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294Y1 -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 Google Patents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294Y1
KR200233294Y1 KR2020010006604U KR20010006604U KR200233294Y1 KR 200233294 Y1 KR200233294 Y1 KR 200233294Y1 KR 2020010006604 U KR2020010006604 U KR 2020010006604U KR 20010006604 U KR20010006604 U KR 20010006604U KR 200233294 Y1 KR200233294 Y1 KR 200233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block unit
block body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존자
Original Assignee
이존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존자 filed Critical 이존자
Priority to KR2020010006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294Y1/ko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의 블록유닛(1)은, 전면(11), 후면(12) 및 양측면(13)에 의해 형성된 전광후협의 블록본체(10), 상기 블록본체(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쇄석채움공(20), 상기 전면(11) 쪽으로 치우쳐 상기 양측면(13)에 둔각으로 대칭 형성된 기준돌기(30), 각각의 상기 기준돌기(30)의 정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C1)에 걸쳐서 상기 블록본체(10)의 상면(14)에 형성된 좌우연결홈(40), 및 상기 기준돌기(30)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이등분하는 수직선상의 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C2)에 걸쳐서 상기 블록본체(10)의 하면(15)에 형성된 중앙연결홈(50)을 구비하는 블록(2); 중앙에 슬릿(4)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연결홈(40)과 상기 중앙연결홈(50)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원형연결판들(3); 및 상하로 축조된 상기 블록들(2)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섬유(6)가 걸쳐지도록 상기 슬릿(4)을 가로질러 삽입되는 연결봉들(5);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BLOCK UNIT FOR CONSTRUCTING BLOCK-RETAINING WALL}
(기술분야)
본 고안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들을 축조함에 있어서 보강섬유를 포설하고 뒷채움재를 전압 다짐함으로써 옹벽을 구축하는 옹벽축조공법에 사용되는 단위 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인간의 건축역사에서 인공적인 벽체(옹벽)의 구축은, 자연석이나 토사를 중력식으로 쌓아 올리는 원시적인 공법에서부터 콘크리트 블록과 보강토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공법에 이르기까지 그 역사가 매우 깊으며, 현재에 있어서도 인위적인 옹벽은 경사진 택지에 안전하게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토목공사 등으로서 널리 축조되고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는, 옹벽을 구축할 지점을 굴착하는 공정(A), 그 기저부(101)에 골재(102)를 넣고 견고하게 다지는 공정(B), 기저부에 시멘트(103)를 타설하여 표층을 형성하는 공정(C), 표층 위에 1단의 콘크리트 블록(104)을 쌓는 공정(D), 1단의 블록 안에 쇄석(105)을 채우고 블록(104) 뒤쪽에 뒷채움재(106)를 채워 다지는 공정(E), 옹벽의 설계 기준에 따른 토압을 지탱하도록 콘크리트 블록층과 뒷채움재 사이에 고강도 폴리머 중합체 등으로 제조된 그리드(보강섬유: 107)를 결속하면서 다층으로 콘크리트 블록(104)을 쌓아 올리는 공정, 및 옹벽 상단에 캡(108)을 덮어 마무리하는 공정 등의 일연의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으로는, 상하층의 블록과 블록 사이를 연결하고 보강섬유를 결속하는 방식에 따라, 블록의 전면 인접부에 두 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핀(pin)을 삽입하여 상하층의 블록 사이를 연결하고 핀에 보강섬유를 걸어 결속하는 핀형 블록; 블록의 하단부에 러그(lug)형 돌기를 형성하여 이 러그를 이용하여 상하층의 블록 사이를 결합시키고 보강섬유를 결속하는 러그형 블록; 쐐기형 막대를 사용하여 상하좌우 블록들을 연결하고 보강섬유를 결속하는 쐐기막대형 블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핀형 블록은 핀을 고가의 특수 재질(예, 섬유유리 계통)로 제작되지 않으면 안되고 상층 블록의 하면에 위치한 작은 구멍에 핀을 삽입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고; 상기 러그형 블록은 러그의 보강섬유 구속력이 약하여 보강섬유가 빠져나오게 되거나 돌출된 러그가 운반 중에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쐐기막대형 블록은 직선옹벽의 축조는 가능하나 곡선옹벽의 축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그 공법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998-82110호(1998년 11월 25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24734호(1999년 12월 11일 등록),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0-75357호 등 다수의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배경기술에 따라, 종래 블록의 문제점을 개선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으로 사용되는 새로운 구조의 블록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직선옹벽은 물론 곡선옹벽도 자유자제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좌우의 블록들 사이는 물론 보강섬유와의 결속력이 우수하여 보다 안정적인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블록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에 예시된 블록의 하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원형연결판과 연결봉의 개략 사시도,
