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683B1 -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 - Google Patents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683B1
KR102245683B1 KR1020180133794A KR20180133794A KR102245683B1 KR 102245683 B1 KR102245683 B1 KR 102245683B1 KR 1020180133794 A KR1020180133794 A KR 1020180133794A KR 20180133794 A KR20180133794 A KR 20180133794A KR 102245683 B1 KR102245683 B1 KR 102245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ransformer
unit
voltag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768A (ko
Inventor
전웅수
마사지 하네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씨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씨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씨에프
Priority to KR102018013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6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027/408Association with diode or rect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가 제공된다. 누설 인덕턴스를 갖도록 결합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부;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전원부; 상기 변압부에 연결되는 LED 소자부; 및 상기 변압부 및 상기 소자부와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동일한 것인, 변압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VOLTAGE TRANSFORMATION CIRCUIT COMPRISING STEP-UP TRANSFORMER}
본 발명은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높이거나 낮춰주는 변압기에는, 전압을 높이는 승압형 변압기와 전압을 낮추는 감압형 변압기가 있다. 종래에는 비용상의 이점 때문에 감압형 변압기가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에너지 손실률이 높아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유도 결합 회로에서는 두 코일 간의 전자적인 결합도를 나타내는 결합 상수(coupling constant; k)에 따라 상호 인덕턴스(M)가 결정된다. 결합 상수가 1일 때를 완전 결합(밀결합)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두 코일 간에 누설 자속이 있으므로 결합 상수는 0과 1 사이의 범위에 있다.
한편, 누설 인덕턴스 변압기 중에는 양 코일을 공통으로 통과하지 않는 누설 자속이 많도록 설계한 누설 변압기(Leakage Transformer)가 있다. 누설 변압기는 1차 코일 측의 전원 전압이 일정하고, 부하 임피던스가 변동해도 거의 일정한 2차 코일측 전류가 흐르도록 한 정전류 변압기이다. 네온관등, 방전등, 아크 용접기, 전자 레인지 등에 사용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2-0056697호 (2012년 5월 29일 공개)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일정한 전압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소자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누설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개선된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는, 누설 인덕턴스를 갖도록 결합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부;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전원부; 상기 변압부에 연결되는 LED 소자부; 및 상기 변압부 및 상기 소자부와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부는,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상기 제2 코일 측에서 상기 변압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직렬 연결된 상기 변압기 및 제1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누설 인덕턴스를 갖도록 결합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 사이의 결합 상수는 소정의 값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전원부에 의한 입력 전압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압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독립된 두 도선 상에 각각 배치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코일에 유도되는 제1 전압과 상기 전원부에 의한 입력 전압은, 상기 제1 다이오드을 통해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0V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코일에 유도되는 제2 전압과 상기 전원부에 의한 입력 전압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전원부에 의해 상기 제1 코일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압을 공급을 요구하는 시설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손실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전압을 공급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각종 공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의 변압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의 변압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는 변압부, 전원부, 소자부 및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의 변압부는, 전원부로부터 입력 전압을 인가받아 그 크기를 변경시키고, 소자부로 변경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도 결합 회로를 갖는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부는 전원부로부터의 입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소자부로 공급하기 위한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부는, 변압기와 두 개의 다이오드(150, 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는 상호 결합된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다이오드(150)는 제2 코일(130) 측에서 변압기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170)는, 직렬로 연결된 변압기 및 제1 다이오드(150) 전체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은 각각 1차 코일과 2차 코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의 결합의 정도는 완전 결합(밀결합)에 가깝지 않도록, 즉, 약한 결합(조결합; 粗結合)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의 결합의 정도를 나타내는 결합 상수는 1 보다 0에 가깝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 간의 결합 상수는 소정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조결합에 의한 변압기의 