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067B1 -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067B1
KR102244067B1 KR1020190026330A KR20190026330A KR102244067B1 KR 102244067 B1 KR102244067 B1 KR 102244067B1 KR 1020190026330 A KR1020190026330 A KR 1020190026330A KR 20190026330 A KR20190026330 A KR 20190026330A KR 102244067 B1 KR102244067 B1 KR 10224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user
exchange
remittance
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343A (ko
Inventor
김태현
최영림
Original Assignee
김태현
최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현, 최영림 filed Critical 김태현
Priority to KR102019002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0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제 송금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국가에서 통용되는 법정화폐를 온라인을 통해 즉시 단시간 내 송금할 수 있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국가에서 해당국의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 및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환전시 화폐가치를 고정하여 환전하는 암호화폐 환전소를 지점으로 운영함과 아울러, 두 암호화폐 운영측 지점간 암호화폐를 현재 법정화폐의 환율에 고정하여 환전하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함으로써, 송금측이 자신의 국가에서 통용되는 제1 법정화폐를 제1 지점 암호화폐 운영사를 통해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를 거쳐 수취측의 국가에서 운영되는 제2 지점 암호화폐 운영사로 환전, 송금 및 재환전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취측의 국가에서 통용되는 제2 법정화폐로 입금함으로써, 서로 다른 국가간 법정화폐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서로 다른 국가의 수취인에게 송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INTERNATIONAL REMITTANCE SYSTEM BASED ON FIXED VALUE TYPE CRYPTO CURRENC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국제 송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국가에서 통용되는 법정화폐를 온라인을 통해 즉시 단시간 내 송금할 수 있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제송금이란 국내에서 해외 또는 해외에서 국내로 금융기관 등을 통해 현지의 법정화폐를 타국으로 송금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서비스 중인 국제송금방식으로는 SWIFT송금, 송금수표나 우체국의 국제환 및 국제지로 등이 있으며, 이중 가장 대표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SWIFT송금의 경우에는 대부분 은행에서 전신료와 7천원 ~ 3만원 가량의 송금 수수료 및 1만원 정도의 수취 수수료 등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SWIFT송금 방식에 의하면 수수료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실제 수취자가 출금하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수료도 많이 발생하게 되며, 송금시 필요한 정보를 수취측에서도 제공해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수취인측의 금융기관 명칭, SWIFT코드, 금융기관의 주소, 계좌번호,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송금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최소 세시간에서 최대 이틀, 혹은 언제 송금될지 알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송금의 가장 큰 문제점은 크게 높은 수수료와 오랜 송금시간의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국내 은행 중, 국민은행의 경우에는 외화 당일 발송 수수료의 경우 총 세 가지인 전신료, 송금수수료 및 외환수수료가 적용되며, 인터넷 뱅킹 방식으로는 송금 시 최소 8,000원에서 최대 10,000원의 금액이 수수료로 발생할 수 있다. 적은 금액을 송금하고자 할 때는 물론이고, 큰 금액을 송금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수수료는 사용자에게 있어 충분히 부담으로 작용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당일발송이라 하더라도, 당일에 바로 송금되는 것이 아니라 영업일 기준 최소 1 영업일에서 5 영업일 정도의 기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7848호(공고일자: 18.10.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그 가치가 법정화폐에 고정된 가치 고정형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매개로 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서로 다른 국가에서 통용되는 법정화폐를 송금할 수 있는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제1 국의 송금자가 법정화폐를 제2 국의 수취자에게 송금하도록 하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는 상기 제1 국의 송금자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법정화폐에 의해 고정 가치로 환전된 제1 암호화폐를 상기 제2 국의 수취자로의 송금을 요청받는 송금 요청부, 제1 암호화폐 및 제2 암호화폐를 포함하는 복수의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중앙 전자지갑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송금 요청된 제1 암호화폐가 상기 중앙 전자지갑에 입금되면, 현재 환율에 따라 제2 암호화폐로의 환전절차를 수행하여 입금된 제1 암호화폐와 동일가치의 제2 암호화폐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송금하는 환전절차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각각 송금자 및 수취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제1 및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 및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과 연동하여 환전 및 송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법정화폐와 제1 암호화폐간, 또는 제2 암호화폐와 제2 법정화폐간 환전절차를 수행하는 환전부, 사용자의 금융계좌에 연계되어, 상기 제1 법정화폐의 환전시 제1 법정화폐를 제1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의 입금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수취시 제2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부터 수취절차를 수행하는 금융계좌 연동부 및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송금시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을 제어하여 잔액 내 제1 암호화폐를 상기 중앙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송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로부터, 회원 등록된 수취자의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회원 리스트를 수신 및 사용자 단말상에 표시하는 회원 리스트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금융기관에 등록된 제1국 운영측 금융계좌에 제1 법정화폐가 수취되면, 