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989B1 - 배수 펌프 - Google Patents

배수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989B1
KR102243989B1 KR1020190153933A KR20190153933A KR102243989B1 KR 102243989 B1 KR102243989 B1 KR 102243989B1 KR 1020190153933 A KR1020190153933 A KR 1020190153933A KR 20190153933 A KR20190153933 A KR 20190153933A KR 102243989 B1 KR102243989 B1 KR 102243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housing
impell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영
Original Assignee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로펌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모터축에 연결된 임펠러, 임펠러를 수용하며, 임펠러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 및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내부 유로에 연결되며, 유체에 포함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벤트 유로를 더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의해, 펌프 내부의 에어를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펌프의 외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 펌프{THE PUMP APPARATUS}
본 발명은 배수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 구조를 개선한 배수 펌프에 관한 것이다.
배수용 수중 펌프는 수중에서 작동하는 전동식 펌프이다. 토사가 섞여 흐린 물의 양수에 흔히 사용된다. 배수 펌프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있으면 펌프 성능이 저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 펌프의 경우, 에어의 배출을 위한 에어 벤트 구조를 포함하기는 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공기가 유체 속에서 상부로 부유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구조를 가진다. 즉, 에어 벤트를 위한 홀이 배수 펌프의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유체가 에어 벤트 홀로 에어와 함께 유출되면서 펌프의 외면이 오염된다. 즉, 펌프의 청결을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에어 벤트 홀의 노출로 디자인적 제한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에어를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펌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배수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 펌프는 모터, 모터축에 연결된 임펠러를 수용하며, 임펠러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 및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내부 유로에 연결되며, 유체에 포함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벤트 유로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를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펌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펌프의 디자인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에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펌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펌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측 하우징의 하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측 하우징의 상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측 하우징의 하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 펌프(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펌프(1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펌프(1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측 하우징(310)의 하면을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측 하우징(330)의 상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측 하우징(330)의 하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 펌프(10)는 그 내부의 에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도 에어와 함께 배출되는 유체로 인한 펌프 외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100), 임펠러(200) 및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임펠러(200)는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하우징(300)은 임펠러(200)를 수용한다. 또한, 하우징(300)은 흡입구(350), 토출구(370) 및 내부 유로(390)를 가진다. 임펠러(200)에 의해 유체는 흡입구(350)로 흡입된다. 또한, 유체는 토출구(370)를 통해 펌프의 외부로 토출된다. 내부 유로(390)는 흡입구(350)와 토출구(370)를 연결한다. 하우징(300)은 에어 벤트 유로(400)를 더 가진다. 에어 벤트 유로(400)는 내부 유로(390)에 연결되며, 유체에 포함된 에어를 펌프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흡입구(350) 앞에는 거름망(11)이 배치된다. 즉, 하우징(300)의 하면에 거름망(11)이 배치된다. 거름망(11)은 배수펌프(10)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어 벤트 유로(400)는 에어 흡입구(410)와 에어 배출구(430)를 포함한다. 에어 흡입구(410)는 내부 유로(390)에 연결된다. 에어 배출구(430)는 에어 흡입구(410)에 연통되며, 하우징(300)의 하면에 배치된다. 저수량이 적은 저잔수에서 배수 펌프(10)가 동작하면, 에어와 함께 유체가 누출되어 육안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에어 배출구(430)가 하우징(300)의 하면에 배치되므로 배수 펌프(10)의 외부로 에어와 함께 누출되는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배수 펌프(10)의 외관이 깨끗하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육안으로 보여지는 배수 펌프(10)의 외면에 에어 배출구(430)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에어 배출구(430)로 인한 펌프 디자인의 제약을 회피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다.
