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453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453B1
KR102246453B1 KR1020140069726A KR20140069726A KR102246453B1 KR 102246453 B1 KR102246453 B1 KR 102246453B1 KR 1020140069726 A KR1020140069726 A KR 1020140069726A KR 20140069726 A KR20140069726 A KR 20140069726A KR 102246453 B1 KR102246453 B1 KR 102246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air conditioner
evaporator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101A (ko
Inventor
김중호
길용현
신영선
조성준
정희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453B1/ko
Priority to US15/317,850 priority patent/US10677476B2/en
Priority to EP15805892.5A priority patent/EP3126749B1/en
Priority to ES15805892T priority patent/ES2899800T3/es
Priority to PCT/KR2015/005575 priority patent/WO2015190740A1/en
Priority to CN201580030380.6A priority patent/CN106461239A/zh
Publication of KR2015014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와,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 본체에 마련되어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구, 본체에 마련되어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며,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화공간의 일정영역에 대한 집중적인 공기조화가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라도 벽이나 창문을 사이에 두고 실내기 부분은 실내를 향해, 실외기 부분은 실외를 향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경우 부피가 커지고, 일체형 공기조화기라도 벽과 창문등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이 있었다.
또한 일정영역의 공기조화를 하는 경우에도 일정영역에만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공간이 대상이 되어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정영역에 대해서 집중적인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와,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와 지지면을 이격시키는 거치부; 지지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 또는 증발기와 열교환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구;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본체에서 상호 다른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소비전력은 300w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응축공간을 갖는 제 1 본체;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고 상기 응축공간과 구획되는 증발공간을 갖는 제 2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제 1 영역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둘레에 대응되게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본체가 지지되는 지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지지면과 나란한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송풍팬;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1 송풍팬에 의한 공기토출방향과 다른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송풍팬과 상기 제 2 송풍팬은, 시로코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평평하게 마련되는 원형의 플랫패널;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랫패널의 단부에 연결되는 곡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곡면패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곡면패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삼각형상으로 마련되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패널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출구는 상기 복수의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제 1 토출구와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패널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을 연결하며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패널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출구는 상기 측면패널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제 1 토출구와 마주하도록 상기 측면패널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 1 본체; 상기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이격배치되는 제 2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매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간전체가 아닌 일정영역에 대해서만 공기조화가 가능하므로, 공기조화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일정영역에 대한 집중동작이 가능하므로 개인용으로 사용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복수의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해 도면부호를 구성에 따른 숫자와 실시예에 따른 알파벳으로 기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a)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a)는 대상이 되는 조화공간(1)의 내부에서 국부적인 영역에 대해 공기조화동작을 한다. 즉, 조화공간(1) 전체에 대해 공기조화동작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국부적인 영역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기조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공기조화기(10a)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11a)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핸들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조화공간(1)내에서 필요한 부분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a)는 일정공간으로만 공기조화된 토출공기를 배출하면되므로, 소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a)의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10a)는 본체(11a)와, 열교환기(20a)와, 팽창장치(26a)를 포함한다. 열교환기(20a)는 응축기(24a)와 증발기(2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a)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본체(11a)는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외관패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a)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구성과 외부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외관패널은 좌우측면을 이루는 좌측면패널(12a), 우측면패널(13a)과,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14a)과, 후면을 이루는 후면패널(15a)과, 상하부에 마련되는 상면패널(16a), 하면패널(17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a)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30a)와, 본체(11a)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4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a)는 제 1 본체(110a)와 제 2 본체(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본체(110a)와 제 2 본체(120a)는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본체(110a)와 제 2 본체(120a) 상호간에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구획될 수 있다. 본체(11a)는 제 1 본체(110a)와 제 2 본체(120a)를 구획하는 격벽(130a)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본체(110a)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기의 실내기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증발기(22a), 제 1 송풍팬(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본체(120a)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기의 실외기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응축기(24a), 제 2 송풍팬(52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본체(110a)가 실외기 기능을 하고, 제 2 본체(120a)가 실내기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제 1 본체(110a)의 내부에 증발기(22a)가 배치되므로 그 내부를 증발공간(111a)이라하고, 제 2 본체(120a)의 내부에 응축기(24a)가 배치되므로 그 내부를 응축공간(121a)이라 할 수 있다.
