 상하이동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탄성부; 하부스토퍼의 상면과 상하이동판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탄성부; 승강로드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관통홀; 및 승강케이스와 연결되어 승강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관통홀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부스토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횡관통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부스토퍼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횡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횡관통홀; 및 승강로드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횡관통홀와 제2횡관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종관통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KR1020200173552A 2020-12-11 2020-12-11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KR10224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52A KR102246550B1 (ko) 2020-12-11 2020-12-11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52A KR102246550B1 (ko) 2020-12-11 2020-12-11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550B1 true KR102246550B1 (ko) 2021-04-30

Family

ID=7574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552A KR102246550B1 (ko) 2020-12-11 2020-12-11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65B1 (ko) * 2022-08-18 2024-01-02 주식회사 케이맵 도로 대장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28Y1 (ko) * 2001-11-21 2002-04-27 고재천 칠판의 승강장치
KR101180415B1 (ko) * 2011-09-29 2012-09-0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모바일 매핑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대장 구축 시스템
KR101946400B1 (ko) * 2018-12-10 2019-02-11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Rtk 제어측량을 이용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024673B1 (ko) * 2019-08-14 2019-09-24 한국공간정보(주) 수치정보의 오차확인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수치지도업데이트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171826B1 (ko) * 2020-03-02 2020-10-29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정밀 도로지도를 자동으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28Y1 (ko) * 2001-11-21 2002-04-27 고재천 칠판의 승강장치
KR101180415B1 (ko) * 2011-09-29 2012-09-0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모바일 매핑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대장 구축 시스템
KR101946400B1 (ko) * 2018-12-10 2019-02-11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Rtk 제어측량을 이용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024673B1 (ko) * 2019-08-14 2019-09-24 한국공간정보(주) 수치정보의 오차확인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수치지도업데이트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171826B1 (ko) * 2020-03-02 2020-10-29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정밀 도로지도를 자동으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365B1 (ko) * 2022-08-18 2024-01-02 주식회사 케이맵 도로 대장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415B1 (ko) 모바일 매핑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대장 구축 시스템
US6622090B2 (en) Enhanced inertial measurement unit/global positioning system mapping and navigation process
McKeown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integr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US94492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aerial image
Tao Mobile mapping technology for road network data acquisition
KR102248508B1 (ko) 도로의 면형 정보를 모바일 매핑 시스템(mms)을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260072B1 (ko) 현지조사자료를 통해 높은 신뢰도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234739B1 (ko) 원시영상 분석과 모바일맵핑시스템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 갱신이 가능한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JP2010540796A (ja) 多次元空間のナビゲートおよび/またはマッピングが可能な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60071B1 (ko) 3차원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333009B1 (ko) Gps 측량을 이용하여 도로좌표정보를 취득하고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246550B1 (ko) Mms를 이용하여 측량된 결과물을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KR102527649B1 (ko) 지리공간정보가 적용된 영상정보와 기준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234737B1 (ko) 도로의 차선 정보를 모바일맵핑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Jóźków et al. Georeferencing experiments with UAS imagery
Wolf Surveying and mapping: History,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jections
KR102279760B1 (ko) Uav 촬영을 통한 지상기준점 기반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923463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3차원 위치정보 측정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N108195359A (zh) 空间数据的采集方法及系统
Vileikis et al. Application of digital heritage documentation for condition assessments and monitoring change in Uzbekistan
Hochmair et al. Positional accuracy of Flickr and Panoramio images in Europe
KR102244238B1 (ko) 모바일맵핑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대장을 구축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Adler Geographical information in delimitation, demarcation, and management of international land boundaries
KR102264393B1 (ko) 도로 표시와 차선을 추출하여 도로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KR102337846B1 (ko)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