도4는 상하 블록유닛 사이의 연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보강섬유의 결속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으로 직선옹벽을 시공한 상태의 개략도,
도7은 본 고안의 블록유닛으로 내측선형 곡선옹벽을 시공한 상태의 개략도,
도8은 본 고안의 블록유닛으로 외측선형 곡선옹벽을 시공한 상태의 개략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으로 완성된 예시적인 옹벽의 개략 정면도,
도10은 일반적인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공법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블록유닛 2: 블록 3: 원형연결판
4: 슬릿 5: 연결봉 6: 보강섬유(그리드)
10: 블록본체 11: 전면 12: 후면
13: 측면 14: 상면 15: 하면
16: 단차 17: 가로보강빔 18: 세로보강빔
20: 쇄석채움공 30: 기준돌기 40: 좌우연결홈
50: 중앙연결홈
본 고안에 따라, 블록, 원형연결판들 및 연결봉들을 포함하는 블록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블록유닛은, 전면, 후면 및 양측면에 의해 형성된 전광후협의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쇄석채움공, 상기 전면 쪽으로 치우쳐 상기 양측면에 둔각으로 대칭 형성된 기준돌기, 각각의 상기 기준돌기의 정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에 걸쳐서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연결홈, 및 상기 기준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이등분하는 수직선상의 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에 걸쳐서 상기 블록본체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중앙연결홈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연결판은 중앙에 슬릿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연결홈과 상기 중앙연결홈에 각각 끼워맞춤된다. 상기 연결봉은 상하로 축조된 상기 블록들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섬유가 걸쳐지도록 상기 슬릿을 가로질러 삽입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블록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에 예시된 블록의 하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원형연결판과 연결봉의 개략 사시도, 도4는 상하 블록유닛 사이의 연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보강섬유의 결속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으로 직선옹벽을 시공한 상태의 개략도, 도7은 본 고안의 블록유닛으로 내측선형 곡선옹벽을 시공한 상태의 개략도, 도8은 본 고안의 블록유닛으로 외측선형 곡선옹벽을 시공한 상태의 개략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으로 완성된 예시적인 옹벽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기본 단위를 이루는 본 고안의 블록유닛(1)은, 하나의 블록(2), 2개의 원형연결판(3) 및 다수의 연결봉(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블록(2)은 프레임을 이루는 블록본체(10)에 쇄석채움공(20), 기준돌기(30), 좌우연결홈(40) 및 중앙연결홈(50)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블록본체(10)는, 옹벽을 축조할 때 전방에 노출되는 전면(11),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12), 및 상기 전면(11)과 후면(12)을 양쪽으로 연결하는 두 측면(13)에 의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전면(11)이 후면(12)에 비해 약간 넓은 전광후협의 윤곽으로 되어 있다. 블록본체(10)를 전광후협의 형상으로 한 것은 본 고안의 블록유닛(1)으로 직선옹벽뿐만 아니라 곡선옹벽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상기 전면(11)에는, 예를 들어 자연암석의 표면과 같은 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마감하는 것과 같이, 블록유닛(1)이 시공되는 장소에 맞는 적절한 마감처리가 된다. 상기 양측면(13)은 블록본체(10)가 전광후협의 형상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후방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진다. 