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686B1 - 피부상태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상태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686B1
KR102244686B1 KR1020180093034A KR20180093034A KR102244686B1 KR 102244686 B1 KR102244686 B1 KR 102244686B1 KR 1020180093034 A KR1020180093034 A KR 1020180093034A KR 20180093034 A KR20180093034 A KR 20180093034A KR 102244686 B1 KR102244686 B1 KR 10224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lasticity
cam
senso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752A (ko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686B1/ko
Priority to PCT/KR2019/010030 priority patent/WO2020032660A1/ko
Publication of KR20200017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는 피부상태측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피부상태측정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 전에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캡;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 피부의 탄력을 측정하는 탄력센서; 및 일정한 압력으로 피부를 가압하면서 피부의 수분과 탄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분센서의 위치와 상기 탄력센서에 피부 탄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상태측정장치{SKIN CONDITION CHE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부상태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의 수분과 탄력을 측정하기 위한 피부상태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각종 센서가 사용되고 있는바, 피부의 건성 및 습성 상태를 판단하는 수분센서와, 피부의 탄력도를 피부의 누름 정도에 반응하는 것을 기초로 측정하는 탄력센서 등이 단일의 측정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피부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는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피부에 밀착하여 측정 장치를 누르는 힘에 따라 측정되는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 치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압력으로 수분센서를 피부에 가압하고 동시에 가압핀에 의해 피부의 탄력을 탄력센서로 전달함에 따라 피부의 수분 및 탄력에 대하여 균일한 측정 치를 획득할 수 있는 피부상태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 전에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캡;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 피부의 탄력을 측정하는 탄력센서; 및 일정한 압력으로 피부를 가압하면서 피부의 수분과 탄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분센서의 위치와 상기 탄력센서에 피부 탄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분센서를 일정한 속도로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수분센서가 고정되고 상기 탄력센서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가압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접촉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가동부재;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가동부재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양측에 대칭으로 한 쌍의 캠돌기가 형성된 캠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각 캠돌기에 캠접촉하는 한 쌍의 캠 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할 수 있다.
상기 탄력센서는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전에 접촉캡의 선단면을 측정하고자하는 부위의 피부에 밀착시킨 후, 가동부재를 전진시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수분센서와 가압핀이 피부를 가압하도록 하여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측정하고자하는 부위에 관계없이 대체로 균일한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 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가동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가동부재가 최대 돌출된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부재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캠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통해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위해 접촉캡을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가동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가동부재가 최대 돌출된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접촉캡(20)과,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센서(30)와, 피부의 탄력을 측정하기 위한 탄력센서(40)와,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수분센서(30) 및 탄력센서(40)를 피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모터(50), 가동부재(60), 캠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구동부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부(11, 도 3 참조)(인쇄회로기판과 이에 실장된 IC 칩 및 다수의 수동 및 능동 소자 등)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피부상태측정장치(1)를 온/오프하는 기능과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겸하는 작동버튼(12)과, 측정된 피부의 수분량 및 탄력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3)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버튼(12)과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캡(20)은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 시 피부에 밀착되는 선단면(23)을 구비할 수 있다. 선단면(23)은 대략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전에 피부에 대하여 수분센서(30) 및 탄력센서(40)를 항상 일정한 위치로 세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부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로 세팅된 수분센서(30) 및 탄력센서(40)는 구동부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피부에 밀착하도록 전진하여 수분 및 탄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접촉캡(20)은 선단면(23)에 가동부재(60)가 접촉캡(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21)이 형성된다.
수분센서(30)는 가동부재(60)의 선단부에 고정됨에 따라 가동부재(60)와 함께 전진 및 후진한다. 수분센서(3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분센서(30)는 습도를 측정하는 통상의 습도센서일 수 있다.
