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156A -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156A
KR20190109156A KR1020180031173A KR20180031173A KR20190109156A KR 20190109156 A KR20190109156 A KR 20190109156A KR 1020180031173 A KR1020180031173 A KR 1020180031173A KR 20180031173 A KR20180031173 A KR 20180031173A KR 20190109156 A KR20190109156 A KR 2019010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transaction
exchange rate
trading
real 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성
Original Assignee
안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성 filed Critical 안태성
Priority to KR102018003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156A/ko
Publication of KR2019010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폐 거래에 있어서의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 정보를 관리하는 시세정보 관리부 및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하는 암호화폐 거래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기준 암호화폐는 제1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고, 제2 기준 암호화폐는 제1 현실화폐와 상이한 제2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of Block Chain Based Cryptocurrency}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폐 거래에 있어서의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 측면 등에서의 강점에 의해 비트코인(Bitcoin)과 같은 암호화폐가 각광받고 있다. 비트코인은 나카모토 사토시에 의해 제안된 디지털 화폐로서, 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기구 등이 존재하지 않으며, 참여자들의 네트워크에 기반한 분산 데이터베이스 방식에 의해 화폐의 거래 내역이 기록되고 관리된다. 이러한 비트코인은 통상의 신용카드 거래 시 요구되는 카드번호나 유효기간, CVC 번호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해당 거래에 대한 외부 해킹이 어렵고 보안비용이 적은 이점이 있다.
이러한,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 외에도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 이오스, 모네로, 대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은 제공하는 기능과 채굴방법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사람에 따라서는 암호화폐를 가상화폐라 부르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암호화폐 매매를 중개하는 거래소들이 여럿 등장하였으며, 암호화폐를 구매하고 싶은 사용자들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가입하여 전자지갑을 개설하고 자신의 투자금액을 이체한 후, 거래소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현재 시세에 맞게 가격을 지불하고 원하는 가상화폐를 구매한다. 이때, 암호화폐 거래를 중개하는 대가로서 거래금액의 일정비율을 수수료로 취하는 것이 현재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구조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3073호 (공고일: 2016.10.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한 암호화폐 거래에 있어서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비용을 최소화하고 암호화폐의 거래를 보다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간편하고 용이한 외환거래 또는 cross-border 거래 수단을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 정보를 관리하는 시세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하는 암호화폐 거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는 제1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고,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는 상기 제1 현실화폐와 상이한 제2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은,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를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할 때는 제1 교환비율이 적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를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할 때는 상기 제1 교환비율과 상이한 제2 교환비율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변동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하는 다른 암호화폐 거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방법은,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교환비율에 따라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는 제1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고,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는 상기 제1 현실화폐와 상이한 제2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 당사자들의 거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암화화폐 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를 이용해 간편하게 외환거래를 하거나 cross-border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cost-free 거래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외환거래 또는 cross-border 거래를 수행하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환거래 또는 cross-border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명에 대한 설명을 보다 명확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설명이 없어도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나 본 발명의 이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들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하게 이해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통신수단이나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 또는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구성들은 기능적인 설명과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 별도의 구성으로 예시된 것이며, 각각의 구성들은 실시 형태에 따라 다른 구성들과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모듈 또는 단위로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여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모듈 또는 단위가 결합하여 하나의 구성으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 암호화폐 거래부(110)와 제2 암호화폐 거래부(120)는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은 제1 암호화폐 거래부(110), 제2 암호화폐 거래부(120), 시세정보 관리부(130), 사용자정보 관리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갑(160)을 포함한다.
