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426B1 -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26B1
KR102242426B1 KR1020190024028A KR20190024028A KR102242426B1 KR 102242426 B1 KR102242426 B1 KR 102242426B1 KR 1020190024028 A KR1020190024028 A KR 1020190024028A KR 20190024028 A KR20190024028 A KR 20190024028A KR 102242426 B1 KR102242426 B1 KR 10224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groove
drainag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199A (ko
Inventor
최현석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최현석
주식회사 웨스텍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석, 주식회사 웨스텍글로벌 filed Critical 최현석
Priority to KR102019002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은 블록들을 서로 맞물리도록 적층함으로써, 블록들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블록의 위치에 따라 골재의 평균입도를 다르게 하고 후면블록의 흙과의 접촉면에 부직포(투수시트)를 설치하여 토사의 유출없이 물이 배수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배수층을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은 옹벽의 후방에 위치하는 블록의 골재의 평균 입도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함으로써, 배수능력(透水力)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RETAINING WALL BLOCK SYSTEM TO IMPROVE WATER PERMEABLITY}
본 발명은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블록의 위치에 따라 골재의 평균입도를 다르게 하여 물이 배수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배수층을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지구적인 환경변화와 지진 발생으로 옹벽이 무너져 내려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가져 오고 있어 건축물의 내진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 구조물을 의미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옹벽은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벽체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옹벽은 흙은 쌓아 올릴 때나 산을 깎아 내릴 때 혹은 해안을 메울 때 필요한 것으로,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의 단지 조성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은 콘크리트 모르타르(Mortar)를 이용하여 축조하는 습식공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습식공법은 시공기간 단축 등이 어려우며, 인건비가 많이 들어 시공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520호(문헌 1)에서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연결구조가 제안되었다.
문헌 1에서는 보강토 블록을 상부로 적층함에 있어,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하 블록을 고정하고, 상 블록을 하 블록에 비해 후방에 위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보강토 블록은 서로 결합되지 못하고 단순히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지진의 발생 시 옹벽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해서는 옹벽 구조물이 쉽게 원위치를 벗어나 밀릴 수 있고, 밀린 옹벽 구조물은 적층 상태가 불량하여 결국에는 무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문헌 1에서는 배수능력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옹벽 블록에 대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301호(문헌 20)에서도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하 블록을 고정하고, 상 블록을 하 블록에 비해 후방에 위치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2에서도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결속력은 증대시킬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의 블록간의 결속력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문헌 2에서는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부족한 배수능력을 보완하려 하였으나, 그것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520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301호
본 발명은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적층한 배수성이 향상된 옹벽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의 위치에 따라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골재의 입도를 다르게 하는 배수성이 향상된 옹벽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전면 블록(Front Block)을 포함하는 전면부(Front Part) 및 상기 전면부의 후방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후면 블록(Rear Block)을 포함하는 후면부(Rea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의 평균 입도가 전면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의 평균 입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후면 블록을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가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어 공간(AR)이 마련되되, 상기 공간은 복수의 전면블록(2A)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및 복수의 후면블록(1A)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부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후면블록을 결합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의 평균 입도는 5~19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면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후면 블록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에는 식생 또는 배수를 위하여 잡석, 재활용 골재 또는 흙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가 채워지고, 상기 공간에 채워지는 잡석 또는 재활용 골재의 평균 입도는 상기 후면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의 평균 입도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블록 및 상기 후면 블록은 중앙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암부(Arm Part), 상기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면 고정홈 및 상기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 고정홈에 대응되는 하면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상기 측면에서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연장부(Extended Part),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부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부와 