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50B1 -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50B1
KR102244850B1 KR1020190082576A KR20190082576A KR102244850B1 KR 102244850 B1 KR102244850 B1 KR 102244850B1 KR 1020190082576 A KR1020190082576 A KR 1020190082576A KR 20190082576 A KR20190082576 A KR 20190082576A KR 102244850 B1 KR102244850 B1 KR 10224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ction
fintech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drawal
successful bi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676A (ko
Inventor
기준수
Original Assignee
기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준수 filed Critical 기준수
Priority to KR102019008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매 낙찰자의 계좌 내 잔액 정보를 통해 경매 낙찰자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와 고객 실계좌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실계좌 정보와 인증 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단계;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오픈플랫폼 센터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상기 인증 정보에 매핑된 실계좌 정보를 기반으로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경매 낙찰금을 상기 실계좌 정보에서 입금 계좌 번호로 출금을 요청한 후 이에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응답이 출금 불가 메시지인 경우, 경매 참여자 중 차순위 경매 낙찰자를 선정한 후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응답이 출금 완료 메시지인 경우, 경매 낙찰자를 최종 낙찰자로 선정한 후 경매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SERVICING AN AUCTION BASED ON OPEN-PLATFORM OF PUBLIC IN BANK}
본 발명은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한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가 확산되면서, 온라인상에서의 전자상거래가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상에서의 전자상거래는 오프라인 판매방법의 단순성을 탈피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전자상거래를 살펴보면, 크게 직접구매방법과 경매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접구매방법은 구매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쇼핑몰 사이트에서 특정 상품을 검색한 후, 판매자가 제시하는 상품의 가격과 판매조건을 선택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직접구매방법은 구매자가 해당 상품에 대하여 일정한 판매금액을 지불하기 때문에,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의 입장에서는 해당 상품의 판매금액을 낮추는 방법으로 경쟁 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판매자의 매출감소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구매자에게는 판매자에 대한 차별성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구매자와 판매자의 거래가 일회성에 그치게 되는 것이다.
경매방식은 다수의 구매자가 특정 상품에 대한 입찰가를 제시하고, 판매자가 입찰한 다수의 구매자 중 적어도 한 명의 구매자를 선택하여 낙찰시키는 방법이다. 경매방식은 크게 최고가를 선택하는 일반적인 경매방식, 최저가를 선택하는 역경매방식, 입찰수가 최소인 입찰가를 선택하는 방법, 중간 입찰가를 선택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매방식의 경우에는 구매자가 해당 상품의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낙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역경매방식의 경우에는 판매자의 매출감소 및 이로 인한 상품의 품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입찰수가 최소인 입찰가를 선택하는 방법과 중간입찰가를 선택하는 방법의 경우에도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매 방식은 낙찰자가 결정된 후 낙찰자가 등록한 계좌 내에 낙찰 금액만큼의 잔액이 없을 경우 재경매 절차 또는 낙찰자를 재선정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10557(2012.10.10. 공개)
본 발명은 경매 낙찰자의 계좌 노출 없이 사용자의 계좌 내 잔액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경매 낙찰자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만을 이용하여 경매 낙찰금을 사용자의 계좌에서 이체할 수 있는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와 고객의 실계좌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실계좌 정보와 인증 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단계;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오픈플랫폼 센터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상기 인증 정보에 매핑된 실계좌 정보를 기반으로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실계좌 정보에서 입금 계좌 번호로의 경매 낙찰금 출금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의 응답이 출금 불가 메시지인 경우, 경매 참여자 중 차순위 경매 낙찰자를 선정한 후 상기 인증 정보만을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의 응답이 출금 완료 메시지인 경우, 상기 경매 낙찰자를 최종 낙찰자로 선정한 후 경매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와 연동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 진행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출금 이체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매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응답으로 출금 완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금에 대한 출금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응답으로 출금 불가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금에 대한 잔액 부족 메시지를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상기 오픈플랫폼 센터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재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 핀테크 회사 정보 및 고객의 실계좌 정보를 전송받은 후 핀테크 이용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핀테크 