예시된 도면에는 양측면(13)에 단차(16)가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단차(16) 없이 연속라인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블록본체(10)에는 옹벽축조과정에서 통상 쇄석이 채워지는 쇄석채움공(20)이 상면(14)과 하면(15)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쇄석채움공(20)의 형상은 블록(2)의 강도가 고려된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쇄석채움공(20)이 가로보강빔(17)에 의해 전방쇄석채움공(20A)과 후방쇄석채움공(20B)으로 전후로 이분되어 있고, 다시 전방쇄석채움공(20A)이 세로보강빔(18)에 의해 좌우로 이분되어 총 3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양측면(13)에는 전면(11)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각각 둔각(예, 146.25도)으로 돌출된 기준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기준돌기(30)를 지나는 가상수직선에 대하여 측면(13)의 전방측면(13A)과 후방측면(13B)이 각각 22.5도와 11.25도 꺾여서 기준돌기(30)를 형성하고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나, 기준돌기(30)의 위치와 이들 각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옹벽축조과정에서 인접한 블록들(2)은 상기 기준돌기(30)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로 거취하게 되며, 이때 인접한 블록들(2)의 기준돌기(30)의 정점을 일직선상으로 거취시키면 직선옹벽이 축조되는 것이고(도6 참조), 기준돌기(30)를 중심으로 블록들(2)을 회전시켜 측면(13)의 후방측면(13B) 사이의 각도를 좁히거나 넓히면 곡선옹벽이 축조되는 것이다(도7과 도8 참조). 이때 측면(13)의 후방측면(13B) 또는 전방측면(13A)이 서로 접할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 인접한 블록들(2)을 적절히 회전시키면, 요구되는 옹벽의 곡선부분선형을 맞출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각 블록(2)은 기준돌기(30)를 중심으로 총 33.75도의 범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블록본체(10)의 상면(14)과 하면(15)에는 좌우 및 상하에 인접한 다른 블록본체(10)와의 사이에 상호 구조적인 결속을 제공하기 위한 좌우연결홈(40)과 중앙연결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연결홈(40)은 블록본체(10)의 상면(14) 좌우에 하나씩 형성하되, 상기 기준돌기(30)의 정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C1)에 걸쳐서 오목하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점을 중심으로 가상원(C1: 예컨대 측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원: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반경 60MM)을 그리면 측면(13)의 상면(14) 위에 상기 가상원(C1) 궤적의 일부가 그려지게 되는 바, 상기 좌우연결홈(40)은 이런 가상원(C1) 궤적 내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소정의 깊이(예, 20MM)로 오목하게 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좌우연결홈(40)의특성에 따라, 기준돌기(30)가 서로 접하도록 2개의 블록(2)을 나란히 위치시키면, 한쪽 블록(2)의 우측연결홈(40A)과 다른 쪽 블록(2)의 좌측연결홈(40B)이 합쳐진 좌우연결홈(40)의 윤곽이 전체적으로 상기 가상원(C1)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중앙연결홈(50)은 블록본체(10)의 하면(15)에 형성하되, 상기 기준돌기(30)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이등분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C2)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상기 이등분점으로부터 상하로 약간 이동된 위치를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중앙연결홈(50)은 양쪽 두 가상원(C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이등분하는 수직선상의 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C2)에 걸쳐서 블록본체(10)의 하면(15)에 형성된다. 중앙연결홈(50)의 직경과 깊이는 좌우연결홈(40)의 직경 및 깊이와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1단의 블록들(2) 위에 2단의 블록들(2)을 엇갈림 방식으로 축조(1단의 인접한 2개의 블록 사이에 2단의 한 블록을 쌓는 방식의 축조)하면, 1단의 인접한 두 블록(2)의 상면(14)에 있는 우측연결홈(40A)과 좌측연결홈(40B)이 모여 형성된 가상원(C1)의 좌우연결홈(40)에 2단의 하면(15)에 있는 중앙연결홈(50)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게 된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블록(2)은, 전면(11)의 길이가 약 400MM, 후면(12)의 길이가 약 260MM, 양측면(13)의 길이가 약 520MM, 높이(두께)가 약 200MM, 좌우연결홈(40)과 중앙연결홈(50)의 직경과 깊이가 각각 약 120MM 및 약 20MM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블록(2)을 축조함에 있어서 상하좌우에 인접한 다른 블록들(2) 및 보강섬유(6)와의 구조적인 결속(결합)은 좌우연결홈(40)과 중앙연결홈(50)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원형연결판들(3)과 이 원형연결판(3)에 삽입되는 연결봉들(5)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형연결판(3)은 좌우연결홈(40) 및 중앙연결홈(50)이 형성하는 가상원(C1, C2)에 꼭 맞게 끼워 맞춤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진다. 즉, 원형연결판(3)은 기본적으로 좌우연결홈(40) 및 중앙연결홈(50)의 직경(예, 120MM)과 깊이(예, 20MM)에 각각 대응되는 직경(120MM보다 약간 작은 직경)과 높이(예, 20MM)를 가진다.