수직하며 상기 제 1 돌기부의 연장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돌기보다 길이가 짧은 다른 제 2 돌기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와 인접하는 다른 암부의 제 2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1 돌기가 대응되고, 상기 연결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2 돌기에 대응되고, 일측은 상기 상면 고정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하면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고정홈의 직경은 상기 하면 고정홈의 폭보다 더 작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의 폭은 타측의 폭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상면 고정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하면 고정홈과 대응되고, 상기 상면 고정홈은 상기 하면 고정홈보다 상기 수평방향으로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블록 및 상기 후면 블록은 상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배수홈 및 상기 상면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배수홈과 교차하는 제 2 배수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수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1 배수홈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배수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2 배수홈에 대응되고, 상기 후면 블록은 전/후/좌/우 4개의 측면에 각각 상기 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블록은 인접하는 두 개의 측면에 각각 상기 암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 대응되는 노출 암부(Exposure Arm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 암부는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암부는 상기 노출 암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끝단 돌기, 상기 노출 암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끝단 돌기보다 길이가 짧은 제 2 끝단 돌기 및 상기 제 1 끝단 돌기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끝단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끝단 돌기와 인접하는 다른 암부의 상기 제 2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의 상기 제 1 돌기가 대응되고, 상기 제 2 끝단 돌기는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의 상기 끝단 연결홈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은 블록들을 서로 맞물리도록 적층함으로써, 블록들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블록의 위치에 따라 골재의 평균입도를 다르게 하되, 옹벽의 후방에 위치하는 블록의 골재의 평균 입도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함으로써, 배수능력(透水力)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후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전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고정핀과 옹벽을 쌓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3은 위치에 따라 골재의 평균 입도를 다르게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은 블록들을 서로 맞물리도록 적층함으로써, 블록들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블록의 위치에 따라 골재의 평균입도를 다르게 하고 후면블록의 흙과의 접촉면에 부직포(투수시트)를 설치하여 토사의 유출없이 물이 배수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배수층을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은 옹벽의 후방에 위치하는 블록의 골재의 평균 입도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함으로써, 배수능력(透水力)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은 옹벽의 전후방향에 대응되고, 제 2 방향(DR2)은 옹벽의 좌우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방향(DR1), 제 2 방향(DR2) 및/또는 제 3 방향(DR3)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제 1 방향(DR1), 제 2 방향(DR2) 및/또는 제 3 방향(DR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평방향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직방향(제 3 방향(DR3))과 수직하는 방향은 모두 수평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스템(10A, 이하에서는 '옹벽'이라 칭함)은 전면부(Front Part, FA)와 후면부(Rear Part, R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FA)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제 3 방향(DR3))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전면 블록(Front Block, 2A)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RA)는 전면부(F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후면부(RA)는 전면부(FA)의 후방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후면 블록(Rear Block, 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옹벽(10A)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은 후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후면 블록(1A)은 관통홀(11), 적어도 하나의 암부(Arm Part, 10), 복수의 상면 고정홈(12) 및 하면 고정홈(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후면 블록(1A)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후면 블록(1A)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관통홀(11)은 후면 블록(1A)의 중앙에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1)은 후면 블록(1A)을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관통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흙,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이물질이 관통홀(11) 내에 쌓일 수 있다.
아울러, 관통홀(11)을,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수분을 충분히 통과시킬 수 있다.
상면 고정홈(12)은 후면 블록(1A)의 상면(Upper Surface)에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면 고정홈(12)은, 후면 블록(1A)의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후면 블록(1A)의 암부(Arm Part, 10)의 연장부(Extended Part, 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면 고정홈(13)은 후면 블록(1A)의 하면(Lower Surface)에 소정 깊이고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면 고정홈(13)은 상면 고정홈(12)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하면 고정홈(13)은 상면 고정홈(12)과 중첩(Overlap)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복수의 상면 고정홈(12)을 연결하는 연장선은 하면 고정홈(13)에 중첩될 수 있다.