이용키 및 고객의 실계좌 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단계; 핀테크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핀테크 이용키 및 인증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핀테크 이용키 및 인증 정보를 매핑시켜 등록시키는 단계;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상기 핀테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핀테크 관리 서버에서 상기 인증 정보에 매핑된 핀테크 이용키,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오픈플랫폼 센터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실계좌 정보를 기반으로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실계좌 정보에서 입금 계좌 번호로의 경매 낙찰금 출금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의 응답이 출금 불가 메시지인 경우, 경매 참여자 중 차순위 경매 낙찰자를 선정한 후 상기 인증 정보만을 수신하는 단계로 피드백하는 단계; 및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의 응답이 출금 완료 메시지인 경우, 상기 경매 낙찰자를 최종 낙찰자로 선정한 후 경매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상기 핀테크 이용키를 기반으로 출금 이체 서비스 진행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출금 이체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매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응답으로 출금 완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금에 대한 출금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응답으로 출금 불가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금에 대한 잔액 부족 메시지를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상기 핀테크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재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경매 낙찰자의 계좌 노출 없이 경매 낙찰자의 계좌 내 잔액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경매 낙찰자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잔액 부족에 의해 경매가 지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만을 이용하여 경매 낙찰금을 사용자의 계좌에서 이체할 수 있는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경매 서비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미도시됨)로 상호 연결되는 고객이 소지한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기(100), 핀테크 관리 서버(200), 오픈플랫폼 센터(300), 복수의 은행 서버(400) 및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기기로서,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됨)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이거나 웹 기반으로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팅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오픈플랫폼 센터(300)와의 연동을 통해 자신의 실계좌 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고객의 실계좌와 사용자가 이용 중인 핀테크 관리 회사의 정보를 전송하여 오픈 뱅킹 서비스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핀테크 이용키 및 인증 정보를 매핑시킨 정보를 등록시킴과 더불어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실계좌와 핀테크 이용키를 매핑시킨 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자신의 인증 정보의 전송을 통해 핀테크 이용키를 기반으로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오픈 뱅킹 서비스, 예컨대 출금 이체, 입금 이체, 계좌 조회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자신의 인증 정보 및 실계좌 정보만을 전송하여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인증 정보에 매핑된 실계좌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측 단말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사용자가 오픈플랫폼 센터(300)로부터 제공받은 핀테크 이용키를 매핑시켜 핀테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인증 정보를 이용한 입금 이체(포인트 충전), 출금 이체(포인트 환불) 서비스, 계좌 조회 등에 대한 요청이 사용자측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인증 정보에 매핑된 핀테크 이용키를 이용하여 오픈플랫폼 센터(300)와 연동하여 입금 이체, 출금 이체 및 계좌 조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서버, 예컨대,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부터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한 낙찰금 출금 이체, 계좌 조회 등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에 매칭된 핀테크 이용키를 기반으로 오픈플랫폼 센터(300)와 연동하여 경매 낙찰금 출금 이체 및 계좌 조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부터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및 입금 계좌번호(경매 낙찰금이 입금될 계좌번호)를 이용한 낙찰금 출금 이체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인증 정보에 매핑된 핀테크 이용키를 기반으로 오픈플랫폼 센터(300)와 연동하여 경매 낙찰자의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경매 낙찰자의 실계좌에서 입금 계좌번호로 경매 낙찰금을 이체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계좌 조회, 입금 이체, 출금 이체 등의 요청에 따라 핀테크 이용키를 이용하여 오픈플랫폼 센터(300) 내 각종 API를 호출하여 계좌 조회, 입금 이체 및 출금 이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출금 이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즉,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측 단말기(100)로부터 인증 정보, 출금 금액, 입금 계좌 번호(출금 금액이 입금될 은행의 계좌 번호) 등을 수신하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핀테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출금 이체를 요청한 고객의 핀테크 이용키를 추출한 후 고객의 핀테크 이용키, 출금 금액 및 입금 계좌 번호를 기반으로 출금 이체 서비스를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고객의 실계좌에서 해당 출금 금액을 출금한 후 정상 출금됨에 따라 입금 계좌번호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해당 출금 금액을 입금 계좌번호로 입금시킬 수 있다.