압축기(28a)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4a)로 유입된다. 응축기(24a)에서는 압축기(28a)에서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한다.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장치(26a)는 응축기(24a)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고, 증발기(22a)는 팽창장치(26a)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물체와 열교환에 의해 냉동효과를 달성하면서 증발하여 저온저압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28a)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압축기(28a)는 다른 구성에 비해 무겁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체(11a)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0a)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하향되도록 하여, 공기조화기(10a)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a)는 조화공간(1) 전체가 아닌 소정영역의 공기조화가 목적이므로, 조화공간(1) 전체의 공기조화를 목적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0a)보다 냉매의 압축일이 작게 소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공기조화기(10a)에 적용되는 압축기(28a)의 소비전력은 조화공간(1) 전체의 공기조화를 목적으로 하는 공기조화기(10a)에서의 압축기(28a)보다 작게 소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28a)의 소비전력이 300W보다 작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0a)는 조화공간(1)의 일정영역에 대한 공기조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 1 본체(110a)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흡입구(31a)와, 제 1 흡입구(31a)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4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본체(120a)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2 흡입구(32a)와, 제 2 흡입구(32a)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42a)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a)는 조화공간(1)의 일정영역에 대해서 공기조화를 하게 되므로, 제 1 토출구(41a)와 제 2 토출구(42a)는 동일한 조화공간(1)내에 배치한다. 즉, 제 1 토출구(41a)에서는 증발기(22a)를 거쳐서 냉방된 공기가 배출되고, 제 2 토출구(42a)에서는 응축기(24a)를 거쳐서 난방된 공기가 배출되고, 제 1 토출구(41a)와 제 2 토출구(42a)는 동일한 조화공간(1)내에 배치된다. 공기조화기(10a)의 동작과정에서 제 1 토출구(41a)를 조화공간(1)의 일정영역을 향하도록 함으로서, 해당영역에 대해 공기조화를 하게 된다.
제 1 토출구(41a)와 제 2 토출구(42a)는 본체(11a)에서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토출구(41a)와 제 2 토출구(42a)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간에 섞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 1 토출구(41a)와 제 2 토출구(42a)가 이격됨으로서, 제 2 토출구(42a)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조화의 목적이 되는 상기 일정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토출구(41a)는 복수의 외관패널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제 2 토출구(42a)는 복수의 외관패널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토출구(41a)는 전면패널(14a)에 배치되며, 제 2 토출구(42a)는 후면패널(15a)에 배치되어, 제 1 토출구(41a)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제 2 토출구(42a)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토출구(41a)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흐름을 제 1 토출공기(410a)라 하고, 제 2 토출구(42a)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흐름을 제 2 토출공기(420a)라 할 때, 제 1 토출구(41a)와 제 2 토출구(42a)는 제 1 토출공기(410a)와 가 2 토출공기가 상호 간섭하지 않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공기조화기(10a)는 송풍팬(50a)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50a)은 열교환기(20a)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열교환기(20a)와 열교환하는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송풍팬(50a)은 증발기(22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송풍팬(51a)과, 응축기(24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송풍팬(52a)을 포함한다.
제 1 송풍팬(51a)은 조화공간(1)에서 유입되어 증발기(22a)와 열교환된 공기를 제 1 토출구(41a)를 통해 조화공간(1)의 일정영역으로 배출하게 되고, 제 2 송풍팬(52a)은 조화공간(1)에서 유입되어 응축기(24a)와 열교환된 공기를 제 2 토출구(42a)를 통해 조화공간(1)으로 배출하게 된다.