제1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1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제1국 운영측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금융기관에 등록된 제2 국 운영측 전자지갑에 제2 암호화폐가 수취되면, 제2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2 법정화폐로 환전 및 제2 사용자측 금융계좌에 입금하고, 수취된 제2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제2 국 운영측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는, 사용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국 및 제2 국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회원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금요청에 포함된 수취자를 판단하고 상기 수취자의 사용자측 전자 지갑 주소를 추출하는 수취자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방법은, 제1 국의 송금자가 법정화폐를 제2 국의 수취자가 수취하도록 하는 국제 송금 방법으로서, 제1 국 운영측 서버가 송금자측 금융계좌로부터 제1 법정화폐가 입금됨에 따라, 상기 제1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1 암호화폐를 발행 및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이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의 중앙 지갑에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입금하는 단계,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가 중앙 지갑에 입금된 제1 암호화폐를 현재 환율에 따라, 제2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단계,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가 환전된 지갑의 제2 암호화폐를 환전된 액수만큼 제2 사용자측 전자 지갑에 입금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측 전자 지갑의 잔액 내에서 제2 암호화폐를 제2 국 운영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단계 및 제2 국 운영측 서버가 입금된 제2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2 법정화폐 제2 사용자측 금융계좌에 입금하고,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의 중앙 지갑에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입금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법정화폐와 제1 암호화폐간 환전절차를 수행하되, 연계된 사용자의 금융계좌로부터 제1 법정화폐를 제1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로부터, 회원 등록된 수취자의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회원 리스트를 수신 및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회원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수취자의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국가에서 해당국의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 및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환전시 화폐가치를 고정하여 환전하는 운영사와 아울러, 두 암호화폐 간 암호화폐를 현재 법정화폐의 환율에 고정하여 환전하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함으로써, 송금측이 자신의 국가에서 통용되는 제1 법정화폐를 제1 지점 운영사를 통해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를 거쳐 수취측의 국가에서 운영되는 제2 지점운영사로 환전, 송금 및 재환전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취측의 국가에서 통용되는 제2 법정화폐로 입금함으로써, 서로 다른 국가간 법정화폐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서로 다른 국가의 수취인에게 송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의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에 의한 국제 송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각 국가에서 통용되는 가치 고정형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하여 입금, 송금 등과 같은 금융활동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상기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전자지갑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100, 300)과, 각 국가별로 운영되고,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해당 국가의 법정화폐와 동일한 고정된 가치를 갖는 국가별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사용자측의 요청에 따라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 또는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환전하는 운영측 서버(200, 400)와, 각 국가의 운영측 서버(200, 400)와 연동하여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국가간 송금을 중개하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치 고정형 암호화폐 시스템에 의해 발행 및 유통되는 암호화폐 플랫폼으로는 일반인들이 실생활에서 송금, 결제 등에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네트워크 속도가 빠른 스케일링(scaling)이 가능한 분산화 호스팅 블록체인 플랫폼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서 빠른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방식을 체택한 공지의 상용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인 EOS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300)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금융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측 전자지갑이 설치 및 실행되는 단말기이다. 각 사용자 단말(100, 300)은 전자지갑에 기록된 잔액만큼 암호화폐를 보관 및 송금할 수 있으며, 상품 및 서비스 구매시 업체의 전자지갑으로 암호화폐를 송금하는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 300)은 환전요청에 따라 법정화폐에 대응하는 금액의 암호화폐를 사용자측 전자지갑을 통해 수취할 수 있고, 사용자측 전자지갑의 암호화폐를 운영측 서버(200, 400)의 각 운영측 전자지갑에 송금함으로써 법정화폐로 환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 단말(100, 3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금융기관 서버(미도시)와 연결되어 개설된 사용자측 금융계좌에 대한 송금 등의 금융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측은 법정화폐를 운영측 금융계좌에 송금함으로써 그 가치에 준하는 암호화폐로 환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 3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국에서 운영되며 제1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 결제 등에 이용하고자 하고, 특히 제1 법정화폐를 본 발명의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를 통해 제2 국의 수취자가 제2 법정화폐로 수취할 수 있도록 송금하는 송금자의 단말을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국의 수취자가 제1 국의 송금자가 송금한 제1 법정화폐를 제2 법정화폐로 환전 및 이용하는 수취자의 단말을 제2 사용자 단말(300)로 구분한다.