암부(10)는 후면 블록(1A)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후면 블록(1A)의 전/후/좌/우 4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암부(10)는 연장부(100), 제 1 돌기(110), 제 2 돌기(120) 및 연결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00)는 후면 블록(1A)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00)는 후면 블록(1A)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홀(11)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돌기(110)는 연장부(100)의 끝단에서 연장부(10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돌기(120)는 연장부(100)의 끝단에서 연장부(100)와 수직하며 제 1 돌기부(110)의 연장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기(120)의 길이는 제 1 돌기(110)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돌기(110)와 제 2 돌기(120)는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연결홈(130)은 연장부(110)의 끝단의 측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면 블록(1A)은 제 1 배수홈(14a) 및 제 2 배수홈(1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수홈(14a)은 후면 블록(1A)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배수홈(14b)은 후면 블록(1A)의 상면을 가로지르며, 제 1 배수홈(14a)과 교차하는 제 2 배수홈(14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배수홈(14a)과 제 2 배수홈(14b)은 관통홈(11)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 1 배수홈(14a)과 제 2 배수홈(14b)은 후면 블록(1A)의 상면에서 십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면 고정홈(12)과 하면 고정홈(13)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핀(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고정핀은 한 후면 블록(1A)의 상면 고정홈(12)과 인접하는 다른 후면 블록(1A)의 하면 고정홈(13)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후면 블록(1A)의 상면 고정홈(12)은 인접하는 다른 후면 블록(1A)의 하면 고정홈(13)과 대응될 수 있다.
후면 블록(1A)을 A1-A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살펴보면, 도 5의 경우와 같이, 상면 고정홈(12)의 직경(R1)은 하면 고정홈(13)의 폭(D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핀을 상면 고정홈(12)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핀을 연결한 상태에서도 후면 블록(1A)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에 위치하는 후면 블록(1A)이 하부에 위치하는 후면 블록(1A)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면 고정홈(12)은 하면 고정홈(13)보다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소정거리(G1)만큼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핀을 상면 고정홈(12)에 더욱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면 고정홈(12)의 깊이(h3)는 하면 고정홈(13)의 깊이(h1)보다 더 깊을 수 있다.
배수홈(제 1 배수홈(14a) 및/또는 제 2 배수홈(14b))의 폭(D2)은 하면 고정홈(13)의 폭(D1)보다 더 크고, 배수홈(제 1 배수홈(14a) 및/또는 제 2 배수홈(14b))의 깊이(h2)는 하면 고정홈(13)의 깊이(h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수홈(제 1 배수홈(14a) 및/또는 제 2 배수홈(14b))의 배수능력을 충분히 크게 유지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면 블록(1A)들은 암부(10)가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면 블록(1Aa)은 제 2 방향(DR2)으로 제 2 후면 블록(1Ab)과 맞물리고, 제 1 후면 블록(1Aa)은 제 1 방향(DR1)으로 제 3 후면 블록(1Ac)과 맞물릴 수 있다.
도 6을 설명하기 위해, 후면 블록(1A)의 4개의 암부(10)를 제 1 암부(10a), 제 1 암부(10a)와 접하는 제 2 암부(10b), 제 2 암부(10b)와 인접하는 제 3 암부(10c) 및 제 3 암부(10c)와 제 1 암부(1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암부(10d)로 칭하기로 한다.
암부(10)의 제 1 돌기(110)와 제 2 돌기(120)의 사이에는 소정의 제 1 공간(SP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1 암부(10a)의 제 1 돌기(110)와 제 1 암부(10a)와 인접하는 제 4 암부(10d)의 제 2 돌기(120) 사이에는 제 1 공간(SP1)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암부(10a)와 제 4 암부(10d)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공간(SP1)은 제 1 후면 블록(1Aa)과 제 2 방향(DR2)으로 인접하는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3 암부(10c)의 제 1 돌기(11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3 암부(10c)의 제 1 돌기(110)는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1 암부(10a)와 제 4 암부(10d)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공간(SP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1 암부(10a)의 제 1 돌기(110)와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3 암부(10c)의 제 1 돌기(110)가 서로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홈(130)은 인접하는 다른 후면 블록(1A)의 제 2 돌기(120)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2 암부(10b)의 제 2 돌기(120)는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1 암부(10a)의 연결홈(130)에 끼워질 수 있다.