송풍팬(50a)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크로스플로우팬과, 시로코팬과, 프로펠러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송풍팬(51a)은 크로스플로우팬으로, 제 2 송풍팬(52a)은 프로펠러팬으로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팬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a)의 형상이 전후방향으로 슬림한 형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즉, 전면패널(14a)과 후면패널(15a)을 제 1 면(18a)이라하고, 좌측면패널(12a)과 우측면패널(13a)과,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제 2 면(19a)이라 할 때, 본체(11a)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면(18a)과, 한 쌍의 제 1 면(18a)의 사이에서 제 1 면(18a)보다 넓이가 작은 제 2 면(19a)을 포함한다. 응축기(24a)와 증발기(22a)는 제 1 면(18a)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11a)의 형상이 전후방향으로 슬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응축기(24a)와 증발기(22a)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22a)와 응축기(24a)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본체(110a)와 제 2 본체(120a)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2a)와 응축기(24a)는 나란하게 상하로 배치되어, 증발기(22a)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응축기(24a)로 낙하하여, 응축기(24a)에서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본체(110a)의 내부에는 제 1 송풍팬(51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토출구(41a)를 통해 증발기(22a)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1)의 일정영역으로 배출하게 된다.
제 2 본체(120a)의 내부에는 제 2 송풍팬(52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 2 토출구(42a)를 통해 응축기(24a)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1)으로 배출하게 된다. 제 1 송풍팬(51a)과 제 2 송풍팬(52a)은 본체(11a)의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함으로서, 제 1 송풍팬(51a)과 제 2 송풍팬(52a)에 의한 토출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b)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복수의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해 도면부호를 구성에 따른 숫자와 실시예에 따른 알파벳으로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알파벳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숫자를 가진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이다. 이에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도면의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은 이전 실시예에서 동일 숫자를 가진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b로 끝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송풍팬(50b)의 종류와 송풍방향을 달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b)의 형상이 전후방향으로 슬림한 형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즉, 전면패널(14b)과 후면패널(15b)을 제 1 면(18b)이라하고, 좌측면패널(12b)과 우측면패널(13b)과,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제 2 면(19b)이라 할 때, 본체(11b)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면(18b)과, 한 쌍의 제 1 면(18b)의 사이에서 제 1 면(18b)보다 넓이가 작은 제 2 면(19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송풍팬(51b)과 제 2 송풍팬(52b)은 모두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b)와 제 2 흡입구(32b)는 모두 후면패널(15b)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b)와 제 2 토출구(42b)는 각각 좌측면패널(12b)과 우측면패널(13b)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토출공기(410b)와 제 2 토출공기(420b)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구(30b)와 토출구(40b)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c)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c로 끝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구성의 배치를 달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c)의 형상이 전후방향으로 슬림한 형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즉, 전면패널(14c)과 후면패널(15c)을 제 1 면(18c)이라하고, 좌측면패널(12c)과 우측면패널(13c)과,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제 2 면(19c)이라 할 때, 본체(11c)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면(18c)과, 한 쌍의 제 1 면(18c)의 사이에서 제 1 면(18c)보다 넓이가 작은 제 2 면(19c)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22c)와 응축기(24c)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본체(110c)와 제 2 본체(120c)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2c)와 응축기(24c)는 나란하게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2c)에서는 열교환과정에서 그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를 드레인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응축기(24c) 표면을 적시게 함으로서, 응축기(24c)에서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c)과 제 2 송풍팬(52c)은 모두 프로펠러팬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c)는 후면패널(15c)에, 제 1 토출구(41c)는 전면패널(14c)에 마련될 수 있고, 제 1 송풍팬(51c)은 제 1 흡입구(31c)와 제 1 토출구(4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32c)는 