운영측 서버(200, 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발행 및 유통하고, 이종화폐간 환전소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국가마다 설치되어 해당 국가의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갖는 암호화폐를 발행, 환전 및 유통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측 서버(200, 400)는 암호화폐를 이용하거나 환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측에서 환전하고자 하는 암호화폐량 만큼의 법정화폐를 운영측 금융계좌에 입금하면, 이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입금된 법정화폐를 예치하고, 그 입금액에 해당하는 가치의 암호화폐를 발행하여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송금할 수 있다.
또한, 운영측 서버(200, 400)는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환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측에서 운영측 전자지갑에 암호화폐를 입금하면, 이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입금량에 해당하는 가치의 법정화폐를 사용자측 금융계좌에 송금하고, 입금된 암호화폐를 회수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운영측 서버(200, 400)는 예치금 액수를 포함한 암호화폐 발행내역을 온라인 상에 게시하여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공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국에서 운영되며 제1 법정화폐와 제1 암호화폐간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1 국 운영측 서버(200) 및 제2 국에서 운영되며 제2 암호화폐와 제2 법정화폐간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2 국 운영측 서버(400)로 구분한다.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특정 국가에서 운영되는 것이 아닌, 모든 운영측 서버(200, 400)들과 연동하여 운영되며, 이에 따라 각 국의 모든 암호화폐를 처리할 수 있는 중앙 전자지갑을 탑재하고 있고, 두 국가간 제1 암호화폐 및 제2 암호화폐를 중앙에서 환전하여 제1 국의 사용자가 제2 국의 사용자측으로 국제 송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회원 등록된 수취자의 사용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저장하고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송금 요청시 회원 리스트를 제공받아 수취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사용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외우고 있지 않아도 용이하게 수취자를 식별 및 송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측 서버(200, 400) 및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로는 다수의 환전요청 및 트랜잭션에 처리에 지연없이 실시간으로 응답하기 위해, 고성능 마이크로 프로세서, 대용량 메모리 및 저장소가 탑재된 서버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종래의 알려진 암호화폐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국제 송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 송금 시스템은 블록체인(Block chain) 플랫폼의 빠른 속도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의 신뢰도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컴퓨팅 기술기반의 데이터 대변 방지 기술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분산 데이터 저장기술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란 블록체인 기반으로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및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 블록체인 2.0이라고도 하며, 1994년 닉 자보(Nick Szabo)가 처음 제안하였고 2013년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비트코인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대금결제, 송금 등 금융거래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계약을 처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장하면서 널리 확산되었다.
기존의 가상화폐는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실물자산과의 연동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정책에 기반한다.
스테이블 코인이란, 기존의 화폐 또는 실물자산과 연동시켜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를 뜻한다. 기존의 암호화폐는 그 가치의 변동폭이 매우 큰 반면 스테이블 코인은 안정적인 가격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는 크게 법정화폐 담보형(Fiat-Collateralized Stablecoin), 암호자산 담보형(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 그리고 무담보형(Non-Collateralized Stablecoin),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된다.
