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238B1 - 흡광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흡광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238B1
KR102245238B1 KR1020190135116A KR20190135116A KR102245238B1 KR 102245238 B1 KR102245238 B1 KR 102245238B1 KR 1020190135116 A KR1020190135116 A KR 1020190135116A KR 20190135116 A KR20190135116 A KR 20190135116A KR 102245238 B1 KR102245238 B1 KR 10224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ample
optical path
accommodat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디지탈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디지탈
Priority to KR102019013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238B1/ko
Priority to CN202080054784.XA priority patent/CN114341620A/zh
Priority to US17/765,138 priority patent/US11977023B2/en
Priority to PCT/KR2020/012959 priority patent/WO2021085865A1/ko
Priority to EP20883066.1A priority patent/EP4053541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5Details, e.g. use of specially adapted sources, lighting or optica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2Absorption spectrometry; Double beam spectrometry; Flicker spectrometry; Reflec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021/0346Capillary cells; Microcells
    • G01N2021/035Supports for sample dr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5Mechanical control of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광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과 대응되어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표면이 형성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의 광로 상에 수용된 상기 시료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표면과 제 1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광로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투과한 특성광을 분석하여 상기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표면과 제 2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분광장치; 및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수용된 시료가 광학적 특성이 분석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광로 주변부에 형성되는 상태 판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광 분석 장치{Apparatus for absorption spectrochemical analysis}
본 발명은 흡광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 시료의 흡광 특성을 이용하여 성분을 측정하는 미량 시료 측정용 분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시료의 대표적인 물질인 핵산(nucleic acids), 단백질(proteins), 그리고 세포 배양(cell cultures)의 분광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분광기는 바이오 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구 장비 중 하나이다.
특히, 이러한 분광기는, 바이오 시료의 풀 스펙트럼 스캔(full spectrum scan), 스탠다드 커브 결정 비율 계산(standard curve determination, ratio calculations) 그리고 엔자임(enzyme)과 반응을 시간대별로 파악하는 키네틱스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파장의 광선을 시료에 조사하고 바이오 시료가 특정 파장대에서 광선을 흡수하는 흡광 현상을 분석하여 바이오 시료의 농도 측정을 기초로 한다.
즉, 바이오 시료의 물성학적 특성파악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초 광학 기술은 흡광이며 이러한 흡광학적 기술을 이용한 장비가 바로 분광기(spectrometer or spectro-photometer)인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샘플 손실 또는 교차 오염을 최소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핵산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생명 공학 시료의 분석에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바이오 시료는 그 가격이 매우 고가인 것으로서, 고가의 바이오 시료는 예를 들어 1ml 당 수 백만원을 호가하는 등, 바이오 시료를 사용한 각종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원들에게 이러한 바이오 시료의 가격이 실제로 큰 부담이 되고 있고, 바이오 산업의 발전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소량의 바이오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고찰 하고자 할 경우, 바이오 시료를 다양한 용액에 희석(dilution)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바이오 시료를 희석하는 과정에서 희석에 따른 시간과 희석의 정확도에 따른 오차가 발생되고, 한번 희석을 하고 나면 희석된 바이오 시료를 다시 회수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량의 바이오 시료를 사용함으로써 바이오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미량의 시료 측정시 시료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위하여 시료의 수용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흡광분석의 실패원인을 정확히 제공하고, 분석기기의 일반적 품질관리법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분석장치의 작동 상태를 손쉽게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분석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료의 수용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 가능한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섬유를 사용하여 광학 경로를 기구적으로 단순화하여 광학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을 이용하여 부품을 제작할 수 있어서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흡광 분석 장치는, 상부에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과 대응되어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표면이 형성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의 광로 상에 수용된 상기 시료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표면과 제 1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광로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투과한 특성광을 분석하여 상기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표면과 제 2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분광장치; 및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수용된 시료가 광학적 특성이 분석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광로 주변부에 형성되는 상태 판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로에서 상기 