따라서, 1단의 인접한 두 블록(2)의 상면(14)에 있는 우측연결홈(40A)과 좌측연결홈(40B)이 모여 형성된 가상원(C1)의 좌우연결홈(40)에 하나의 원형연결판(3A: 상부원형연결판)을 삽입하고 2단의 하면(15)에 있는 중앙연결홈(50)에 하나의 원형연결판(3B: 하부원형연결판)을 삽입하여 1단 위에 2단을 엇갈림 축조하면, 두 원형연결판(3A, 3B)은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게 된다.
원형연결판(3)에는 그 중심을 가로질러 슬릿(4)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4)에는 콘크리트 등으로 된 연결봉(5)이 대략 2-3개 삽입된다. 슬릿(4)의 크기(폭과 길이)는 원형연결판(3)에 삽입된 연결봉(5)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봉(5)의 길이는 하나의 원형연결판(3)의 높이(예, 20MM) 보다는 길고 상하 2개의 원형연결판(3)의 높이의 합(40MM) 보다는 짧거나 같으며, 그 두께는 상기 슬릿(4)에 끼워맞춤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슬릿(4)과 연결봉(5)의 사이즈는 사용되는 보강섬유(6)의 격자구조의 크기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이하,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블록유닛(1)을 이용하여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1)을 사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는, 앞서 종래기술에 관련하여 설명한 일반적인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과 기본원리가 동일하고 다만 본 블록유닛(1)의 구조적인 특징과 관련된 부분만이 다르므로, 이하 본 고안의 블록유닛(1)을 조립하는 공정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블록들(2)을 상기 기준돌기(30)가 서로 당접하도록 나란히 위치시켜 1단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상원(C1)을 구성하는 인접한 2개 블록(2)의 좌우연결홈(40)에 상부원형연결판(3A)을 삽입한다. 다음에 1단의 블록(2) 위에 보강섬유(그리드: 6)를 포설하고, 이어서 상기 보강섬유(6)의 격자를 관통하여 위치되게 하면서 상기 상부원형연결판(3A)의 슬릿(4)에 2-3개의 연결봉(5)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부원형연결판(3A) 위에 하부원형연결판(3B)을 올려놓되 상기 연결봉들(5)이 하부원형연결판(3B)의 슬릿(4)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서 1단의 인접한 블록들(2) 사이로 2단의 블록(2)을 쌓되 상기 하부원형연결판(3B)이 2단 블록(2)의 하면(15)에 있는 중앙연결홈(5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블록들(2)을 쌓음에 따라, 보강섬유(6)는 상하의 블록(2)과 상하의 원형연결판(3) 사이에 마찰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봉(5)에 의해 블록들(2)에 결속되는 한편 블록들(2) 사이는 원형연결판들(3)과 연결봉들(5)에 의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도9와 같은 전체의 옹벽이 축조되는 것이다. 물론 원형연결판들(3)과 연결봉들(5)에 결속된 보강섬유(6)는 블록유닛(1) 뒤쪽에 채워져 다져지는 뒷채움재 속에 견고하게 매립된다.