스테이블 코인은 안정적인 코인의 발행과 가치 보증을 위해 중앙화된 운영기관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이 가치 변동성 암호화폐의 해결방법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시세 변동 문제가 해결함으로써 기존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때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빠르고 저렴한 수수료로 해외 송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전술한 스테이블 코인 정책 중,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평가받는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정책이 적용될 수 있다.
법정화폐 담보형이란, 특정한 회사 또는 기관이 본인 계좌에 달러, 유로, 위안 등의 법정 화폐를 담보로 예치해두고 그 양에 해당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1 달러(USD)와 1:1 비율로 환전할 수 있는 토큰을 발행한다. 사용 방법은 스테이블 코인을 운영기관에 전달하고 법정화폐로 환전 받는다. 또한 운영기관은 항상 정해진 환율에 따라 암호화폐와 법정화폐를 환전해준다.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거래를 하면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가격 변동에 의한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거래소에서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이 요동치더라도, 운영기관을 통하면 보편적인 가치(1USD)를 인정받을 수 있다. 상용화된 법정화폐 담보형 암호화폐로는 Tether 및 True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치 고정형 암호화폐 시스템은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정책을 적용하되, 각 국가별 법정화폐 및 암호화폐를 별도로 운영함에 따라, 두 국가간 국제 송금시 암호화폐의 환율은 두 국가의 현재 법정화폐의 환율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및 제2 국의 사용자들의 모든 단말을 가리키는 것으로, 특히 그 구성요소로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고, 읽기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송금자 및 수취자가 각각 소지한 단말로서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사용자측 전자지갑(110) 및 그 사용자측 전자지갑(110)과 연동하여 환전 및 송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은 각 국가에서 유통되는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는 각 국가의 법정화폐와 동일 가치를 가짐에 따라, 각 국가에서 이용되는 암호화폐의 종류 및 가치는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 암호화폐 플랫폼(600)에 기반하여 발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150)의 제어에 따라, 각 국가의 운영측 서버에 잔액 내 암호화폐를 입금함으로써 법정화폐로 환전할 수 있다. 또한, 수취인의 입장에서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에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로부터 암호화폐가 입금되면 그 암호화폐량이 기록되고, 이는 상거래 및 환전 등에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50)은 전술한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을 제어하여 이용한 입금 및 송금 등의 암호화폐를 이용한 금융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어플리케이션(150)은 사용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15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법정화폐와 제1 암호화폐간, 제2 암호화폐와 제2 법정화폐간 환전절차를 수행하는 환전부(152), 사용자의 금융계좌에 연계되어, 제1 법정화폐 환전시 제1 법정화폐를 제1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의 입금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수취시 제2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부터 수취절차를 수행하는 금융계좌 연동부(154) 및 제1 암호화폐의 송금시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을 제어하여 잔액 내 제1 암호화폐를 중앙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송금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1)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하는 UI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송금자의 경우, 송금자는 송금액 및 수취자를 입력하여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에 기록된 제1 암호화폐를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에 입금함으로써 송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취자의 경우, 환전액을 입력하여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에 기록된 제2 암호화폐를 제2 국 운영측 서버에 입금함으로써 환전을 수행할 수 있다.