전면패널(14c)에, 제 2 토출구(42c)는 후면패널(15c)에 마련될 수 있고, 제 2 송풍팬(52c)은 제 2 흡입구(32c)와 제 2 토출구(4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토출공기(410c)와 제 2 토출공기(420c)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d)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d로 끝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에서와 응축기(24d)의 배치를 달리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증발기(22d)와 응축기(24d)가 나란하게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22d)와 응축기(24d)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증발기(22c)는 제 1 송풍팬(51c)과 제 1 흡입구(31c)사이에 배치되고, 응축기(24c)는 제 2 송풍팬(52c)과 제 2 토출구(42c)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4 실시예에서는 증발기(22d)는 제 1 송풍팬(51d)과 제 1 흡입구(31d)사이에 배치되고, 응축기(24d)도 제 2 송풍팬(52d)과 제 2 흡입구(32d)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토출공기(410d)와 제 2 토출공기(420d)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e)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e로 끝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e)의 형상이 전후방향으로 슬림한 형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즉, 전면패널(14e)과 후면패널(15e)을 제 1 면(18e)이라하고, 좌측면패널(12e)과 우측면패널(13e)과,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제 2 면(19e)이라 할 때, 본체(11e)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면(18e)과, 한 쌍의 제 1 면(18e)의 사이에서 제 1 면(18e)보다 넓이가 작은 제 2 면(19e)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송풍팬(51e)과 제 2 송풍팬(52e)이 모두 크로스플로우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e)과 제 2 송풍팬(52e)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2e)는 제 1 송풍팬(51e)에 인접하도록 마련되고, 응축기(24e)는 제 2 송풍팬(52e)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 1 흡입구(31e)는 후면패널(15e)에 마련되고, 제 1 토출구(41e)는 전면패널(14e)에 배치되며, 제 2 흡입구(32e)는 전면패널(14e)에 마련되고, 제 2 토출구(42e)는 후면패널(15e)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토출공기(410e)와 제 2 토출공기(420e)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f)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f로 끝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10f)는 거치부(60f)를 포함한다.
거치부(60f)는 본체(11f)의 하부에 마련되어, 본체(11f)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거치부(60f)는 공기조화기가 지지되는 지지면과 본체(11f)를 이격시키도록 마련된다.
제 1 흡입구(31f)와 제 2 흡입구(32f)는 본체(11f)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면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흡입구(31f, 32f)가 외부에서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증발기(22f)와 응축기(24f)는 각각 제 1 흡입구(31f)와 제 2 흡입구(32f)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2f)와 응축기(24f)는 흡입구(31f, 32f)와 나란한 동일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f)와 제 2 흡입구(32f)는 본체(11f)의 하면패널(17f)에 마련된다. 거치부(60f)에 의해 본체(11f)가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므로, 하면패널(17f)의 제 1 흡입구(31f)와 제 2 흡입구(32f)를 통해 외부공기가 본체(11f)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제 1 송풍팬(51f)과 제 2 송풍팬(52f)은 모두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토출구(41f)와 제 2 토출구(42f)는 각각 좌측면패널(12f)과, 우측면패널(13f)에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22f)와 응축기(24f)는 제 1 흡입구(31f)와 제 2 흡입구(32f)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흡입구(31f)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22f)와 제 1 송풍팬(51f)을 지나 제 1 토출구(41f)로 배출되며, 제 2 흡입구(32f)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응축기(24f)와 제 2 송풍팬(52f)을 지나 제 2 토출구(42f)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토출공기(410f)와 제 2 토출공기(420f)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g)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7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g로 끝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6 실시예와 증발기(22g)와 응축기(24g)의 배치를 달리한다.
증발기(22g)와 응축기(24g)는 하면패널(17g)에 대해 소정각도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증발기(22f)와 응축기(24f)는 흡입구(31g, 32g)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2f)와 응축기(24f)는 흡입구(31f, 32f)와 나란한 동일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g)는 우측면패널(13g)에 마련되고, 제 2 토출구(42g)는 좌측면패널(12g)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g)과 제 2 송풍팬(52g)은 모두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g)는 상면패널(16g)에 마련되고, 증발기(22g)를 거친 공기는 제 1 송풍팬(51g)에 의해 우측면패널(13g)의 제 1 토출구(41g)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32g)는 하면패널(17g)에 마련되고, 응축기(24g)를 거친 공기는 제 2 송풍팬(52g)에 의해 좌측면패널(12g)의 제 2 토출구(42g)로 토출될 수 있다.