제1 암호화폐 거래부(110)는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한다. 즉, 제1 암호화폐 거래부(110)는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을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거래를 수행 또는 관리하거나, 기준 암호화폐를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으로 교환하는 거래를 수행 또는 관리한다. 여기서 현실화폐는 원화(KRW), 미국달러화(USD), 또는 엔화(JPY)와 같이 특정 국가 또는 지역에서 해당 정부 또는 중앙은행에 의해 발행 또는 승인되어 공식 통화로서 사용되는 화폐이다. 유가증권은 그러한 현실화폐와 특정한 비율로 교환가능한 상품권이나 전자캐쉬 등을 포함한다. 기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나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 그 교환비율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여기서 고정의 의미는 영구히 그 교환비율이 동일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적어도 일정기간 동안은 정해진 교환비율에 교환된다는 약정 또는 담보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의 환율변동이나 암호화폐 시장의 시세변동과 무관하게 적어도 상당한 기간 동안은 현실화폐와의 교환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에서 가치 안정성을 가진다. 기준 암호화폐의 가치 안정성 및 현실화폐와의 교환가치를 담보하기 위해 다른 기관이나 제3 자의 지급 보증이나 약속, 담보물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1단위의 기준 암호화폐에 대해 500만원 (KRW)의 교환거래를 보증하는 방식으로, 기준 암호화폐의 현실화폐로의 교환가치 및 교환비율을 담보할 수 있다.
제2 암호화폐 거래부(120)는 기준 암호화폐와 변동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한다. 즉, 제2 암호화폐 거래부(120)는 기준 암호화폐를 변동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거래를 수행 또는 관리하거나, 변동 암호화폐를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거래를 수행 또는 관리한다.
여기서 변동 암호화폐는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리플(Ripple), 라이트코인(Litecoin), 또는 이오스(EOS) 등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로서 현실화폐 대비 그 가치나 교환비율이 고정되지 않고 시세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는 암호화폐이다. 변동 암호화폐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새로운 변동 암호화폐가 계속적으로 생겨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그 각각의 특징이 상이할 수 있다. 변동 암호화폐는 일반 사용자들이 주식투자의 경우처럼 시세차익을 얻기 위해 매매를 하기도 하며, 기업 등이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모으기 위해 암호화폐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의 형태로 발행하기도 한다.
시세정보 관리부(130)는 변동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를 취득 및 관리한다. 시세정보 관리부(130)는 변동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를 현실화폐의 가치로 환산된 형태로 관리할 수도 있고, 기준 암호화폐의 가치로 환산된 형태로 관리할 수도 있고, 그 두 가지가 결합된 형태로 관리할 수도 있다. 시세정보 관리부(130)에 취득 또는 관리하는 변동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는 사용자가 변동 암호화폐 거래시 참고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되거나 외부에 공시될 수 있다.
사용자정보 관리부(140)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정보 관리부(140)가 관리하는 개인정보는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계정 정보,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을 용이하게 이용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기록해두는 정보, 또는 은행계좌, 이체내역 등 외부 금융기관과의 금융거래를 위한 사용자금융 정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나 외부 서버와 같은 다른 장치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 사이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은 물론, 중간에 다른 서버나 클라우스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외부 해킹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50)에는 별도의 암호화 수단 및 보안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모바일폰, 태블릿PC, 개인용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일 수 있다.