환전부(152)는 입력부(151)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내용에 따라, 해당 국가의 운영측 서버에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영측 서버는 소정의 금융기관에 운영측 금융계좌가 개설되어 있고, 환전부(152)는 사용자측 금융계좌의 법정화폐 잔액내에서 운영측 금융계좌로 환전액을 송금함으로써 운영측 서버에 환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환전기능은 사용자측의 금융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실행되거나, 혹은 별도의 계좌이체 방식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금융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환전을 실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150)은 금융계좌 연동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융계좌 연동부(154)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한 자신의 금융계좌와 연동하여 입출금, 잔액확인 등의 기능을 실행 요청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별도로 설치되는 해당 금융기관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해당 금융기관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이후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금부(156)는 사용자의 입금액 및 수취자에 대한 입력에 따라,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기록된 제1 암호화폐를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측 서버(500)에 입금함으로써, 암호화폐간 환전 및 수취자의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제2 암호화폐를 송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50)은, 제1 국의 송금자가 제1 법정화폐를 제2 국의 수취자에게 송금하고자 할 때, 우선 제1 법정화폐를 제1 운영측 서버를 통해 제1 암호화폐로 환전하여 사용자측 전자지갑(110)에 기록하고, 이어서 제1 암호화폐를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의 중앙 전자지갑에 입금함으로써,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가 제1 암호화폐를 제2 암호화폐로 환전하고, 환전된 제2 암호화폐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송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송금부(156)는 입력부(151)로부터 제1 암호화폐의 송금액뿐만 아니라, 수취인의 사용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입력받아야 한다. 그러나, 전자지갑 주소는 '0x19f08329401ba9e43e90cd6285e13f8aafd2e031'과 같이 의미없는 무작위의 문자숫자 조합의 형태를 가짐에 따라 송금인이 기억 및 입력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은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로부터 본 발명의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사용자들의 전자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회원 리스트를 제공하는 회원 리스트 제공부(15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송금자는 회원 리스트에서 원하는 사용자를 선택하여 수취자로 설정하고 송금을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어플리케이션(150)을 통해 수행되는 환전 및 송금절차는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되어 제1 법정화폐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폐의 송금절차까지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서로 다른 국가 및 법정화폐에 대하여 암호화폐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 가치로 환전 및 송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의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의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가 서로 다른 법정화폐를 이용하는 제1 국과 제2 국에 각각 살고 있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간의 송금절차를 수행하는 예를 통해 그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제1 국의 송금자의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1 법정화폐에 의해 고정 가치로 환전된 제1 암호화폐를 제2 국의 수취자로의 송금을 요청받는 송금 요청부(510), 제1 암호화폐(551) 및 제2 암호화폐(552)를 포함하는 복수의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중앙 전자 지갑(550),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송금 요청된 제1 암호화폐(551)가 중앙 전자 지갑(550)에 입금되면, 현재 환율에 따라 제2 암호화폐(552)로 환전절차를 수행하여 입금된 제1 암호화폐(551)와 동일가치의 제2 암호화폐(552)를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송금하는 환전절차 처리부(560), 회원 데이터 베이스(580)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금요청에 포함된 수취자를 판단하고 수취자의 사용자측 전자 지갑 주소를 추출하는 수취자 판단부(570) 및 사용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국 및 제2 국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 베이스(5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금융기관에 등록된 제1국 운영측 금융계좌에 제1 법정화폐가 수취되면, 제1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1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제1국 운영측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은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금융기관에 등록된 제2국 운영측 전자지갑(450)에 제2 암호화폐가 수취되면, 제2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2 법정화폐로 환전 및 제2 사용자측 금융계좌에 입금하고, 수취된 제2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제2국 운영측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국 운영측 서버(200) 및 제2 국 운영측 서버(400)는 해당 국가에서 각각 통용되는 제1 암호화폐 및 제2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제1 운영측 전자지갑(250) 및 제2 운영측 전자지갑(450)을 포함할 수 있다.
송금 요청부(510)는 제2 국의 사용자에게 소정금액을 송금하고자 하는 제1 국의 사용자가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제2 사용자측으로의 송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전자 지갑(550)은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가 환전 및 송금을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된 각 국가의 암호화폐의 보유량이 기록될 수 있다. 암호화폐는 국가별 서로 다른 법정화폐에 대응하여 n(n은 자연수)개의 종류가 이용될 수 있고, 중앙 전자 지갑(550)은 제n 암호화폐가 기록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법정화폐를 송금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우선 자신이 보유한 제1 법정화폐를 제1 국 운영측 서버(200)를 통해 동일 가치의 제1 암호화폐(551)로 환전한 뒤,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에 입금하여 제2 암호화폐(552)로 변환하여 제2 사용자측으로 송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중앙 전자 지갑(550)에는 모든 제n 암호화폐를 취급해야 한다.