아울러, 제 3 암부(10c)와 제 4 암부(10d)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공간(SP1)은 제 1 후면 블록(1Aa)과 제 1 방향(DR1)으로 인접하는 제 3 후면 블록(1Ac)의 제 2 암부(10b)의 제 1 돌기(11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3 후면 블록(1Ac)의 제 2 암부(10b)의 제 1 돌기(110)는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3 암부(10c)와 제 4 암부(10d)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공간(SP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4 암부(10d)의 제 1 돌기(110)와 제 3 후면 블록(1Ac)의 제 2 암부(10b)의 제 1 돌기(110)가 서로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홈(130)은 인접하는 다른 후면 블록(1A)의 제 2 돌기(120)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2 암부(10b)의 제 2 돌기(120)는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1 암부(10a)의 연결홈(130)에 끼워지고,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4 암부(10d)의 제 2 돌기(120)는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3 암부(10c)의 연결홈(130)에 끼워질 수 있다.
아울러, 제 3 후면 블록(1Ac)의 제 1 암부(10a)의 제 2 돌기(120)는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4 암부(10d)의 연결홈(130)에 끼워지고,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3 암부(10c)의 제 2 돌기(120)는 제 3 후면 블록(1Ac)의 제 2 암부(10b)의 연결홈(130)에 끼워질 수 있다.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1 배수홈(14a)은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1 배수홈(14a)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후면 블록(1Aa)과 제 2 후면 블록(1Ab)이 맞물려서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1 배수홈(14a)은 제 2 후면 블록(1Ab)의 제 1 배수홈(14a)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2 배수홈(14b)은 제 3 후면 블록(1Ac)의 제 2 배수홈(14b)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후면 블록(1Aa)과 제 3 후면 블록(1Ac)이 맞물려서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2 배수홈(14b)은 제 3 후면 블록(1Ac)의 제 2 배수홈(14b)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2, 3 후면 블록(1Aa, 1Ab, 1Ac)들의 후면을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제 1 후면 블록(1Aa)의 하면 고정홈(13)은 제 2 후면 블록(1Ab)의 하면 고정홈(13)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후면 블록(1Aa)과 제 2 후면 블록(1Ab)이 맞물려서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후면 블록(1Aa)의 하면 고정홈(13)은 제 2 후면 블록(1Ab)의 하면 고정홈(1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2, 3 후면 블록(1Aa, 1Ab, 1Ac)들을 암부(10)가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하면, 구조적 안정성이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후면 블록(1A)을 이용하여 옹벽(10A)을 형성하게 되면, 옹벽(10A)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전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살펴보면, 전면 블록(2A)은 관통홀(21), 적어도 하나의 암부(20), 복수의 상면 고정홈(22) 및 하면 고정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블록(2A)은 서로 교차하는 제 1 배수홈(24a)과 제 2 배수홈(24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전면 블록(2A)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전면 블록(2A)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전면 블록(2A)의 관통홀(21)은 후면 블록(1A)과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블록(2A)의 암부(20)는 후면 블록(1A)의 암부(10)와 충분히 유사하고, 전면 블록(2A)의 상면 고정홈(22)은 후면 블록(1A)의 상면 고정홈(22)과 충분히 유사하고, 전면 블록(2A)의 하면 고정홈(23)은 후면 블록(1A)의 하면 고정홈(23)과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
전면 블록(2A)의 암부(20)의 연장부(200)는 후면 블록(1A)의 암부(10)의 연장부(100)와 충분히 유사하고, 전면 블록(2A)의 암부(20)의 제 1 돌기(210)는 후면 블록(1A)의 암부(10)의 제 1 돌기(110)와 충분히 유사하고, 전면 블록(2A)의 암부(20)의 제 2 돌기(220)는 후면 블록(1A)의 암부(10)의 제 2 돌기(120)와 충분히 유사하고, 전면 블록(2A)의 암부(20)의 연결홈(230)은 후면 블록(1A)의 암부(10)의 연결홈(130)과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블록(2A)의 제 1 배수홈(24a)과 제 2 배수홈(24b)은 후면 블록(1A)의 제 1 배수홈(14a)과 제 2 배수홈(14b)과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블록(2A)의 관통홀(21), 암부(20), 상면 고정홈(22), 하면 고정홈(23), 제 1 배수홈(24a) 및 제 2 배수홈(24b)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앞선 도 2, 3, 4에 도시되어 있는 후면 블록(1A)과 도 8, 9, 10의 전면 블록(2A)을 비교하면, 전면 블록(2A)의 암부(20)의 개수는 후면 블록(1A)의 암부(10)의 개수보다 더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암부(20)는 전면 블록(2A)의 인접하는 두 개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블록(2A)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는 암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블록(2A)의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에는 노출 암부(Exposure Arm Part, 25)가 형성될 수 있다.