전자지갑(160)은 기준 암호화폐 또는 변동 암호화폐를 보관 또는 관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암호화폐 거래부(110)를 통해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한 경우, 구매한 기준 암호화폐는 전자지갑(16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자지갑(160)에 저장된 기준 암호화폐를 가지고 제2 암호화폐 거래부(120)를 통해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고, 그렇게 구매한 변동 암호화폐도 전자지갑(160)에 저장된다. 전자지갑은 암호화폐의 종류마다 구분되어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구분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지갑은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지갑은 B라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지갑과는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전자지갑일 수 있으며, 다시 A라는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암호화폐 각각을 그 종류에 따라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전자지갑들에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전자지갑(160)을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전자지갑(160)은 사용자 단말(10)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이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과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3의 매체 또는 서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제시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에 접근한 후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하고, 구매한 기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변동 암호화폐를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변동 암호화폐를 판매하여 기준 암호화폐를 얻고, 이렇게 얻는 기준 암호화폐는 다른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데 사용하거나, 현실 암호화폐로 교환하는데 사용하거나, 현실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대가를 지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암호화폐 거래소는 변동 암호화폐의 매 거래마다 수수료를 취하는 방식이어서 거래 당사자의 거래비용이 크며, 판매의 대가로서 현실화폐 또는 그 등가물을 지급받으므로 매매 시점에서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 가능성까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기준 암호화폐를 이용해 변동 암호화폐를 매매하면 거래 수수료를 면제하는 수익 모델을 취할 수 있고, 또 판매의 대가로 지급받는 것이 기준 암호화폐이므로 양도 차익에 대한 과세 가능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는 암호화폐 매매를 통해 투자수익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있어 큰 장점으로 작용하며, 암호화폐 거래의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현재 존재하는 암호화폐는 변동 암호화폐로서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거래시 안전성이 높고, 보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있으나, 그 높은 가치변동성 때문에 실물경제의 화폐로서 기능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와 일정한 교환 비율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화폐 대비한 가치변동성이 없어서 실물경제의 화폐로서 기능하기 용이하며, 동시에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므로 거래의 안전성 및 보안 비용 측면의 장점을 온전히 갖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cost-free 거래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으로 기준 암호화폐를 구입한다. 그리고,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기준 암호화폐로 변동 암호화폐를 구입한다. 이때,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에서는 일체의 거래 수수료를 면제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거래비용의 부담없이 매우 자유롭게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고, 보유하는 암호화폐의 종류를 변경할 때에도 (가령, K라는 변동 암호화폐를 보유하다가 이를 기준 암호화폐로 판매한 뒤, 다시 기준 암호화폐를 이용해 L이라는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 일체의 거래비용 없이 용이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는 암호화폐간의 거래이기 때문에 양도차익에 대한 당국의 과세 가능성이 낮으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암호화폐 포트폴리오를 매우 자유롭고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거래수수료와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가 없기 때문에 보유한 암호화폐의 시세 하락이 예견되면 신속하게 다른 암호화폐로 갈아 탔다가 시세 상승이 예견되는 시점에 다시 되돌아오는 식으로 그때 그때의 변동성에 맞추어 잦은 거래를 하더라도, 거래비용이나 세금에 대한 부담이 없기 때문에 전혀 불리하지 않은 것이 장점이다.
한편, 여기서는 제1 단계 암호화폐 거래에서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하고,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에서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함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단계 암호화폐 거래는 현실화폐로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경우뿐 아니라, 기준 암호화폐를 판매하여 현실화폐로 교환하는 경우 역시 포함하며,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는 기준 암호화폐로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경우뿐 아니라, 변동 암호화폐를 판매하여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경우 역시 포함한다.
한편, 암호화폐 거래소는 도 2의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 즉 변동 암호화폐 거래에서 수수료를 취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수익모델을 찾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수익화 모델로서 두 가지를 예시한다.
첫 번째는, 기준 암호화폐를 사용자에게 판매하고 유입되는 현실화폐를 운용하여 얻는 운용수익이다. 사용자가 기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변동 암호화폐 거래를 하려면, 먼저 현실화폐로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하여야 하고 그 구매대금은 기준 암호화폐를 발행한 암호화폐 거래소에 들어오게 된다. 그러면, 추후 기준 암호화폐를 판매하여 현금화하기 전까지 구매대금은 암호화폐 거래소가 관리, 운용하게 되고 그로부터 나오는 운용수익을 암호화폐 거래소의 수익 모델로 할 수 있다. 간혹,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도 있으나, 다른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던 기준 암호화폐도 근원적으로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발행한 것이므로 종국적인 현금 유입은 암호화폐 거래소로 들어가는 것이라는 점은 동일하다.