환전절차 처리부(56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중앙 전자 지갑을 제어하여 제1 사용자가 입금한 제1 암호화폐(551)를 제2 암호화폐(552)로 환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국과 제2 국은 통용되는 법정화폐들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그와 가치가 동일한 암호화폐들 또한 각 국가마다 별도로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환전절차 처리부(560)는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의 환전시, 그 교환비로서 공시된 두 국가의 법정화폐의 환율정보에 기초하여 환전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환전절차 처리부(560)는 전술한 송금 요청부(510)를 통해 수취자를 특정하고, 자신의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저장된 제1 암호화폐(511)를 중앙 전자 지갑(550)에 입금하게 된다.
수취자 판단부(57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취자측에 제1 암호화폐의 송금을 요청 받으면, 회원 데이터 베이스(580)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참조하여 그 요청내용에 따라 수취자를 특정하고, 그의 수취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전절차 처리부(560)는 환전된 제2 암호화폐(552)를 판단된 수취자측 전자지갑 주소로의 입금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데이터 베이스(5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회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각 국가에서 운영중인 운영측 서버에 미리 회원 등록하고, 사용자측 전자지갑을 발급받아야 하며, 그 회원정보를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에 전송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회원정보에는 사용자명, 계정명, 사용자측 금융계좌 번호 및 사용자측 전자지갑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 데이터 베이스(580)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설정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에 의한 국제 송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제1 국의 송금자가 제1 법정화폐를 제2 국의 수취자에게 제2 법정화폐를 송금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에 의한 국제 송금 방법은, 제1 국 운영측 서버(200)가 송금자측 금융계좌로부터 제1 법정화폐가 입금됨에 따라(S100), 제1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1 암호화폐를 발행 및 송금자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단계(S110),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의 중앙 지갑에 제1 암호화폐를 입금하는 단계(S210),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가 중앙 지갑에 입금된 제1 암호화폐를 현재 환율에 따라, 제2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단계(S220),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가 환전된 지갑의 제2 암호화폐를 환전된 액수만큼 수취자측 전자 지갑에 입금하는 단계(S230),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수취자측 전자 지갑의 잔액 내에서 제2 암호화폐를 제2 국 운영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단계(S300) 및, 제2 국 운영측 서버(400)가 입금된 제2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2 법정화폐 수취자측 금융계좌에 입금하고,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1 법정화폐를 환전요청하는 단계로서, 제1 국 운영측 서버(200)가 이를 모니터링하여 송금자측 금융계좌로부터 제1 법정화폐가 입금되는 것을 모니터링하여 환전을 요청받게 된다(S100).
다음으로, 제1 국 운영측 서버(200)가 입금됨 제1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1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온라인 상에 공시하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제1 암호화폐를 입금하게 된다(S110).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의 중앙 지갑에 제1 암호화폐를 입금하게 되는데(S210), S210 단계 이전에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송금자의 입력에 따라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에 수취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취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파악하고, 송금을 요청할 수 있다(S200).
다음으로,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중앙 지갑에 입금된 제1 암호화폐를 현재 환율에 따라, 제2 암호화폐로 환전하게 된다(S220). 이때, 제1 암호화폐와 제2 암호화폐간 교환비는 제1 법정화폐와 제2 법정화폐간 교환비에 대응하게 된다. 즉, 현재 법정화폐의 환율에 기초하여 암호화폐를 환전하게 된다.
이어서,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식별된 수취자측 전자지갑에 환전된 지갑의 제2 암호화폐를 환전된 액수만큼 입금하게 된다(S230).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수취자측 전자 지갑에는 입금된 제2 암호화폐가 추가되며, 이후 제2 법정화폐를 수취하고자 하는 수취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수취자측 전자 지갑의 잔액 내 제2 암호화폐를 제2 국 운영측 전자지갑에 입금한다(S300).