좌우연결홈(40)에 삽입되는 상부원형연결판(3A)과 중앙연결홈(50)에 삽입되는 하부원형연결판(3B)의 높이는 동일한 사이즈(예, 20MM)인 것이 기본이지만, 좌우연결홈(40)에 삽입되는 상부원형연결판(3A)의 높이(예, 23MM)를 중앙연결홈(50)에 삽입되는 하부원형연결판(3B)의 높이(예, 17MM)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과 같이 두 원형연결판(3)의 높이를 다르게 하면 보강섬유(6)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토압에 의한 블록들(2)의 밀림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원형연결판(3A)의 높이와 하부원형연결판(3B)의 높이를 달리하면, 보강섬유(6)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원형연결판(3)이 삽입되어 있는 연결홈(40, 50) 쪽으로 약간 밀려들어간 상태로 결속되어 그 구속력이 커짐으로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따라서 토압에 의한 블록들(2)의 밀림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단 상기 높이차이는 보강섬유(6)가 굴곡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은 정도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유닛(1)을 이용하면,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내측선형곡선 및 외측선형곡선의 옹벽을 자유자제로 축조할 수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블록들(2)을 그 기준돌기(30)의 정점이 일직선상으로 되게 거취시키면 직선옹벽이 축조되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3)의 후방측면(13B)이 인접되게 블록들(2)을 위치시키면 내측선형의 곡선옹벽이 축조되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면(13B)이 이격되게 블록들(2)을 위치시키면 외측선형의 곡선옹벽이 축조된다.
앞서 예시한 측면(13)의 전방측면(13A)과 후방측면(13B)이 각각 22.5도 및11.25도 꺾인 블록유닛(1)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블록유닛들(1)의 후방측면(13B)이 상호 접하도록 위치시키면 5개의 블록유닛(1)의 사용으로 내측선형 곡선옹벽의 90도 굴곡을 커버할 수 있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블록유닛들(1)의 전방측면(13A)이 상호 접하도록 위치시키면 3개의 블록유닛(1)의 사용으로 외측선형 곡선옹벽의 90도 굴곡을 커버할 수 있다.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에 본 고안의 블록유닛(1)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강섬유(6)와 그 상하층에서 접하는 블록들(2)과의 마찰력, 보강섬유(6)와 그 상하에서 접하는 원형연결판들(3)과의 마찰력, 보강섬유(6)와 쇄석채움공(20)에 채워진 쇄석들과의 마찰력, 및 원형연결판(3)과 연결봉(5)에 의해 결속된 보강섬유(6)의 결속력 등이 협동하여 토압에 의해 보강섬유(6)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저항함으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상부원형연결판(3A)의 높이를 하부원형연결판(3B)의 높이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면, 보강섬유(6)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토압에 의한 블록들(2)의 밀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으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준돌기(30)와 원형연결판(3)을 중심으로 블록(2)을 회전시켜 인접한 블록들(2)의 배치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음으로 직선옹벽은 물론 특히 곡선옹벽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셋째, 원형연결판(3)과 연결봉(5)을 이용하여 상하좌우의 다른 블록(2)을 결속하는 구조임으로, 특수재질의 고가의 핀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상층 블록의 하면에 위치한 작은 구멍에 핀을 삽입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어려움이 없으며, 러그의 파손과 같은 문제점이 없다.
넷째, 원형연결판(3)의 슬릿(4)과 연결봉(5)의 사이즈는 사용될 보강섬유(6)의 격자규격에 따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음으로 사용성과 적용성이 뛰어나다.
다섯째, 분리된 2개의 원형연결판(3)이 2-3개의 연결봉(5)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보강섬유(6)가 강제적으로 굴곡됨으로써 손상을 받을 염려가 없다.