증발기(22g)와 응축기(24g)에는 루버부(62g)가 마련될 수 있다. 루버부(62g)는 제 1 본체(110g)와 제 2 본체(120g)내부를 지나는 공기를 각각 증발기(22g)와 제 1 송풍팬(51g), 응축기(24g)와 제 2 송풍팬(52g)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h)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8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h로 끝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h)가 하면의 너비에 비해 높이가 높도록 마련된다. 즉 타워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1h)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이 나란하게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이 크로스플로우팬으로 적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은 크로스플로우팬에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송풍팬(51h, 52h)은 제 1 영역과, 제 1 영역과 크로스플로우팬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에는 증발기(22h)가 배치되고, 제 2 영역에는 응축기(24h)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사이에 소정구간의 공백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송풍팬(51h, 52h)의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은 증발기(22h)와 응축기(24h)의 크기에 대응하여 각각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은 하나의 모터를 가지고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이 하나의 모터를 가지고 함께 회전하여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의 날개방향은 상호간에 반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나, 제 1 토출공기(410h)와 제 2 토출공기(420h)가 다른 방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22h)와 응축기(24h)는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과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정곡률을 갖는 호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의 일정구간에 대해 둘러쌓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22h)와 응축기(24h)는 제 1 송풍팬(51h)과 제 2 송풍팬(52h)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 1 흡입구(31h)와 제 2 흡입구(32h), 제 1 토출구(41h)와 제 2 토출구(42h)는 이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각 흡입구(30h)와 각 토출구(40h)가 엇갈리게 배치되어, 제 1 토출공기(410h)와 제 2 토출공기(420h)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i)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9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i로 끝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8 실시예에 대해 증발기(22i)와 응축기(24i)의 구성을 달리한다.
증발기(22i)와 응축기(24i)는 면의 형상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송풍팬(51i)과 제 2 송풍팬(52i)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j)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0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j로 끝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8 실시예에 대해 송풍팬(50j)의 구성을 달리한다.
제 8 실시예에서 제 1 송풍팬(51j)과 제 2 송풍팬(52j)은 하나의 모터를 가지고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송풍팬(51j)과 제 2 송풍팬(52j)이 각각의 모터를 가지고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제 1 흡입구(31j)는 좌측면패널(12j)에 마련되고, 제 1 토출구(41j)는 우측면패널(13j)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2 흡입구(32j)는 우측면패널(13j)에 마련되고, 제 2 토출구(42j)는 좌측면패널(12j)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k)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1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k로 끝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체(11k)는 좌측면패널(12k)과 우측면패널(13k)과, 후면패널(15k)과 전면패널(14k)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1k)는 상부에 마련되어 송풍팬(50k)을 감싸도록 원반형상으로 마련되는 토출본체(63k)를 포함한다. 토출본체(63k)는 제 1 본체(110k)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k)와 제 2 흡입구(32k)는 좌측면패널(12k)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본체(110k)가 상부, 제 2 본체(120k)가 하부에 마련되므로, 좌측면패널(12k)상에서 제 1 흡입구(31k)가 상부, 제 2 흡입구(32k)가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본체(110k)는 토출본체(63k)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본체(63k)의 내부에는 제 1 송풍팬(51k)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k)은 본체(11k)가 지지되는 지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증발기(22k)와 열교환된 공기를 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출본체(63k)는 대략 원반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k)는 토출본체(63k)에 마련되며, 제 2 토출구(42k)는 후면패널(15k)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k)는 토출본체(63k)에서 그 둘레를 따라 호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 제 1 토출구(41k)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지지면과 나란한 평면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본체(110k)내부에는 증발기(22k)가 마련되며, 증발기(22k)를 거친 공기는 상부로 유동하여, 제 1 송풍팬(51k)인 시로코팬에 의해 토출본체(63k)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 1 토출구(41k)에 의해 본체(11k)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제 2 본체(120k)내부에는 응축기(24k)가 마련되며, 응축기(24k)를 거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여, 제 2 송풍팬(52k)인 시로코팬에 의해 후면패널(15k)에 마련되는 제 2 토출구(42k)에 의해 본체(11k)의 후방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송풍팬(52k)은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제 1 송풍팬(51k)에 의한 공기토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l)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l로 끝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체(11l)는 