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952B1 -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952B1
KR102241952B1 KR1020200094063A KR20200094063A KR102241952B1 KR 102241952 B1 KR102241952 B1 KR 102241952B1 KR 1020200094063 A KR1020200094063 A KR 1020200094063A KR 20200094063 A KR20200094063 A KR 20200094063A KR 102241952 B1 KR102241952 B1 KR 10224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uminant
ruminants
acidosis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503A (ko
Inventor
이상석
정창대
기광석
정하연
김상범
김언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순천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순천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094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화칼슘 10 내지 40 중량%, 산호 2 내지 7 중량%, 산화마그네슘 10 내지 50 중량%, 중탄산나트륨 20 내지 50 중량% 및 효모 2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은 반추위 동물에 섭식시킬 경우,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산도를 완화시켜주고 제 1위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바, 이를 반추동물의 건강 증대를 위하여 반추동물 사료에 사료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A buff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cidosis of ruminants}
본 발명은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화칼슘, 산호, 산화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및 효모를 특정한 비율로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산도를 완화시켜주고 제 1위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산독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반추위 완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및 이러한 반추동물 사료를 이용하여 반추동물을 사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가축용 배합사료는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및 인등을 함유하고 있다. 여기에, 가축의 대사작용에 영향을 주는 약제로서 영양제의 성격을 띤 것으로 비타민제, 칼슘제, 당류, 혈액대용제, 무기질 및 유기산 등이 있다. 또한, 질병예방 및 사료효율 증진을 위하여 항생물질을 첨가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동일한 목적으로 유산균제제를 투입하기도 한다.
한편, 가축사료의 효율적인 생산과 이용은 양축농가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반추가축의 경우 다량의 보조사료(조사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반추동물은 생리특성상 사료급여 방법에 따라 사료 이용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장, 1990), 원료사료의 종류와 배합비율 등에 따라서 사료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정상적인 반추가축의 사양방법은 양질의 조사료 급여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현실은 이들 조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저질 조사료인 볏짚에 농후사료를 다급하고 있는 실정으로 그 결과 유산중독, 제4위 전위증, 각화증 및 산독증 등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으며 반추작용이 저하되어 소화율 감소, 소화장애 및 사료섭취량이 감소되고 심할 경우에는 사료섭취를 중단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반추동물(反騶動物)의 사육시 양질의 조사료(粗飼料)가 부족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농후사료(濃厚飼料)를 위주로 급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육체계하에서는 반추위(反騶胃)가 점차 산성화되어 급성 산독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급성 산독증은 농후사료 대량섭취로 제1위 내에 젖산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발생하며, 제1위 내 pH가 낮아지며 증상으로는 심한탈수 증상과 설사를 일으키며, 더욱 심해지면 호흡수와 맥박수가 증가하고 급성 고창증 증세를 나타낸다. 만성인 경우 지속적인 농후사료 과다급여로 조사료 섭취량이 떨어져 반추위 pH가 4.5~5.5 까지 떨어지며, 만성적인 과산증은 만성고창증, 인산염뇨에 의한 뇨석증을 일으키고, 제1위 내 이상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히스타민으로 발굽의 혈액순환장애가 초래되어 제엽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반추위내 빠른 전분 분해 시 반추위내 미생물중 Streptococcus bovis의 증가, Escherichia coli에 의한 endotoxin 분비, 반추위내 삼투압증가 및 휘발성지방산 축적, 젖산이용 Megasphea elsdenii의 성장저해 등 반추위내 미생물 균총의 변화 및 유용 미생물의 저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완충제를 급여하면 반추위내 pH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므로서 사료섭취량과 소화율향상 및 젖소의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우에게 완전혼합사료(TMR)를 급여하게 되면 균형된 사료를 섭취함으로서 반추위내 pH를 정상적으로 (6.2∼6.8) 유지시켜 미생물체 단백질 합성이 왕성하게 됨으로서 유효한 휘발성 지방산(VFA)의 생성, 효율적인 조사료 이용 및 소화계통의 질병을 예방하고 사료의 이용율을 극대화함으로 생산성이 증진된다고 보고하였다 (Holter 등, 1977).