내부 유로(390)는 회전 가압 유로(391)와 가이드 유로(393)를 포함한다. 회전 가압 유로(391)는 흡입구(350)의 상부 및 임펠러(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압 유로(391)는 회전 가압 유로(391)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으로 정의된다. 토출구(370)는 회전 가압 유로(391)의 중심축(A1)으로부터 이격된다. 토출구(370)는 그 중심축(A2)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으로 정의된다. 한편, 모터(100), 임펠러(200), 회전 가압 유로(391) 및 흡입구(350)의 중심은 동일한 중심축(A1) 상에 배치된다.
가이드 유로(393)는 회전 가압 유로(391)에서 토출구(370)로 연장된다. 평면상 회전 가압 유로(391)의 반경은 토출구(370)의 반경 보다 크다. 따라서, 회전 가압 유로(391)의 중심과 토출구(370)의 중심을 잇는 직선을 기준으로, 가이드 유로(393)의 연장 방향은 소정 각도를 이룬다. 또한, 임펠러(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가이드 유로(393)는 평면상 회전 가압 유로(391)의 중심의 우측에서 토출구(370)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 경우, 임펠러(200)에 의해 유체는 자연스럽게 회전 가압 유로(391)에서 토출구(370)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유동 저항이 감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유로(393)의 구조와 임펠러(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에어는 가이드 유로(393)의 소정 부위에 집중될 수 있다. 즉, 에어는 평면상 가이드 유로(393)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며, 토출구(37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오른편에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흡입구(410)는 회전 가압 유로(391)에 접하는 가이드 유로(393)의 일단부와 토출구(370)에 접하는 가이드 유로(393)의 타단부의 사이 중 평면상 우측 하우징(300)의 내벽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로, 하우징(300)은 상측 하우징(310)과 하측 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하우징(310)은 상측 홈(311)을 가지고, 하측 하우징(330)은 하측 홈(331)을 가진다. 상측 홈(311)은 상측 하우징(31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오목하여 회전 가압 유로(391)와 가이드 유로(393)를 상측 하우징(310)에 형성한다. 또한, 하측 홈(331)은 하측 하우징(33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오목하여 회전 가압 유로(391)와 가이드 유로(393)를 하측 하우징(330)에 형성한다. 여기서, 에어 배출구(430)는 하측 하우징(330)의 하면에 배치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200)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에어 벤트 유로(400)는 에어 배출 유로(45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 벤트 유로(400)는 에어 도입 유로(470)를 포함한다. 에어 배출 유로(450)는 모터축(A1)을 따라 하측 하우징(33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예컨대, 에어 배출 유로(450)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는 에어 배출 유로(450)를 통해 하측 하우징(330)의 하면으로 배출된다.
에어 도입 유로(470)는 가이드 유로(393)의 일측에 배치된 에어 흡입구(410)에서 에어 배출 유로(450)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에어 도입 유로(470)은 에어 흡입구(410)를 통해 에어를 유입시키기 위해 에어 배출 유로(450)의 평면상 크기(내경) 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정의)된다. 한편, 에어 도입 유로(470)는 상측 하우징(310)의 하면에 배치된다. 에어가 상측으로 부유하려는 특성을 가지므로, 에어 도입 유로(470)가 상측 하우징(310)에 배치되면 에어의 배출이 용이하다.
에어 벤트 유로(400)는 보조 유로(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유로(490)는 에어 도입 유로(470)에 연결되며, 상측 하우징(310)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보조 유로(490)는 에어 배출 유로(450)의 중심축(A3)을 동일 중심축으로 가진다. 보조 유로(490)의 하단은 에어 배출 유로(450)의 상단에 연결되고, 보조 유로(490)의 상단은 상측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보조 유로(490)는 에어 도입 유로(470)로 유입된 에어 중 에어 배출 유로(450)를 따라 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은(못한) 에어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가 다시 가이드 유로(393)로 역류되지 않는다. 보조 유로(490)에 수용된 에어는 에어 도입 유로(470)를 통해 에어 및 유체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에어 배출 유로(450)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배수 펌프
100 : 모터
200 : 임펠러
300 : 하우징
310 : 상측 하우징
330 : 하측 하우징
350 : 흡입구
370 : 토출구
390 : 내부 유로
391 : 회전 가압 유로
393 : 가이드 유로
400 : 에어 벤트 유로
410 : 에어 흡입구
430 : 에어 배출구
450 : 에어 배출 유로
470 : 에어 도입 유로
490 : 보조 유로