두 번째는, 사용자가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할 때 또는 판매할 때에 그에 대한 수수료를 취하는 방식이다. 즉 도 2의 제1 단계 암호화폐 거래에서 거래 수수료를 취하는 방식으로, 실제 투자목적의 암호화폐 거래가 발생하는 것은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이므로, 여기서 제시하는 수수료 부과가 실제 사용자들에게 지우는 거래비용의 부과는 극히 낮고, 본 발명에서 제시한 거래비용의 절감효과를 거의 해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암호화폐를 활용하면 실물경제의 상품 및 서비스 거래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쉽고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와의 교환비율이 일정한 화폐이므로, 가치 안정성이 뛰어나고 시세 변동성이 작아 현실의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에 활용이 용이하다.
사용자는 보유한 기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점 등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단말기, 스마트카드 또는 전자지갑 등 기준 암호화폐 지불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기준 암호화폐를 이체함으로써 그 값을 치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방법은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를 포함한다.
S110 단계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 도 1 참조)은 제1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한다. 여기서, 기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나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 그 교환비율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여기서 고정의 의미는 영구히 그 교환비율이 동일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적어도 일정기간 동안은 정해진 교환비율에 교환된다는 약정 또는 담보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의 환율변동이나 암호화폐 시장의 시세변동과 무관하게 항상 현실화폐와의 교환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에서 가치 안정성을 가진다. 기준 암호화폐의 가치 안정성 및 현실화폐와의 교환가치를 담보하기 위해 다른 기관이나 제3 자의 지급 보증이나 약속, 담보물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1단위의 기준 암호화폐에 대해 500만원 (KRW)의 교환거래를 보증하는 방식으로, 기준 암호화폐의 현실화폐로의 교환가치 및 교환비율을 담보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제1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교환된 기준 암호화폐는 사용자 또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의 전자지갑(160)에 보관된다.
S130 단계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은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기준 암호화폐와 변동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한다. 여기서 변동 암호화폐는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리플(Ripple), 라이트코인(Litecoin), 또는 이오스(EOS) 등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로서 현실화폐 대비 그 가치가 고정되지 않고 시세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는 암호화폐이다. 변동 암호화폐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새로운 변동 암호화폐가 계속적으로 생겨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그 각각의 특징이 상이할 수 있다. 변동 암호화폐는 일반 사용자들이 주식투자의 경우처럼 시세차익을 얻기 위해 매매를 하기도 하며, 기업 등이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모으기 위해 암호화폐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의 형태로 발행하기도 한다.
S140 단계에서,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교환된 변동 암호화폐는 사용자 또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의 전자지갑(160)에 보관된다. 이때, 전자지갑(160)은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고, 교환된 변동 암호화폐는 앞서 S120 단계에서 기준 암호화폐를 보관하였던 전자지갑과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도의 전자지갑에 보관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은 S140 단계에서 보관된 변동 암호화폐를 다시 판매하여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한다. 한편, 이렇게 교환된 기준 암호화폐는 다른 변동 암호화폐를 다시 구매하는데 사용되거나, 현실화폐로 교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100)을 통해 먼저 제1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기준 암호화폐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해 제2 단계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거래비용 및 과세에 대한 걱정없이, 자유롭고 빈번한 암호화폐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얻어진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에 대한 안정적인 가치를 담보하므로, 실물경제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용이하게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어,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인 거래의 안전성 및 저렴한 보안비용의 이점을 실물 거래에 용이하고 온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외환거래 또는 cross-border 거래를 수행하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은 서로 다른 현실통화와 그 교환비율이 고정된 복수의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외환거래 및 cross-border 거래를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은 제1 암호화폐 거래부(210), 제2 암호화폐 거래부(220), 시세정보 관리부(230), 사용자정보 관리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갑(260), 및/또는 제3 암호화폐 거래부(270)를 포함한다.