그러나, TMR 사료만으로는 완전한 효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TMR 제조시 완충제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Esdale과 Satter (1972)는 NaHCO3 첨가가 반추위내 pH와 VFA 농도에 관한 연구에서 홀스타인에 NaHCO3를 반추위내 9∼12mole씩 계속적인 주입은 pH를 상승시키고 총휘발성 지방산 함량은 오히려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고, Kilmer 등(1980)은 경산우, 미경산우의 유우사료에 NaHCO3 0.7%를 첨가하였을 때 전체(Total)-VFA 함량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Erdman등 (1982)은 농후사료와 옥수수 사일리지(silage)(60:40) 사료에 NaHCO3 1%를 첨가하였 때 ADF의 소화율을 증가시켰으며, 반추위액의 pH 하락을 방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산도를 완화시켜주고 제 1위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산독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반추위 완충제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산화칼슘, 산호, 산화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및 효모를 특정한 비율로 포함하는 완충제 조성물이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산도를 완화시켜주고 제 1위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추동물의 위(胃)내 산도를 완화시켜주고 제 1위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를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를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화칼슘 10 내지 40 중량%, 산호 2 내지 7 중량%, 산화마그네슘 10 내지 50 중량%, 중탄산나트륨 20 내지 50 중량% 및 효모 2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를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한 또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를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를 이용하여 반추동물을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산도를 중화 및 완화시킴으로써 반추동물의 산독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조성물은 산화칼슘 10 내지 40 중량%, 산호 2 내지 7 중량%, 산화마그네슘 10 내지 50 중량%, 중탄산나트륨 20 내지 50 중량% 및 효모 2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 20 내지 30 중량%, 산호 3 내지 6 중량%, 산화마그네슘 20 내지 40 중량%, 중탄산나트륨 30 내지 40 중량% 및 효모 3 내지 6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칼슘, 산호(coral), 산화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및 효모의 각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반추위내 산도의 중화 및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반추위 동물"이란, 우제목에 속하는 동물 중에서 반추위를 갖는 동물을 의미한다. 상기 우제목은 크게 9개 과(멧돼지과, 미국멧돼지과, 하마과, 낙타과,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영양붙이과 및 소과)로 구분되는데, 이중에서 낙타과(단봉낙타, 쌍봉낙타, 라마, 알파카, 과나코, 비쿠냐 등), 애기사슴과(애기사슴, 쥐사슴 등), 사슴과(사슴, 순록, 노루, 고라니, 엘크, 무우스 등) , 기린과(기린 또는 오카피) 및 소과(한우, 젖소, 야크, 들소, 버팔로, 임팔라, 가우르, 물소, 염소, 양, 산양, 영양 등)의 동물들이 반추위 동물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반추위"란, 우제목의 일부 동물에서 볼 수 있는 특수한 소화관으로, 일명 되새김을 하기 위해 혹위, 벌집위, 겹주름위, 및 주름위의 4개의 방으로 구성된 위장을 의미한다. 일명 되새김위라고도 하며, 한번 삼킨 음식물을 다시 입 안으로 토하여 잘 씹은 후에 삼키는 것을 반추라고 하고, 이런 반추를 가능하게 하는 위장이기 때문에 반추위라고 명명되었다. 상기 반추위에는 미생물이 공생하고 있어서 일반적인 동물들이 소화하지 못하는 식물의 셀룰로스를 분해하거나, 솔라닌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은 펠릿 형태 또는 블록 형태 등 형태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반충동물의 사료에 사료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보조제"란, 사료 자체로 사용되거나 사료에 첨가하여 반추위 동물의 생산성 향상이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란, 반추위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구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본 발명의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을 통상의 원료사료에 가하여 제조된 반추위 동물 사육용 사료로 해석될 수 있고, 상기 사료는 반추위 동물의 육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원료사료"란, 상기 사료첨가용 조성물이 첨가되는 사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료사료는 상기 사료첨가제가 부가되어 반추위 동물의 육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서 쌀, 발효대두분, 대두, 이탈리안그라스, 수단그라스, 호밀, 볏짚, 옥수수, 소맥피, 쌀겨, 당맥피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배합사료가 될 수 있고, 이들 주성분은 반추위 동물용 원료사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은 사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스테비아 추출물 및 천연소재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사료 및 상기 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은 반추위 동물에 섭식시킬 경우,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산도를 완화시켜주고 제 1위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바, 이를 반추동물의 건강 증대를 위하여 반추동물 사료에 사료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화칼슘, 산호, 산화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및 효모를 특정비율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은 반추위 동물에 섭식시킬 경우,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산도를 완화시켜주고 제 1위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바, 이를 반추동물의 건강 증대를 위하여 반추동물 사료에 사료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조제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율에 따라 산화칼슘, 산호, 산화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및 효모를 포함하는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rt Chemical (%)
산화칼슘 산호 산화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효모
T1 30 5 30 30 5
T2 25 5 25 40 5
T3 30 5 25 35 5
T4 25 5 30 35 5
T5 20 5 30 40 5
T6 30 5 20 40 5
T7 20 5 40 30 5
<시험예 1>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의 중화 및 완화 효과 측정반추위내 산성이 강한 Acetic acid를 첨가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반추동물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의 중화 및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Sample (2 g) T1 T2 T3 T4 T5 T6 T7 A사제품 B사제품
initial pH 9.70 9.51 9.57 9.63 9.55 9.49 9.86 10.40 11.20
mls 2N Acetic acid to 6.5 6.57 5.17 4.87 4.07 5.00 3.93 8.60 4.10 7.70
mls 2N Acetic acid from initial pH to pH 5.5 18.77 16.33 14.87 17.47 19.20 14.37 22.90 14.67 17.97
mls 2N Acetic acid from pH 6.5 to pH 5.5 12.20 11.17 10.00 13.40 14.20 10.43 14.30 10.57 10.27
6.5 (Neutralizing capacity - mMol/L) 13.13 10.33 9.73 8.13 10.00 7.87 17.20 8.20 15.40
5.5 (Buffer capacity - mMol/L) 37.53 32.67 29.73 34.93 38.40 28.73 45.80 29.33 35.93
초기 pH는 B사 제품이 가장 높았으나, pH 6.5로 조정하기 위한 2N Acetic acid 양은 T7이 많았다. pH 5.5로 낮추기 위해 첨가된 2N Acetic acid양 역시 T7, T5 및 T4 순으로 높았다. 6.5 (Neutralizing capacity - mMol/L) 와 5.5 (Buffer capacity - mMol/L)도 T7, T5 및 T4 순으로 높았다. 타사 제품과 비교에서는 T7과 T5가 더 높은 버퍼능력을 보였다.