반구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평평하게 마련되는 원형의 플랫패널(70l)과, 반구의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패널(71l)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l)는 제 1 본체(110l)와, 제 2 본체(120l)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본체(110l)와 제 2 본체(120l)는 반구형상의 본체(11l)에서 각각 반구형상의 절반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흡입구(31l), 제 2 흡입구(32l), 제 1 토출구(41l), 제 2 토출구(42l)가 곡면패널(71l)에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22l)와 응축기(24l)는 곡면패널(71l)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호간에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l)와 제 2 흡입구(32l)는 증발기(22l)와 응축기(24l)에 대응하여, 곡면패널(71l)상에 마련되며, 상호간에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흡입구(31l)와 제 2 흡입구(32l)는 곡면패널(71l)과 플랫패널(70l)중 어느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l)와, 제 2 토출구(42l)는 제 1 흡입구(31l)와 제 2 흡입구(32l) 사이에서 상호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토출구(41l)와, 제 2 토출구(42l)는 곡면패널(71l)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l)과 제 2 송풍팬(52l)은 증발기(22l)와 응축기(24l)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흡입구(31l)와 제 2 흡입구(32l)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변환시켜 제 1 흡입구(31l)와 제 2 흡입구(32l)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토출구(41l)와 제 2 토출구(42l)로 각각 배출시키도록 배치된다. 제 1 송풍팬(51l)과 제 2 송풍팬(52l)은 모두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m)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m로 끝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2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10m)와, 증발기(22m), 응축기(24m), 송풍팬(50m), 흡입구(30m), 토출구(40m)의 배치를 달리한다.
플랫패널(70m)은 본체(11m)가 지지되는 바닥면과 일정각도 기울어져서 배치되고, 곡면패널(71m)이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응축기(24m)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증발기(22m)는 플랫패널(70m)의 내측면에 플랫패널(70m)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m)는 플랫패널(70m)상에 마련되어, 증발기(22m)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32m)는 곡면패널(71m)에 마련되어, 응축기(24m)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m)는 곡면패널(71m)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1m)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패널(70m)로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22m)를 거쳐 본체(11m)의 상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토출구(42m)는 곡면패널(71m)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1m)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m)과 제 2 송풍팬(52m)은 모두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n)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4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n로 끝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체(11n)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으로 마련되는 삼각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1n)는 상면패널(16n)과, 하부패널(17n)과, 복수의 측면패널(12n)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n)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측면패널은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n)가 삼각형이 단면인 삼각기둥인 형상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을 단면으로 하는 기둥형상을 갖는 사상도 포함될 수 있다.
증발기(22n)와 응축기(24n)는 복수의 측면패널(12n) 중 어느 하나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에는 증발기(22n)가, 하부에는 응축기(24n)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제 1 흡입구(31n)와 제 2 흡입구(32n)가 측면패널(12n)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n)와 제 2 토출구(42n)는 복수의 측면패널(12n) 중 증발기(22n)와 응축기(24n)가 배치되는 측면패널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의 측면패널(12n)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측면패널(12n) 중 하나에는 제 1 흡입구(31n)와 제 2 흡입구(32n)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 1 토출구(41n)가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에는 제 2 토출구(42n)가 배치된다.
제 1 송풍팬(51n)과 제 2 송풍팬(미도시)은 모두 크로스플로우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1 흡입구(31n)와 제 2 흡입구(32n)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o)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5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o로 끝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4 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10n)와, 본체(11n)의 내부구성의 배치를 달리한다.
본체(11o)는 상부의 제 1 본체(110o)와, 하부의 제 2 본체(120o)를 포함한다.
복수의 측면패널(12o) 중 어느 하나에는 제 1 토출구(41o)와, 제 2 흡입구(32o)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제 2 토출구(42o)와, 제 1 흡입구(31o)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o)과 제 2 송풍팬(52o)은 모두 시로코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1 흡입구(31o)와 제 2 흡입구(32o)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p)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6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p로 끝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체(11p)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마련될 수 있다. 본체(11p)는 상면패널(16p)과, 하면패널(17p)과, 상부패널(16p)과 하부패널(17p)을 연결하는 측면패널(12p)을 포함한다.