노출 암부(25)는 옹벽(10A)의 전면부(FA)의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는 외벽(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노출 암부(25)의 명칭을 정하였다.
이러한 노출 암부(25)는 외벽(25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끝단 돌기(251), 노출 암부(25)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2 끝단 돌기(252) 및 끝단 연결홈(2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끝단 돌기(251)의 돌출 길이는 제 2 끝단 돌기(252)의 돌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끝단 연결홈(253)은 제 1 끝단 돌기(25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끝단 연결홈(253)과 제 1 끝단 돌기(251) 사이의 간격은 끝단 연결홈(253)과 제 2 끝단 돌기(252)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전면 블록(1A)들은 암부(20)가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제 1 전면 블록(2Aa)은 제 2 방향(DR2)으로 제 2 전면 블록(2Ab)과 맞물릴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면 블록(2Aa)은 제 1 방향(DR1)으로 제 1 후면 블록(1Aa)과 맞물릴 수 있다.
도 11을 설명하기 위해, 전면 블록(2A)의 2개의 암부(20)를 제 1 암부(20a), 제 1 암부(20a)와 접하는 제 2 암부(20b)로 칭하기로 한다.
제 1 암부(20a)의 제 1 돌기(210)와 제 2 암부(20b)의 제 2 돌기(220)의 사이에는 소정의 제 3 공간(SP3)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암부(20a)의 제 2 돌기(220)와 노출 암부(25)의 제 1 끝단 돌기(251)의 사이에는 소정의 제 2 공간(SP2)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암부(20a)와 제 2 암부(20b) 사이에 마련되는 제 3 공간(SP3)은 제 1 전면 블록(2Aa)과 제 1 방향(DR1)으로 인접하는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2 암부(10b)의 제 1 돌기(11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2 암부(10b)의 제 1 돌기(110)는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1 암부(20a)와 제 2 암부(20b)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3 공간(SP3)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1 암부(20a)의 제 1 돌기(210)와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2 암부(10b)의 제 1 돌기(110)가 서로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제 1 암부(20a)와 노출 암부(25)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공간(SP2)은 제 1 전면 블록(2Aa)과 제 2 방향(DR2)으로 인접하는 제 2 전면 블록(2Ab)의 제 2 암부(20b)의 제 1 돌기(21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전면 블록(2Ab)의 제 2 암부(20b)의 제 1 돌기(210)는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2 공간(SP2)에 맞물려서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1 끝단 돌기(251)와 제 2 전면 블록(2Ab)의 제 2 암부(20b)의 제 1 돌기(210)가 서로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노출 암부(25)의 제 2 끝단 돌기(252)는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2A)의 끝단 연결홈(253)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전면 블록(2Ab)의 노출 암부(25)의 제 2 끝단 돌기(252)는 제 1 전면 블록(2Aa)의 노출 암부(25)의 끝단 연결홈(253)에 끼워질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1 암부(20a)의 제 2 돌기(220)는 제 2 전면 블록(2Ab)의 제 2 암부(20b)의 끝단 연결홈(253)에 끼워질 수 있다.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1 배수홈(24a)은 제 2 전면 블록(2Ab)의 제 1 배수홈(24a)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전면 블록(2Aa)과 제 2 전면 블록(2Ab)이 맞물려서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1 배수홈(24a)은 제 2 전면 블록(2Ab)의 제 1 배수홈(24a)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2 배수홈(24b)은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2 배수홈(14b)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전면 블록(2Aa)과 제 1 후면 블록(1Aa)이 맞물려서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전면 블록(2Aa)의 제 2 배수홈(24b)은 제 1 후면 블록(1Aa)의 제 2 배수홈(14b)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2 전면 블록(2Aa, 2Ab)과 제 1, 2, 3 후면 블록(1Aa, 1Ab, 1Ac)들의 후면을 살펴보면, 도 12와 같이, 제 1 전면 블록(2Aa)의 하면 고정홈(23)은 제 2 전면 블록(2Ab)의 하면 고정홈(23)에 대응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2 전면 블록(2Aa, 2Ab)들을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하면, 구조적 안정성이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블록(2A)을 이용하여 옹벽(10A)을 형성하게 되면, 옹벽(10A)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면 블록(2A)과 후면 블록(1A)을 이용하여 쌓은 