수분센서(30)는 피부에 접촉하는 면이 가동부재(60)의 선단면에 일치하도록 배치되거나, 가동부재(60)의 선단면을 기준으로 약간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핀(41)은 선단이 가동부재(60)의 선단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위해 접촉캡(20)을 피부에 밀착시키는 경우, 도 8과 같이 가압핀(41)의 선단은 피부(80)를 압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핀(41)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가압핀(41)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가압핀(41)은 제1 탄성부재(43)를 통해 본체(10)의 지지부(18)에 고정된 탄력센서(40)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가압핀(41)은 제1 탄성부재(43)에 의해 가동부재(60)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경우, 가압핀(41)은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스톱퍼(41a)에 의해 가동부재(60)의 결합구멍(6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탄력센서(40)는 가동부재(60)가 전진하여 피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때 가압핀(41)이 피부에 의해 가동부재(60)의 후진 방향으로 밀릴 때 제1 탄성부재(43)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측정되는 압력이 피부의 탄력도가 된다. 제1 탄성부재(43)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이 가압핀(41)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탄력센서(40)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탄력센서(40)는 통상의 로드셀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선단에 형성된 공간부(14)와 접촉캡(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5)는 구동부를 배치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동부는 수분센서(30) 및 탄력센서(40)를 일정한 거리로 전진 및 후진하기 위한 구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50), 가동부재(60) 및 캠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0)는 몸체(10)에 형성된 고정홈(15)에 후단부가 결합된다. 모터(50)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스텝핑 모터일 수 있다. 모터(50)는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회전축(51)을 구비한다. 회전축(51)에는 회전축(51)과 함께 정회전하는 캠부재(70)가 결합될 수 있다.
가동부재(60)는 선단부에 각각 수분센서(30)가 결합되고 가압핀(4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동부재(60)는 접촉캡(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위치(도 3 참조)와, 접촉캡(20)의 관통구멍(21)을 통해 일부분이 접촉캡(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도 4 참조)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부재(60)는 제2 및 제3 탄성부재(64,65)에 의해 본체(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탄성부재(64)는 일단이 가동부재(6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리브(61)의 결합돌기(61a)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의 제1 고정돌기(16)에 결합된다. 제3 탄성부재(65)는 일단이 가동부재(6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제2 지지리브(62)의 결합돌기(62a)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의 제2 고정돌기(17)에 결합된다. 제2 및 제3 탄성부재(64,65)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리브(61,62)는 제2 및 제3 탄성부재(64,65)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부분이면서 동시에, 가동부재(60)가 접촉캡(20)의 관통구멍(21)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가동부재(60)는 도 4와 같이 캠부재(20)에 의한 구속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서 제2 및 제3 탄성부재(64,65)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제1 및 제2 지지리브(61,62)가 접촉캡(20)의 내면에 접하는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동부재(60)의 제2 위치는 접촉캡(20)으로부터 최대한 돌출된 위치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부재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동부재(60)는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는 캠부재(70)의 제1 및 제2 캠돌기(73,74)에 각각 캠 접촉되어 캠부재(70)의 회전에 따라 가동부재(60)가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와 제1 및 제2 캠돌기(73,74) 간의 연동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 경우, 가동부재(60)의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와 캠부재(70)의 제1 및 제2 캠돌기(73,74)는 모터(50)의 회전력을 가동부재(60)의 직선 운동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에 해당할 수 있다.
가동부재(60)는 제2 캠팔로워(67)에 인접한 위치에 가압핀(4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구멍(63)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캠부재(7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캠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캠부재(7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모터(50)의 회전축(51)이 결합되는 결합구멍(71)이 형성된다. 회전축(51)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면이 형성되며, 결합구멍(71)은 회전축(5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캠부재(70)는 회전축(51)이 회전할 때 회전축(51)과 함께 회전축(5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양측 외주면에 대칭으로 제1 및 제2 캠돌기(73,7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캠돌기(73,74)는 양측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이격된 간격은 가동부재(60)의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캠부재(70)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가 캠부재(70)의 제1 및 제2 캠돌기(73,74)와 캠 접촉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캠 접촉이 해제되는 상태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가 제1 및 제2 캠돌기(73,74) 사이로 통과하여 가동부재(60)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이다.