경우 밀결합의 경우보다 변압기의 상호 인덕턴스(M)는 작아질 수 있고, 누설 인덕턴스는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다이오드(150)는 제2 코일(130)의 일단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다이오드(170)의 양 말단은 제1 코일(110)의 일단 및 제1 다이오드(150)의 일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부는 전원부로부터 입력 전압(Vin)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는 변압부의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의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는 교류 전압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부는 전원부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소자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변압부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는 소자부는, 예를 들어, LED 소자부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소자부는 전압을 인가받아 저항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소자들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소자부는 변압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LED 소자부는 제2 코일(130) 측에서 변압부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소자부는 변압부의 제1 다이오드(150)의 일단 및 제2 다이오드(17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는 변압부 및 소자부와 직렬로 연결되어,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에 따라 변압 회로의 구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스위칭부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을 수행하기 위한 PWM 스위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의 일단은 LED 소자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변압기의 제1 코일(11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변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와 오프 상태인 경우의 변압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 전원부로부터 입력 전압(Vin)이 공급되면, 변압기의 제2 코일(130)에 제1 전압(V1)이 유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전압(V1)과 제2 전압(V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제2 코일(130)과 제1 코일(110)에 걸리는 전압을 각각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압(Vin)에 따라 제1 코일(110)에 걸리는 제2 전압(V2)이 결정 수 있고,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제2 코일(130)에 제1 전압(V1)이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1 코일(110)의 감은 앞쪽(111)은 전위가 낮고 뒤쪽은 전위가 높은 방향으로, 제1 코일(110)의 제2 전압(V2)이 걸릴 수 있다. 제2 전압(V2)은 입력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130)의 감은 앞쪽(131)은 전위가 낮고 뒤쪽은 전위가 높은 방향으로, 제2 코일(130)의 제1 전압(V1)이 유도 수 있다. 제1 전압(V1)은 입력 전압(Vin)과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의 권선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제2 코일(130)의 제1 전압(V1)이 유도되면, 변압기는 제2 코일(130) 측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150)를 통해 LED 소자부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압(Vin)과 제1 전압(V1)를 합한 값의 전압이 제1 다이오드(150) 및 LED 소자부에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는 승압형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에서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가 되면, 역기전력에 의하여 변압기의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에 걸리는 전압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코일(130)의 감은 앞쪽(131)은 전위가 높고 뒤쪽은 전위가 낮은 방향으로, 제2 코일(130)의 제1 전압(V1)이 걸릴 수 있다. 제2 코일(130)의 제1 전압(V1)은 0V일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10)의 감은 앞쪽(111)은 전위가 높고 뒤쪽은 전위가 낮은 방향으로, 역기전력에 의한 제1 코일(110)의 제2 전압(V2)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 간의 조결합에 의해, 역기전력에 의한 제1 코일(110)의 제2 전압(V2)은 무한대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 간의 누설 인덕턴스가 클 수록, 역기전력에 의한 제1 코일(110)의 제2 전압(V2)은 작아질 수 있다. 역기전력한 제1 코일(110)의 제2 전압(V2)을 조정하기 위해 소정의 값 보다 작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 사이의 결합 상수가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제1 코일(110)에 역기전력에 의한 제2 전압(V2)이 걸리면, 변압기는 제1 다이오드(150)와 독립된 도선에 위치하는(병렬 연결) 제2 다이오드(170)를 통해 LED 소자부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압(Vin)과 제2 전압(V2)을 합한 값의 전압이 제2 다이오드(170) 및 LED 소자부에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에서, LED 소자부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에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과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에 제1 다이오드(150) 및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과 제1 전압(V1)의 합은,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제2 다이오드(170) 및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과 제2 전압(V2)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값 보다 작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 사이의 결합 상수를 선택함으로써, 고효율을 위한 일정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 간의 결합 정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는 전원부, 변압부, LED 소자부 및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들은 도 1 내지 3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변압부는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을 포함하는 변압기와, 두 개의 다이오드(150, 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은 큰 누설 인덕턴스를 갖도록 약하게 결합될 수 있다.