Claims (3)

  1. 산화칼슘 20 중량%, 산호 5 중량%, 효모 5 중량%, 산화마그네슘 40 중량% 및 중탄산나트륨 30 중량%로 이루어진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따른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3. 제 2 항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를 이용하여 반추동물을 사육하는 방법.
KR1020200094063A 2020-07-28 2020-07-28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KR10224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63A KR102241952B1 (ko) 2020-07-28 2020-07-28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63A KR102241952B1 (ko) 2020-07-28 2020-07-28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09A Division KR102180524B1 (ko) 2018-11-16 2018-11-16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503A KR20200093503A (ko) 2020-08-05
KR102241952B1 true KR102241952B1 (ko) 2021-04-20

Family

ID=7204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063A KR102241952B1 (ko) 2020-07-28 2020-07-28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813A1 (en) * 2021-04-23 2022-10-26 Omya International AG Buffer composition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buffer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516B1 (ko) * 1996-08-26 1999-06-01 고영두 가축용완충제
KR101756039B1 (ko) 2016-11-21 2017-07-10 이성수 반추가축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8088895A (ja) * 2016-12-06 2018-06-14 株式会社アグリワールド 家畜飼料用添加物、家畜飼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34A (ko) * 1991-08-22 1993-03-22 차두흥 반추 동물용 블럭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3225A (ko) * 2014-01-09 2015-07-17 씨제이제일제당 (주) 영양성분이 강화된 축우용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516B1 (ko) * 1996-08-26 1999-06-01 고영두 가축용완충제
KR101756039B1 (ko) 2016-11-21 2017-07-10 이성수 반추가축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8088895A (ja) * 2016-12-06 2018-06-14 株式会社アグリワールド 家畜飼料用添加物、家畜飼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503A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7222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creased productivity in animals
CA2440009C (en) Method of feeding a ruminant
Masoero et al. Raw, extruded and expanded pea (Pisum sativum) in dairy cows diets
CN110785088A (zh) 用于反刍幼崽的固体饲料组合组合物
KR100903865B1 (ko)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CN107373132A (zh) 酶制剂生猪配合饲料
KR102241952B1 (ko)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Arjin et al. Efficiency of fresh and fermented banana stems in low protein diet on nutrient digestibility, productive performance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crossbred pig;(Thai native x Meishan) x Duroc.
Nutrition Molasses in beef nutrition
US6348223B1 (en) Milk replacer composition and method
KR102180524B1 (ko)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KR101414297B1 (ko) 젖소 또는 육우용 혼합-발효사료
EP0063490A1 (en) Lactation improvement method
US20130224330A1 (en) Body weight growth of weaning pigs
CN111587956A (zh) 一种提高仔猪成活率的代乳料及其饲喂方法
JP2018505654A (ja) 乳牛における乳生産効率の強化
WO2022138631A1 (ja) 家畜及び/又は家禽の生産性改善方法及び腸内菌叢改善方法
Khattab et al. Ensiled banana wastes with molasses or whey for lactating buffaloes during early lactation
KR102482446B1 (ko) 사료 조성물
JP2020068666A (ja) 小麦わら成形飼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家畜の飼育方法
Gado Utilization of anaerobic microbiology to improve animal production
KR102641017B1 (ko) 토끼 성장단계별 펠렛 사료 조성물
Harland By-products
KR20210112145A (ko) 반추위 산도 유지를 위한 펠렛 형태의 장시간 체류형 완충제 조성물
US20220000963A1 (en) Nutritional supplements for animal health and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