제1 캠돌기(73)는 가동부재(60)의 제1 캠팔로워(66)와 캠 접촉되는 수평면(73a) 및 경사면(7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73b)은 과 수평면(73a)의 양측에 각각 대칭이 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캠돌기(73)의 수평면(73a)과 가동부재(60)의 제1 캠팔로워(66)가 서로 캠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가동부재(60)가 접촉캡(20)의 관통구멍(21)으로부터 접촉캡(20)의 내측방향으로 가장 멀리 배치된 제1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부재(60)는 제1 위치에서 제2 및 제3 탄성부재(64,65)에 의해 가장 큰 탄성력으로 탄력 지지된다.
가동부재(6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캠부재(7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캠팔로워(66)는 제1 캠돌기(73)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한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60)는 제2 위치를 향해 전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캠부재(7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캠팔로워(66)는 제1 캠돌기(73)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한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60)는 다시 제1 위치를 향해 후진하게 된다.
제2 캠돌기(74)는 제1 캠돌기와 마찬가지로 제2 캠팔로워(67)가 캠 접촉하는 수평면(74a)과 한 쌍의 경사면(74b)을 가질 수 있다. 제2 캠돌기(74)와 제2 캠팔로워(67)는 캠부재(70)의 정회전 및 역회전 시 제1 캠돌기(73)와 제1 캠팔로워(66) 간의 연동과 동일하게 연동한다.
이와 같은 캠 구조 하에서, 가동부재(60)는 구동모터(50)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 가동부재(60)가 일정한 속도로 전진 및 후진하게 되면, 수분센서(30)와 가압핀(41)은 피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어, 피부의 수분량과 탄력도에 대한 균일한 측정 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직전에 도 8과 같이 접촉캡(20)의 선단면(23)이 피부(8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피부의 측정 부위에 대하여 수분센서(30)와 가압핀(41)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세팅될 수 있다. 또한, 접촉캡(20)이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측정 부위의 경도에 따라(예를 들면, 볼에 비해 이마의 경도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또는 피측정자의 서로 상이한 피부 상태에 따라 측정 치의 큰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캠 구조 하에서는 구동모터(50)가 정회전 후 역회전하지 않고 한방향으로만 회전하더라도 가동부재(60)는 일정한 속도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위해, 접촉캡(20)의 선단면(23)을 측정하고자하는 부위의 피부(80)에 밀착시킨다. 이 경우, 가동부재(60)는 도 3과 같이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정 부위의 경도에 따라 가압핀(41)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측정 부위가 얼굴의 볼이라면 가압핀(41)이 후진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피부를 가압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측정 부위가 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딱딱한 이마라면 가압핀(41)은 소정 거리 후진 방향으로 밀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캡의 선단면(23)을 피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작동버튼(12)을 눌러 모터(50)가 정회전(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캠부재(70)가 회전축(51)과 함께 소정 각도로 정회전(또는 역회전)한다.
이때 가동부재(60)의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는 가동부재(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제2 및 제3 탄성부재(64,65)에 의해 캠부재(70)의 제1 및 제2 캠돌기(73,74)에 캠 접촉 상태로 슬라이딩 한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60)는 전진하여 접촉캡(20)의 관통구멍(21)을 통과하면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접촉캡(20)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된다.
이 경우 가동부재(60)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함에 따라 수분센서(30)가 피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면서 피부의 수분을 측정할 수 있다. 수분센서(30)는 수분 측정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가압핀(41)은 가동부재(60)가 피부를 가압할 때 피부에 의해 눌리면서 가동부재(60)의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43)를 통해 탄력센서(40)에 소정의 하중을 전가한다. 이때 탄력센서(40)로 전달되는 하중은 측정되는 피부의 탄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탄력센서(40)는 탄력 측정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11)는 수분센서(30)와 탄력센서(40)로부터 각각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측정 치를 디스플레이 패널(13)로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부(11)가 모터(50)를 역회전(또는 정회전) 구동하면, 가동부재(60)는 캠부재(70)가 역회전(또는 정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캠팔로워(66,67)가 캠부재(70)의 제1 및 제2 캠돌기(73,74)와 캠 접촉하여 후진하여 원위치인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상태측정장치(1)는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하기 전에 접촉캡(20)의 선단면(23)을 측정하고자하는 부위의 피부에 밀착시킨 후, 가동부재(60)를 전진시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수분센서(30)와 가압핀(41)을 피부를 가압함에 따라 피부의 수분 및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하고자하는 부위에 관계없이 대체로 균일한 측정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 20: 접촉캡
30: 수분센서 40: 탄력센서
41: 가압핀 50: 모터
60: 가동부재 66, 67: 캠팔로워
70: 캠부재 73, 74: 캠돌기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측정 전에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캡;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
    피부의 탄력을 측정하는 탄력센서; 및
    일정한 압력으로 피부를 가압하면서 피부의 수분과 탄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분센서의 위치와 상기 탄력센서에 피부 탄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수분센서가 고정되고 상기 탄력센서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가압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접촉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가동부재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핀은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스톱퍼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의 결합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압핀의 선단이 상기 가동부재의 선단면보다 돌출되며, 상기 스톱퍼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탄력센서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통해 피부의 탄력을 상기 탄력센서로 전달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양측에 대칭으로 제1 및 제2 캠돌기가 형성된 캠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캠 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캠돌기는 각각, 수평면 및 경사면이 양측에 대칭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캠 팔로워가 상기 제1 및 제2 캠돌기에 캠접촉함에 따라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분센서를 일정한 속도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측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센서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측정장치.