본체(11p)의 내부에서 증발기(22p)와, 응축기(24p)는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증발기(22p)와 응축기(24p)는 측면패널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호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31p)와 제 2 흡입구(32p)는 증발기(22p)와 응축기(24p)에 대응되어 측면패널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송풍팬(51p)과 제 2 송풍팬(52p)은 증발기(22p)와 응축기(24p)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로를 전환하도록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41p)와 제 2 토출구(42p)는 제 1 흡입구(31p)와 제 2 흡입구(32p)로 유입되는 공기가 본체(11p)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측면패널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는 본체(11p)의 좌우방향에서 흡입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제 1 송풍팬(51p)과 제 2 송풍팬(52p)은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q)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7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q로 끝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체(11q)는 증발기(22q)가 배치되는 제 1 본체(110q)와, 응축기(24q)가 배치되는 제 2 본체(120q)를 포함한다.
제 1 본체(110q)와 제 2 본체(120q)는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는 파이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1 본체(110q)와 제 2 본체(120q)간의 냉매의 이동은 파이프(75q)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본체(110q)에는 증발기(22q)와 제 1 송풍팬(51q)이 배치될 수 있고, 제 2 본체(120q)에는 응축기(24q)와 제 2 송풍팬(52q)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본체(110q)를 통해서는 냉방이 이루어지며, 제 2 본체(120q)를 통해서는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r)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제 18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면부호가 r로 끝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체(11r)는 증발기(22r)가 배치되는 제 1 본체(110r)와, 응축기(24r)가 배치되는 제 2 본체(120r)를 포함한다. 제 1 본체(110r)와 제 2 본체(120r)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본체(110r)와 제 2 본체(120r)는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본체(110r)에는 증발기(22r)와 제 1 송풍팬(51r)이 배치될 수 있고, 제 2 본체(120r)에는 응축기(24r)와 제 2 송풍팬(52r)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본체(110r)를 통해서는 냉방이 이루어지고, 제 2 본체(120r)를 통해서는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a : 공기조화기 11a : 본체
20a : 열교환기 22a : 증발기
24a : 응축기 30a : 흡입구
31a : 제 1 흡입구 32a : 제 2 흡입구
40a : 토출구 41a : 제 1 토출구
42a : 제 2 토출구 110a : 제 1 본체
120a : 제 2 본체
50a : 송풍팬 51a : 제 1 송풍팬
52a : 제 2 송풍팬

Claims (21)

  1. 지지면에 마련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의해 상기 지지면과 이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부에 의해 지지되는 하면패널;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상태의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저온저압상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의 열교환을 하는 증발기; 및
    상기 하면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에 의해 상기 지지면과 이격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는 제1 흡입구 및 제2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 흡입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2 흡입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구;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조화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본체에서 상호 다른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소비전력은 300w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응축공간을 갖는 제 1 본체;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고 상기 응축공간과 구획되는 증발공간을 갖는 제 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0069726A 2014-06-09 2014-06-09 공기조화기 KR10224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26A KR102246453B1 (ko) 2014-06-09 2014-06-09 공기조화기
US15/317,850 US10677476B2 (en) 2014-06-09 2015-06-03 Air conditioner
EP15805892.5A EP3126749B1 (en) 2014-06-09 2015-06-03 Air conditioner
ES15805892T ES2899800T3 (es) 2014-06-09 2015-06-03 Aire acondicionado
PCT/KR2015/005575 WO2015190740A1 (en) 2014-06-09 2015-06-03 Air conditioner
CN201580030380.6A CN106461239A (zh) 2014-06-09 2015-06-03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726A KR102246453B1 (ko) 2014-06-09 2014-06-0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01A KR20150141101A (ko) 2015-12-17
KR102246453B1 true KR102246453B1 (ko) 2021-04-30

Family

ID=5483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26A KR102246453B1 (ko) 2014-06-09 2014-06-0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7476B2 (ko)