시료는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의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물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표면은 상기 제 2 표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태 판별 장치는,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시료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광로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광장치; 및 상기 광로를 통과한 상기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는 수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광장치 및 상기 수광장치는, 상기 제 1 표면과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광로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며, 상기 광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분광장치, 상기 투광장치 및 상기 수광장치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장치에서 수광된 상기 투과광의 광량의 손실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시료가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물기둥이 형성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상기 시료가 분석 가능한 물기둥으로 형성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에서 검사광을 조사하여 분석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상기 시료가 분석 가능한 물기둥으로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시료의 상태를 알려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에서 조사되는 상기 검사광 및 상기 투광장치에서 조사되는 상기 투과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조사광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량의 바이오 시료를 사용함으로써 바이오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미량의 시료 측정시 시료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위하여 시료의 수용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분석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료의 수용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광 변위 감지 센서에 의해 빠르고 간단한 측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인터페이싱 작업 없이, 시료의 수용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상이 있을 경우에만 시료를 다시 수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고해상도 카메라 이미지 등을 필요로 하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 원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량 흡광 분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량 흡광 분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량 흡광 분석 장치의 제 1 표면, 투광장치 및 수광장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유무에 따른 수광장치에서 수광되는 투과광을 비교하는 비교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상태에 따른 수광장치에서 수광되는 투과광을 비교하는 비교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량 흡광 분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미량 흡광 분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흡광 분석 장치(100)는, 크게 몸체, 베이스 플레이트(10), 회동 플레이트(20), 검사광 조사장치(30), 분광장치(40), 상태 판별 장치, 제어부(70) 및 표시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광 분석 장치(100)의 상기 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10), 회동 플레이트(20), 검사광 조사장치(30), 분광장치(40), 상태 판별 장치, 제어부(70) 및 표시부(80)의 외관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일종의 케이스인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상부에 시료(S)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 플레이트(20)는 제 1 표면(11)과 대응되어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표면(2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일부분에 시료(S)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표면(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부분에 다른 시료(S)를 수용할 수 있는 큐벳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와 회동 플레이트(20)는 각각의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접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 플레이트(20)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접철시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덮어 제 1 표면(11) 및 제 1 표면(11)에 수용되는 시료(S)를 보호하고, 내부로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회동 플레이트(20)는 상기 분광장치(40)와 제 2 광도관(22)으로 연결되는 구조체로 형성되어, 회동 플레이트(20)가 접철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제 1 표면(11)의 외면에서 연결되는 제 1 광도관(12)과 제 2 표면(21)의 외면에서 연결되는 제 2 광도관(22)은 각각 동축으로 형성되고,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회동 플레이트(20)는 일측에 형성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은 소정의 내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량 흡광 분석 장치의 제 1 표면, 투광장치 및 수광장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표면(11)은 제 2 표면(21)이 형성된 방향으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표면(11)을 제 2 표면(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의 광로(L)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료(S)에 형성된 흡광도가 측정되는 광로(L)를 변경하여 하나 이상의 경로 길이 각각에서 시료(S)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 할 수 있다. 여기서, 광로(L)의 길이의 차이와 투과 강도의 차이를 결합하여 시료의 흡광도를 분석할 수 있다.
광로(L)에서 시료(S)는 제 1 표면(11) 및 제 2 표면(21)의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물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표면(11)의 상부에 사용자에 의하여 피펫 등으로 시료(S)가 배치되고, 제 2 표면(21)이 제 1 표면(11)의 상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표면(11)은 제 2 표면(21)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하여, 시료(S)가 수용된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의 표면을 적시고, 반대 방향으로 제 1 표면(11)을 이동하여 시료(S)를 잡아 당겨서 물기둥을 형성하여 광로(L)를 확립하여, 광로(L)를 통해서 광이 투사된다.
이때, 시료(S)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시료(S)의 크기는 1 x 10-5L 이하의 극미량 시료이다.
검사광 조사장치(30)는 제 1 표면(11) 및 제 2 표면(21) 사이에 형성된 광로(L)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11)과 제 1 광도관(12)으로 연결되는 장치이다.