옹벽(10A)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3 내지 도 18은 고정핀과 옹벽을 쌓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후면 블록(1A)들을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적층하거나 전면 블록(2A)들을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적층하기 위해 고정핀(3A)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3A)의 일측은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의 상면 고정홈(12, 22)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다른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의 하면 고정홈(13, 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3A)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적층된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들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옹벽(10A)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핀(3A)을 사용하여, 도 14의 (A)와 같이,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들을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일직선으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도 14의 (B)와 같이, 고정핀(3A)의 상부(타측)는 하면 고정홈(13)의 제 2 측벽(Second Side Wall, SW2)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면 고정홈(13)의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의 단면은 제 1 측벽(First Side Wall, SW1)과 제 2 측벽을 포함하고, 제 1 측벽(SW1)은 옹벽(10A)의 전방 측에 위치하고, 제 2 측벽(SW2)은 옹벽(10A)의 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이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에 비해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A)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은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보다 소정 거리(G2)만큼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5의 (B)와 같이, 고정핀(3A)의 상부는 하면 고정홈(13)의 제 1 측벽(SW1)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하면 고정홈(13) 내에서 고정핀(3A)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제 1 방향(DR1)으로 고정핀(3A)의 하부측(일측)의 폭과 상부측(타측)의 폭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상부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과 하부 블록(후면 블록(1A) 및/또는 전면 블록(2A)) 사이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고정핀(3A)의 형태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의 (A)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고정핀(3A)의 하부측(일측, 30)의 폭(R2a)은 상부측(타측, 31)의 폭(R2b)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고정핀(3A)의 하부측(30)의 높이(H2)는 상부측(31)의 높이(H3)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정핀(3A)의 하부측(30)의 높이(H2)는 상면 고정홈(12)의 깊이(h3)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6의 (A)의 원통형 고정핀(3A)과는 다르게, 도 16의 (B)와 같이, 고정핀(3A)은 사각 기둥 형태인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기둥 형태 고정핀(3A)도 제 1 방향(DR1)으로 고정핀(3A)의 하부측(일측, 30)의 폭은 상부측(타측, 3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고정핀(3A)의 제 1 방향(DR1)으로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일직선 형태의 측면(우측면)이 하면 고정홈(13)의 제 2 측벽(SW2)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고정핀(3A)의 제 1 방향(DR1)으로의 단면은 알파벳 대문자 'L'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L' 형태의 고정핀(3A)의 좌측이 하면 고정홈(13)의 제 2 측벽(SW2) 측에 위치하고, 'L' 형태의 고정핀(3A)의 우측이 하면 고정홈(13)의 제 1 측벽(SW1)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의 (A)를 살펴보면, 고정핀(3A) 하면 고정홈(13)의 제 2 측벽(SW2)에 근접하는 경우, 도 14의 경우와 같이,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일직성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블록이 상부 블록보다 더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의 (B)를 살펴보면, 고정핀(3A)이 하면 고정홈(13)의 제 1 측벽(SW1)에 근접하는 경우, 도 15의 경우와 같이,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에 비해 후방에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고정핀(3A)의 상부측(31)이 하면 고정홈(13)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하면 고정홈(13)의 제 1 측벽(SW1)은 고정핀(3A)의 하부측(30)과 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에 비해 후방에 위치하도록 블록들을 적층하는 방법을 들여쌓기라고 할 수 있다.