제1 암호화폐 거래부(210), 제2 암호화폐 거래부(220), 시세정보 관리부(230), 사용자정보 관리부(240), 인터페이스부(250),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갑(260)은 본 실시 예에서 달리 설명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1에서 설명한 제1 암호화폐 거래부(110), 제2 암호화폐 거래부(120), 시세정보 관리부(130), 사용자정보 관리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갑(160)과 그 기능이나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1 암호화폐 거래부(210)는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한다. 여기서 현실화폐는 원화(KRW), 미국달러화(USD), 또는 엔화(JPY)와 같이 특정 국가 또는 지역에서 해당 정부 또는 중앙은행에 의해 발행 또는 승인되어 공식 통화로서 사용되는 화폐이다. 유가증권은 그러한 현실화폐와 특정한 비율로 교환가능한 상품권이나 전자캐쉬 등을 포함한다. 기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나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 그 교환비율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준 암호화폐는 현실화폐 또는 유가증권과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여기서 고정의 의미는 영구히 그 교환비율이 동일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적어도 일정기간 동안은 정해진 교환비율에 교환된다는 약정 또는 담보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암호화폐 거래부(220)는 기준 암호화폐와 변동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한다. 여기서 변동 암호화폐는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리플(Ripple), 라이트코인(Litecoin), 또는 이오스(EOS) 등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로서 현실화폐 대비 그 가치나 교환비율이 고정되지 않고 시세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는 암호화폐이다. 변동 암호화폐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새로운 변동 암호화폐가 계속적으로 생겨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그 각각의 특징이 상이할 수 있다.
시세정보 관리부(230)는 변동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를 취득 및 관리한다. 시세정보 관리부(230)는 변동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를 현실화폐의 가치로 환산된 형태로 관리할 수도 있고, 기준 암호화폐의 가치로 환산된 형태로 관리할 수도 있고, 그 두 가지가 결합된 형태로 관리할 수도 있다. 시세정보 관리부(230)에 취득 또는 관리하는 변동 암호화폐의 시세정보는 사용자가 변동 암호화폐 거래시 참고하도록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거나 외부에 공시될 수 있다.
사용자정보 관리부(240)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정보 관리부(240)가 관리하는 개인정보는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계정 정보,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을 용이하게 이용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기록해두는 정보, 또는 은행계좌, 이체내역 등 외부 금융기관과의 금융거래를 위한 사용자금융 정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 단말기나 외부 서버와 같은 다른 장치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 사이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은 물론, 중간에 다른 서버나 클라우스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전자지갑(260)은 기준 암호화폐 또는 변동 암호화폐를 보관 또는 관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암호화폐 거래부(210)를 통해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한 경우, 구매한 기준 암호화폐는 전자지갑(26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자지갑(160)에 저장된 기준 암호화폐를 가지고 제2 암호화폐 거래부(220)를 통해 변동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고, 그렇게 구매한 변동 암호화폐도 전자지갑(260)에 저장된다. 전자지갑은 암호화폐의 종류마다 구분되어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구분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지갑은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제3 암호화폐 거래부(270)는 다른 현실통화와 그 교환비율이 고정된 복수의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 또는 관리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현실통화와 그 교환비율이 고정된 서로 다른 기준 암호화폐들이 존재하고, 제3 암호화폐 거래부(270)는 소정의 교환 비율로 그들간의 교환이나 거래를 수행또는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암호화폐는 제1 현실화폐, 예를 들어 한국원화(KRW)와 고정된 교환비율을 갖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이고, 제2 기준 암호화폐는 제2 현실화폐, 예를 들어 미국달러(USD)와 고정된 교환비율을 갖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라고 가정한다. 이때, 제3 암호화폐 거래부(270)는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소정의 교환 비율로 수행한다. 이때 소정의 교환비율은 제1 현실 화폐와 제2 현실 화폐간의 환율을 참고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소정의 교환비율은, 제1 기준 암호화폐를 제2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교환비율과, 제2 기준 암호화폐를 제1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교환비율이 상이한 비대칭적인 교환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암호화폐를 제2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할 때에는 제1 기준 암호화폐 1단위당 제2 기준 암호화폐 1단위를 제공하여 1:1의 교환비율이 적용되지만, 제2 기준 암호화폐를 제1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할 때에는 제2 기준 암호화폐 1단위당 제1 기준 암호화폐 0.9단위를 제공하여 1:0.9의 교환비율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적 교환비율은 기준 암호화폐 거래 시장에 현실의 환투기 세력이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등 다양한 상황에서 고려될 수 있다.