검사광 조사장치(30)는 광로(L)에 수용된 시료(S)에 광을 조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검사광으로는 텅스텐 램프, 중수소 아크 램프, 글로바, 헬륨-네온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검사광 조사장치(30)는 단색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색화 장치는 광원에서 나오는 넓은 파장의 빛을 단색 복사선으로 변화시켜 원하는 파장의 광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분광장치(40)는 광로(L)에 수용된 시료(S)를 투과한 특성광을 분석하여 시료(S)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제 2 표면(21)과 제 2 광도관(22)으로 연결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분광장치(40)는 검사광 조사장치(30)의 광원에서 발생된 특정한 파장의 상기 검사광을 상기 제 1 광도관(12)을 통해 시료(S) 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검사광이 시료(S)를 통과하면서 특정 파장의 빛이 흡수된 상태의 상기 특성광으로 변질되면, 이러한 상기 특성광을 분광장치(40)로 분석하여 시료(S)의 분광학적 특성인 흡광도, 투과도, 농도, 흡광도 spectrum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표면(11)은, 검사광 조사장치(30)와 제 1 광도관(12)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표면(21)은, 분광장치(30)와 제 2 광도관(22)로 연결되어 광경로를 단순화함으로써, 기존의 각종 렌즈, 거울, 반사장치 등이 불필요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태 판별 장치는 제 1 표면(11) 및 제 2 표면(21) 사이에 수용된 시료(S)가 광학적 특성이 분석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광로(L)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태 판별 장치는, 제 1 표면(11) 및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광로(L)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광장치(50) 및 광로(L)를 통과한 상기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는 수광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표면(1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투광장치(50), 타측에는 수광장치(60)가 형성될 수 있다. 투광장치(50)에서 조사된 투과광을 수광장치(60)에서 수광할 수 있도록 투광장치(50)와 수광장치(60)는 서로 마주보고 형성될 수 있으며, 투광장치(50)와 수광장치(60)의 중간에 광로(L)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투광장치(50)에서 조사된 투과광이 광로(L)를 통과하여 수광장치(60)로 수광될 수 있다. 이때, 광로(L)에 형성된 시료(S)의 상태에 따라서 수광장치(60)에 수광되는 투과광의 광량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유무에 따른 수광장치에서 수광되는 투과광을 비교하는 비교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상태에 따른 수광장치에서 수광되는 투과광을 비교하는 비교 사진이다.
제어부(70)는 검사광 조사장치(30), 분광장치(40), 투광장치(50) 및 수광장치(6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검사광 조사장치(30), 분광장치(40), 투광장치(50) 및 수광장치(60)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는 시료(S)가 수용된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서 시료(S)가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물기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투광장치(50)에서 광로(L)를 향하여 조사되는 투과광의 광량 및 세기를 제어 할 수 있으며, 광로(L)의 상대편에 형성된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되는 투과광의 광량 및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검사광 조사장치(30)에서 제 1 광도관(12)을 지나 제 1 표면(11) 상부의 시료(S)에 조사되는 검사광의 유무 및 세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시료(S)를 통과하여 제 2 표면(21)에 연결된 제 2 광도관(22)을 지나 분광장치(40)까지 수광되는 특성광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는 판별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판별부(71)는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된 상기 투과광의 광량의 손실 정도를 판단하여 시료(S)가 제 1 표면(11) 및 제 2 표면(21)에 물기둥이 형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별부(71)는 투광장치(50)에서 조사된 투과광이 광로(L)를 통과하여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되는 투과광의 광량 및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하여, 광로(L)에 형성된 시료(S)의 상태가 검사가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상태의 물기둥을 형성했을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장치(50)에서 조사된 투과광은 광로(L)에 형성된 시료(S)를 투과하여 굴절되어 일정양의 투과광을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광은 넓게 퍼지는 형상으로 시료(S)를 투과하여 일정양의 투과광을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될 수 있다.
반면에,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수용되지 못한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로(L)에 시료(S)가 형성되지 못하여 투광장치(50)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투과광은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된 투과광이 굴절되지 않고 직선으로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될 수 있다.
또는,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상태의 물기둥을 형성하지 못했을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투광장치(50)에서 조사된 투과광은 광로(L)에 형성된 시료(S)의 일부분만을 투과하여 많은 양이 굴절되어 소량의 투과광만이 수광장치(60)에 수광될 수 있다.