이에 응답하여 제2 국 운영측 서버(400)는 입금된 제2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2 법정화폐 제2 사용자측 금융계좌에 입금하여 제2 사용자 단말(00)에 제2 법정화폐를 제공함과 아울러, 제2 암호화폐를 회수처리 함으로써 환전절차가 완료된다(S310).
한편, S210 단계는, S200 단계에 의해 송금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제1 법정화폐와 제1 암호화폐간 환전절차를 수행하되, 연계된 송금자의 금융계좌로부터 제1 법정화폐를 제1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 입금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송금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단계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로부터, 회원 등록된 수취자의 수취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회원 리스트를 수신 및 표시하는 단계와, 송금자로부터 회원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수취자의 수취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선택받는 단계로 세분화 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제1 사용자 단말 110 : 사용자측 전자지갑
150 : 어플리케이션 151 : 입력부
152 : 환전부 154 : 금융계좌 연동부
156 : 송금부 158 : 회원 리스트 제공부
200 : 제1 국 운영측 서버 250 : 제1 운영측 전자지갑
300 : 제2 사용자 단말 400 : 제2 국 운영측 서버
450 : 제2 운영측 전자지갑 500 :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
510 : 송금 요청부 550 : 중앙 전자지갑
551 : 제1 암호화폐 552 : 제2 암호화폐
560 : 환전절차 처리부 570 : 수취자 정보 제공부
580 : 회원DB 600 : 암호화폐 플랫폼

Claims (10)

  1. 제1 국의 송금자가 법정화폐를 제2 국의 수취자에게 송금하도록 하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송금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제1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 및, 상기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과 연동하여 환전 및 송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1 법정화폐를 제1 암호화폐로 환전 요청시, 상기 제1 법정화폐를 입금받고, 입금된 제1 법정화폐의 현지 가치에 해당하는 제1 암호화폐를 발행 및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송금하는 제1 운영측 서버;
    수취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제2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 및, 상기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과 연동하여 환전 및 송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암호화폐를 제2 법정화폐로 환전 요청시, 상기 제2 암호화폐를 입금받아 회수처리하고, 입금된 제2 암호화폐의 현지 가치에 해당하는 제2 법정화폐를 수취자의 금융계좌에 송금하는 제2 운영측 서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운영측 서버와 연동하고, 제1 및 제2 암호화폐간 환전을 수행하는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는,
    상기 제1 국의 송금자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법정화폐에 의해 고정 가치로 환전된 제1 암호화폐를 상기 제2 국의 수취자로의 송금을 요청받는 송금 요청부;
    제1 암호화폐 및 제2 암호화폐를 포함하는 복수의 암호화폐의 잔액이 기록되는 중앙 전자지갑;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송금 요청된 제1 암호화폐가 상기 중앙 전자지갑에 입금되면, 현재 환율에 따라 제2 암호화폐로의 환전절차를 수행하여 입금된 제1 암호화폐와 동일가치의 제2 암호화폐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송금하는 환전절차 처리부
    를 포함하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법정화폐와 제1 암호화폐간, 또는 제2 암호화폐와 제2 법정화폐간 환전절차를 수행하는 환전부;
    사용자의 금융계좌에 연계되어, 상기 제1 법정화폐의 환전시 제1 법정화폐를 제1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의 입금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암호화폐의 수취시 제2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부터 수취절차를 수행하는 금융계좌 연동부; 및
    상기 제1 암호화폐의 송금시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을 제어하여 잔액 내 제1 암호화폐를 상기 중앙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송금부
    를 포함하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로부터, 회원 등록된 수취자의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회원 리스트를 수신 및 사용자 단말상에 표시하는 회원 리스트 제공부
    를 포함하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는,
    사용자측 전자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국 및 제2 국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회원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금요청에 포함된 수취자를 판단하고 상기 수취자의 사용자측 전자 지갑 주소를 추출하는 수취자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8.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에 의한 제1 국의 송금자가 법정화폐를 제2 국의 수취자가 수취하도록 하는 국제 송금 방법으로서,
    제1 국 운영측 서버가 송금자측 금융계좌로부터 제1 법정화폐가 입금됨에 따라, 상기 제1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1 암호화폐를 발행 및 제1 사용자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이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의 중앙 지갑에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입금하는 단계;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가 중앙 지갑에 입금된 제1 암호화폐를 현재 환율에 따라, 제2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단계;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가 환전된 지갑의 제2 암호화폐를 환전된 액수만큼 제2 사용자측 전자 지갑에 입금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측 전자 지갑의 잔액 내에서 제2 암호화폐를 제2 국 운영측 전자지갑에 입금하는 단계; 및
    제2 국 운영측 서버가 입금된 제2 암호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제2 법정화폐 제2 사용자측 금융계좌에 입금하고, 상기 제2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의 중앙 지갑에 상기 제1 암호화폐를 입금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법정화폐와 제1 암호화폐간 환전절차를 수행하되, 연계된 사용자의 금융계좌로부터 제1 법정화폐를 제1 국 운영측 금융계좌로 입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폐간 환전 및 송금내용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중앙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로부터, 회원 등록된 수취자의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회원 리스트를 수신 및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회원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수취자의 제2 사용자측 전자지갑의 주소를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방법.