한편,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을 관리하고, 교환 거래시 그 교환비율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시세정보 관리부(230)에서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및 제2 기준 암호화폐들 사이의 교환비율 관리를 시세정보 관리부(23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이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은 암호화폐를 외환거래나 cross-border 거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실화폐로 외환거래를 하게 되면 은행이나 환전소를 통하여야 하고 오프라인으로 직접 화폐를 거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각 창구마다 다른 환율과 수수료가 적용되어 외환거래를 하면서 불필요하게 금전적 손실을 입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어느 한 통화와 고정된 교환비율을 갖는 기준 암호화폐를 다른 통화와 고정된 교환비율을 갖는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하면, 결과적으로 현실화폐를 외환거래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간 거래이므로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특성상 거래의 안전성이 담보되고 보안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이러한 거래 방법은 해외송금이나 해외물품구매와 같은 cross-border 거래에도 쉽게 활용 가능하다. 가령, 한국에서 미국으로 송금을 하고자 원하는 사람은 먼저 한국원화로 한국원화와 교환비율이 고정된 제1 기준 암호화폐를 구매한 후 이를 미국에 있는 지인에게 바로 이체하거나 또는 미국달러와 교환비율이 고정된 제2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한 후 이체하는 것으로 송금절차를 매우 쉽고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다. 미국에 있는 지인은 제2 기준 암호화폐를 이체 받았다면 이를 바로 미국달러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 기준 암호화폐로 이체 받았다 하더라도 먼저 제1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한 뒤 다시 미국달러로 교환하면 된다.
거기에는 어떤 복잡한 외환거래 절차가 승인절차가 필요 없고, 기존과 같이 해외 은행과의 결제시스템의 차이로 인한 딜레이나 처리 지연도 없다.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그리고 매우 낮은 거래비용으로 외환거래나 cross-border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에 제1 암호화폐 거래부(210), 제2 암호화폐 거래부(220), 시세정보 관리부(230), 사용자정보 관리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갑(260), 및/또는 제3 암호화폐 거래부(270)이 포함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은 제1 암호화폐 거래부(210), 제2 암호화폐 거래부(220), 시세정보 관리부(230), 사용자정보 관리부(240), 인터페이스부(25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갑(26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제3 암호화폐 거래부(270)를 별도로 분리된 별개의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외환거래 또는 cross-border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암호화폐를 이용한 외환거래 또는 cross-border 거래 방법은 S210 단계 내지 S240 단계를 포함한다.
S210 단계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 도 2 참조)은 제1 현실통화와 교환비율이 고정된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1 현실통화 사이의 거래를 수행한다.
S220 단계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은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을 확인한다. 이때, 제2 기준 암호화폐는 제2 현실통화와 교환비율이 고정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S230 단계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은 제2 기준 암호화폐와 제1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한다.
S240 단계에서,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200)은 제2 기준 암호화폐와 제2 현실통화 사이의 거래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개시한 내용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여전히 포함한 상태에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개시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개시된 실시 예에 한정하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기
100, 200: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110, 210: 제1 암호화폐 거래부
120, 220: 제2 암호화폐 거래부
130, 230: 시세정보 관리부
140, 240: 사용자정보 관리부
150, 250: 인터페이스부
160, 260: 전자지갑
270: 제3 암호화폐 거래부

Claims (4)

  1.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 정보를 관리하는 시세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하는 암호화폐 거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는 제1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고,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는 상기 제1 현실화폐와 상이한 제2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은,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를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할 때는 제1 교환비율이 적용되고,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를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로 교환할 때는 상기 제1 교환비율과 상이한 제2 교환비율이 적용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변동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거나 관리하는 다른 암호화폐 거래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4.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교환비율에 따라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와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 사이의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암호화폐는 제1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고,
    상기 제2 기준 암호화폐는 상기 제1 현실화폐와 상이한 제2 현실화폐와의 교환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방법.