판별부(71)에서는 수광장치(60)에서 수광된 투과광의 광량 또는 세기 등을 분석하여,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상태의 물기둥을 형성했을 경우,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수용되지 못한 경우 및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상태의 물기둥을 형성하지 못했을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광 분석 장치(100)로 시료(S)의 분광학적 특성을 검사할 시에 사용자가 매번 시료의 수용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판별부(71)에서 시료의 수용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상이 있을 경우에만 시료를 다시 수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판별부(71)에서 제 1 표면(11) 및 제 2 표면(21)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물기둥으로 형성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검사광 조사장치(20)에서 검사광을 조사하여 분석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판별부(71)에서 제 1 표면(11) 및 제 2 표면(21)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물기둥으로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표시부(72)에서 시료(S)의 상태를 알려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70)는 조사광 선택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사광 선택부(72)는 검사광 조사장치(30)에서 조사되는 상기 검사광 및 투광장치(50)에서 조사되는 상기 투과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광 분석 장치(100)는, 투광장치(50)와 검사광 조사장치(30)에서 두가지 종류의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시료(S)를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형성하여, 투광장치(50)에서 투과광을 조사하여 시료(S)의 상태를 판별하고, 다음으로, 검사광 조사장치(30)에서 검사광을 조사하여 시료(S)의 분광학 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투광장치(50)에서 투과광을 조사하여 시료(S)의 상태를 판별할 시에, 수광장치(60)에서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여 시료(S)의 상태를 판별하는 것으로 다른 종류의 광이 수광장치(60)에 수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검사광 조사장치(30)에서 검사광을 조사하여 시료(S)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시에, 검사광이 시료(S)를 투과하여 변화된 특성광이 분광장치(40)에서 수광하여 시료(S)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다른 종류의 광이 분광장치(40)에 수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광 분석 장치(100)에서 조사되는 투광장치(50)와 검사광 조사장치(30)의 두가지 종류의 광이 동시에 조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수광장치(60) 및 분광장치(40)에서 분석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수용되면, 조사광 선택부(72)에서 투광장치(50)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투광장치(50)에서 투과광을 조사하고, 투과광이 조사되는 동안 검사광 조사장치(30)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상태의 물기둥으로 형성되었다고 판별부(71)에서 판별한 경우에, 조사광 선택부(72)에서 검사광 조사장치(30)를 선택하도록 제어하여, 검사광 조사장치(30)에서 광로(L)에 형성된 시료(S)에 검사광을 조사하고, 검사광이 조사되는 동안 투광장치(50)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시료(S)가 분석 가능한 상태의 물기둥으로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별부(71)에서 판별한 경우에는, 조사광 선택부(72)에서는 조사광을 선택하지 않고, 후술될 표시부(80)에서 사용자에게 알림을 표시해 주도록 제어부(70)에서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80)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분석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CRT, LCD, LED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0)는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제어부(70)에 인가하는 터치패드, 각종 스위치, 조이스틱, 마우스 등의 각종 입력장치로 형성되는 명령입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20)를 열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피펫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표면(11) 위에 시료(S)를 수용시킨 후, 회동 플레이트(20)를 닫아 시료(S)를 암흑 상태로 만든 다음, 상기 명령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채널로 시료(S)에 검사광을 조사하고, 시료(S)에 의해 변질된 특성광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흡광 측정 장치(100)는 투광장치(50)와 수광장치(60)를 포함하여, 페디스털 물기둥 형성 유무에 따라 투과되어 수광되는 빛의 양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시료(S)로 형성되는 물기둥이 없는 초기 상태와 비교했을 때 수광되는 투과광의 양이 감소할 경우 물기둥이 정상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어, 수광장치(60)에 의해 신속하고 간단한 측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인터페이싱 작업 없이 자동으로 분석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시료(S)가 정상적으로 수용되지 못한 상태에서 흡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석실패를 사전에 알려줌으로써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품질관리(QC, Quality Control)의 목적으로도 사용하여 작동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광 분석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장치(50) 및 수광장치(60)가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형성되는 광로(L)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며, 광로(L)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시료(S)가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표면장력을 유지하면서 수용될 수 있도록, 시료(S)가 수용되는 제 1 표면(11)은 제 2 표면(21) 방향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제 1 표면(11)의 이동에 따라 광로(L)와 광로(L)에 형성된 시료(S)의 길이 및 시료(S)로 형성된 물기둥의 둘레가 달라질 수 있다.