KR1020180093034A 2018-08-09 2018-08-09 피부상태측정장치 KR10224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34A KR102244686B1 (ko) 2018-08-09 2018-08-09 피부상태측정장치
PCT/KR2019/010030 WO2020032660A1 (ko) 2018-08-09 2019-08-09 피부상태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34A KR102244686B1 (ko) 2018-08-09 2018-08-09 피부상태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52A KR20200017752A (ko) 2020-02-19
KR102244686B1 true KR102244686B1 (ko) 2021-04-26

Family

ID=6941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34A KR102244686B1 (ko) 2018-08-09 2018-08-09 피부상태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4686B1 (ko)
WO (1) WO20200326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161A (ko) 2021-08-25 2023-03-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피부 수분 센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모니터링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727A (ja) * 2007-12-27 2009-07-16 Kao Corp 皮膚性状測定用多機能プローブ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212A (ja) * 2003-08-05 2005-03-03 Axiom Co Ltd 肌センサ
KR100979886B1 (ko) * 2008-06-18 2010-09-02 이종대 피부상태 측정용 센싱장치
KR20100058033A (ko) * 2008-11-24 2010-06-03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피부 촉감 측정 장치용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촉감 측정 장치
JP5791046B2 (ja) * 2011-12-09 2015-10-07 花王株式会社 肌状態測定装置及びその保護キャップ並びにその照度較正方法
KR20140025211A (ko) * 2012-08-22 2014-03-04 (주)어메이징그레이스 진동식 화장용 터치장치
KR20150143063A (ko) * 2014-06-13 2015-12-23 박진남 피부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727A (ja) * 2007-12-27 2009-07-16 Kao Corp 皮膚性状測定用多機能プロー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161A (ko) 2021-08-25 2023-03-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피부 수분 센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모니터링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52A (ko) 2020-02-19
WO2020032660A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9161B2 (en) On-vehicle display apparatus
KR102244686B1 (ko) 피부상태측정장치
EP2767444A1 (en) Switch device
US11532918B2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insertion depth of terminal of cable connector
EP2803997A1 (en) Strip ejection system
JP2007007092A5 (ko)
US9939403B2 (en) Blood analysis meter
US20140021975A1 (en) Automatic Aligning Apparatus
KR100573547B1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JP2020515814A5 (ko)
KR101855249B1 (ko) 수평방향 사이드 컨택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CN103705250B (zh) 用于采集血样的采血装置
CN203780051U (zh) 一种打印装置
PL204413B1 (pl) Śruba pociągowa urządzenia do podawania leków
KR102443002B1 (ko)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기
RU2733104C2 (ru)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поверхности тела валка
KR10132210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를 가지는 반도체 검사장치
JP2007059074A (ja) 入力装置
US10017161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13071917A (zh) 电控夹爪和光学元件组装设备
JP6303930B2 (ja) コネクタ装置
US20220323010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US20060270925A1 (en) Tonometer apparatus
KR101717437B1 (ko) 휠의 체결 구조 및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체결 구조
JP2000060810A (ja) 頸動脈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