계좌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즉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부터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한 계좌 조회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에 매핑된 핀테크 이용키를 핀테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계좌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경매 낙찰자의 실계좌를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서 추출한 후 이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실계좌 내 잔액 정보를 제공받으며, 잔액 정보를 핀테크 관리 서버(200)를 통해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핀테크 관리 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오픈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 계좌 등록 모듈(320), 계좌 조회 모듈(330), 출금 이체 모듈(34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오픈플랫폼 센터(300) 내 각종 모듈들은 Open API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계좌 등록 모듈(320)은 고객의 실계좌를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측 단말기(100)의 오픈 뱅킹 서비스 등록 요청, 즉 실계좌 등록 요청에 따라 동작하는 API로서, 사용자측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고객의 실계좌 및 사용자가 이용 중인 핀테크 관리 회사의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고객의 실계좌 정보에 대응되는 은행 서버(400)와의 연동을 통해 고객의 실계좌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핀테크 이용키를 생성하여 사용자측 단말기(100)에 전송함과 더불어 핀테크 이용키와 고객의 실계좌를 매핑시켜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핀테크 이용키와 인증 정보(로그인 정보를 포함한 토큰)를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핀테크 이용키와 인증 정보를 핀테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오픈플랫폼 센터(300)와 연동하여 핀테크 이용키에 대한 검증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검증 완료 응답)을 기반으로 핀테크 이용키와 인증 정보를 핀테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계좌 조회 모듈(330)은 핀테크 이용키 기반으로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의해 호출되는 것으로서, 핀테크 이용키를 이용하여 계좌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동작하여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실계좌를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서 검색한 후 이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실계좌 내 계좌 내역 정보(예컨대, 잔액 정보)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계좌 내역 정보를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출금 이체 모듈(340)은 핀테크 이용키, 출금 금액 및 입금 계좌 번호를 기반으로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의해 호출되는 것으로서, 핀테크 이용키, 출금 금액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이용한 출금 이체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동작하여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실계좌를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서 검색한 후 이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실계좌에서 입금 금액을 출금시키며, 출금이 완료됨에 따라 출금된 입금 금액을 입금 계좌 번호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출금된 입금 금액을 입금 계좌 번호로 입금처리할 수 있다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 낙찰자 선정, 경매 낙찰자 확인, 경매 낙찰자 재선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핀테크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경매 낙찰자의 계좌 내역 정보를 조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경매 낙찰자 확인 및 재선정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가 사용자측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인증 정보를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경매 낙찰자의 실계좌에 대한 계좌 내역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계좌 내역 정보와 경매 낙찰가간의 비교를 통해 경매 낙찰자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비유효한 경우, 즉 경매 낙찰가 보다 계좌 내역 정보 내 잔액 정보가 적은 경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 낙찰자를 재선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전송하여 경매 낙찰금에 대한 입금 이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인증 정보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전송하여 경매 낙찰금에 대한 출금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 등을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과 더불어 인증 정보에 매핑된 경매 낙찰자의 실계좌 정보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경매 낙찰자의 실계좌에서 경매 낙찰금을 출금하여 입금 계좌 번호로 입금 처리하며, 경매 낙찰금의 출금이 완료됨에 따라 출금 완료 메시지를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매 참여자는 자신의 사용자측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인증 정보 및 실계좌를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전송하여 계좌 등록을 요청한다(S600). 이에 따라,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실계좌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실계좌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며, 검증 결과를 토대로 계좌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측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실계좌와 인증 정보를 매핑하여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 시작가, 경매 서비스 품목 등을 개시하여 경매 서비스를 오픈한다(S602).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경매 낙찰자가 선정되면(S604),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 낙찰자로 선정된 사용자측 단말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전송하여 경매 낙찰금에 대한 출금을 요청한다(S606).
이에 따라,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출금 요청에 따라 출금 이체 모듈(340)을 실행시켜 인증 정보에 매핑된 경매 낙찰자의 실계좌를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서 검색한 후 검색한 실계좌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실계좌에서 입금 계좌 번호로 출금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전송한다. 이때,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 진행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100)에 전송하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출금 이체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오픈플랫폼 센터(300)로부터 응답으로 출금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S608),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출할 수 있다(S610). 이때,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응답으로 출금 완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금에 대한 출금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오픈플랫폼 센터(300)로부터 응답으로 출금 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 참여자 중 차순위 경매 낙찰자를 선정한 후 차순위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인증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S612)하며,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S606으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매 참여자는 자신의 사용자측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인증 정보, 핀테크 관리 회사 정보 및 실계좌를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전송하여 계좌 등록을 요청한다(S700).
이에 따라,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실계좌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실계좌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 후 핀테크 이용키를 생성하며, 생성한 핀테크 이용키를 사용자측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와 더불어,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핀테크 이용키와 실계좌를 매핑하여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핀테크 이용키 및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킨다(S702). 구체적으로,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정보와 핀테크 이용키를 매핑하여 핀테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측 단말기(100)는 경매 참여 후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부터 경매 낙찰자 선정에 따른 인증 정보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인증 정보를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전송한다(S704).
이에 따라,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입금 계좌번호 등을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경매 낙찰금에 대한 출금을 요청한다(S706).
핀테크 관리 서버(200)는 인증 정보에 매핑된 핀테크 이용키를 핀테크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S708)한 후 핀테크 이용키,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번호를 오픈플랫폼 센터(300)에 전송하여 오픈플랫폼 센터(300) 내 출금 이체 모듈(340)을 호출함으로써, 출금 이체를 요청한다(S710).
이에 따라, 오픈플랫폼 센터(300)는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경매 낙찰자의 실계좌를 실계좌 데이터베이스(310)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실계좌를 관리하는 은행 서버(400)와 연동하여 실계좌에서 입금 계좌 번호로 출금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전송한다.
오픈플랫폼 센터(300)로부터 응답으로 입금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S712),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출할 수 있다(S714).