시료(S)가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분석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하여 투광장치(50)는 시료(S)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조절되어 투과광을 조사하고, 이와 동일하게 조절된 수광장치(60)에서 투과광을 수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료(S)에 따라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의 광로(L)의 거리가 상이하여도 투광장치(50) 및 수광장치(60)의 이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시료(S)가 분석 가능한 상태로 제 1 표면(11)과 제 2 표면(21) 사이에 수용되었는지 정확하게 판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 시료
L : 광로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제 1 표면
12 : 제 1 광도관
20 : 회동 플레이트
21 : 제 2 표면
22 : 제 2 광도관
30 : 검사광 조사 장치
40 : 분광 장치
50 : 투광장치
60 : 수광장치
70 : 제어부
71 : 판별부
72 : 조사광 선택부
80 : 표시부

Claims (9)

  1. 상부에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과 대응되어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표면이 형성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의 광로 상에 수용된 상기 시료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표면과 제 1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광로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투과한 특성광을 분석하여 상기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표면과 제 2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분광장치; 및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수용된 시료가 광학적 특성이 분석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광로 주변부에 형성되는 상태 판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별 장치는,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시료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광로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광장치; 및
    상기 광로를 통과한 상기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는 수광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장치 및 상기 수광장치는,
    상기 제 1 표면과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광로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며, 상기 광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흡광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에서 상기 시료는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의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물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광 분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은 상기 제 2 표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흡광 분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분광장치, 상기 투광장치 및 상기 수광장치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흡광 분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장치에서 수광된 상기 투과광의 광량의 손실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시료가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물기둥이 형성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는, 흡광 분석 장치.
  8. 상부에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과 대응되어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표면이 형성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의 광로 상에 수용된 상기 시료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표면과 제 1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광로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투과한 특성광을 분석하여 상기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표면과 제 2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분광장치; 및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수용된 시료가 광학적 특성이 분석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광로 주변부에 형성되는 상태 판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별 장치는,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시료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광로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광장치; 및
    상기 광로를 통과한 상기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는 수광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분광장치, 상기 투광장치 및 상기 수광장치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장치에서 수광된 상기 투과광의 광량의 손실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시료가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물기둥이 형성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상기 시료가 분석 가능한 물기둥으로 형성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에서 검사광을 조사하여 분석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별부에서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에 상기 시료가 분석 가능한 물기둥으로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시료의 상태를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흡광 분석 장치.
  9. 상부에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표면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과 대응되어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표면이 형성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의 광로 상에 수용된 상기 시료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표면과 제 1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광로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투과한 특성광을 분석하여 상기 시료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표면과 제 2 광도관으로 연결되는 분광장치; 및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수용된 시료가 광학적 특성이 분석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광로 주변부에 형성되는 상태 판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별 장치는,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시료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광로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광장치; 및