들여쌓기 방식으로 축조한 옹벽(10A)의 일례를 도 18에 게시하였다.
이처럼, 들여쌓기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제 1 방향(DR1)으로 하부 블록과 상부 블록의 간격(G2)은 블록(전면 블록(2A) 및/또는 후면 블록(1A))의 높이(H1)의 대략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들여쌓기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은 위치에 따라 골재의 평균 입도를 다르게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A)와 같이 후면 블록(1A)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160)의 평균 입도는 (B)와 같이 전면 블록(2A)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260)의 평균 입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골재는 모래, 자갈, 석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후면 블록(1A)의 골재(160)의 평균 입도를 전면 블록(2A)의 골재(260)의 평균 입도보다 더 크게 하게 되면, 전면 블록(2A)과 후면 블록(1A)을 포함하는 옹벽(10A)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그리드(Grid)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배수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면 블록(1A)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160)의 평균 입도가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후면 블록(1A)의 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평균 입도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후면 블록(1A)의 배수능력이 과도하게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후면 블록(1A)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160)의 평균 입도는 5~19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13mm일 수 있다.
도 20을 살펴보면, 전면부(FA)와 후면부(RA)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블록(2A)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블록(1A)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AR)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부(FA)와 후면부(RA)의 사이에는 복수의 전면 블록(2A) 및 복수의 후면 블록(1A)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AR)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AR)에는, 도 21과 같이, 잡석, 재활용 골재 또는 흙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가 채워져서 충진부(4A)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0의 옹벽(10A)을 A3-A4 라인을 따라 절단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공간(AR)에 채워지는 재료의 평균 입도, 즉 충진부(4A)의 재료의 평균 입도는 후면 블록(1A)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160)의 평균 입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옹벽(10A)의 배수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옹벽(10A)의 사이즈가 대형인 경우에 충분부(4A)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면 블록(1A)의 골재(160)의 평균입도가 전면 블록(2A)의 골재(260)의 평균입도보다 더 큰 경우에, 후면 블록(1A)의 배수홈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배수홈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A)의 전면 블록(2A)의 배수홈(제 1 배수홈(24a) 및 제 2 배수홈(24b))의 폭(D2)은 (B)의 후면 블록(1A)의 배수홈(제 1 배수홈(14a) 및 제 2 배수홈(14b))의 폭(D2a) 보다 더 클 수 있다.