EP (1) EP3126749B1 (ko)
KR (1) KR102246453B1 (ko)
CN (1) CN106461239A (ko)
ES (1) ES2899800T3 (ko)
WO (1) WO2015190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5518A (zh) 2014-06-05 2020-11-06 三星电子株式会社 一体式空调机
WO2020067319A1 (ja) * 2018-09-28 2020-04-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12044419B1 (en) * 2019-01-04 2024-07-23 Kova Comfort, Inc. HVAC system with coil arrangement in blower unit
KR102565503B1 (ko) 2019-01-29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GB2591261B (en) * 2020-01-22 2022-01-19 Shiva Air Conditioning Ltd A heat exchanger co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84Y1 (ko) * 2003-01-28 2003-05-09 주식회사 센티온 팬코일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9031A (en) 1955-12-16 1960-11-08 Carrier Corp Self-contained air conditioning units
US3324677A (en) * 1965-10-07 1967-06-13 Whirlpool Co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3742725A (en) 1971-12-06 1973-07-03 Carrier Corp Air conditioning unit
JPH0914692A (ja) * 1995-06-26 1997-01-17 Calsonic Corp 空気調和装置
US6425255B1 (en) * 2000-12-26 2002-07-30 Karl Hoffman Suitcase cooling apparatus
ITVI20020154A1 (it) * 2002-07-10 2004-01-12 Xiang Srl Condizionatore d'aria monoblocco
KR100519331B1 (ko) * 2002-12-10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겸용 냉난방시스템 및 이 시스템이 적용된 공기조화기
KR100547687B1 (ko) * 2003-11-20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50102065A (ko) * 2005-10-04 2005-10-25 조학준 히트 펌프를 이용한 이동식 스팟 냉난방기
US7735332B2 (en) * 2006-07-03 2010-06-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1308339B1 (ko) * 2006-11-06 2013-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7631511B2 (en) * 2006-08-08 2009-12-15 Eid Al-Azmi Portable air conditioning and water cooling apparatus
KR20080065176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공기 조화기
KR20090008974U (ko) * 2007-06-19 2009-09-09 (주)파워렉스코퍼레이션 이동식 에어컨
KR101420873B1 (ko) * 2007-09-17 2014-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GB2459872B (en) * 2008-05-08 2013-04-24 Nuaire Ltd A ventilation unit
AU2011288918C1 (en) * 2010-08-11 2017-03-02 Close Comfort Pty Ltd Localised personal air conditioning
US20140290301A1 (en) * 2011-07-01 2014-10-02 University Of Tasmania Personal cooling unit using phase change material
KR20130057618A (ko) * 2011-11-24 2013-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3082414A1 (en) * 2011-12-01 2013-06-06 Sunbeam Products, Inc. Console humidifier
US20140150488A1 (en) * 2012-12-04 2014-06-05 Dri-Eaz Products, Inc. Compact dehumidifi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200470848Y1 (ko) * 2013-02-18 2014-01-16 (주)어메이징그레이스 휴대용 가습기
US20140361101A1 (en) * 2013-06-06 2014-12-11 RealXGear Personal misting device
KR101702169B1 (ko) *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84Y1 (ko) * 2003-01-28 2003-05-09 주식회사 센티온 팬코일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01A (ko) 2015-12-17
US20170138617A1 (en) 2017-05-18
WO2015190740A1 (en) 2015-12-17
EP3126749A4 (en) 2017-12-20
EP3126749A1 (en) 2017-02-08
EP3126749B1 (en) 2021-09-15
US10677476B2 (en) 2020-06-09
ES2899800T3 (es) 2022-03-14
CN106461239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453B1 (ko) 공기조화기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US10823433B2 (en) Air conditioner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11013983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337272B2 (ja) 除湿装置
CN110300876A (zh) 热交换单元
JP2006297964A (ja) 鉄道車両用空調装置
JP5807668B2 (ja) 空気調和機
EP4012295A1 (en) Chilling unit and chilling unit system
JP201121475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1680264B1 (ko)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JP4368647B2 (ja) 熱交換ユニット
KR2020012555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216281806U (zh) 一种多冷凝器一体化泳池恒温恒湿三集一体除湿热泵
KR100953199B1 (ko) 공기조화기
KR2016007783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6758280B2 (ja) 電算機室用空調室内機
US20240240824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218846291U (zh) 空调室内机
CN213630704U (zh) 移动式空调器
JP7396589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138342A (ko) 배터리 큐비클 에어컨
US11976829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