    상기 광로를 통과한 상기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는 수광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 상기 분광장치, 상기 투광장치 및 상기 수광장치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광 조사장치에서 조사되는 상기 검사광 및 상기 투광장치에서 조사되는 상기 투과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조사광 선택부;
    를 포함하는, 흡광 분석 장치.
KR1020190135116A 2019-10-29 2019-10-29 흡광 분석 장치 KR10224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16A KR102245238B1 (ko) 2019-10-29 2019-10-29 흡광 분석 장치
CN202080054784.XA CN114341620A (zh) 2019-10-29 2020-09-24 吸光分析装置
US17/765,138 US11977023B2 (en) 2019-10-29 2020-09-24 Absorbance spectroscopic device
PCT/KR2020/012959 WO2021085865A1 (ko) 2019-10-29 2020-09-24 흡광 분석 장치
EP20883066.1A EP4053541A4 (en) 2019-10-29 2020-09-24 SPECTROSCOPIC ABSORP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16A KR102245238B1 (ko) 2019-10-29 2019-10-29 흡광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238B1 true KR102245238B1 (ko) 2021-04-28

Family

ID=7571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16A KR102245238B1 (ko) 2019-10-29 2019-10-29 흡광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77023B2 (ko)
EP (1) EP4053541A4 (ko)
KR (1) KR102245238B1 (ko)
CN (1) CN114341620A (ko)
WO (1) WO202108586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47B1 (ko) * 2008-12-30 2011-04-29 (주)비앤피테크 흡광/형광 측정장치
KR101214556B1 (ko) * 2010-05-31 2012-12-24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
KR101387576B1 (ko) * 2012-11-08 2014-04-23 주식회사 신코 미량 시료 홀더
KR20150101643A (ko) * 2014-02-27 2015-09-0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대면적 라만 분광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4855A1 (en) * 1999-08-20 2001-03-01 Charles William Robertson Liquid photometer using surface tension to contain sample
US6765671B2 (en) * 2000-05-16 2004-07-20 Corning Incorporated Automated system for measurement of an optical property
JP2005134167A (ja) * 2003-10-29 2005-05-2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スポッタ装置
JP4853518B2 (ja) * 2006-10-06 2012-01-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分光光度計
US7688448B2 (en) * 2007-06-01 2010-03-30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Through-container optical evaluation system
EP2342549B1 (en) * 2008-10-03 2014-06-04 NanoDrop Technologies LLC Optical path length sensor and method for optimal absorbance measurements
WO2010039975A1 (en) 2008-10-03 2010-04-08 Nanodrop Technologies Llc Dual sample mode spectrophotometer
GB0820889D0 (en) * 2008-11-14 2008-12-24 Univ St Andrews Optical detection system
WO2013131017A1 (en) * 2012-03-02 2013-09-06 Laxco, Inc. Multichannel analytical instruments for use with specimen holders
CN104870977B (zh) * 2012-12-20 2018-03-27 雷迪奥米特医学公司 检测样品中的组分的装置
KR101727009B1 (ko) * 2014-07-04 2017-04-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흡광신호 및 형광신호를 이용한 미세입자 측정장치 및 데이터 보정방법
CA2995732A1 (en) 2015-09-16 2017-03-23 Thermo Electron Scientific Instruments Llc Image analysis system and method
EP3350570B1 (en) * 2015-09-18 2020-07-29 Thermo Electron Scientific Instruments LLC Path length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JP2019163959A (ja) * 2018-03-19 2019-09-26 アズビル株式会社 状態検知センサ及びマスフローコントローラ
JP6983709B2 (ja) 2018-03-29 2021-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析システム、及び分析方法
US11054364B2 (en) * 2018-12-17 2021-07-06 Thermo Finnigan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and spectrophotometry of small liquid samp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47B1 (ko) * 2008-12-30 2011-04-29 (주)비앤피테크 흡광/형광 측정장치
KR101214556B1 (ko) * 2010-05-31 2012-12-24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
KR101387576B1 (ko) * 2012-11-08 2014-04-23 주식회사 신코 미량 시료 홀더
KR20150101643A (ko) * 2014-02-27 2015-09-0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대면적 라만 분광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7023B2 (en) 2024-05-07
WO2021085865A1 (ko) 2021-05-06
EP4053541A1 (en) 2022-09-07
US20220373455A1 (en) 2022-11-24
EP4053541A4 (en) 2022-11-23
CN114341620A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0518B2 (en) Automatic analysis apparatus and automatic analysis method
US7075645B2 (en) Spectroscopic analyzer for blender
US6940604B2 (en) Thin-film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US20060238764A1 (en) Determination of light absorption pathlength in a vertical-beam photometer
US9052232B2 (en) Spheroid sample cell for spectrometer
US20090009760A1 (en) Automatic analysis apparatus and automatic analysis method
CA2635602A1 (en) Optical scanner for measuring sheet properties
CN106574866B (zh) 用于反射测量的测量装置
US5699156A (en) Spectrophotometer apparatus with dual light sources and optical paths, fiber optic pick-up and sample cell therefor
KR20060126715A (ko) 고정밀 유동 지향 다각도 반사 센서
JP2017020860A (ja) 分光検出器
KR102245238B1 (ko) 흡광 분석 장치
JP5913143B2 (ja) 測色計
CN109799194B (zh) 光谱测量装置
US7294826B2 (en) Bio-sensing apparatus
WO2019069526A1 (ja) 分光測定装置
JP2000131233A (ja) 光学式インプロセス制御による比濁分析検出ユニット
JP2013148514A (ja) 角度可変測定装置
JP7477072B2 (ja) 可変光路長システムのための光源
EP3830553B1 (en) Diffuse reflectance apparatus
JP2013246161A (ja) 分光光度計及び分光測定方法
CN109557047B (zh) 折射率测定装置及折射率测定方法
KR101214556B1 (ko) 미량 시료 특성 측정용 분광기
KR20090118367A (ko) 분광분석기
US20210181095A1 (en) Compact imaging-based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