누설 인덕턴스를 줄이기 위해 누설 자속을 작게 하려면 강자성체를 이용하여 코일들이 감기는 코어에서 자속이 퍼지지 못하게 해야 하는 반면, 누설 자속을 크게 하려면 강자성체를 사용하지 않거나, 코어를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코일들과 코일들이 감기는 코어 사이에 소정의 공간(air gap)을 두어 누설 인덕턴스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 사이에서 코어에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누설 자속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큰 누설 인덕턴스를 갖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는 제1 코일(110)과 제2 코일(130)의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는 교류의 입력 전압(Vin)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는 제1 코일(110)의 일단 및 제2 코일(1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130)의 전원부와 연결되지 않는 다른 일단은 제1 다이오드(150)와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150)는 제1 코일(110) 및 제2 코일(130)로 구성된 변압기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150)의 다른 일단은 LED 소자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110)의 전원부와 연결되지 않는 다른 일단은 제2 다이오드(17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다이오드(170)는 직렬로 연결된 변압기 및 제1 다이오드(150) 전체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170)의 다른 일단은 LED 소자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다이오드(150)와 제2 다이오드(170)는 서로 독립적으로 병렬 연결된 두 도선 상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150)와 제2 다이오드(170)는 모두 변압부로부터 LED 소자부 쪽으로의 전류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소자부의 일단은 제1 다이오드(150) 및 제2 다이오드(17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스위칭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는 LED 소자부 및 변압부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부는 변압부와 제1 코일(110) 측에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부는 PWM 스위치 또는 MOSFET 스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회로에서, 스위칭부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른 상태 변화에도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공급 전력의 소모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에 제1 다이오드(150)를 통해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제2 다이오드(170)를 통해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원부로부터의 입력 전압(Vin) 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변압 회로에 있어서,
    누설 인덕턴스를 갖도록 결합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부;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전원부;
    상기 변압부에 연결되는 LED 소자부; 및
    상기 변압부 및 상기 소자부와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부는,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상기 제2 코일 측에서 상기 변압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직렬 연결된 상기 변압기 및 제1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코일에 유도되는 제1 전압과 상기 전원부에 의한 입력 전압은, 상기 제1 다이오드을 통해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고,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코일에 유도되는 제2 전압과 상기 전원부에 의한 입력 전압은, 상기 제2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며,
    상기 스위칭부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동일함으로써 상기 LED 소자부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것인, 변압 회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인덕턴스를 갖도록 결합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 사이의 결합 상수는 소정의 값보다 작은 것인, 변압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소자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전원부에 의한 입력 전압보다 큰 것인, 변압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독립된 두 도선 상에 각각 배치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변압 회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0V인 것인, 변압 회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가 온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전원부에 의해 상기 제1 코일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인, 변압 회로.
KR1020180133794A 2018-11-02 2018-11-02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 KR102245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794A KR102245683B1 (ko) 2018-11-02 2018-11-02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794A KR102245683B1 (ko) 2018-11-02 2018-11-02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68A KR20200050768A (ko) 2020-05-12
KR102245683B1 true KR102245683B1 (ko) 2021-04-28

Family

ID=7067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794A KR102245683B1 (ko) 2018-11-02 2018-11-02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6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74B1 (ko) * 2011-11-23 2013-0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변압기를 이용한 자기결합 승압형 컨버터 장치
US20130134887A1 (en) * 2011-11-28 2013-05-30 Niko Semiconductor Co., Ltd. Led current balance driv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170B1 (ko) 2010-11-25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74B1 (ko) * 2011-11-23 2013-0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변압기를 이용한 자기결합 승압형 컨버터 장치
US20130134887A1 (en) * 2011-11-28 2013-05-30 Niko Semiconductor Co., Ltd. Led current balance driv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68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735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8743575B2 (en) Switch mode pulse width modulated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power transformers
US7193496B2 (en) Magnetic element and power supply
KR101860693B1 (ko) 고주파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및 게이트 회로 구동방법
RU2530010C2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питающ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JP6157625B2 (ja) ゲート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遮断器
CN103731036A (zh) 双向dc/dc转换器
JPS6146176A (ja) 入力交流電圧から直流電圧を発生させるための整流装置を有するスイツチング電源回路装置
CN110352551B (zh) 感应负载的两极性电流控制驱动电路
EP2753145A2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US742611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2021168590A (ja) 直流電圧変換回路および電源装置
KR102245683B1 (ko) 승압형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 회로
KR101397728B1 (ko) 전원 공급 장치
JP6380895B2 (ja) 電源回路
US20150006932A1 (en) Power supply apparatus
JP517676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4512855B2 (ja) 着磁装置
CN104638926A (zh) 一种磁通对消式高效率反激式dc-dc转换器
CN112106287B (zh) 谐振回路电路和用于配置谐振回路电路的方法
KR20170125223A (ko) 멀티 출력 컨버터
US11076456B2 (en) Adapting circuit for driving a magnetron with multiple switching power supplies
JPS585243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6662641B2 (ja) 非絶縁型昇圧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5337494B (zh) 开关电源隔离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