후면 블록(1A)의 골재(160)의 입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배수홈(제 1 배수홈(14a) 및 제 2 배수홈(14b))의 폭(D2a)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더라도 배수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후면 블록(1A)의 배수능력이 충분한 경우에, 도 23의 (B)와 같이, 후면 블록(1A)에는 배수홈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전면 블록(Front Block)을 포함하는 전면부(Front Part); 및 상기 전면부의 후방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후면 블록(Rear Block)을 포함하는 후면부(Rea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의 평균 입도가 전면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의 평균 입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후면 블록을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가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어 공간(AR)이 마련되되, 상기 공간은 복수의 전면블록(2A)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및 복수의 후면블록(1A)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부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후면블록을 결합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간에는 식생 또는 배수를 위하여 잡석, 재활용 골재 및 흙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가 채워지고,
    상기 공간에 채워지는 잡석 또는 재활용 골재의 평균 입도는 상기 후면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골재의 평균 입도 보다 더 큰 것으로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능력이 향상된 옹벽 블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블록 및 상기 후면 블록은
    중앙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암부(Arm Part);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면 고정홈; 및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 고정홈에 대응되는 하면 고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상기 측면에서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연장부(Extended Part);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부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부와 수직하며 상기 제 1 돌기의 연장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돌기보다 길이가 짧은 다른 제 2 돌기;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와 인접하는 다른 암부의 제 2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1 돌기가 대응되고,
    상기 연결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2 돌기에 대응되고,
    일측은 상기 상면 고정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하면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능력이 향상된 옹벽 블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고정홈의 직경은 상기 하면 고정홈의 폭 보다 더 작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의 폭은 타측의 폭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상면 고정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하면 고정홈과 대응되고,
    상기 상면 고정홈은 상기 하면 고정홈 보다 상기 수평방향으로 더 후방에 위치하는 배수성 능력이 향상된 옹벽 블록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블록 및 상기 후면 블록은
    상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배수홈; 및
    상기 상면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 1 배수홈과 교차하는 제 2 배수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수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1 배수홈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배수홈은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 또는 후면 블록의 상기 제 2 배수홈에 대응되고,
    상기 후면 블록은 전/후/좌/우 4개의 측면에 각각 상기 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블록은 인접하는 두 개의 측면에 각각 상기 암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 대응되는 노출 암부(Exposure Arm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 암부는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암부는
    상기 노출 암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끝단 돌기;
    상기 노출 암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끝단 돌기보다 길이가 짧은 제 2 끝단 돌기; 및
    상기 제 1 끝단 돌기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끝단 연결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끝단 돌기와 인접하는 다른 암부의 상기 제 2 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의 상기 제 1 돌기가 대응되고,
    상기 제 2 끝단 돌기는 인접하는 다른 전면 블록의 상기 끝단 연결홈에 대응되는 배수성 능력이 향상된 옹벽 블록 시스템.
KR1020190024028A 2019-02-28 2019-02-28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KR102242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028A KR102242426B1 (ko) 2019-02-28 2019-02-28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028A KR102242426B1 (ko) 2019-02-28 2019-02-28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07A Division KR20210025541A (ko) 2021-01-25 2021-01-25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99A KR20200105199A (ko) 2020-09-07
KR102242426B1 true KR102242426B1 (ko) 2021-04-20

Family

ID=7247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028A KR102242426B1 (ko) 2019-02-28 2019-02-28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20B1 (ko) * 2012-08-13 2013-03-18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옹벽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01Y1 (ko) 2005-01-12 2005-04-14 강연익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425520Y1 (ko) 2006-06-13 2006-09-13 최경동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연결구조
KR101678127B1 (ko) * 2014-10-13 2016-11-21 박공영 토목용 블록
KR20170009571A (ko) * 2015-07-17 2017-01-25 주식회사 에코탑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20180106715A (ko) * 2017-03-21 2018-10-01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20B1 (ko) * 2012-08-13 2013-03-18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옹벽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99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530B1 (ko)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2006305B1 (ko) 절토사면 및 성토지 옹벽용 블럭 구조물
KR20210025541A (ko)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KR101591812B1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2242426B1 (ko) 배수능력을 향상시킨 옹벽 블록 시스템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48199B1 (ko) 조립식 합성블록
KR20050035846A (ko) 조립 패널 옹벽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2465108B1 (ko) 중력식 옹벽블록
KR100999185B1 (ko)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JP2010209528A (ja) 側方流動対策構造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KR10254662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KR200233294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KR200334296Y1 (ko)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