KR1020180031173A 2018-03-16 2018-03-16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20190109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73A KR20190109156A (ko) 2018-03-16 2018-03-16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73A KR20190109156A (ko) 2018-03-16 2018-03-16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156A true KR20190109156A (ko) 2019-09-25

Family

ID=6806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73A KR20190109156A (ko) 2018-03-16 2018-03-16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1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385B1 (ko) * 2019-10-11 2020-07-08 박대용 암호화 화폐 결제 방법
KR102267122B1 (ko) * 2020-07-08 2021-06-21 조영중 블록 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WO2022245069A1 (ko) * 2021-05-20 2022-11-24 (주)소셜인프라테크 기축 코인 예치를 통한 가상화폐 수수료 거래 시스템
WO2022244927A1 (ko) * 2021-05-20 2022-11-24 (주)소셜인프라테크 코인 교환 비율 설정을 통한 디앱 사용자 수수료 거래 시스템
WO2022244926A1 (ko) * 2021-05-20 2022-11-24 (주)소셜인프라테크 코인 익스체인징을 통한 블록체인 사용자 수수료 거래 시스템
KR102478703B1 (ko) * 2022-05-26 2022-12-19 케이크랩스 주식회사 가상 자산 교환비율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385B1 (ko) * 2019-10-11 2020-07-08 박대용 암호화 화폐 결제 방법
KR102267122B1 (ko) * 2020-07-08 2021-06-21 조영중 블록 체인을 이용한 지역화폐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WO2022245069A1 (ko) * 2021-05-20 2022-11-24 (주)소셜인프라테크 기축 코인 예치를 통한 가상화폐 수수료 거래 시스템
WO2022244927A1 (ko) * 2021-05-20 2022-11-24 (주)소셜인프라테크 코인 교환 비율 설정을 통한 디앱 사용자 수수료 거래 시스템
WO2022244926A1 (ko) * 2021-05-20 2022-11-24 (주)소셜인프라테크 코인 익스체인징을 통한 블록체인 사용자 수수료 거래 시스템
KR102478703B1 (ko) * 2022-05-26 2022-12-19 케이크랩스 주식회사 가상 자산 교환비율 결정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8107B2 (en) Virtual payment processing system
US2022012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US20190139033A1 (en) Method for real-time conversion of cryptocurrency to cash and other forms of value at the point of use
KR100432430B1 (ko) 전자증권을 이용한 전자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9156A (ko)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WO2018060951A1 (en) A system for trading in a contract-free manner
US9600817B2 (en) Foreign exchange token
US9600844B2 (en) Foreign cross-issued token
US11637693B2 (en) Distributed blockchain-type implementations configured to execute know-your-customer (kyc) verification for MANAGING tokenized digital assets and improved electronic walle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80115402A (ko) 블록체인 기반 p2p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88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electronic token ecosystems
EP4116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backed by crypto assets
Schuh et al. Bitshares 2.0: Financial smart contract platform
KR20200069194A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Segendorf et al. What is libra
KR102160676B1 (ko) 소상공인 카드매출 상생운용 정산 시스템
KR20210135454A (ko) 인터넷 외환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8899A (ko)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ishore Jain The Economics of Cryptocurrencies-Why Does It Work?
CN110599344A (zh) 基于区块链的基金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180122007A1 (en) In-cash foreign currency trading system
Ding et al. Potential benefits and key risks of fiat-referenced cryptoassets
KR102179805B1 (ko) 암호화/복호화를 사용한 인터넷 외환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774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wallet with enhanced cryptocurrency handling and security for debit card transactions
US11551175B1 (en) Facilitating shareholder voting and associated proxy r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