Claims (5)

  1. 전면(11), 후면(12) 및 양측면(13)에 의해 형성된 전광후협의 블록본체(10), 상기 블록본체(10)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쇄석채움공(20), 상기 전면(11) 쪽으로 치우쳐 상기 양측면(13)에 둔각으로 대칭 형성된 기준돌기(30), 각각의 상기 기준돌기(30)의 정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C1)에 걸쳐서 상기 블록본체(10)의 상면(14)에 형성된 좌우연결홈(40), 및 상기 기준돌기(30)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이등분하는 수직선상의 점을 중심점으로 한 가상원(C2)에 걸쳐서 상기 블록본체(10)의 하면(15)에 형성된 중앙연결홈(50)을 구비하는 블록(2);
    중앙에 슬릿(4)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연결홈(40)과 상기 중앙연결홈(50)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원형연결판들(3); 및
    상하로 축조된 상기 블록들(2)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섬유(6)가 걸쳐지도록 상기 슬릿(4)을 가로질러 삽입되는 연결봉들(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채움공(20)은 가로보강빔(17)에 의해 전방쇄석채움공(20A)과 후방쇄석채움공(20B)으로 전후로 이분되어 있고, 상기 전방쇄석채움공(20A)은 세로보강빔(18)에 의해 좌우로 이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돌기(30)는 그 정점을 지나는 가상수직선에 대하여 상기 양측면(13)의 전방측면(13A)과 후방측면(13B)이 각각 22.5도와 11.25도 꺾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연결홈(40)에 삽입되는 원형연결판(3)과 상기 중앙연결홈(50)에 삽입되는 원형연결판(3)은 그 높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4)과 상기 연결봉(5)은 상기 보강섬유(6)의 격자 규격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KR2020010006604U 2001-03-12 2001-03-12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KR200233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04U KR200233294Y1 (ko) 2001-03-12 2001-03-12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604U KR200233294Y1 (ko) 2001-03-12 2001-03-12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294Y1 true KR200233294Y1 (ko) 2001-10-06

Family

ID=7309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604U KR200233294Y1 (ko) 2001-03-12 2001-03-12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2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94B1 (ko) * 2016-02-26 2017-05-11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케어 옹벽블록
KR20210116940A (ko) * 2020-03-18 2021-09-28 이현우 벽체용 블록의 핀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CN115748740A (zh) * 2022-12-21 2023-03-07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沟谷大跨内凹拱式加筋土挡墙支护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94B1 (ko) * 2016-02-26 2017-05-11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케어 옹벽블록
KR20210116940A (ko) * 2020-03-18 2021-09-28 이현우 벽체용 블록의 핀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KR102331654B1 (ko) 2020-03-18 2021-11-25 이현우 벽체용 블록의 핀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CN115748740A (zh) * 2022-12-21 2023-03-07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沟谷大跨内凹拱式加筋土挡墙支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6238B2 (ja) 擁壁ブロックシステム
US6615561B2 (en) Retaining wall block
US2882689A (en) Dry wall of bricks
AU2010300695B2 (en)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US7971407B2 (en) Wall block and wall block system for constructing walls
CA2438560C (en) Modular wall or fence construction system
KR100764135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200233294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유닛
KR100290257B1 (ko)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US20040159065A1 (en) Retaining wall block
CN211312554U (zh) 一种挡锁砌砖、挡墙、护坡
CN108487264B (zh) 一种护坡砖及挡土墙垒砌方法
KR102616011B1 (ko)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GB2283996A (en) Dry stone wall block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401122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1988968B1 (ko) 옹벽용 보강 그리드 및 옹벽 시공방법
KR100506749B1 (ko) 매립물을 보강하기 위한 벽 및 상기 벽을 고정하는 고정요소
KR200344121Y1 (ko) 앵커 블록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CN217325426U (zh) 预制挡墙及基于高性能纤维混凝土的预制挡墙
GB2216933A (en) Retaining wall composed of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KR200334296Y1 (ko)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