KR1020190026330A 2019-03-07 2019-03-07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24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30A KR102244067B1 (ko) 2019-03-07 2019-03-07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30A KR102244067B1 (ko) 2019-03-07 2019-03-07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43A KR20200107343A (ko) 2020-09-16
KR102244067B1 true KR102244067B1 (ko) 2021-04-23

Family

ID=7266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330A KR102244067B1 (ko) 2019-03-07 2019-03-07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14B1 (ko) * 2020-11-03 2022-07-15 주식회사 웁살라젠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WO2022226206A1 (en) * 2021-04-21 2022-10-27 Tanaka Philip Nobuyuki A transpositive network for converting variable-volume fixed-value units to fixed-volume variable-value units and vice vers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9B1 (ko) *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496A (ko) * 2004-07-02 2006-01-09 정성모 토큰주식회사 제도와 그 운용시스템
KR20160103726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토마토 솔루션 가상 화폐를 통한 국가간 대금 지급 관리 시스템
KR20160132307A (ko) * 2015-05-09 2016-11-17 김성일 암호화폐를 송금에 이용하는 방법 및 저장매체
KR101907848B1 (ko) 2017-12-22 2018-10-12 주식회사 센트비 가상화폐를 이용한 이종화폐 송금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9B1 (ko) *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43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91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te cryptographic transactions
KR100439437B1 (ko) 공용계좌를 통한 연동 계좌 결제 시스템
US20110320347A1 (en) Mobile Networked Payment System
US20080162348A1 (en) Electronic-Purse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RU263214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латежей через социальные сети
US20090319425A1 (en) Mobile Person-to-Person Payment System
RU2679532C1 (ru) Система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расчетного сервиса
MX2013000603A (es) Servicio de acceso a sistema de transferencia de dinero.
KR101815270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환전 및 송금서비스 방법
KR101907848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이종화폐 송금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190236593A1 (en) Cryptocurrency conversion
KR20190109156A (ko)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102244067B1 (ko) 가치 고정형 암호 화폐 기반 국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Haeringer et al. Bitcoin: a revolution?
US20120221465A1 (en) Clearinghouse system for monetary and non-monetary transfers of value
KR20200069194A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US202102013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Electronic Currency
KR102121645B1 (ko) 복수의 거래소를 이용한 가상 화폐 반대 매매를 위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07342A (ko) 가치 고정형 암호화폐 발행 시스템 및 방법
Salmony The future of instant payments: Are we investing billions just for mobile peer-to-peer payment?
Kehr et al. The unbanked don’t need more brick and mortar banks
KR102072278B1 (ko) 가상 화폐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Vigliotti et al. The Rise and Rise of Cryptocurrencies
Patel et al. Empowering Digital Banking Services and Enhancing Financial Inclusion using Smart and Robust Fintech Software Solutions
Nyataya et al. Mobile banking services empowering youth in Rwanda: A case of Gisenyi sector of Rubavu Distri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