Claims (6)

  1. 모터;
    모터축에 연결된 임펠러;
    임펠러를 수용하며, 임펠러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 및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내부 유로에 연결되며, 유체에 포함된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벤트 유로를 더 가지고,
    에어 벤트 유로는,
    내부 유로에 연결된 에어 흡입구; 및
    에어 흡입구에 연통되며, 하우징의 하면에 배치된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는 배수 펌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임펠러를 수용하는 상측 하우징과 상측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 하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에어 배출구는 하측 하우징의 하면에 배치된 배수 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에어 벤트 유로는 모터축을 따라 하측 하우징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된 에어 배출 유로를 더 포함하는 배수 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에어 벤트 유로는 에어 흡입구에서 에어 배출 유로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된 에어 도입 유로를 더 포함하며,
    에어 도입 유로는 상측 하우징의 하면에 배치된 배수 펌프.
  6. 제 3 항에 있어서,
    내부 유로는,
    흡입구에 연결되며, 임펠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가압 유로; 및
    회전 가압 유로와 토출구를 연결하며, 유체를 회전 가압 유로에서 토출구로 유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배수 펌프.
KR1020190153933A 2019-11-27 2019-11-27 배수 펌프 KR102243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33A KR102243989B1 (ko) 2019-11-27 2019-11-27 배수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33A KR102243989B1 (ko) 2019-11-27 2019-11-27 배수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989B1 true KR102243989B1 (ko) 2021-04-23

Family

ID=7573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933A KR102243989B1 (ko) 2019-11-27 2019-11-27 배수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9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584A (ja) * 1996-12-25 1998-07-14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ポンプ
KR20100026735A (ko) * 2008-09-01 2010-03-10 윌로펌프 주식회사 배수 펌프
KR20110002696U (ko) * 2009-09-10 2011-03-16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수중펌프
KR101695444B1 (ko) * 2016-06-03 2017-01-23 주식회사 호빌스 펌프
JP2019015283A (ja) * 2017-07-03 2019-01-31 株式会社不二工機 排水ポン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584A (ja) * 1996-12-25 1998-07-14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ポンプ
KR20100026735A (ko) * 2008-09-01 2010-03-10 윌로펌프 주식회사 배수 펌프
KR20110002696U (ko) * 2009-09-10 2011-03-16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수중펌프
KR101695444B1 (ko) * 2016-06-03 2017-01-23 주식회사 호빌스 펌프
JP2019015283A (ja) * 2017-07-03 2019-01-31 株式会社不二工機 排水ポ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296B1 (ko) 슬러지용 펌프
US8292269B2 (en) Microscopic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243989B1 (ko) 배수 펌프
US4637778A (en) Self-priming diffuser type centrifugal pump
KR102138825B1 (ko) 경사면이 형성된 날개를 구비한 스프르트 펌프
JP7022927B2 (ja) 脱気装置
KR101758169B1 (ko) 스퍼트 펌프용 임펠러 및 이를 이용한 스퍼트 펌프
JP6158106B2 (ja) ポンプ装置
KR100819139B1 (ko) 흡입효율이 향상된 임펠러 및 이를 이용한 펌프
KR20030059421A (ko) 펌프
JP4273254B2 (ja) 起動時吐出性能を改善した浸漬式ポンプ
CN111749313B (zh) 冲水大便器
KR200477418Y1 (ko)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JP3662633B2 (ja) 水中ポンプ
WO2011091809A1 (de) Gartenpumpenanordnung
KR200322248Y1 (ko) 수중펌프의 누수 방지구조
KR102581993B1 (ko) 진공강자흡펌프용 공기차단장치
KR102474718B1 (ko) 메카니칼 씰 보호장치가 구비된 펌프
JP4498239B2 (ja) 自吸式ポンプとするための自吸タンク及び該自吸タンクを有する自吸式ポンプ
TWI572781B (zh) Centrifugal pump
KR101560464B1 (ko) 자압력이 향상된 기름정제기용 임펠라 펌프
JP3142697B2 (ja) 液体吸排装置
KR20130001126U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펌프
JP3142696B2 (ja) 液体吸排装置
KR100742298B1 (ko) 슬러지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