한편, 오픈플랫폼 센터(300)로부터 응답으로 입금 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경매 참여자 중 차순위 경매 낙찰자를 선정한 후 차순위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인증 정보를 요청(S716)한 후 S706으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의하면, 출금 불가 메시지가 수신된 후 차순위 경매 낙찰자를 바로 선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출금 불가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금에 대한 잔액 부족 메시지를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100)에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오픈플랫폼 센터(300) 또는 핀테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재요청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계좌번호 노출 없이 계좌 내 잔액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경매 낙찰자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였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사용자측 단말기
200 : 핀테크 관리 서버 210 : 핀테크 데이터베이스
300 : 오픈플랫폼 센터 310 : 실계좌 데이터베이스
320 : 계좌 등록 모듈 330 : 계좌 조회 모듈
340 : 출금 이체 모듈 400 : 은행 서버
500 :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 핀테크 회사 정보 및 고객의 실계좌 정보만을 전송받은 후 핀테크 이용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핀테크 이용키 및 고객의 실계좌 정보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단계;
    핀테크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핀테크 이용키 및 인증 정보만을 전송받은 후 상기 핀테크 이용키 및 인증 정보를 매핑시켜 등록시키는 단계;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상기 핀테크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핀테크 관리 서버에서 상기 인증 정보에 매핑된 핀테크 이용키,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오픈플랫폼 센터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핀테크 이용키에 매핑된 실계좌 정보를 기반으로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실계좌 정보에서 입금 계좌 번호로의 경매 낙찰금 출금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의 응답이 출금 불가 메시지인 경우에 경매 낙찰금에 대한 잔액 부족 메시지를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경매 낙찰자의 인증 정보, 경매 낙찰금 및 입금 계좌 번호를 상기 핀테크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출금 이체 서비스를 재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의 응답이 출금 완료 메시지인 경우, 상기 경매 낙찰자를 최종 낙찰자로 선정한 후 경매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플랫폼 센터에서 상기 핀테크 이용키를 기반으로 출금 이체 서비스 진행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출금 이체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매를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응답으로 출금 완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경매 낙찰금에 대한 출금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 정보이고,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경매 낙찰자의 사용자측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경매 서비스 제공 서버 측에 경매 낙찰자의 계좌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도 계좌 잔액 및 경매 낙찰자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2576A 2019-07-09 2019-07-09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4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576A KR102244850B1 (ko) 2019-07-09 2019-07-09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576A KR102244850B1 (ko) 2019-07-09 2019-07-09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76A KR20210006676A (ko) 2021-01-19
KR102244850B1 true KR102244850B1 (ko) 2021-04-27

Family

ID=7423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576A KR102244850B1 (ko) 2019-07-09 2019-07-09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8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24B1 (ko) * 2016-01-07 2018-09-11 주식회사 코밴 통합 핀테크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통합 핀테크 단말기 및 통합 핀테크 시스템
KR101984620B1 (ko) * 2018-09-21 2019-06-03 주식회사 애니링커 직불전자지급 플랫폼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64B1 (ko) * 2005-07-19 2007-06-20 한창수 부동산 입찰중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110557A (ko) 2011-03-29 2012-10-10 비씨카드(주) 경매 전용 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24B1 (ko) * 2016-01-07 2018-09-11 주식회사 코밴 통합 핀테크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통합 핀테크 단말기 및 통합 핀테크 시스템
KR101984620B1 (ko) * 2018-09-21 2019-06-03 주식회사 애니링커 직불전자지급 플랫폼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76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0987A1 (en) Cloud-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sumer financial data
KR20170056332A (ko) 비트코인을 이용한 오프라인 지불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995649A (zh) 标记化支付服务注册
KR20160136415A (ko) 가상 카드 값들을 사용하여 거래들을 수행하는 방법
CN105983236A (zh) 提供用户账户管理改进的交易平台的计算机系统和方法
AU20172742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shared transaction processing
US11610243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mputer automated assistance for disparate networks and internet interfaces
KR20190043117A (ko)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급 결제 서버
US11790333B2 (en) Tokenized data having split payment instructions for multiple accounts in a chain transaction
CN101388097A (zh) 虚拟网路游戏中虚拟宝物的网路交易方法及其系统
US20180047098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auctioning or trading bets
US20040068465A1 (en) Electric commerce credi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ic commerce system
US20150287114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of grouping buyer requests matching in combination with a seller offer
KR20150120134A (ko) 경매 방식의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11336A1 (en) Price negotiation from user device
KR102244850B1 (ko)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기반의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245614A1 (en) Augmented Reality Peer to Peer Payment System
US20190043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d services
KR20180036685A (ko) 호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94623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 구매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180490B1 (ko) 중고물품의 인증서를 이용한 중고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 시스템
KR20140055480A (ko) 네트워크를 통한 부동산 권리매매의 매물정보 등록 및 인증방법
CN104769628A (zh) 对于货币汇款的交易费用协商
KR20170090757A (ko) 개인간 거래시 판매자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86825A (ko) 그래픽 호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2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02

Effective date: 2021032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